KR101762742B1 -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42B1
KR101762742B1 KR1020170010873A KR20170010873A KR101762742B1 KR 101762742 B1 KR101762742 B1 KR 101762742B1 KR 1020170010873 A KR1020170010873 A KR 1020170010873A KR 20170010873 A KR20170010873 A KR 20170010873A KR 101762742 B1 KR101762742 B1 KR 10176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s
power
command
load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이재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1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S와 FEMS가 결합된 융복합형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용가의 부하를 강제 차단하지 않고 피크전력이 ESS의 출력 용량을 초과할 경우 FEMS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피크관리 및 에너지 효율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FEMS를 통해 입력된 부하의 설정 시간 단위 누적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PCS의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1 피크 제어기능과,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 수행에 의한 목표 전력 초과 유무에 따라 부하와 연결된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2 피크 제어기능이 구비된 EMS를 포함하는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ak power exceeds the output capacity of the ESS without forcibly interrupting the load of the customer through the fusion-type energ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the ESS and the FEMS, the peak management and the energy efficiency problem There is a purpose to solve,
For this purpose, in a hybri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of ESS and information of FEMS, charge / discharge command of PCS is executed based on accumulated time unit usage information of load inputted through FEMS to manage target power And a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the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the gateway of the FEMS connected with the loa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target power is exceeded by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Discloses a fused composite 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embedded EMS.

Description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ESS의 에너지관리시스템 운영 분야에 관련되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nergy management system operation of ESS,

보다 상세하게는, ESS의 활용 범위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용가의 FEMS와 ESS를 융복합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과 알고리즘을 구성해서 종례에 수용가에서 전력차단에 의한 제한된 피크점감 활용을 향후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 그 경제적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nge and effect of the ESS, a system and an algorithm capable of operating the customer FEMS and the ESS in a complex manner can be constructed.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of the limited peak reduction by the power- Grid energy is about the technology that wants to increase its economic utilization value in the new industry.

최근 국내의 에너지 수요증가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로 인해 전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 및 송배전 시설을 추가 설치함에 따라 사회적 비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전력의 공급확대도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과거의 공급중심에서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Recently, the domestic energy demand has increased rapidly, resulting in the power shortage. In order to solve this power shortage problem, social costs are rising rapidly due to the addition of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to supply electric power, and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is delayed. As a result, the government is shifting from past supply-oriented to demand management-oriented energy policies.

전력의 수요관리란 소비자들의 전력 사용 패턴의 변화를 통해 최소 비용으로 안정적인 전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력의 수요관리는 수요반응과 에너지효율향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수요관리를 빌딩, 가정, 공장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수요관리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Demand management of power is a way to meet stable power demand at minimum cost through changing the pattern of power usage of consumers. Demand management of power can be divided into demand response and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When applied to buildings, homes, and factories, this demand managemen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ergy demand management.

최근에는 태양광 등의 신재생 에너지, LED 조명, ESS (Enery Storage System), 전기자동차, 스미트 미터 등 다양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들이 건물에 도입됨에 따라 이들의 통합운전을 통해 건물의 전력 소비량을 제어하는 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HEMS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Factory Management System) 기술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various smart grid technologies such as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power, LED lighting, ESS (Enery Storage System), electric vehicle and smit meter have been introduced into buildings, Market demand for 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HEMS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FEMS (Factory Management System) technologies is increasing.

공장의 경우 전력부하는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전기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전력부하의 조작을 비롯한 각종 절감조치들을 취해야 하지만, 조치에 따라서는 공정의 흐름, 제품의 품질 및 설비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전기절감을 위해 조작을 할 수 있는 대상부하의 선별을 비롯한 각종 절감조치의 내용을 결정하고 이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하여 현재 공장에서는 전기절감, 특히 피크절감을 위해 최대전력저감장치(Demand Controller) 를 설치하거나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해서 피크 전력을 관리하였다. In the case of factories, the power load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production. To save electricity, various measures must be taken in real time in the process of using electricity, including manipulation of the power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nd implement the contents of various saving measures including screening of the target load that can be operated for electricity saving. Due to these difficulties, the factory has installed peak power reduction equipment (Demand Controller) or 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to save electricity, especially peak.

그러나 단계별로 전기를 강제 차단해서 피크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은 공장운영에 불편을 초래한다. However, the method of managing the peak power by forcibly blocking the electricity step by step causes inconvenience to the plant operation.

한편, ESS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에너지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충전했다가 에너지 사용량에 증가하는 피크시간대에 방전해서 수용가의 피크전력을 관리하는 용으로 ESS를 활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ESS is being used to manage the peak power of the consumer by discharging at a peak time when the ESS is started to be supplied and charged at a time when the energy consumption is low.

그러나 ESS는 PCS와 배터리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피크전력이 이를 초과할 경우 피크를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However, the ESS has a limited capacity of PCS and battery, so when the peak power is exceeded, the peak can not be caught.

등록특허공보 제10-1243943호(공고일자 2013년03월13일)Patent Registration No. 10-1243943 (Publication date March 13, 2013)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ESS와 FEMS가 결합된 융복합형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용가의 부하를 강제 차단하지 않고 피크전력이 ESS의 출력 용량을 초과할 경우 FEMS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피크관리 및 에너지 효율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MS system in which, when the peak power exceeds the output capacity of the ESS without forcibly blocking the load of the customer through the Fusion- Control algorithms to solve peak management and energy efficiency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n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the combination shown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FEMS를 통해 입력된 부하의 설정 시간 단위 누적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PCS의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1 피크 제어기능과,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 수행에 의한 목표 전력 초과 유무에 따라 부하와 연결된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2 피크 제어기능과,
미리 정한 스케쥴에 따라 PCS의 충전, 방전 명령,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 OFF 명령 중 선택되는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3 피크 제어기능이 구비된 EMS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의 PCS 방전 명령은 설정된 역전력 제한값 이내인 경우에 허용되고,
상기 제2 피크 제어기능의 전원공급 OFF 명령은 부하의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상기 제1 피크 제어는 부하의 15분 단위 누적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1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1초 간격으로 변화되는 부하의 15분간 누적 사용량과 상기 목표 전력을 비교하여 1분 단위로 PCS(120)에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bri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of ESS and information of FEMS,
A first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performing a charging or discharging command of the PCS based on the set time unit cumulative usage amount information of the load inputted through the FEMS,
A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a gateway of the FEMS connected to the loa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target power is exceeded by performing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And an EMS having a thir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command selected from charging and discharging commands of the PCS and a power supply ON and OFF command to the gateway of the FEM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The PCS discharge command of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is permitted when the power is within the set reverse power limit value,
The power supply OFF command of the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is differenti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load,
The first peak control samples the data at intervals of 1 second to manage the 15-minute cumulative usage of the load, compares the cumulative amount of use for 15 minutes of the load, which is changed at intervals of 1 second, and the target power, And a charging or discharging command is issued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unit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운영 시스템인 EMS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레이어(vice Interface Layer) 부분에 FEMS의 부하 연계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피크저감제어 운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FEMS의 부하 연계 정보 취득을 위해 FEMS GW(Gateway)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FEMS GW는 부하들의 전력 정보 취득을 위해 별도의 CT, PT 센서를 직접 연결하거나 디지털 전력량계와 통신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모두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ocess the peak reduction control operation by adding the load linkage information of the FEMS to the device interface layer portion of the EMS which i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SS). For this purpose, FEMS GW (Gateway) can be used to obtain load linkage information of FEMS. In addition, the FEMS GW can acquire information by directly connecting separate CT and PT sensors or by communicating with a digital watt-hour meter in order to obtain power information of loads.

또한, FEMS GW를 통해 전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 외에 디지털 in/out 모듈과 아날로그 in/out 모듈을 추가하면 차단기와 스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어 수용가의 피크저감 기능이 개선 된다.In addition to acquiring power information through FEMS GW, addition of digital in / out module and analog in / out module can control breaker and switch, which improves customer's peak reduc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2 피크 제어기능을 이용하면, 기본요금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제3 피크 제어기능을 이용하면 공장의 전기요금 중 사용요금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sing the first and second peak contro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base charge, and using the third peak control function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use charge of the electricity rate of the fact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fu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capable of numerous changes, has various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의 운영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s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 fis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운영 시스템인 EMS에서 피크저감 자동운전을 수행할 때 ESS운영 알고리즘과 FEMS 시나리오 알고리즘을 통합한 것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u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n ESS operation algorithm and an FEMS scenario algorithm when performing automatic peak operation in EMS, which is an operating system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여기서 피크저감 알고리즘은 한국전력에서 15분 단위로 수용가(예컨대, 공장)의 전력 사용량을 체크하여 가장 높은 전력 사용량을 기본요금으로 산정한다는 배경에서, 기본요금을 절감하거나 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해 수용가에서 지정하는 피크 목표값에 맞게 ESS와 FEMS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Here, the peak reduction algorithm checks the power consumption of a customer (for example, a factory) every 15 minutes in KEPCO, calculates the highest power consumption as a base charge, and assigns it to the customer in order to reduce the base charge or reduce the charge The ESS and the FEMS system control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eak target valu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을 개시한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used composit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FEMS를 통해 입력된 부하의 설정 시간 단위 누적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PCS의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1 피크 제어기능과,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 수행에 의한 목표 전력 초과 유무에 따라 부하와 연결된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2 피크 제어기능이 구비된 EMS를 포함한다. In the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utilizes the ESS information and the FEMS information, the Fusio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performs charging or discharging command of the PCS based on the set time unit cumulative usage information of the load inputted through the FEMS, A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a gateway of the FEMS connected to the loa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target power is exceeded by performing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And an EMS having a control function.

상기 EMS는 미리 정한 스케쥴에 따라 PCS의 충전, 방전 명령,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 OFF 명령 중 선택되는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3 피크 제어기능이 더 구현될 수 있다.The EM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command selected from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the FEMS gateway, charging and discharging commands of the PCS, and the FEMS gatewa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또한,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의 PCS 방전 명령은 설정된 역전력 제한값 이내인 경우에 허용될 수 있다.Also, the PCS discharge command of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may be permitted when the set power is within the set reverse power limit value.

또한, 상기 제2 피크 제어기능의 전원공급 OFF 명령은 부하의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OFF command of the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can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load.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FEMS를 통해 입력된 부하의 설정 시간 단위 누적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PCS의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1 피크 제어 단계와;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 수행에 의한 목표 전력 초과 유무에 따라 부하와 연결된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2 피크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SS and the information of the FEMS. In the method of charging the PCS based on the set time unit cumulative usag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FEMS, A first peak control step of performing a discharge command to manage a target power; And a second peak control step of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a gateway of the FEMS connected to the loa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target power is exceeded by performing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상기 제1 피크 제어단계의 PCS 방전 명령은 설정된 역전력 제한값 이내인 경우에 허용될 수 있다.The PCS discharge command of the first peak control step may be allowed when the set power is within the set back power limit value.

또한, 상기 제2 피크 제어단계의 전원공급 OFF 명령은 부하의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Also, the power supply OFF command of the second peak control step may be differenti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load.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의 또 다른 예는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한 스케쥴에 따라 PCS의 충전, 방전 명령,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 OFF 명령 중 선택되는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3 피크 제어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ESS and the information of the FEM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mmand of the PCS, the command of the FEMS And a third peak control step of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command selected from power supply ON and OFF commands.

제1 피크 제어 기능 또는 단계(이하, 제1 피크 제어)는 ESS를 이용한 피크 제어 방법이다. 수용가의 전기 요금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본요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15분 단위 누적 사용량을 EMS(330)에서 관리해야 한다. 이는 곧 적절한 시간과 출력으로 EMS(330)가 PCS(전력변환장치, 120)로 충방전 지령을 내려 피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or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peak control) is a peak control method using the ESS. To manage the basic charge, which accounts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electricity price of the customer, the 15-minute cumulative usage should be managed by the EMS (330). This is a method in which the EMS 330 controls the peak by charging / discharging command to the PCS (power conversion apparatus 120) with appropriate time and output.

구체적으로, Specifically,

1) 제1 피크 제어는 15분간 누적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1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샘플링 한다.1) The first peak control samples data at intervals of 1 second to manage the cumulative usage for 15 minutes.

2) 1초간격으로 수집되고 있는 현재부하의 실시간 데이터로 누적 평균을 계산하고 최종 900 개의 실시간 샘플링 데이터의 누적 평균이 곧 15분 사용량이 된다.2) The cumulative average is calculated from the real-time data of the current load collected at intervals of 1 second, and the cumulative average of the last 900 real-time sampling data is used for 15 minutes.

3) 해당 알고리즘은 계산된 실시간 누적 평균과 수용가가 관리하고자 하는 목표 최대 수요 전력을 비교하여 1분 단위로 PCS(120)에 충방전 지령을 내린다. 3) The algorithm compares the calculated real-time cumulative average with the target maximum demand power to be managed by the customer and issues charge / discharge commands to the PCS 120 in 1-minute increments.

4) 하지만 반드시 매1분 단위로 PCS 출력을 내보내지 않으며 여러 조건을 점검한 뒤 출력 지령을 내릴지 말지를 판단한다.4) However, PCS output is not output every 1 minute, and it is judged whether to issue output command after checking various conditions.

5) 현재 누적 평균이 15분 구간 내 PCS(120) 최대 출력으로 목표 최대수요 전력을 감당할 수 있는 값이라면, 알고리즘은 해당 주기에도 방전 지령을 내리지 않는다. 5) If the current cumulative average is the maximum power of the PCS (120) within the 15-minute interval, the algorithm does not issue a discharge command for that period.

6) 출력계수 등 해당 수용가의 특성을 반영한 파라미터에 의해서도 방전 지령을 내릴지 말지를 결정하게 된다. 6) Whether or not to issue a discharge command is determined by paramete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such as the output coefficient.

7) 알고리즘에 의해 방전지령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PCS(120) 출력을 계산한 뒤에도, 바로 PCS(120)로 출력을 내보내지 않는다. 7) algorithm, and does not output the output to the PCS 120 immediately after the output of the PCS 120 is calculated.

8) 방전에 의해 역전력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설정한 역전력 제한값을 넘지 않도록 방전 출력이 재조정된다. 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tion of reverse power by discharging, the discharge output is readjusted so as not to exceed the set reverse power limit value.

9) 재조정된 출력은 다시 설치된 PCS(120) 중 방전 지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활성화된 PCS(120)로 출력을 균등 분배 - PCS(1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 - 하여 최종적으로 PCS(120)가 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9) The re-adjusted output may be divided into equal parts of the re-installed PCS 120, which may receive a discharge command, to the activated PCS 120. The PCS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CS 120 So that the discharge can be performed.

제2 피크 제어 기능 또는 단계(이하, 제2 피크 제어)는 FEMS를 이용한 최대전력 저감 제어 방법이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or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peak control) is a maximum power reduction control method using FEMS and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1) 수용가의 사용전력이 제1 피크 제어(ESS를 이용한 제어)에도 불구하고 목표 수요 전력을 초과하게 될 경우 EMS(330)통해 적절한 시간과 출력으로 FEMS GW(220,230)에 ON/OFF 제어 명령을 내리게 된다.1)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ustomer exceeds the target demand power despite the first peak control (control using the ESS), an ON / OFF control command is sent to the FEMS GW (220,230) .

2) 해당 알고리즘은 15분단위 누적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초 단위 부하 데이터를 1초 마다 수집하고 누적 평균을 계산하여 1분간 사용량을 구한다.2) The algorithm collects the load data per second in order to manage the 15-minute cumulative usage and calculates the cumulative average to obtain the usage for 1 minute.

3) 구해진 1분간 사용량을 바탕으로 ON/OFF를 결정하는데 OFF 로직은 목표 사용량 + OFF 밴드 구간 값이 직전 최대 수요보다 커지거나 직전 1분간 사용량이 기울기 계수값 보다 커질 때 동작한다.3) ON / OFF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age amount obtained for one minute. OFF logic operates when the target usage amount + OFF band interval value is larger than the immediately preceding maximum demand or when the usage amount is larger than the slope coefficient value for 1 minute immediately before.

4) ON 로직은 목표 사용량 - ON 밴드 구간 값이 직전 최대 수요보다 작아질 때 동작한다.4) The ON logic operates when the target usage-ON band interval value becomes smaller than the previous maximum demand.

5) ON/OFF 로직은 우선순위대로 장치(예컨대, 공조기(221), 조명(222), 블로워(231), 냉동기(232), 컴프레셔(233), 비상발전기(234) 등)를 검색하면서 현재 상태를 ON 또는 OFF 시켜준다. 다음 장치의 우선순위 현재 장치의 우선순위와 같으면 해당 장치까지 ON 또는 OFF 시킨다5) The ON / OFF logic searches the devices (e.g., the air conditioner 221, the lighting device 222, the blower 231, the refrigerator 232, the compressor 233, the emergency generator 234, Turns the status ON or OFF. If the priority of the next device is the same as the priority of the current device, the corresponding device is turned ON or OFF

6) 위 구간에서 초단위 부하 데이터 수집을 반복하여 ESS 및 FEMS의 제어 운전을 통해 수용가의 피크저감율을 극대화 한다.6) In the above section, the peak load reduction rate of the customer is maximized through the control operation of ESS and FEMS by repeatedly collecting the load data per second.

제3 피크 제어 기능 또는 단계(이하, 제3 피크 제어)는 스케쥴 운전 제어 방법으로써,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peak control function or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peak control)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chedule operation, and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1) 스케쥴 운전 제어 방법은 정해진 스케줄로 ESS 충방전 지령과 FEMS의 부하 장치 차단 지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운전 제어 방식이다. 1) The schedule operation control method is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at enables ESS charge / discharge command and FEMS command to shut off the load device with a predetermined schedule.

2) 수용가가 자동 Peak Shaver 제어 방법(제1 피크 제어 또는 제2 피크 제어)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전력 사용량을 보이거나, 수용가의 일정에 맞춰 등록한 스케줄대로 사용하기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to allow the customer to view the power usage that is not suitable to use the automatic Peak Shaver control method (first peak control or second peak control), or to use it on a schedule that is registered to the customer's schedule It has its purpose.

3) 수용가의 전기요금 중 Peak Shaver 제어 방법이 기본요금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면, 제3 피크 제어는 수용가의 전기요금 중 사용요금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3) If Peak Shaver control method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base charge, the third peak control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usage fee among the electricity bill of the customer.

4) 전기요금이 싼 경부하 시간대에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중간부하 또는 최대부하 시간대에 배터리를 방전함으로써 편익을 발생시켜 수용가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해준다. 4) It is possible to save the electricity bill of the customer by charging the battery at the light-duty hour and discharging the battery at the intermediate load or the maximum load time, where the electricity rate is relatively high.

5) 스케쥴 운전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요일별로 충방전 스케줄을 등록할 수 있고 삭제가 가능하다. 5) The schedule operation control method allows the user to register and delete the charge / discharge schedule by day of the week.

6) 지정한 요일에 ESS 출력을 설정하고 등록하면 알고리즘은 현재 시간과 등록한 스케줄 시간을 비교하여 지금이 충전할 시간인지 또는 방전할 시간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6) If the ESS output is set and registered on the specified day of the week, the algorithm compares the current time with the registered schedule tim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ime to charge or discharge.

7) 매 1초 단위로 주기적으로 충방전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체크하며, 종료시간이 되면 모든 스케줄을 종료하고 PCS(120)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7) The charge / discharge start time and end time are periodically checked every 1 second. When the end time comes, all the schedules are terminated and the PCS 120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8) 휴일로 지정한 날짜는 스케줄 운용을 하지 않는다. 또한 알고리즘은 최대수요 피크관리를 실시하는데, 스케줄 방전 동작 중에 수용가가 설정한 최대 수요보다 더 큰 전력을 사용할 경우, PCS(120) 방전 출력을 높이게 된다. 8) The date designated as holiday is not scheduled operation. The algorithm also implements peak demand peaking, which increases the discharge power of the PCS 120 when using more power than the maximum demand set by the customer during the scheduled discharge operation.

9) 해당 출력은 수용가가 설정한 값보다 큰 경우 1분 단위로 제어 명령을 내려 보내며, 전체 스케줄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전 중인 경우에 한해서만 출력이 조정된다. 9) If the corresponding output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of the customer, the control command is sent down in 1 minute.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entire schedule, the output is adjusted only when discharging.

10) 그리고 역전력 발생 가능한 지점을 넘지 않기 위해 출력이 재조정되며, 이렇게 재조정된 출력은 활성화된 PCS들에게 균등 분배하여 최종적으로 PCS가 출력을 내보낸다. 10) and the output is readjusted to not exceed the point where the reverse power can be generated, and the readjusted output is distributed to the activated PCSs and finally the PCS outputs the outpu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Referring to FIGS. 2 to 4, an exemplary method of operating a fusion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초단위 부하 데이터를 1초 마다 수집하고 누적 평균을 계산하여 1분간 사용량을 구한다.1. Collect the load data per second every second and calculate the cumulative average to calculate the usage for one minute.

2. 구해진 1분간 사용량을 바탕으로 ON/OFF를 할 것인지 결정한다.2. Decide whether to turn ON / OFF based on the amount of usage for one minute.

3. OFF 로직은 목표사용량 + OFF 밴드 구간값이 직전 최대 수요보다 커지거나, 직전 1분간 사용량이 기울기 계수값 보다 커질 때 동작한다.3. The OFF logic operates when the target usage amount + OFF band interval value is larger than the immediately preceding maximum demand or when the consumption amount for 1 minute before is larger than the slope coefficient value.

4. ON 로직은 목표 사용량 - ON 밴드 구간값이 직전 최대 수요보다 작아질 때 동작한다.4. The ON logic operates when the target usage-ON band interval value is less than the previous maximum demand.

5. ON/OFF 로직은 우선순위대로 장치를 검색하면서 현재 상태를 ON 또는 OFF 시켜준다. 다음 장치의 우선순위가 현재 장치의 우선순위와 같으면 해당 장치까지 ON 또는 OFF 시킨다.5. The ON / OFF logic searches the device in priority order and turns the current state ON or OFF. If the priority of the next device is the same as the priority of the current device, turn on or off the device.

5. 다시 1번으로 돌아가서 초단위 부하 데이터를 수집한다. 5. Go back to step 1 and collect the load data in second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PMS
210: FEMS
300: 융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
110: PMS
210: FEMS
300: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Claims (8)

ESS의 정보와 FEMS의 정보를 활용한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FEMS를 통해 입력된 부하의 설정 시간 단위 누적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PCS의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1 피크 제어기능과,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 수행에 의한 목표 전력 초과 유무에 따라 부하와 연결된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2 피크 제어기능과,
미리 정한 스케쥴에 따라 PCS의 충전, 방전 명령, FEMS의 게이트웨이에 전원공급 ON, OFF 명령 중 선택되는 명령을 전달하여 목표 전력을 관리하는 제3 피크 제어기능이 구비된 EMS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크 제어기능의 PCS 방전 명령은 설정된 역전력 제한값 이내인 경우에 허용되고,
상기 제2 피크 제어기능의 전원공급 OFF 명령은 부하의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상기 제1 피크 제어는 부하의 15분 단위 누적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1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1초 간격으로 변화되는 부하의 15분간 누적 사용량과 상기 목표 전력을 비교하여 1분 단위로 PCS(120)에 충전 또는 방전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In the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from ESS and information from FEMS,
A first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performing a charging or discharging command of the PCS based on the set time unit cumulative usage amount information of the load inputted through the FEMS,
A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power supply ON / OFF command to a gateway of the FEMS connected to the loa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target power is exceeded by performing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And an EMS having a third peak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a target power by transmitting a command selected from charging and discharging commands of the PCS and a power supply ON and OFF command to the gateway of the FEM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The PCS discharge command of the first peak control function is permitted when the power is within the set reverse power limit value,
The power supply OFF command of the second peak control function is differenti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load,
The first peak control samples the data at intervals of 1 second to manage the 15-minute cumulative usage of the load, compares the cumulative amount of use for 15 minutes of the load, which is changed at intervals of 1 second, and the target power, 120) is charged or dischar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10873A 2017-01-24 2017-01-24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762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73A KR101762742B1 (en) 2017-01-24 2017-01-24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73A KR101762742B1 (en) 2017-01-24 2017-01-24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742B1 true KR101762742B1 (en) 2017-07-28

Family

ID=5942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73A KR101762742B1 (en) 2017-01-24 2017-01-24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58B1 (en)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Energy management system having maximum power sav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522859B1 (en)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Energy management system having electricity power manag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595301B1 (en) * 2015-09-09 2016-02-18 (주)나오디지탈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ower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58B1 (en)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Energy management system having maximum power sav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522859B1 (en) * 2014-11-07 2015-05-26 주식회사 케이디티 Energy management system having electricity power manag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KR101595301B1 (en) * 2015-09-09 2016-02-18 (주)나오디지탈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ower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01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ynamic nanogrids, aggregating electricity consumers and participating in energy markets
Koutsopoulos et al. Challenges in demand load control for the smart grid
EP2221944B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7453364B (en) Energy flow and information flow fusion method of regional energy system
CN102208882B (en)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JP5107345B2 (en) Modular energy control system
US9287710B2 (en) Supplying grid ancillary services using controllable loads
JP5663645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17026287A1 (en) Control device, energy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265645B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O20192260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lligent control of power supply source connection
EP2501019A2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using same
EP2701261A1 (en)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15195723A (en) power supply system
JP6426922B2 (en) Electric power system, control device and charge / discharge control method
JP2011250673A (en) Energy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2013017284A (en) Power control system, electric apparatus and charge/discharge control section
WO2015001767A1 (en) Control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JP7165876B2 (en) control system
JP2014241718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5144533B (en) The module of electric power, photovoltaic system and the method for upgrading photovoltaic system are obtained for storing electric power/from it the electricity accumulator suitable for photovoltaic system
Biabani et al. Propose a home demand-side-management algorithm for smart nano-grid
Mahmud et al. A day-ahead peak shaving strategy using aggregated electric vehicles
Kim et al. A multiagent system for residential DC microgrids
KR101762742B1 (en) Combin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