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08B1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2708B1 KR101762708B1 KR1020160036240A KR20160036240A KR101762708B1 KR 101762708 B1 KR101762708 B1 KR 101762708B1 KR 1020160036240 A KR1020160036240 A KR 1020160036240A KR 20160036240 A KR20160036240 A KR 20160036240A KR 101762708 B1 KR101762708 B1 KR 1017627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verter
- frequency
- frequency error
- value
- single op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3258 poly(methylsil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61 process characterization stud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326496 Careya arbo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8—Islanding, i.e. disconnection of local power supply from the network
-
- H02J3/383—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 H02J2003/388—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02E10/56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버터의 병렬운전 상황에서 외란를 인가하지 않아 인버터의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연결된 인버터의 출력을 D-Q 변환하고, 위상고정부(PLL)에서 출력 전압의 각주파수(ω)를 검출하는 단계; 대역통과필터부(BPF)에서 상기 각주파수(ω)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오차(Δω)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큰 경우,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연결된 인버터의 출력을 D-Q 변환하고, 위상고정부(PLL)에서 출력 전압의 각주파수(ω)를 검출하는 단계; 대역통과필터부(BPF)에서 상기 각주파수(ω)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오차(Δω)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큰 경우,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버터의 병렬운전 상황에서 외란를 인가하지 않아 인버터의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산전원 시스템의 하나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배전계통과 연계하여 운전하는데, 최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력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PCS 또한 대용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PCS를 대용량화 함에 있어서, 단수의 대용량 PCS를 사용하는 것보다 소용량 PCS를 다수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의 효율과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각 용량별로 단일 대용량 PCS와 다수대 소용량 PCS의 효율과 THD를 비교한 결과 그래프이다. (참조문헌 : J. S. Moon, "Development of 50kW Grid-Connected Photovoltaic Inverter for Dispersed station Gener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9, No. 5, pp.1171-1176, 2004.) 이를 통해 대용량으로 갈수록 PCS를 병렬로 운전하는 것이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그래프 참조] 또한, THD는 비록 소용량에서 병렬운전하는 것이 더 낮지만 용량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b)그래프 참조] 또한, 병령운전을 하면 일사량이 적어 PV의 출력이 적을 때에는 필요한 수의 PCS만 동작하도록 하여 동작 효율을 높이며 PCS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버터 병렬운전에서 해결해야할 문제 중의 하나가 단독운전 검출에 대한 문제이다. 단독운전 현상이란 배전계통의 사고 또는 정전 발생 시, 선로의 유지, 보수 및 기타의 사유로 계통이 차단되었을 때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배전선에 단독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독운전이 발생할 경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정확한 전압 및 주파수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제어가 불안정해지고, 비정상적인 전압과 주파수를 갖는 출력이 부하에 공급되므로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계통 수리, 유지 관리를 하는 인력 혹은 주변 근접 인력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Recloser 재투입시의 전압의 위상이 맞지 않음으로 인한 단락 사고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단독운전 현상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독운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빠르고 정확하게 이를 검출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이 인버터에 반드시 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다양한 단독운전 검출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단독운전 검출기법은 계통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 장치를 통하여 계통의 이상을 검출하는 Remote 방식과, 분산전원과 계통 연계점의 전력 상태를 확인하여 검출하는 Local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Local 방식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용량 계통 연계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고, 단독운전 현상을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적 기법과 능동적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수동적 기법은 연계점의 전력 상태를 단순히 모니터링하고 연계점의 전압 및 위상 변동에 의하여 검출하므로 정상상태에서도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어 불검출 영역이 광범위하며, 분산전원에서 공급하는 전력과 부하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평형을 이루었을 때, 단독운전 검출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능동적 기법의 경우 분산전원 시스템의 출력 전류를 계통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변화를 주어, 연계점에서의 전압이나 주파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도록 유도하여 시스템의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수동적 기법에 비해 불검출 영역이 현저히 줄어들어 검출 성능이 보장된다. 그러나 검출 성능이 우수한 능동적 기법들은 대부분 인버터에 단독운전 검출을 위해 어떠한 외란을 인가하므로 이 외란에 의해 정상상태 시 인버터 전력 품질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더구나, 대부분의 단독운전 검출기법들은 단일 인버터를 전제로 하고 있는 바, 병렬운전 상황에서는 단독운전 검출 성능이 저하되거나 검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관련 선행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560호 등)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버터의 병렬운전 상황에서 정상상태 시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연결된 인버터의 출력을 D-Q 변환하고, 위상고정부(PLL)에서 출력 전압의 각주파수(ω)를 검출하는 단계;
대역통과필터부(BPF)에서 상기 각주파수(ω)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오차(Δω)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큰 경우,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은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크지 않고 시간에 대한 상기 각주파수(ω)의 미분 값()이 0이라면, 상기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를 기 설정된 소량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은 상기 인버터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제한부(Limiter)에서 기 설정된 값 이내로 상기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은 부하매칭 상황에서의 단독운전 검출을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로밴드 범위의 설정값을 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의 병렬운전 상황에서 임의의 외란 인가 없이도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상상태 시 전력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주파수를 정상 범위 밖으로 유도하여 단독운전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일 대용량 PCS와 다수 병렬 소용량 PCS에 대한 용량별 효율 비교 그래프(a) 및 THD 비교 그래프(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의 알고리즘 순서도.
도 4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제로밴드 범위 값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단일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7은 도 4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8은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하고 제로밴드를 0으로 가변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0은 도 7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제로밴드를 0으로 가변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무효전력 방향을 반대로 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1은 도 4 및 도 7의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실험 테스트 구성도.
도 12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단일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전 결과 그래프.
도 13은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단일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후 결과 그래프.
도 14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병렬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후 결과 그래프.
도 15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병렬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무효전력 방향을 반대로 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6은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전후 출력 전류 THD 결과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의 알고리즘 순서도.
도 4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제로밴드 범위 값이 변경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단일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7은 도 4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8은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본 발명의 검출방법을 적용하고 제로밴드를 0으로 가변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0은 도 7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제로밴드를 0으로 가변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무효전력 방향을 반대로 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1은 도 4 및 도 7의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실험 테스트 구성도.
도 12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단일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전 결과 그래프.
도 13은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단일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후 결과 그래프.
도 14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병렬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적용 후 결과 그래프.
도 15는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병렬 인버터 운전상황 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무효전력 방향을 반대로 한 경우의 결과 그래프.
도 16은 도10의 실험 테스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 전후 출력 전류 THD 결과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주파수 측정 모듈, 주파수 오차판단 모듈, 전류 지령치 부호 통일 모듈, 무효전류 스텝 주입 모듈 및 단독운전 판단 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모듈별 기능을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의 알고리즘 순서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파수 측정 모듈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연결된 단상 인버터의 출력을 D-Q 변환하고, 계통 전압의 주파수를 추종하는 DSP의 상고정부(PLL;Phase Locked Loop)에서 각주파수(ω)를 검출하고, 대역통과필터부(BPF)에서 상기 주파수(ω)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오차(Δω)를 측정한다.
대역통과필터부(BPF)는 전력품질에 영향을 주는 고역대의 노이즈 성분 및 정상상태의 추종에 영향을 주는 저역대의 DC offset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BPF의 전달함수는 수학식 1과 같이 고역대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LPF와 저역대의 DC offset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HPF를 결합한 형태로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국내의 검출제한 시간 0.5초를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BPF의 대역폭을 4(ωc2) - 20(ωc1)Hz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BPF 전달함수 H(s)인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수학식 2와 같다.
다음으로, 주파수 오차판단 모듈은 상기 주파수 오차(Δω)와 기 설정한 제로밴드(zero_band) 범위 값을 비교하며,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상기 제로밴드 범위 값보다 큰 경우, 주파수 피드백 모듈은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킨다.
정상상태에서 전력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파수 오차판단 모듈의 제로밴드(zero_band) 범위 값을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제로밴드(zero_band) 범위가 너무 좁으면 소량의 무효전류가 자주 주입되어 정상상태에서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제로밴드(zero_band) 범위가 너무 크게 설정하면 단독운전이 발생되었을 때도 알고리즘이 동작하지 않아 단독운전 검출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상상태에서 전력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검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로밴드(zero_band) 범위 값을 0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4와 같이 60Hz 기준으로 15cycle마다 즉, 250ms마다 한 번씩 제로밴드(zero_band)를 0으로 낮추어 주면 불필요하게 주입하는 무효전류를 최소화하면서도 완벽한 부하매칭 상황까지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주파수 측정 모듈에서 검출한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 밴드(zero_band) 범위 값보다 클 경우, 주파수 피드백 모듈은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킨다.
이때,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의 값이 양(+)의 값이면 부호를 반전하여 음(-)의 값으로 변환 후 무효전류 지령치(id_ref)에 더해주고, 반대로 음(-)의 값을 가진다면 그대로 무효전류 지령치(id_ref)에 더해줌으로써, 무효전류 방향을 통일시킨다. 이를 통해 인버터는 부하에 진상 무효전력을 주입하게 되고, 이 무효전력에 의하여 주파수 오차(Δω)가 증가하고 다시 무효전력을 증가시키면서 주파수의 변동을 유도하게 되는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feedback)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게인(gain) 값은 커질수록 단독운전 검출 성능이 좋아지는 반면 전력품질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검출성능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게인(gain) 값(K pf )을 수학식 3과 같이 q축, 즉 인버터의 유효전류에 따라 변화하게 설정하고 초기 게인(gain) 값(K a )을 적정 값으로 설정하면 인버터의 출력에 따라 게인(gain) 값을 변경하지 않아도 항상 적정 게인(gain)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국내의 단독운전 규정을 고려하여 K a 의 범위를 0.00637 < K a < 0.00881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파수 피드백 모듈은 상기 인버터의 허용 가능한 전류의 제한을 두기 위하여 전류제한부(Limiter)를 둘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 pf ))을 기 설정된 값 이내로 제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상기 제로밴드 범위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무효전류 스텝 주입 모듈에서는 시간에 대한 상기 각주파수(ω)의 미분값()을 판단하여, 상기 각주파수(ω)의 미분 값()이 0인 경우에 상기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를 기 설정된 소량의 값으로 증가시킨다.
이 단계는 인버터 출력 전력과 부하의 소비 전력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이상적인 상황에서 단독운전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각주파수(ω)의 미분 값()이 0인 경우에 임의로 무효전류 지령치(i d-ref )를 정격 전류의 0.1(pu) 만큼 한 주기 증가시킨다. 만약 계통이 정상상태라면 위상고정부(PLL) 제어기가 계통 주파수를 추종하므로 상기 주파수 오차(Δω)는 다시 0으로 수렴되지만, 만약 단독운전 상태라면 주입한 무효전류에 의하여 주파수 오차(Δω)가 점점 증가하면서 주파수의 변동을 유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단독운전 판단 모듈에서는 상기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검출되는 주파수가 특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단독운전으로 판단하여 인버터의 출력을 중지시키게 된다.
[실험예]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국내 단독운전 검출 규격인 PV 502를 참고하여 표 1과 같이 파라미터를 선정한 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PSIM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회로를 구성하였다. 단독운전 발생 시 주파수 변화가 없어 단독운전을 검출하기에 최악의 경우인 R, L, C 부하의 공진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였으며, 계산된 R, L, C 부하의 경우 실제 인버터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무효전력 성분까지는 고려되지 않았다.
우선 단일 인버터의 경우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 후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검출방법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계통 차단 전·후 출력 전압 및 주파수에 변화가 없어 단독운전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검출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단독운전 발생 시 초기 주파수 오차(Δω)가 제로밴드(zero_band) 내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제로밴드(zero_band)를 0으로 가변했을 시 L, C 부하의 공진에 의하여 생긴 주파수 오차(Δω)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알고리즘이 동작하면서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렬운전 상황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인버터 2대 병렬운전 상황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도 9와 같다. 단일 인버터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독운전 발생 시 초기 주파수 오차(Δω)가 제로밴드(zero_band) 내에 존재하였다 하더라도, 제로밴드(zero_band)를 0으로 가변하게 되면 검출 알고리즘이 동작하면서 인버터 간의 상호간섭 없이 단독운전을 검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인버터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무효전력을 주입하게 된다면 도 10과 같이 연계점에서 서로 상쇄되며 단독운전 검출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회로의 파라미터 선정은 최대한 시뮬레이션 조건과 같이 설정하여 단일 인버터의 경우와 인버터 2대 병렬운전 상황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세트의 경우 도 11과 같이 구성하였고, PV array를 대체할 수 있는 태양광 시뮬레이터 pCube를 사용하였고, 계통연계형 단상 인버터 S35K를 사용하였다. 또한, AC power source를 사용하여 grid를 구성하였고, 전자 부하와 슬라이닥스, 콘덴서 박스를 사용하여 병렬 R, L, C 부하를 구성하였다.
단일 인버터의 경우 도 11에서와 같이 인버터 1대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별도의 실험 구성도는 생략했으며, 단독운전 검출 알고리즘 적용 전후의 실험 결과는 도 12 및 도 13과 같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계통이 차단되어도 출력 전압 및 주파수가 거의 변동하지 않아 단독운전 검출이 불가능함을 도 12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 미소한 주파수 오차를 가지고 무효전력을 주입하면서 주파수를 정상범위 밖으로 유도하여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함을 도 13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렬운전 상황에서의 단독운전 검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11과 같이 실험 세트를 구성하여 실험한 결과는 도 14와 같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와 같이 단독운전 발생 시 인버터 간 상호간섭 없이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만약 각 인버터에서 서로 상반되는 무효전력을 주입할 경우 주입하는 무효전력이 연계점에서 상쇄되어 도 15와 같이 주파수가 정상범위 내에서만 변동하면서 단독운전 검출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상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검출방법이 전력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독운전 검출 알고리즘 적용 전·후의 출력 전류 THD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도 16과 같이 전력품질에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C0276134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사업명] 도약 기술 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초고속 지락 검출이 가능한 3상 무변압기형 12kW 고효율 태양광 인버터 개발
[연구관리전문기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기여율] 50%
[주관연구기관]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여연구기관] 금비전자
[연구기간] 2015-05-01 ~ 2016-04-30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 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2285714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사업명] 구매 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
[연구과제명] 복수대 인버터의 병렬운전 시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한 3상 무변압기형 고효율 태양광 인버터 개발
[연구관리전문기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기여율] 50%
[주관연구기관] 금비전자(주)
[연구기간] 2015-07-01 ~ 2016-06-30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C0276134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사업명] 도약 기술 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초고속 지락 검출이 가능한 3상 무변압기형 12kW 고효율 태양광 인버터 개발
[연구관리전문기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기여율] 50%
[주관연구기관]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여연구기관] 금비전자
[연구기간] 2015-05-01 ~ 2016-04-30
본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 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2285714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사업명] 구매 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
[연구과제명] 복수대 인버터의 병렬운전 시 단독운전 검출이 가능한 3상 무변압기형 고효율 태양광 인버터 개발
[연구관리전문기관]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기여율] 50%
[주관연구기관] 금비전자(주)
[연구기간] 2015-07-01 ~ 2016-06-30
100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 시스템
Claims (4)
-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연결된 인버터의 출력을 D-Q 변환하고, 위상고정부(PLL)에서 출력 전압의 각주파수(ω)를 검출하는 단계;
대역통과필터부(BPF)에서 상기 각주파수(ω)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오차(Δω)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큰 경우, 무효전류가 증가하도록 무효전류 지령치(id-ref )에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pf ))을 +(양)의 값으로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오차(Δω)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주파수 오차(Δω)가 기 설정한 제로밴드 범위보다 크지 않고 시간에 대한 상기 각주파수(ω)의 미분 값()이 0이라면, 상기 무효전류 지령치(id-ref )를 기 설정된 소량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부하매칭 상황에서의 단독운전 검출을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제로밴드 범위의 설정값을 0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제한부(Limiter)에서 기 설정된 값 이내로 상기 무효전류 증가분(Δω×gain(Kpf ))을 제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6240A KR101762708B1 (ko) | 2016-03-24 | 2016-03-24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6240A KR101762708B1 (ko) | 2016-03-24 | 2016-03-24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2708B1 true KR101762708B1 (ko) | 2017-08-18 |
Family
ID=5975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6240A KR101762708B1 (ko) | 2016-03-24 | 2016-03-24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270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40407A (zh) * | 2020-06-12 | 2020-10-02 | 武汉大学 | 一种柔性负荷参与的多区域电力系统频率控制方法 |
CN118483509A (zh) * | 2024-07-12 | 2024-08-13 | 惠州市乐亿通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孤岛检测方法及相关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33785A (ja) * | 2014-01-10 | 2015-07-23 | 田淵電機株式会社 | 単独運転検出装置及び単独運転検出方法 |
JP2015144551A (ja) * | 2013-12-27 | 2015-08-0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インバータ装置 |
-
2016
- 2016-03-24 KR KR1020160036240A patent/KR1017627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44551A (ja) * | 2013-12-27 | 2015-08-0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インバータ装置 |
JP2015133785A (ja) * | 2014-01-10 | 2015-07-23 | 田淵電機株式会社 | 単独運転検出装置及び単独運転検出方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주파수 변동을 통한 단독운전 검출 기법(2014.11.) |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독운전 방지를 위한 positive-feedback을 가지는 주파수 변동 기법의 모델링 및 분석(2014.07.)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40407A (zh) * | 2020-06-12 | 2020-10-02 | 武汉大学 | 一种柔性负荷参与的多区域电力系统频率控制方法 |
CN118483509A (zh) * | 2024-07-12 | 2024-08-13 | 惠州市乐亿通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孤岛检测方法及相关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un et al. | An islanding detection method by using frequency positive feedback based on FLL for single-phase microgrid | |
Zhang et al. | An improved islanding detection method for a grid-connected inverter with intermittent bilateral reactive power variation | |
Buticchi et al. | Analysis of the frequency‐based control of a master/slave micro‐grid | |
KR101646170B1 (ko) | 계통연계운전 및 독립운전을 수행하는 전력시스템 제어 방법 | |
Gotekar et al. | Comparison of full bridge bipolar, H5, H6 and HERIC inverter for single phase photovoltaic systems-a review | |
Chidurala et al. | Power quality enhancement in unbalanced distribution network using Solar-DSTATCOM | |
Ahmad et al. | An effective passive islanding detection method for PV single-phase grid-connected inverter | |
Kim et al. | Distributed virtual negative-sequence impedance control for accurate imbalance power sharing in islanded microgrids | |
JP5961932B2 (ja) | 電力平準化装置 | |
KR101762708B1 (ko) | 계통연계형 태양광 병렬 인버터의 단독운전 검출방법 | |
Nutkani et al. | Secondary droop for frequency and voltage restoration in microgrids | |
Lorzadeh et al. | A hierarchical control scheme for reactive power and harmonic current sharing in islanded microgrids | |
Astrada et al. | Implementation of output impedance in single‐phase inverters with repetitive control and droop control | |
JP7562673B2 (ja) | グリッド単独運転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 |
WO2014041390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voltage regulation in a voltage supply | |
Yada et al. | An SO-SOGI based control for a three-phase DVR under distorted grid conditions including DC offset | |
Menon et al. | Islanding detection technique of distribution generation system | |
Jin et al. | Anti-islanding protection for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based on reactive power drift | |
Yada et al. | Improved dual-SOGI control for three-phase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 under distorted grid and load conditions | |
Zhou et al. | Sag detection algorithm for dynamic voltage restorer used in wind farms under unbalanced and distorted grid voltage conditions | |
TWI673931B (zh) | 微電網、儲能系統與電壓補償方法 | |
da Cunha et al. | A novel control scheme to reduce the reactive power processed by a Multifunctional Voltage-Quality Regulator | |
TWI418827B (zh) | Isolation operation detection method of electric current control type electric current converter | |
Yada et al. | A Second Order-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for Three-Phase Single–Stage Multifunctional Grid-Connected SPV System | |
He et al. | Analysis and implement of the single‐phase voltage‐controlled grid‐connected inver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