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408B1 -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408B1
KR101762408B1 KR1020160073256A KR20160073256A KR101762408B1 KR 101762408 B1 KR101762408 B1 KR 101762408B1 KR 1020160073256 A KR1020160073256 A KR 1020160073256A KR 20160073256 A KR20160073256 A KR 20160073256A KR 101762408 B1 KR101762408 B1 KR 10176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advertisement
analysis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식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포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포스팅 filed Critical (주)스마트포스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광고를 선별하여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USER ANALYSIS TARGETING ADVERTISEMENT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배경화면에 배치된 자주 쓰는 아이콘과 위젯 인식, 설치된 프로그램 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타겟팅 광고를 제공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광고 시장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는 공중파 및 신문의 광고 시장 규모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콘텐츠를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온라인 광고 시장은 더욱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온라인 콘텐츠는 사용자가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이긴 하나, 온라인 콘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는 온라인 콘텐츠에서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어려운 영역에 주로 배치되는 문제로 인해 광고를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의 온라인 콘텐츠는 띠 배너 또는 소정시간 동안 하이라이트 되는 오버레이 광고 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광고 방법은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충분하지 않아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분야의 광고가 아닌 이상 실질적인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온라인 광고는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사용자의 웹사이트 접속 기록,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웹 문서의 종류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기로서, 사용자의 성향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기이나, 기존의 효과적인 광고 제공을 위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의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0995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83945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장치의 배경화면에 배치된 자주 쓰는 아이콘과 위젯 인식, 설치된 프로그램 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타겟팅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광고를 선별하여 노출시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바탕화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면 정보는, 바탕화면의 아이콘, 위젯, 배경화면 이미지 매칭,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인식, 폴더명 인식, 가중치를 적용한 바탕화면 분석, 사용자의 실행횟수 분석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분석은 누적 사용시간, 설치시기,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실행횟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 분석은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에 누적된 타겟 광고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타겟 광고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광고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화면 정보를 사용자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로부터 타겟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타겟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타겟 광고 정보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분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분석하는 화면 정보 분석부; 상기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광고 결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분석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화면 정보 분석부는 이미지 수신부, 문자 인식부, 패턴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바탕화면의 아이콘, 위젯, 배경화면 이미지 매칭 및 단말기 화면 격자기호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바탕화면 폴더명 인식 및 애플리케이션명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부는 가중치를 적용한 바탕화면 분석,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분석, 애플리케이션 실행횟수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프로그램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분석부는 애플리케이션의 누적 사용시간, 설치시기,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실행횟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로그인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정보 분석부는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결정부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에 누적된 타겟 광고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타겟 광고를 변경하기 위한 피드백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화면 정보를 사용자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로부터 타겟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제공부; 및 상기 타겟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타겟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외부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로그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장치의 배경화면에 배치된 자주 쓰는 아이콘과 위젯 인식, 설치된 프로그램 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타겟팅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광고를 선별하여 노출시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바탕화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정보 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광고프로그램(140) 및 제1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프로그램(140)은 화면 정보 생성부(141),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142), 로그인 정보 생성부(143), 광고 제공부(144), 트래킹 정보 생성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의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의 화면에 생성되는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폴더, 이미지, 위젯, 아이콘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작아 주의를 끌 수 있는 광고가 표시되기 어려운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상태값을 수신하고, 제1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분석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타겟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프로그램(140)은 인터넷 다운로드 등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프로그램(140)은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광고를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프로그램(140)의 구성요소인 화면 정보 생성부(141)는 사용자 장치(100)의 화면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장치의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폴더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프로그램(140)의 구성요소인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142)는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누적 사용시간, 프로그램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프로그램 실행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프로그램(140)의 구성요소인 로그인 정보 생성부(143)는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로그인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SN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SNS로 자주 사용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로그인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광고제공부(144)는 사용자 분석 서버(200)의 구성요소인 광고 결정부(240)에서 결정된 타겟 광고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할 광고를 제공한다.
트래킹 정보 생성부(145)는 사용자 장치(100)의 타겟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트래킹하여 관련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후 누적된 데이터를 사용자 분석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된 타겟 광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 타겟 광고의 시청 시간 등의 타겟 광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을 효과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피드백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제1통신부(150)는 화면 정보 생성부(141)에서 생성된 화면 정보를 사용자 분석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그램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 또는 로그인 정보 생성부(143)에서 생성된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화면 정보 분석부(210), 프로그램 분석부(220), 로그인 정보 생성부(230), 광고 결정부(240), 피드백 분석부(250) 및 제2통신부(260)를 포함한다.
화면 정보 분석부(210)는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인 화면 정보 생성부(141)에서 생성된 사용자 장치(100)의 화면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화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폴더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정보 분석부(210)는 화면 격자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 일반적인 이미지 인식 방법, OCR 문자 인식 방법 등을 통해 화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폴더명 또는 애플리케이션명을 인식하거나, 바탕화면 첫번째 화면에 가중치를 주어 분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격자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은 스마트폰이나 PC 화면의 앱(애플리케이션)이나 폴더들은 미리 정해진 또는 변경 가능한 화면 격자에 맞춰 위치하게 되므로, 화면 격자에 기초하여 해당 격자 내에 있는 이미지를 인식함으로써 앱이나 폴더, 아이콘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화면 정보를 분석하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 스토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바탕화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유추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분석부(220)는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인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142)에서 생성된 사용자 장치의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누적 사용시간 분석, 프로그램 실행시간대 분석,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분석 및 프로그램 실행 횟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게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많고,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이 가장 많이 생성되면 사용자는 '게임'에 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 분석부(230)는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인 로그인 정보 생성부(143)에서 생성된 사용자 장치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한다. 로그인 정보 분석부(23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SNS에 접속하게 되면 사용자의 연령, 성별, 나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결정부(240)는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한다. 광고 결정부(240)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광고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분석부(250)는 트래킹 정보 생성부(145)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누적된 타겟 광고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타겟 광고를 변경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 '게임'에 대한 실행횟수 및 프로그램 설치수가 향상됨에 따라 광고에 대한 관심이 낮을 경우 이와 같은 업데이트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선호도가 높은 '게임'에 관한 광고를 재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정보 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정보 분석부(210)는 이미지 인식부(211), 문자 인식부(212), 패턴 인식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부(211)는 사용자 장치의 화면을 격자를 기초하여 인식하는 방법, 화면 분할을 통해 인식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방법 및 첫 화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인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배경화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화면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의 바탕화면 또는 첫 번째 화면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앱이 설치되어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바탕화면 또는 첫 번째 화면에 위치한 앱에 대해서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인식부(212)는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폴더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의 배경화면에 '쇼핑'이라는 폴더와 더불어 '쇼핑'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인 '다바걸', '옥션', '11번가'에 대한 설치가 되어 있으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는 '쇼핑'에 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패턴 인식부(213)는 사용자의 생활패턴, 사용시간, 실행횟수 및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낮과 밤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각각 분석하여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낮에 자주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를 낮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밤에 자주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를 밤에 제공하는 등, 사용자 패턴에 맞는 광고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SNS'에 관한 사용시간 및 실행횟수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면 이를 인식하여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주 쓰는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위젯, 프로그램 분석 및 로그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광고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에 광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단계 310). 이때, 광고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동의를 거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정보가 생성된다(단계 320). 화면 정보는 격자를 기초로 한 이미지 정보, 화면 분할에 따른 이미지 정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생성된 폴더명 정보, 생활패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간에 따른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횟수에 따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화면 정보는 제1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분석 서버(200)로 전송한다(단계 330).
그리고 사용자 분석 서버(200)의 제2통신부(260)에서 이를 수신한다(단계 410).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생성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420). 화면 정보 분석은 바탕화면의 아이콘, 위젯, 배경화면 이미지 매칭, 애플리케이션, 폴더명 분석, 가중치를 적용한 배경화면 분석,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횟수 분석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단계 430). 프로그램 분석은 누적 사용시간, 설치시기,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실행 회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단계 440). 외부 로그인 정보는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정보 분석 단계(420), 프로그램 분석 단계(430) 및 외부 로그인 정보 분석 단계(440)는 순차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세 단계가 병렬적으로 동시에 진행가능하며, 또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화면 정보 분석, 프로그램 분석, 로그인 정보 분석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광고를 결정한다(단계 450). 여기서,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관심 있어할 만한 광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기준을 통해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결정된 타겟 광고를 제2통신부(26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단계 460).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분석 서버(200)에서 전송한 타겟 광고를 제1통신부(150)에서 수신한다(단계 340).
사용자 장치(100)는 타겟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광고를 디스플레이 한다(단계 350).
사용자 장치(100)는 타겟 광고 정보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누적 데이터를 사용자 분석 서버(200)로 전송한다(단계 360).
사용자 분석 서버(200)는 전송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을 변경할 수 있다(단계 470). 또한, 이와 같이 변경된 타겟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에 재전송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타겟 정보를 수신하여(단계 340), 변경된 타겟 광고를 다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단계 3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행동과, 선호도를 배경화면, 설치된 프로그램 및 외부 로그인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타겟팅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분별한 광고를 제외하고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인식부 120 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광고프로그램
141 화면 정보 생성부 142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
143 로그인 정보 생성부 144 광고 제공부
145 트래킹 정보 생성부 150 제1통신부
210 화면 정보 분석부 211 이미지 인식부
212 문자 인식부 213 패턴 인식부
220 프로그램 분석부 230 로그인 정보 분석부
240 광고 결정부 250 피드백 분석부
260 제2통신부

Claims (26)

  1. 사용자 분석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의 분석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및 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인식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의 분석은 폴더명 인식, 가중치를 적용한 바탕화면 분석, 사용자의 실행횟수 분석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분석은 누적 사용시간, 설치시기,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실행횟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 분석은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누적된 타겟 광고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타겟 광고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10. 사용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광고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화면 정보를 사용자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로부터 타겟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타겟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및 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광고 정보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누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12.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분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분석하는 화면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타겟 광고를 결정하는 광고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및 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분석부는 문자 인식부, 패턴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인식부는 화면 격자기호를 통한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인식을 수행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바탕화면 폴더명 인식 및 애플리케이션명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가중치를 적용한 바탕화면 분석,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분석, 애플리케이션 실행횟수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프로그램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분석부는 애플리케이션의 누적 사용시간, 설치시기, 실행시간, 카테고리 별 프로그램 분포 및 실행횟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을 통해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로그인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 분석부는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결정부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분석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광고를 결정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누적된 타겟 광고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타겟 광고를 변경하기 위한 피드백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분석 서버.
  24.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 정보를 생성하는 화면 정보 생성부;
    상기 화면 정보를 사용자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분석 서버로부터 타겟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제공부; 및
    상기 타겟 광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타겟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젯 및 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광고 프로그램을 통해 외부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로그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KR1020160073256A 2016-02-26 2016-06-13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62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118 2016-02-26
KR20160023118 2016-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408B1 true KR101762408B1 (ko) 2017-07-27

Family

ID=5942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256A KR101762408B1 (ko) 2016-02-26 2016-06-13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1811B2 (en) 2018-10-05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1811B2 (en) 2018-10-05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4712B (zh) 聚合账户通知的按优先级排序和场境显示
AU2012259691B2 (en) Soci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dapted thereto
US9141702B2 (e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US9811350B2 (en) Embedding non-blocking help components in a display page using discovery drawer feature cues
CN105653545B (zh) 在页面中提供业务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CN113157906A (zh) 推荐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30102363A1 (en) 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upon activ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ah et al. The Impacts of User Experience Metrics on Click-Through Rate (CTR) in Digital Advertis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US20120254769A1 (en) Caching multiple views corresponding to multiple aspect ratios
US20150324842A1 (en) Method of a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
WO2013085652A2 (en) Cognitive-impact modeling for users having divided attention
US110807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eliver targeted advertising
US20180033051A1 (en) Interest bas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in a content recommendation network
US20150127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bidding platform respective of a user intent
JP559553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KR20130027830A (ko) 블로그 마케팅 방법 및 장치
WO2015059571A2 (en) Advertisement selection and pricing based in part on user interest inferred from user interaction
US20130238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advertisements by monitoring scroll-speeds
US11614852B2 (en) Dynamic widget display adjustment
CN110599227A (zh) 一种广告投放方法及系统
US10062101B2 (en) Maximizing the propensity of content consumption according to content complexity and content consumption time
US10534832B1 (en) Server-side tracking and selection of rotating content
US8972525B1 (en) Selecting an interactive content item based on device age
JP6570718B1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KR101762408B1 (ko) 사용자 분석 타겟팅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