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47B1 - Portable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sound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947B1
KR101759947B1 KR1020160019997A KR20160019997A KR101759947B1 KR 101759947 B1 KR101759947 B1 KR 101759947B1 KR 1020160019997 A KR1020160019997 A KR 1020160019997A KR 20160019997 A KR20160019997 A KR 20160019997A KR 101759947 B1 KR101759947 B1 KR 10175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icrophone
ear bud
earbud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2101A (en
Inventor
김동현
강오병
김유창
유현선
이재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DE202016007679.6U priority Critical patent/DE202016007679U1/en
Priority to EP16203075.3A priority patent/EP3190811B1/en
Priority to US15/360,563 priority patent/US10034074B2/en
Priority to US15/359,990 priority patent/US9918155B2/en
Priority to EP16200160.6A priority patent/EP3188499B1/en
Priority to DE202016007681.8U priority patent/DE202016007681U1/en
Priority to CN201720007833.XU priority patent/CN206490804U/en
Priority to CN201710003844.5A priority patent/CN106941638B/en
Priority to CN201720007990.0U priority patent/CN206490805U/en
Priority to CN201710066563.4A priority patent/CN106941639B/en
Publication of KR2017008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탄성부를 포함하며 C자 형태로 휘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된 메탈 케이스;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기판;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메탈 케이스를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외측에 노출된 메탈 케이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A body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and bent in a C-shape; A metal cas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 ear bud holder provided on the body;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including an acoustic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A main boar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 bu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An acoustic cable connecting the earbud to the main board; An antenna pattern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n antenna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antenna pattern and the metal case through the main body,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using a metal case exposed to the outside.

Figure R1020160019997
Figure R1020160019997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0001] PORTABLE SOUND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vi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A sound device refers to a sound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the sou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terminal. Conventionally, a wired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terminal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However, in view of mobility and ease of use, the deman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portable acoustic device is increasing.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Portable audio equipment having a design considering portability such as a headphone type in which a user puts his / her head into a band shape so as to be portable to the user's body, an ear-type type and an ear-type type are being developed.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외측에 노출되는 메탈 케이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개선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improved in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using a metal case exposed to the outside .

탄성부를 포함하며 C자 형태로 휘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된 메탈 케이스;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기판;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메탈 케이스를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A body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and bent in a C-shape; A metal cas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 ear bud holder provided on the body;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including an acoustic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A main boar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 bu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An acoustic cable connecting the earbud to the main board; An antenna pattern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antenna pattern and the metal case through the main body.

상기 메탈케이스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목을 향하는 내측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방향 또는/그리고 본체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etal case may be disposed in an outward direction, which is an inverse direction of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neck, and / or an end of the body when the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상기 본체 내측에 상기 메인기판보다 상기 본체의 단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외측 둘레에 감기는 회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회전모듈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And a rotation modul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main body and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cable, wherein the antenna pattern overlaps with the rotation module.

상기 본체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밴드는 철사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양 단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연결부의 일부를 감싸며 변형가능한 제1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includes an elastic b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a pair of housing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wherein the elastic band comprises a wire shape memory alloy;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that engage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first cover portion that covers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is deformable.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상기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신호선의 일부를 감싸는 제2 피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air of housings; And a second cover part surrounding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part of the signal line.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양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휘어져 상기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are bent in a hook shape and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 상기 제1 케이스에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upper case covering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screws fastened to the first case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a lower cas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및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air of housings; An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홀과 분리하여 상기 신호선이 수용되는 신호선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line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signal lin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ole.

상기 신호선 수용부는 상기 신호선의 두께보다 넓은 제1 부분과 상기 신호선의 두께에 상응하는 제2 부분이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Th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may alternately have a first portion wider than the signal line and a seco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ignal line.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nd a first microphone and a second microphon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wherei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Wherei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서 수집한 음량 크기가 기준보다 크면 상기 제1 마이크에서만 소리를 입력받고,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서 모두 소리를 입력 받을 수 있다. If the volume magnitude collect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sound is input only to the first microphone. If the volum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both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receive sound.

상기 이어버드는 내부에 상기 음향출력 모듈이 실장되고 곡면을 갖는 이어버드 하우징;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음향홀; 및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타측에 돌출되어 상기 음향케이블이 결합하는 케이블 홀더 포함하며, 상기 이어버드 홀더는 상기 이어버드의 하우징 형상에 상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갖는 결착부; 및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arbud includes an earbud housing having a curved surface on which the acoustic output module is mounted; An acoustic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ear bud housing; And a cable holder protru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earbud housing to engage with the acoustic cable, wherein the earbud holder comprises: a binder having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housing of the earbud; And a cable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acoustic cable passes.

상기 결착부는,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타측이 맞닿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목을 향하는 내측방향에서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부분;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전면을 향하는 전면방향에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과 맞닿아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or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earbud housing abuts; A second portion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neck when the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in the first portion;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in the first portion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front when the main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상기 케이블 홀은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cable hole may be formed at an edge where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mee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ffects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외측에 노출된 메탈 케이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metal cas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이어버드가 회전모듈에 의해 이어버드 홀더에 수납 및 인출 시에 주변 부품에 영향을 최소화 하고, 음향케이블이 엉키지 않고 회전모듈에 감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Further, i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earbud minimizes the influence on surrounding components when housed and drawn into the earbud holder by the rotary module, and the acoustic cable can be wound around the rotary module without tangling.

사용자가 손쉽게 이어버드 홀더에 이어버드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어버드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earbud by having the structure that the earbud can be housed in the earbud holder easil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와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신호선과 탄성밴드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케이스와 안테나 모듈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듀얼 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듀얼 마이크의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듀얼 마이크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버드와 이어버드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band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elastic band and the housing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signal line and an elastic band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metal case and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microphone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dual microphone of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dual microphone of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ar bud and an ear bud holder of a portable acous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audio device 300 includes a controller 38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an audio output unit 340, a sensing unit 375, a microphone 360, a user input unit 370, and a power supply unit 390.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0)가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340 is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in accordance with a sound signa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is an ear bud 340 that transmits sound by being inserted into a user's ear.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360 processes the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The microphone 36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0)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75 recognizes the state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itself and its surroundings. The sensing unit 375 sense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the touch sensor that senses the touch input, and the inclination and position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n ear bud 340, an ear bud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n ear bud 340 is positioned in the ear bud holder 325, and the like.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3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373), 전원 버튼(371) 및 음향케이블(340)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375)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70 is an input unit for the user to control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nd includes a call button 372, a button 373 for controlling the volume, a power button 371, and an acoustic cable 340, And a storage button 375 for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320.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372),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373)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여명령을 확대할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user input units 370 may include only a call button 372 and a pair of volume control buttons 373, and may further include a play / stop button and a music order change button. Since the size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300 is limited and the user input unit 370 often inputs without looking directly at the user, if the number of buttons is larg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buttons.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and the number of times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allowable input comman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uttons.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Since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300 maintains the wearing state of the user, the risk of loss is small, but a normal terminal may be lost. When the two user input units 370 are simultaneously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You can find the lost terminal by ringing an alarm.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Also, by activating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of the terminal connected via Bluetooth, the voice collected through the microphone 360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can be stored in the terminal.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In the related art, only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call or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playback of the sound media can be controlled by the portable sound device. However, the portable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panded control range.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3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elastic band 310 and the housing 320 and forms a C-shaped curve as shown in FIG.

탄성밴드(310)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목의 배면에 위치하는 탄성밴드는 내측면이 목의 배면에 되고 외측면이 배면을 향한다. 탄성밴드와 하우징이 이어지는 부분은 꼬여져 본체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하우징은 외측면이 전면을 향하고 내측면이 사용자의 쇄골부분에 접한다. The elastic band 310 has a twisted tape shape having a face and a thickness, and the elastic band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neck is on the back side of the neck and the outer side faces the back side. The portion of the elastic band and the portion of the housing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twisted so that the housing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faces the front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touches the collarbone portion of the user.

탄성밴드(310)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하우징(320)은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회전모듈(350)와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The elastic band 310 has elasticity and is de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force is applied,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housing 32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310 and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shaped curve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main board 38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and a battery 391 rotation module 350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outside.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에 센서(375)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단부를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The C-shaped portable acoustic apparatus 300 can be worn on the user's neck as shown in FIG. A sensor 375 may be provided on the elastic band 310 to detect whether the user wears the sensor. For example, a displacement sensor that senses a change in curvature may be provided to detect that the end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300 is worn by a wearer. In this case, since the curvature of the elastic band 310 changes gently,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use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nd the power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is turned on or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terminal.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urvature after the change of the curvature of the elastic band 310 in the displacement sensor can be consider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it or whether it is worn on the mobile phone. When the curvature of the elastic band 310 is largely changed to the first size and then the curvature is fixed to a curvature of a second size that is gentler than that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it is worn on.

상기 변위센서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displacement sensor, a sensor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light sensor, or a heart sensor is provided on a wear surface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worn the wearer's body, so that the temperature is in a person's body temperature range or brightness is darkened. The power of the portable audio-visual device 300 may be turned on,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may be activated to synchronize with the external terminal.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378)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378)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Or a switch 378 that is pressed in a physical manner. When the switch 378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by pressing the protruded switch when the user wears it, the power of the portable audio equipment 300 is turned on , And can synchronize with an external terminal.

상기 센서(377)와 스위치(378)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The sensor 377 and the switch 378 may have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sensor 377 and the switch 378 may combine a plurality of values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377 is worn or no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탄성밴드(3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마이크(360) 및 회전모듈(350) 등이 실장된다. The housing 32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310 includes an upper case 321 and a lower case 324 and a main board 381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ase 321 and the lower case 324,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a battery 391, a microphone 360, and a rotation module 350 are mounted.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의 소재는 결합 브라켓(315)과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밴드커버(316)와는 차이가 있다. The housing 32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polymer material, and for example, a plastic product having strength such as polystyrene can be used. It may partially include a release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or leather. The material of the housing 320 can be the same material as the binding bracket 315, and is different from the band cover 316.

밴드커버(316)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은 탄성이 있어 쉽게 변형되고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며,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used for the band cover 316 is resilient and easily deforme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frictional coefficient of the surface is high.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The housing 320 may be formed of a rigid polystyrene (PS) material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and simultaneously coat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with polyurethan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the polyurethane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the integrated appearance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can be formed, and both the elastic band 310 and the housing 3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shake and it is comfortable.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Since the portable audio device 300 worn on the body is easily exposed to moisture such as sweat, the durability can be increased by adding a waterproof fun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rib that covers a gap between the upper case 321 and the lower case 324 or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waterproof member. The upper case 321 and the lower case 324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f a separate waterproof member is not provided.

본 발명의 하우징(320)의 내부에 실장되는 메인기판(381)은 무선통신부(385), 마이크(3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391),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출력부(3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3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3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일측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310)에 실장된 신호선(312)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385)가 일측의 하우징(3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3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3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main board 381 mounted in the housing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391, a user input unit 370, an audio output unit 34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a microphone 36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housing 32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to the housings 320 on both sides or may be provided with the components provided only on one side thereof through the signal line 312 mounted on the elastic band 310.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is provided in the housing 320 of one s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can output the sound signals through the earbuds 340 on both sides using the received acoustic signal.

무선통신부(385)는 메인기판(3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사용자 입력부(370)나 마이크(36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381 o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 from an external terminal. A control signal and an acoustic signal are received from an external terminal by synchroniz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us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n external terminal and Bluetooth or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370 or a microphone 360 of the portable acoustic apparatus 3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and sound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371),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372),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373)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320 may include a power button 371 for turning the power on / off, a button 372 for playing or talking, a direction key 373 for adjusting the sound, etc. Or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o reproduce the music thereafter). The button may be a dome key that is physically pressed, or may be a touch key that senses a change in capacitance.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3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0)는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0)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The position of the touch key is not limited, and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can be variously used. When the touch key is implemen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the position of the touch key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320 and the function of the touch key can be displayed using the LED. The earbud 340 is inserted into a user's ear to transmit sound and the earbud 3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81 through an acoustic cable 345. The main board 381 controls the ear bud 340 to control the sound output according to the acoustic signal.

신호선 수용부(3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의 분해사시도로서,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 피복부(312, 313) 및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The elastic band 310 includes the shape memory alloy,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and the elastic band 310. The shape memory alloy,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315.

형상기억합금(311)은 변형되더라도 특정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힘을 가해 본체를 벌리는 경우 탄성밴드(310)가 변형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shape memory alloy 311 has a property of restoring to a specific shape even if it is deformed, the shape memory alloy 311 has a characteristic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hape again when the elastic band 310 is deformed when the user spreads the force by applying force. .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을 감싸는 피복부(312, 313)를 더 포함하며, 피복부(312, 313)는 형상이 가변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다. The elastic band 310 further includes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surrounding the shape memory alloy 311 and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may be formed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which is variable in shape .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can be produced by dissolving in heat, and when hardened, has oil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elasticity like rubber.

상기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위치하는 하우징(32)과 결합하기 위해 체결 구조를 갖는 연결부(31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315)는 하우징(32)과 중첩되도록 피복부(312, 313)에서 좌우로 연장된 형태를 띠며 부분적으로 피복부(312, 313)가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즉, 형상기억합금(311)과 연결부(315)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피복부(312, 313)를 형성한다. And a connection portion 315 having a fastening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housing 3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310. [ The connecting portion 315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so as to overlap with the housing 32 and partially covers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That is, the covering portions 312 and 313 are formed in the shape memory alloy 3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15 by a dual injection method.

형상기억합금(311)의 위치를 연결부(315)에 정확히 배치하고 양측의 하우징(32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382)을 고정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과 신호선(382)을 커버하는 제2 피복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복부(312)의 양 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연결부(315)와 결합한다. 그 이후 연결부(315)와 제2 피복부(312) 및 형상기억합금(311)을 커버하는 제1 피복부(313)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착용시 쉽게 변형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밴드(310)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hape memory alloy 311 and the signal line 382 are covered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311 to the connecting portion 315 and to fix the signal line 38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f the housing 320 on both sides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ing portion 312. And both ends of the second covering portion 312 are joined to the pair of connection portions 315. A first covering portion 313 covering the connection portion 315, the second covering portion 312 and the shape memory alloy 311 is formed by a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so that an elastic band Lt; RTI ID = 0.0 > 310 < / RTI >

제2 피복부(312)의 양단에 형상기억합금(311)이 노출되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의 양 단부를 갈고리 형상으로 꺾어서 연결부(31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5)는 복수개의 홀이 있어, 하우징(320)과 체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shape memory alloy 311 is expos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vering portion 312 and the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311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15 by bending the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311 into a hook shape. The connection portion 315 has a plurality of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housing 320.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elastic band 310 and the housing 320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결부(315)의 일면과 타면을 감싸는 형태의 한 쌍의 하우징(320)을 이용한다. 상부 케이스(321)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탄성밴드(310)의 연결부(315)와 결합하는 부분부터 본체의 양 단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고, 하부 케이스(322, 3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5)를 감싸는 제1 하부 케이스(322)와 부품이 실장되는 제2 하부 케이스(324)로 구성될 수 있다. A pair of housings 320 that surrou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15 are used. Since the upper case 3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 single member extending from the portion of the elastic band 310 that engages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15 to both ends of the body is used, and the lower case 322, A first lower case 322 surrounding the connection part 315 and a second lower case 324 on which the components are mounted.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 중 하나와 연결부(315)는 상기 연결부(315)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316)를 통해 결합하고, 스크류(316)의 헤드 부분이 노출된 부분은 반대편 하우징(320)이 결합하여 커버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upper case 321 or the lower case 322 or 324 and the connecting portion 315 are coupled through a screw hole 316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15 and fastened to the upper case or the lower case, The expose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screw (316) can be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posite housing (320) is coupled and covered.

종래에는 스크류(316) 한 개 정도를 이용해서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체결력이 약해 탄성밴드(310)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했으나, 본 발명은 연결부(315)를 충분히 연장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In the related art, when the elastic band 310 and the housing 320 are weakly fastened by using one screw 316 and the elastic band 310 is repeatedly applied with a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astic band 310 and the housing 320 are damaged. However, The fastening force can be increased by sufficiently extending the fastening portion 31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신호선(382)과 탄성밴드(310)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밴드(310)에 결합된 신호선(382)의 양단은 상기 연결부(315)를 통해 각 하우징(320)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홀에 중첩되어 배치되면 신호선(382)이 스크류(316)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바, 별도의 신호선 수용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signal line 382 and the elastic band 310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signal line 382 coupled to the elastic band 31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housings 32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15. When the signal line 382 is overlapped with the hole, the signal line 382 is damaged by the screw 316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38. [

신호선 수용부(319)는 신호선(382)보다 넓은 제1 부분(319a)과 신호선(382)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2 부분(319b)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신호선 수용부(319)에 신호선(382)을 빠지지 않고 쉽게 끼울 수 있다. Th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319 is provided with a first portion 319a wider than the signal line 382 and a second portion 319b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ignal line 382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319 The signal line 382 can be easily inserted without being pulled out.

연결부(315)의 강성을 위해 신호선 수용부(319)를 일측에만 배치하지 않고, 일부는 연결부(315)의 일면 방향에 위치하고 일부는 연결부(315)의 타면 방향에 위치하며 신호선 홀(318)을 통해 일면과 타면의 신호선 수용부(319)가 연결될 수 있다. The signal line accommodating portion 319 is not disposed at only one side for the rigid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315 but a part of the signal line accommodating portion 319 is located in the one surfac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15 and a portion thereof is located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15, Th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319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케이스(323)와 안테나 모듈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하우징(3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메탈 케이스(323)를 포함한다. 메탈재질을 휴대용 음향기기(300) 외관에 이용하는 경우 디자인적으로 견고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메탈 재질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metal case 323 and an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al case 323 made of a metal material. When the metal material is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al material in terms of design because it gives a strong feeling in design.

다만, 메탈재질은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휴대성을 위해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 하는 블루투스나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메탈 케이스(323)는 무선통신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However, the metal material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that emits the signal. Since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us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NFC for wirelessly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other terminals for portability, the metal case 323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통신의 성능저하를 막기 위해 본 발명의 메탈 케이스(323)와 무선통신부(385)로서 안테나 패턴(386)이 연결되어 메탈 케이스(323) 자체를 통해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안테나 패턴(38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단부 전면 방향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몸이나 머리카락에 의해 신호가 방해 받는 것을 최소화 한다. 하우징(320)의 단부에는 음향 케이블이 권취되는 회전모듈이 실장되기 때문에 회전모듈과 상기 안테나 패턴(386)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386)은 메인기판(385)과 연결되어 메인기판(385)의 제어에 따라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The antenna pattern 386 may be connected to the metal case 32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85 to radiate a signal through the metal case 323 itself. The antenna pattern 38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end fro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7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signals by the user's body or hair. Since the rotation module on which the acoustic cable is wound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housing 320, the rotation module and the antenna pattern 386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antenna pattern 386 is connected to the main substrate 385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substrate 385.

상기 안테나 패턴(386)과 메탈 케이스(323)를 연결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321)에 안테나 홀(321a)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안테나 접속부(383)로 메탈 케이스(323)와 안테나 패턴(386)을 연결할 수 있다. 메탈 케이스(323)가 함께 신호를 송출하여 메탈에 의한 성능저하를 피하고 오히려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n antenna hole 321a is formed in the upper case 321 to connect the antenna pattern 386 and the metal case 323 and the metal case 32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connection part 383 including the conductive material through the hole, And the antenna pattern 386 can be connected. The metal case 323 sends signals together to avoid performance deterioration caused by the metal, and the performance is improved.

특히 메탈 케이스(323)를 사용자의 목이 향하는 방향이 아닌 바깥쪽과 본체의 단부에 배치하여 방사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etal case 32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neck of the wearer's neck and at the end of the body, thereby improving the radiation performan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듀얼 마이크(3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듀얼 마이크(360)의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microphone 360 of a portable audio play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dual microphone 360 of FIG.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마이크(361, 362)를 이용한다. 상기 마이크(361, 362)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a만큼 이격되어 있다. 통상의 이동 단말기와 달리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를 움직이면 마이크(361, 362)와 입의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에 일측 하우징(320)에 위치하는 마이크(361, 362)와의 거리가 변화한다.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microphones 361 and 362 as shown in FIG. The microphones 361 and 362 are spaced apart by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361 and the mouth 362 is changed when the head is moved while wearing the portable acoustical instrume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 microphones 361 and 362 ) Is changed.

따라서 사용자가 정면을 향하거나 도 9의 (a)와 같이 마이크(361, 362)가 위치하는 일측을 향해 머리를 돌리는 경우 제1 마이크(361)만으로 충분한 소리를 확보할 수 있으나, 도 9의 (b)와 같이 타측을 향해 머리를 돌리면 제1 마이크(361)와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제2 마이크(362)를 이용하여 소리를 수집하여 통화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9 (a), when the user turns the head toward one side where the microphones 361 and 362 are located, the first microphone 361 alone can secure sufficient sound.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icrophone 361 and the second microphone 361 is increased by turning the head toward the other side as shown in FIG.

마이크(361, 362)는 사용자의 입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하우징(320)의 단부보다 조금 위쪽에 위치하는 제1 마이크(361)를 메인 마이크로 이용하고, 하우징(320) 단부, 즉 이어버드 홀더(325)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마이크(362)를 보조 마이크로 이용할 수 있다. The microphones 361 and 362 use the first microphone 361 located slightly above the end of the housing 320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mouth of the user to the main microphones 361 and 362, A second microphone 362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icrophone 325 may be used.

도 10은 도 8의 듀얼 마이크(361, 362)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감도를 나타낸다. 감도가 너무 높으면 노이즈까지 많아져서 음영이 없는 부분에 감도 그래프가 위치해야 품질 높은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2개의 마이크(361, 362)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좌측을 향하든 우측을 향하든 도 10과 같은 성능을 나타낸다. 10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dual microphones 361 and 362 of FIG. 8, wherein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the frequency and the vertical axis indicates the sensitivity. If the sensitivity is too high, the noise will increase and the sensitivity graph should be positioned on the part where there is no shadow, so that the high quality voice can be collected. In the case of selectively using the two microphones 361 and 362, the performance is the same as that of FIG. 10 even if the face of the user is facing leftward or rightward.

하우징(32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마이크는 메인기판(385)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362)와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386)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386)은 제2 마이크뿐만 아니라 하우징(320)의 단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입력부(327)와도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microphon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housing 32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ard 385. The flexible board 386 connects the second microphone 362 to the main board, ) Can be used. The flexible substrate 386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327 located at the end of the housing 320 as well as the second microphon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이어버드(340)와 이어버드 홀더(325)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ar bud 340 and an ear bud holder 325 of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하우징(320)은 양측에 각각 상기 이어버드(340)가 안착되는 이어버드 홀더(325)를 구비한다. 이어버드 홀더(325)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 시에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케이스(324)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The housing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arbud holders 325 on both sides of which the earbuds 340 are seated. The earbud holder 325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case 324 so that the us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rtable acoustic device 300 is worn.

이어버드 홀더(325)는 이어버드(340)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며, 이어버드 홀더(325)에 형성된 케이블 홀(325a)을 통해 이어버드(340)와 메인기판(381)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345)이 통과한다. The earbud holder 325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earbud 340 and is connected to the earbud 340 through the cable hole 325a formed in the earbud holder 325, And the acoustic cable 345 connecting the audio cable 381.

하우징(320)에 실장된 회전모듈(350)의 탄성에 의해 음향케이블(345)이 회전모듈(350)의 둘레에 감기면서 이어버드(340)는 자동으로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한다. The acoustic cable 345 is wound around the rotation module 350 by the elasticity of the rotation module 350 mounted on the housing 320 so that the earbud 340 is automatically engaged with the earbud holder 325.

종래의 이어버드(340)는 이어버드 홀더(325)에 정확히 결합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결합하거나 반대로 결합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사용자가 다시 고쳐서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어버드(340)가 이어버드 홀더(325)의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이어버드(340)와 이어버드 홀더(325)의 디자인을 개선하였다. The conventional earbuds 340 have a problem that they are not correctly coupled to the earbud holder 325, but are often diagonally or inversely coupled so that the user has to fix the earbuds aga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esign of the earbud 340 and the earbud holder 325 so that the earbud 340 can engage the earbud holder 325 in place.

이어버드(3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이어버드 홀더(325)를 이용하며 이어버드 홀더(325)에 형성된 음향케이블(345)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325a)은 일측 모서리에 구비한다. 이어버드 홀더(325)는 이어버드(340)의 음향홀이 형성된 일측의 반대측인 이어버드(340)의 타측과 접하는 제1 부분(3251), 상기 제1 부분(3251)에서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목을 향하는 내측방향에서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부분(3252)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전면을 향하는 전면방향에서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3251)에서 상기 제2 부분(3252)과 맞닿아 연장된 제3 부분(3253)을 포함한다. The earbud holder 32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arbud 340 is used and the cable hole 325a through which the acoustic cable 345 formed in the earbud holder 325 passes is provided at one corner. The earbud holder 325 includes a first portion 3251 that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earbud 340 that is opposite the one side of the earbud 340 where the acoustic hole is formed, A second portion 3252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an inner direction toward the neck when worn on the neck and a second portion 3252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front when the main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And a third portion 3253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3252 in the first portion 3251. [

이어버드 홀더(325)가 형성하는 공간이 육면체의 공간이라고 보면 3개의 면이 막히고 3개의 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이 맞닿는 모서리에 케이블 홀(325a)이 형성된다. 케이블 홀(325a)을 향해 음향 케이블(345)를 따라 이어버드(340)가 이동하여 이어버드 홀더(325)에 삽입되기 때문에 케이블 홀(325a)이 모서리에 위치하면 제1 부분 내지 제3 부분이 이어버드(34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정확한 위치의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버드(340)가 삽입된다. When the space formed by the earbud holder 325 is a hexahedral space, three faces are closed and three faces are open. A cable hole 325a is formed at an edge where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Since the ear bud 340 is moved along the acoustic cable 345 toward the cable hole 325a and inserted into the ear bud holder 325, if the cable hole 325a is positioned at the corner, The bird 340 is inserted into the earbud holder 325 at an accurate position to hold the earbud 340.

이어버드(340) 와 음향케이블(345)이 연결된 케이블 홀더(341)는 이어버드(340)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케이블 홀더(341)는 러버와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음향케이블(345)이 꺾여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 홀더(341)는 이어버드 홀더(325)의 케이블 홀(325a)에 삽입된다.The cable holder 341 to which the earbud 340 and the acoustic cable 345 are connected is protruded from the earbud 340. The cable holder 341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ch as a rubber to prevent the acoustic cable 345 from being bent and broken. The cable holder 341 is inserted into the cable hole 325a of the earbud holder 325. [

케이블 홀(335a)은 이어버드 홀더(325)의 제1 부분(3251)과 제2 부분(3252)에 대해 45도 정도 각도를 유지하여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버드(340)가 뒤틀리지 않고 안착되도록 가이드한다. The cable hole 335a is maintain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3251 and the second portion 3252 of the earbud holder 325 so that the bird 340 is wound on the earbud holder 325, Guide it so that it is seated.

또한 케이블 홀더(341)와 이어버드(340)의 외측면이 이루는 각도 는 상기 케이블 홀(335a)과 이어버드 홀더(325)가 이루는 각도에 상응하게 형성하여 상기 이어버드(340)가 어긋나지 않고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able holder 3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arbud 34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ngle formed by the cable hole 335a and the earbud holder 325 so that the earbud 340 does not deviate / RTI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이어버드(340)가 회전모듈에 의해 이어버드 홀더(325)에 수납 및 인출 시에 주변 부품에 영향을 최소화 하고, 이어버드 홀더(325)이 엉키지 않고 회전모듈에 감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acoustical instrumen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fluence of peripheral parts on the ear bud 340 when the ear bud 340 is housed in the ear bud holder 325 by the rotation module 325, ) Can be wound around the rotating module without tangling.

사용자가 손쉽게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버드(34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어버드(340)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bird 340 in the earbud holder 325 and the earbud 340 can be easily carri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탄성밴드
311: 형상기억합금 312: 제2 피복부
313: 제1 피복부 315: 연결부
317: 체결홀 318: 신호선홀
319: 신호선 수용부 320: 하우징
321: 상부 케이스 322: 제1 하부 케이스
323: 메탈 케이스 324: 제2 하부 케이스
325: 이어버드 홀더 325a: 케이블 홀
340: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50: 회전모듈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86: 플렉서블 기판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300: portable sound device 310: elastic band
311: Shape memory alloy 312: Second coating layer
313: first covering portion 315: connection portion
317: fastening hole 318: signal line hole
319: Signal line receiving part 320: Housing
321: upper case 322: first lower case
323: metal case 324: second lower case
325: Ear bud holder 325a: Cable hole
340: Earbud 345: Acoustic cable
350: rotation module 360: microphone
370: user input unit 375: sensing unit
380: control unit 381: main substrate
382: Signal line 385:
386: flexible substrate 390: power supply part
391: Battery

Claims (14)

탄성부를 포함하며 C자 형태로 휘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된 메탈 케이스;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기판;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상기 메인기판보다 상기 본체의 단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외측 둘레에 감기는 회전모듈;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회전모듈의 상측에 상기 회전모듈과 중첩하여 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되는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메탈 케이스를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목을 향하는 내측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방향 그리고 본체의 단부에 배치되는 휴대용 음향기기.
A body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and bent in a C-shape;
A metal cas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 ear bud holder provided on the body;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including an acoustic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A main boar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 bu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An acoustic cable connecting the earbud to the main board;
A rotation modul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main body and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ard;
An antenna pattern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the antenna pattern being superposed on the rotation module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module and being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And an antenn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ntenna pattern and the metal case through the body,
Wherein the metal case is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outer direction opposite to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neck when the main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밴드는
철사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양 단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연결부;
상기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연결부의 일부를 감싸며 변형가능한 제1 피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 elastic b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a pair of housing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The elastic band
Wire shape memory alloy;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that engage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first covering portion that is deformable to surround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상기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신호선의 일부를 감싸는 제2 피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air of housings;
Further comprising: a shape-memory alloy; and a second covering part surrounding the shape memory alloy and a part of the signal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양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휘어져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ape memory alloy
And both ends thereof are bent in a hook shape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case covering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screws passing through the upper case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And
And a lower case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홀과 분리하여 상기 신호선이 수용되는 신호선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air of housings; An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signal lin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수용부는
상기 신호선의 두께보다 넓은 제1 부분과 상기 신호선의 두께에 상응하는 제2 부분이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ignal line receiving portion
Wherein a first portion that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gnal line and a second portion that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signal line are alternate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microphone and a second microphone dispos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탄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결합된 메탈 케이스;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기판;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회전모듈과 중첩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되는 안테나 패턴;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메탈 케이스를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부;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서 수집한 음량 크기가 기준보다 크면 상기 제1 마이크에서만 소리를 입력받고,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서 모두 소리를 입력 받는 제어부를 포함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A body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A metal cas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 ear bud holder provided on the body;
An ear bud detachably attached to the ear bud holder and including an acoustic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A main boar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ar bu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module;
An acoustic cable connecting the earbud to the main board;
An antenna pattern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being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by superimposing with the rotation module;
An antenna connec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antenna pattern to the metal case;
And a first microphone and a second microphone dispos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receiving sound from only the first microphone if the volume magnitude collec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receiving sound from both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if the volum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ume Portable audio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는
내부에 상기 음향출력 모듈이 실장되고 곡면을 갖는 이어버드 하우징;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음향홀; 및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타측에 돌출되어 상기 음향케이블이 결합하는 케이블 홀더 포함하며,
상기 이어버드 홀더는
상기 이어버드의 하우징 형상에 상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갖는 결착부; 및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 bud
An ear bud housing having the acoustic output module mounted therein and having a curved surface;
An acoustic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ear bud housing; And
A cable holder protru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earbud housing to receive the acoustic cable,
The earbud holder
A binding portion having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of the earbud; And
And a cable hole formed in the ear bud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acoustic cable pas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타측이 맞닿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목을 향하는 내측방향에서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부분;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시 전면을 향하는 전면방향에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과 맞닿아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ind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earbud housing;
A second portion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neck when the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in the first portion; And
And a third portion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rtion in the first portion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front when the main body is worn on the user's nec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은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able hole is formed at a corner where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meet.
KR1020160019997A 2016-01-04 2016-02-19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759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3075.3A EP3190811B1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equipment
US15/360,563 US10034074B2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equipment
US15/359,990 US9918155B2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equipment
EP16200160.6A EP3188499B1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equipment
DE202016007679.6U DE202016007679U1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device
DE202016007681.8U DE202016007681U1 (en) 2016-01-04 2016-11-23 Portable sound device
CN201720007833.XU CN206490804U (en) 2016-01-04 2017-01-04 Portable sound devices
CN201710003844.5A CN106941638B (en) 2016-01-04 2017-01-04 Portable sound devices
CN201720007990.0U CN206490805U (en) 2016-01-04 2017-01-04 Portable sound devices
CN201710066563.4A CN106941639B (en) 2016-01-04 2017-01-04 Portable sound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4785P 2016-01-05 2016-01-05
US62/274,785 2016-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1A KR20170082101A (en) 2017-07-13
KR101759947B1 true KR101759947B1 (en) 2017-07-31

Family

ID=59352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97A KR101759947B1 (en) 2016-01-04 2016-02-19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20160098177A KR101832776B1 (en) 2016-01-04 2016-08-01 Portable sound equipmen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177A KR101832776B1 (en) 2016-01-04 2016-08-01 Portable sound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599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36B1 (en) * 2018-01-25 2019-06-07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Neck band-type sound output apparatus
WO2023191294A1 (en)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56Y1 (en) * 2005-11-29 2006-02-13 주식회사 뉴투원 Ear-holder band structure of head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56Y1 (en) * 2005-11-29 2006-02-13 주식회사 뉴투원 Ear-holder band structure of head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01A (en) 2017-07-13
KR20170082114A (en) 2017-07-13
KR101832776B1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7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805535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106941638B (en) Portable sound devices
KR101687623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763600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KR20170136293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60029524A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it
US10448160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943329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759947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758285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2018002423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6843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70116376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78A (en) Rotation module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4979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22138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790527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190014980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9546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1684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90069755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