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18B1 -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18B1
KR101759118B1 KR1020170029766A KR20170029766A KR101759118B1 KR 101759118 B1 KR101759118 B1 KR 101759118B1 KR 1020170029766 A KR1020170029766 A KR 1020170029766A KR 20170029766 A KR20170029766 A KR 20170029766A KR 101759118 B1 KR101759118 B1 KR 10175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intering
coping
chromium alloy
met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두빈
Original Assignee
송두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두빈 filed Critical 송두빈
Priority to KR102017002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K6/04

Abstract

본 발명은 PFM(porcelain fused metal) 타입의 금속 도재관(크라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치과용 캐드캠(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한 후 소결하여 금속 코핑(coping)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연질금속블럭의 수축 및 변형으로 인한 부적합을 방지할 수 있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celain fused metal (PFM) type metal ceramics tube (crow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celain fused met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pipe using a soft metal block that can prevent nonconformity due to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a soft metal block during a process of forming a metal coping by sintering after cutting.

Description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orcelain tube using a soft metal block,

본 발명은 PFM(porcelain fused metal) 타입의 금속 도재관(크라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치과용 캐드캠(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한 후 소결하여 금속 코핑(coping)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연질금속블럭의 수축 및 변형으로 인한 부적합을 방지할 수 있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celain fused metal (PFM) type metal ceramics tube (crow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rcelain fused met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pipe using a soft metal block that can prevent nonconformity due to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a soft metal block during a process of forming a metal coping by sintering after cutting.

일반적으로, 심한 충치나 외상으로 인해 치아의 손상이 발생된 경우 치과 치료로는 손상 치아에 보철물로서 도재관(크라운)을 씌우거나, 손상 치아를 발치한 후 인공치아(임플란트)를 심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중 도재관은 심미성, 압축강도, 내마모성 등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전치부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취성이 약하고 인장과 충격에 약해 구치부에서의 사용에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장석계 도재의 하부에 금속을 강화한 금속 도재관이 도입되었다. Generally, when a tooth is damaged due to severe tooth decay or trauma, it is known that a dental treatment is performed by putting a crown (a crown) as a prosthesis in a damaged tooth, or extracting a damaged tooth and then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an implant) have. It has been widely used for anterior teeth because it has excellent merits such as esthetics, compressiv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However, it is weak in brittleness and weak in tensile and impact, and has problems in use at the posterior part.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metal-reinforced metal porcelain tube wa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Jangseok system.

금속 도재관은 통상적으로 치아의 본을 뜨는 단계, 왁스업(wax-up)으로 치아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 주입선을 다는 단계, 매몰 단계, 소환 단계, 주조 단계를 통해 금속 코핑을 완성한 후, 완성된 금속 코핑 위에 환자 개인의 형상에 맞는 포세린을 축성한 후 금속 도재관을 완성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주조에 의한 금속 도재관은 주조 결함으로 인한 영구 수복물의 기능 약화, 주조 수축으로 인한 작업시간 증가, 주조시 위험한 작업 환경 노출, 제조가 다소 복잡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The metal porcelain tube typically has a metal coping function through the step of floating the teeth of the teeth, form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tooth by wax-up, taking the lead, burial, summoning and casting steps , A porcelain porcelai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patient is formed on the completed metal coping, and then a metal porcelain tube is completed. However, such metal casting core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permanent restoration due to casting defects is weakened,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due to casting shrinkage, exposure to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 during casting, and manufacturing are somewhat complicat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치과용 캐드캠(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하여 연질금속, 예를 들면 코발트-크롬 합금 또는 니켈-크롬 합금의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하여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방식은 연질금속블록을 치과용 캐드캠으로 절삭 가공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연질금속블록을 절삭한 후 소결과정만 거치기 때문에 매몰 및 주조과정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정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oft metal block made of soft metal such as a cobalt-chromium alloy or a nickel-chromium alloy is used for a metal aided design (CAD / CAM) A method of forming the copings has been proposed. The method using such a soft metal block is a method of forming a metal coping by cutting a soft metal block with a dental CAD cam and then sintering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ince the soft metal block is subjected to sintering only after cutting, Can be minimized and the processing time can be shorten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에서는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한 후 소결하는 과정에서 절삭 가공된 금속 가공물의 수축 및 변형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소결 후 금속 가공물, 즉 금속 코핑을 지대치(석고 모형)에 적합할 때 부적합이 발생되어 금속 코핑을 다시 절삭하거나, 혹은 다시 금속 코핑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재료를 낭비하게 되어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다. Howev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porcelain tube using a soft metal block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a cut metal work frequently occur in a process of cutting and then softening a soft metal block using a dental CAD cam, Due to the incompatibility of the metalwork after the sintering, that is, when the metal coping is suitable for the abutment (plaster model), the metal copping must be cut again or the metal copping must be made again, which is not only complicated and waste unnecessary material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KR 10-2010-0136670 A, 2010. 12. 29.KR 10-2010-0136670 A, Dec. 29, 2010. KR 10-1344253 B1, 2013. 12. 17.KR 10-1344253 B1, Dec. 31, 2017. KR 10-1221026 B1, 2013. 01. 04.KR 10-1221026 B1, 2013. 01. 04. KR 10-1674074 B1, 2016. 11. 02.KR 10-1674074 B1, Nov. 02, 2016.

한국치위생과학회 J Dent Hyg Sci Vol. 15, No.5, 2015, pp.536-541, 김동연, 신천호, 정일도, 김지환, 김웅철, "치과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소결 금속 코핑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Korean Dental Hygienist Society J Dent Hyg Sci Vol.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cobalt - chrome sintered metal copings fabricated with dental CAD / CAM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Vol.15 No.5, 2015, pp.536-541 Kim Dong Hyeon, Shincheonho, Kim KB, Kim JH, Kim WC, Kim J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gaps associated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with new technologies. J Prosthet Dent 112: 1432-1436, 2014.Kim, JH, Kim, J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gaps associated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with new technologies. J Prosthet Dent 112: 1432-1436, 201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한 후 소결하여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금속 코핑을 디자인할 때 연질금속블록의 재료에 따라 금속 코핑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최적화하여 금속 코핑의 변연에 따른 부적합을 방지할 수 있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ft metal block, which is manufactured by cutting a soft metal block using a dental CAD ca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pipe using a soft metal block which can prevent nonconformity due to margins of metal coping by optimizing marginal and inner fit of metal copings according to the materi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치과용 CAD/CAM을 통해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코핑을 소결로에 투입시켜 1,250℃~1,400℃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단계; 소결이 완료된 금속 코핑을 지대치에 적합시킨 후 그 표면에 오펙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오펙을 경화시키는 소성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경화된 오펙의 상부에 도재를 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재를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STL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치과용 CAD를 이용하여 시멘트 공간은 0.012㎛~0.017㎛, 추가 시멘트 공간은 0.030㎛~0.040㎛가 되도록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단계; 및 디자인이 완료된 STL 파일을 치과용 CAM 장비에 적용하고, 상기 연질금속블록을 상기 치과용 CAM 장비에 장착한 후 상기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상기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CAD system, comprising: cutting a soft metal block through a dental CAD / CAM to form a metal coping; Sintering the metal coping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Applying the sintered metal coping to the abutment and then applying opac to the surface; Performing a baking step of curing the opaque; Forming a porcelain on top of the cured opacity; And firing the porcelain, wherein forming the metal capping comprises: scanning a patient's mouth to produce an STL file; Designing the metal coping using dental CAD so that the cement space is 0.012 mu m to 0.017 mu m and the additional cement space is 0.030 mu m to 0.040 mu m; And applying the designed STL file to the dental CAM equipment, attaching the soft metal block to the dental CAM equipment, and cutting the soft metal block to form the metal coping.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orcelain tube using the flexible metal block.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멘트 공간과 상기 지대치 간의 마진이 상기 지대치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2mm 내지 3mm로 이격되도록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designing the metal coping is to design the metal coping such that the margin between the cement space and the abutment is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abutment in the upper direction by 2 mm to 3 mm.

바람직하게, 상기 오펙을 경화시키는 소성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코핑을 낱개로 상기 소결로에 투입시켜 소결하는 경우 1,320℃의 소결 온도로 실시하고, 상기 금속 코핑을 10개 또는 20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상기 소결로에 투입시키는 경우 1,350℃이 소결 온도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sintering step for curing the opecum is carried out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320 ° C. when the metal copings are individually sintered by sintering the sintering furnace, When the sintering furnace is charged into the sintering furnace as a bundle,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1,350 ° C.

바람직하게, 상기 연질금속블록은 코발트-크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oft metal block is a cobalt-chromium alloy.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코핑은 니켈-크롬 합금과 코발트-크롬 합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니켈-크롬 합금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발트-크롬 합금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상기 니켈-크롬 합금을 덮도록 그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tal coping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nickel-chromium alloy and a cobalt-chromium alloy are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nickel-chromium alloy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cobalt-chromium alloy is capable of causing an allergic reaction And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surface of the nickel-chromium alloy so as to cover the nickel-chromium allo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한 후 소결하여 금속 코핑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금속 코핑을 디자인할 때 시멘트 공간(접착제 공간)은 0.012㎛~0.017㎛로 하고, 추가 시멘트 공간은 0.030㎛~0.040㎛가 되도록 디자인하고, 상기 금속 코핑을 1,250℃~1,400℃ 온도에서 소결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결 과정에서 금속 코핑의 축소를 보상하여 금속 코핑의 적합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tal coping i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soft metal block using the dental CAD cam and then sintering it, the cement space (adhesive space) The metal cement is sintered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and the metal cement is sintered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Can be compensated to optimize the suitability of the metal cop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2 내지 도 6는 도 1에 도시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공정을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공간과 추가 시멘트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lic ceramic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 to 6 are diagrams showing steps of each step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pipe shown in FIG. 1.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ement space and an additional cement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공정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는 밀링으로 절삭 가공된 연질금속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소결로에서 소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적합 및 오펙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재 축성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완성된 금속 도재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tube using a soft met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tube using the soft metal block shown i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oft metal block cut by milling,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intering in a sintering furnac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pleting and op- Fig. 5 is a view showing a porcelain forming process,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ompleted metal porcelain tu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환자의 구강을 스캔한 후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연질금속블록(1)을 절삭 가공하여 금속 가공물인 금속 코핑(2)을 형성한다(ST1). Referring to FIGS. 1 and 2, first, a patient's mouth is scanned and a soft metal block 1 is cut using a dental CAD cam to form a metal coping 2 (ST1).

금속 코핑(2)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metal coping 2 is as follows.

먼저, 연질금속블록(1)을 준비한다. 이때, 연질금속블록(1)은 코발트-크롬 합금 또는 니켈-크롬 합금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니켈-크롬 합금은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이 생물학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반응이 보고되고 있어 코발트-크롬 합금을 사용한다. First, the soft metal block 1 is prepared. At this time, the soft metal block 1 uses a cobalt-chromium alloy or a nickel-chromium alloy. Preferably, the nickel-chromium alloy is biologically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an allergic reaction, and thus a cobalt-chromium alloy is used.

이후, 환자의 구강을 스캐너로 스캔하여 STL 파일을 생성한 후, 치과용 CAD(디자인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제조할 금속 코핑을 디자인한다. 이때, 금속 코핑 디자인은 소결 후 금속 코핑의 변연을 고려하여 시멘트 공간(접착제 공간)은 0.012㎛~0.017㎛, 바람직하게는 0.015㎛로 디자인한다. 그리고, 추가 시멘트 공간은 0.030㎛~0.040㎛, 바람직하게는 0.035㎛로 디자인한다. 이를 통해 소결 후 금속 코핑을 지대치에 적합할 때 금속 코핑과 지대치 간의 최적화된 내면 적합도를 제공할 수 있다. Then, a patient's mouth is scanned with a scanner to generate an STL file, and a metal coping to be manufactured is designed using a dental CAD (design program). At this time, the metal coping design is designed to have a cement space (adhesive space) of 0.012 mu m to 0.017 mu m, preferably 0.015 mu m, considering the margins of the metal coping after sintering. The additional cement space is designed to be 0.030 mu m to 0.040 mu m, preferably 0.035 mu m. This can provide optimized internal fit between metal coping and abutment when the metal coping after sintering is suitable for the abut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공간과 추가 시멘트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로서, 지대치에 소결 전 금속 코핑이 적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ement space and an additional cement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tal coping before sintering is applied to an abut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공간(S1)은 지대치(4)의 측벽과 소결 전 금속 코핑(2)의 내측벽 사이의 간격으로서, 이러한 시멘트 공간(S1)은 소결 후 금속 코핑(2)의 축소를 고려하여 0.012㎛~0.017㎛, 바람직하게는 0.015㎛로 디자인한다.7, the cement space S1 is an interval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abutment 4 and the inner wall of the metal coping 2 before sintering, and this cement space S1 is formed by the metal coping 2 after sintering, 0.012 탆 to 0.017 탆, preferably 0.015 탆 in consideration of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그리고, 시멘트 공간(S1)에 충진된 시멘트 접착제가 금속 코팅(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멘트 공간(S1)과 지대치(4) 간의 마진(M), 즉 금속 코팅(2)과 지대치(4)가 직접 접면하여 시멘트 공간(S1)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는 지대치(4)의 하부(4a)로부터 상부방향으로 2mm 내지 3mm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멘트 접착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 타액에 의해 시멘트 접착제가 녹아 치아와 금속 코핑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그 틈새로 음식물이 끼어 치아를 썩게 만들기 때문이다. In order to prevent the cement adhesive filled in the cement space S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metal coating 2, the margin M between the cement space S1 and the abutment 4,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where the abutment 4 directly contacts and the cement space S1 is not present is located 2 mm to 3 mm from the lower portion 4a of the abutment 4 in the upper direc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cement adhesive leaks to the outside, the cement adhesive is melted by the saliva,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ooth and the metal coping, and food is caught by the gap, which rotates the tooth.

추가 시멘트 공간(S2)은 지대치(4)의 교합면(우각/좌각 포함)과 소결 전 금속 코핑(2) 사이의 간격으로서, 지대치(4)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치과 원장)에 따라 달라지는 지대치(4)의 불규칙한 교합면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시멘트 공간(S1)에 비해 크게 디자인하되, 0.030㎛~0.040㎛, 바람직하게는 0.035㎛로 디자인한다. The additional cement space S2 is an interval between the occlusal surface (including the right / left angle) of the abutment 4 and the metal coping 2 before sintering an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perator (dental directo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butment 4 This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irregular occlusal surface of the abutment 4 and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cement space S1, but is designed to be 0.030 mu m to 0.040 mu m, preferably 0.035 mu m.

한편, 금속 코핑의 디자인이 완료되면, 디자인이 완료된 STL 파일을 CAM 장비에 적용하고, 연질금속블록(1)을 CAM 장비에 장착한 후 절삭 가공하여 금속 코핑(4)을 형성한다. 이때, 연질금속블록(1)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CAM 장비의 드릴 반경은 0.3mm~0.5mm, 바람직하게는 0.4mm로 설정하고, 드릴 반경 오프셋은 0.7mm~0.9mm, 바람직하게는 0.8mm로 설정하여 연질금속블록(1)을 절삭 가공하여 금속 코핑(2)을 형성한다. When the design of the metal coping is completed, the STL file having been completed is applied to the CAM equipment, the soft metal block 1 is attached to the CAM equipment, and then the metal coping 4 is formed by cutting. At this time, the drill radius of the CAM equipment for cutting the soft metal block 1 is set to 0.3 mm to 0.5 mm, preferably 0.4 mm, and the drill radius offset is 0.7 mm to 0.9 mm, preferably 0.8 mm And the soft metal block 1 is cut to form a metal coping 2.

도 1 및 도 3과 같이, 절삭 가공되어 형성된 금속 코핑(2)을 소결로(3)에 투입시켜 소결한다(ST2). 금속 코핑(2)의 소결 공정은 1,250℃~1,4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320℃에서 실시한다. 이때, 소결 온도를 1,250℃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 코팅(2)의 수축률이 낮아 지대치(4) 간의 내면 적합도가 낮고, 1,400℃를 넘는 경우에는 X축과 Y축에 비해 Z축 방향으로 과도하게 축소되어 지대치(4)에 부적합되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a metal coping 2 formed by cutting is put into a sintering furnace 3 and sintered (ST2). The sintering process of the metal coping (2)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preferably 1,320 ° C. In this case,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1,250 DEG C, the shrinkage ratio of the metal coating 2 is low and the internal fit between the abutment teeth 4 is low.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1,400 DEG C, And was inadequate for abutment teeth (4).

코발트-크롬 합금과 같은 연질금속들은 소결 공정시 수축되는 과정에서 재료의 수축률에 따라 수축이 일어나는데, 구조물의 X축과 Y축 방향으로는 거의 균일하게 수축이 이루어지는 반면, Z축 방향으로는 X축과 Y축에 비해 과도하게 수축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소결 온도를 과도하게 높이는 경우 Z축 방향으로 과도하게 수축이 일어나 소결 후에 금속 코핑(2)이 지대치(4)에 부적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The soft metals such as cobalt-chromium alloy shrink in accordance with the shrinkage rate of the material in the process of sintering during shrinking. The shrinkage occurs almost uniformly in the X axis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of the structure while the X axis And the Y axis. Accordingly,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excessively increased, excessive shrinkage occurs in the Z-axis direction,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metal coping 2 is not suitable for the abutment 4 after sintering.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금속 코핑(2)의 소결 공정시 소결 온도를 1,250℃~1,4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320℃에서 실시하여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금속 코핑(2)과 지대치(4) 간의 내면 적합도를 향상시키면서 Z축 방향으로의 과도한 축소를 방지하여 소결 후 금속 코핑(2)이 지대치(4)에 안정적으로 적합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the metal coping 2 is sintered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preferably 1,320 ° C., so that the metal coping 2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tal coping 2 from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stably fitting the metal coping 2 to the abutment 4.

한편, 소결 공정시, 소결 온도와 계류시간(최종 온도에서 유지시간)은 소결로(3)에 투입되는 금속 코핑(2)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코핑(2)을 낱개로 소결로(3)에 투입시켜 소결하는 경우, 소결 온도는 1,320℃가 바람직하고, 이때, 계류시간은 1시간 정도 실시한다. 그리고, 금속 코핑(2)을 복수 개, 예를 들면 10개 또는 20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소결로(3)에 투입시키는 경우 소결 온도는 1,350℃가 바람직하고, 이때, 계류시간은 2시간에서 2시간 30분 동안 실시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intering process,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mooring time (the holding time at the final tempera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metal copings 2 injected into the sintering furnace 3. For example, when the metal copings 2 are individually sintered by sintering into the sintering furnace 3,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320 DEG C, and the mooring time is about one hour. When a plurality of metal copings 2, for example, ten or twenty, are charged into the sintering furnace 3,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350 ° C. At this time, 2 hours and 30 minutes.

금속 코핑(2)에 대한 소결 공정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4와 같이, 소결이 완료된 금속 코핑(2)을 지대치(4)에 적합시킨 후 그 표면에 오펙(5)을 도포한다(ST3).When the sintering process for the metal coping 2 is completed, the metal coping 2 after sintering is applied to the abutment 4 as shown in Figs. 1 and 4, and the opaque 5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tal copping 2 (ST3 ).

한편, 오펙 공정 전에 금속 코핑(2)과 도재(6) 간의 화학적 결합을 위해 금속 코핑(2)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기 위한 탈가스(degassing) 공정을 더 실시한다. On the other hand, a degassing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to form an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metal coping 2 for chemical bonding between the metal coping 2 and the porcelain 6 before the opaque process.

오펙(5)을 도포하는 공정은 금속 코핑(2)의 고유한 금속색을 차단하는 한편, 추후 금속 코핑(2)에 축성되는 도재(6)와 금속 코핑(2)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 간의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페이스트(paste) 오펙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tep of applying the opec 5 is to cut off the inherent metallic color of the metal coping 2 and to remove the chemical color between the porcelain 6 to be formed later on the metal coping 2 and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copping 2 As a process for inducing bonding, paste opec can be used.

이후, 오펙(5)을 금속 코핑(2)의 표면에 도포한 후, 오펙(5)을 경화시키는 소성 공정을 실시한다(ST4). 이때, 소성 공정은 940℃~950℃의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Thereafter, the opaque film 5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tal coping 2, and then a baking step for curing the opaque film 5 is performed (ST4). At this time, the firing process is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940 캜 to 950 캜.

도 1 및 도 5와 같이, 오펙(5)에 대한 소성 공정이 완료되면, 그 상부에 도재(6)를 축성한다(ST5). 이때, 도재(6)는 1차와 2차 축성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축성은 덴틴(dentin) 파우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축성하고, 상기 2차 축성은 덴틴을 보호하기 위해 그 표면에 유백색의 반투명하고 단단한 에나멜(enamel)을 이용하여 축성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5, when the baking process for the ope 5 is completed, the porcelain 6 is formed on the opaque 5 (ST5). At this time, the porcelain 6 includes primary and secondary laminating, and the primary laminating is lamin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using dentin powder, and the secondary lamina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protect the dentin It is laminated with milky white translucent hard enamel.

이후, 도 1 및 도 6과 같이, 도재(6)를 숙성하여 PFM 금속 도재관(7)을 완성한다(ST6). Thereafter,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porcelain 6 is aged to complete the PFM metal porcelain tube 7 (ST6).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금속 코핑이 코발트-크롬 합금의 단일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니켈-크롬 합금과 코발트-크롬 합금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니켈-크롬 합금의 이점과 코발트-크롬 합금의 이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때, 니켈-크롬 합금은 하부에 형성되고, 코발트-크롬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니켈-크롬 합금을 덮도록 그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coping is formed of a single layer of a cobalt-chromium alloy. However, for example, the nickel-chromium alloy and the cobalt-chromium alloy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And cobalt-chromium alloy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nickel-chromium alloy may be formed on the bottom, and the cobalt-chromium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surface thereof so as to cover the nickel-chromium alloy which can cause the allergic reaction.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었으나, 미설명된 도면부호 '8'은 메탈 칼러 바이고, '9'는 메탈 칼러 바에 결합된 핀으로서, CAM을 이용한 절삭 가공시 또는 후에 제작할 수 있다. 4 and 5, the undershoot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metal color, and '9' denotes a pin coupled to a metal color bar, which can be manufactured during or after a cutting process using a CA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연질금속블록
2 : 금속 코핑
3 : 소결로
4 : 지대치
5 : 오펙
6 : 도재
7 : PFM 금속 도재관
8 : 메탈 칼러 바
9 : 핀
1: soft metal block
2: metal coping
3: sintering furnace
4: abutment
5: Opec
6: Porcelain
7: PFM Metal Ceramic Tube
8: Metal color bar
9: Pin

Claims (5)

치과용 CAD/CAM을 통해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코핑을 소결로에 투입시켜 1,250℃~1,400℃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단계;
소결이 완료된 금속 코핑을 지대치에 적합시킨 후 그 표면에 오펙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오펙을 경화시키는 소성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경화된 오펙의 상부에 도재를 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재를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여 STL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치과용 CAD를 이용하여 시멘트 공간은 0.012㎛~0.017㎛, 추가 시멘트 공간은 0.030㎛~0.040㎛가 되도록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단계; 및
디자인이 완료된 STL 파일을 치과용 CAM 장비에 적용하고, 상기 연질금속블록을 상기 치과용 CAM 장비에 장착한 후 상기 연질금속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상기 금속 코핑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
Cutting a soft metal block through a dental CAD / CAM to form a metal coping;
Sintering the metal coping at a temperature of 1,250 ° C to 1,400 ° C;
Applying the sintered metal coping to the abutment and then applying opac to the surface;
Performing a baking step of curing the opaque;
Forming a porcelain on top of the cured opacity; And
Firing the porcelain; , ≪ / RTI &
Wherein forming the metal capping comprises:
Scanning an oral cavity of a patient to generate an STL file;
Designing the metal coping using dental CAD so that the cement space is 0.012 mu m to 0.017 mu m and the additional cement space is 0.030 mu m to 0.040 mu m; And
Applying the designed STL file to the dental CAM equipment, attaching the soft metal block to the dental CAM equipment, cutting the soft metal block to form the metal cop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etal ceramics pipe according to claim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멘트 공간과 상기 지대치 간의 마진이 상기 지대치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2mm 내지 3mm로 이격되도록 상기 금속 코핑을 디자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signing the metal coping comprises designing the metal coping such that the margin between the cement space and the abutment is spaced from 2 mm to 3 mm from the bottom of the abutment to the upper direction.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펙을 경화시키는 소성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코핑을 낱개로 상기 소결로에 투입시켜 소결하는 경우 1,320℃의 소결 온도로 실시하고, 상기 금속 코핑을 10개 또는 20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상기 소결로에 투입시키는 경우 1,350℃이 소결 온도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sintering step of curing the opaque, the sintering is performed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320 ° C. when the metal coping is individually sintered by sintering the sintering furnace, and 10 or 20 metal copings are bundled Wherein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1,350 DEG C when the sintering furnace is charged into the sintering furn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금속블록은 코발트-크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ft metal block is a cobalt-chromium allo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핑은 니켈-크롬 합금과 코발트-크롬 합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니켈-크롬 합금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발트-크롬 합금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상기 니켈-크롬 합금을 덮도록 그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금속블록을 이용한 금속 도재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ickel-chromium alloy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and the cobalt-chromium alloy is a nickel-chromium alloy which is capable of causing an allergic reaction, wherein the nickel-chromium alloy is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nickel-chromium alloy and a cobalt- Wherein the metal block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metal block so as to cover the chromium alloy.
KR1020170029766A 2017-03-08 2017-03-08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KR101759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66A KR101759118B1 (en) 2017-03-08 2017-03-08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66A KR101759118B1 (en) 2017-03-08 2017-03-08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18B1 true KR101759118B1 (en) 2017-07-18

Family

ID=5943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66A KR101759118B1 (en) 2017-03-08 2017-03-08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1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36B1 (en)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Installation method of crown using digital processing
KR102242487B1 (en) * 2021-01-22 2021-04-19 김정규 Band type crown
KR20220158156A (en) * 2021-05-21 2022-11-30 조성준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891B2 (en) 2011-05-31 2016-01-27 株式会社ジーシー Dental impla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891B2 (en) 2011-05-31 2016-01-27 株式会社ジーシー Dental implant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36B1 (en)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Installation method of crown using digital processing
KR102242487B1 (en) * 2021-01-22 2021-04-19 김정규 Band type crown
KR20220158156A (en) * 2021-05-21 2022-11-30 조성준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2571094B1 (en) 2021-05-21 2023-08-29 조성준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dental prosthesis manufactured thereby
US115238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a dental coping, and a coping fabricated thereby
US112071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producing dental prosthesis and appliances
JP6002679B2 (en) Indirect repair technology
Park et al. Comparison of prosthetic models produced by traditional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EP1992302A1 (en) Method of making a facing for a dental restoration, facing for a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of making a dental restoration
US201101716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supply of dental prosthesis
KR10175911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fused metal using soft metal block
Ahmed et al. Fit of tooth‐supported zirconia single crowns—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1075394B1 (en) Methods of making dental implant
KR10219886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using Porcelain Fused Metal crowns manufactured with digital technology
KR102236836B1 (en) Installation method of crown using digital processing
JP2008049113A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producing dental prosthesis and appliance
Daphne Evaluation of Fracture Resistance of Different Coping Designs Made for Implant Abutments”–An in-Vitro Study
US20070224577A1 (en) Method and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tooth restorations of tooth replacement parts
Hall et al. All-ceramic crow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