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91B1 -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91B1
KR101758791B1 KR1020150180680A KR20150180680A KR101758791B1 KR 101758791 B1 KR101758791 B1 KR 101758791B1 KR 1020150180680 A KR1020150180680 A KR 1020150180680A KR 20150180680 A KR20150180680 A KR 20150180680A KR 101758791 B1 KR101758791 B1 KR 10175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frequency
power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482A (ko
Inventor
박지호
배현수
박성구
최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15018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기 및 부하별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부하기기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전력 인입점에서 전력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전력정보를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기로 취득하여,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에너지 관련정보를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전원 주파수에 따라 샘플링 주기가 자동으로 변경되어 전기기기 별 전기 사용량 등의 에너지 관련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실시간 혹은 시간 별 전기 사용량 등의 에너지 관련정보 측정이 가능하여 시간 별 수요 예측 등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단일 제품으로 전 세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An energy measuring apparatus and labeling system of each individual load device}
본 발명은 에너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기기 및 부하 별 측정이 가능한 에너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블랙아웃 발생 위험성이 높아지는 등 전력사용량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낭비를 줄이며 현명하게 전기기기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해 에너지 사용 총량을 기반으로 개별 전기기기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추출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은 계측된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 아닌 사용량의 표출을 위하여 임의로 샘플링 주기를 설정하여, 시간 별로 세분화된 데이터 수집을 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시판 되는 에너지 계측 제품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되는 콘센트 모양에 국한시켰기 때문에 해외 시판 시 어댑터를 사용하거나 금형을 수정하여 생산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시간 별로 세분화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에너지 계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댑터 사용이나 금형 수정 없이 단일한 금형으로 전세계에서 호환되고 설치가 용이한 에너지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는 복수의 부하기기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전력 인입점에서 전력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전력정보를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기로 취득하여,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에너지 관련정보를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전압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미만인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낮은 미리 정해진 제1주파수 전원으로 인식하고, 기준 주파수 이상일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높은 미리 정해진 제2주파수 전원으로 인식한다. 상기 에너지 계측부의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기는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인식된 전압의 주파수에 따라서 정해진다. 상기 통신부에서 에너지 관련정보를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주기는 상기 샘플링 주기보다 길게 설정한다.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는 전원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원 인입단 또는 PCB기판에 결속된 국가별 전원 플러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 계측장치는 유니버셜 콘센트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부하 연결단을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계측장치는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을 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 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전력정보를 수집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블링 서버는 에너지 계측 장치로부터 전달된 에너지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에너지 관련정보를 패턴 별 및 부하기기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부하기기 별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는 개별 에너지 정보 추출부; 및 상기 개별 에너지 정보 추출부로부터 계측된 수치를 레이블링하는 레이블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에너지 계측 장치에 의해 정해진 개수의 샘플링된 에너지 관련정보를 해당 개수 정보와 함께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계측 정보 레이블 시스템은 복수의 부하기기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전력 인입점에서 전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전력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기로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여, 상기 에너지 관련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에너지 계측 장치; 및 에너지 계측 장치로부터 에너지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에너지 관련정보를 패턴 별 및 부하기기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부하기기 별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여 개별 에너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개별 에너지 정보를 레이블링하는 레이블링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기기기 별 전기 사용량 등의 에너지 관련정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실시간 혹은 시간 별 전기 사용량 등의 에너지 관련정보 측정이 가능하여 시간 별 수요 예측 등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추가 설정이나 조작 없이 그대로 전세계에서 호환되며 설치가 용이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블링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레이블링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 계측 장치(100)는 전력 인입점에서 실시간 또는 시간 별로 전력정보를 수집하여 인입점에 연결된 개별 부하기기 및 내부 컴포넌트의 각 에너지 관련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이를 레이블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부하기기는 전력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전기기기이며, 전력 인입점이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하기기에 대하여 전력이 인입되는 지점이다. 예컨대, 각 가정을 단위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에너지 계측 장치(100)를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부(110)에서는 전력정보를 수집한다. 전력정보는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을 포함하는 비가공된 데이터이다. 에너지 계측부(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부하기기 별 에너지 관련정보를 도출해내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에너지 관련정보는 부하기기 별 사용자의 동작 패턴과 전력사용량 등을 포함하는 상기 알고리즘으로부터 추정하여 얻어지는 계산된 데이터이다. 통신부(130)는 상기 에너지 관련정보를 레이블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하 내용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부(110), 에너지 계측부(120), 통신부(130)의 각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부(1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먼저 전력정보 측정단계(S112)를 수행한다. 전력정보 측정단계(S112)는 전력 인입점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전력 인입점에서의 전류, 전압의 비가공된 전력정보 파형을 측정한다.
다음, 전압 주파수 확인 단계(S114)를 수행한다. 전압 주파수 확인 단계(S114)는 상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전압 파형에 의해 도출된다. 상기 전압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와 비교 단계(S116)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와 값을 비교하게 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주파수는 에너지 계측 장치(100) 설치시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추후에 변경할 수 있다. 세계 각 국가별 전압 주파수는 50Hz또는 60Hz이므로, 일반적으로 기준 주파수는 55Hz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특정 주파수 결정 단계(S118)에서 상기 전압 주파수가 상기 기준 주파수 미만일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낮은 값을 갖는 미리 설정된 제1주파수로, 기준 주파수 이상일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높은 미리 정해진 제2주파수로 인입점의 전압의 주파수를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제1주파수는 50Hz로 설정하고, 제2주파수는 60Hz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특정 주파수 정보는 에너지 계측부(120)로 상기 수집된 전력정보와 함께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부(1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결정된 특정 주파수에 따라 샘플링 주기를 결정하는 샘플링 주기 결정 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샘플링 주기는 에너지 계측부(120)에서 특정 주파수 값이 제1주파수인지 제2주파수인지 여부에 따라 에너지 관련 정보를 계측하는데 요구되는 적합한 범위의 값이 되도록 내부 알고리즘 연산을 통하여 결정된다. 세계 각 국가별로 전원 주파수는 50Hz 또는 60Hz로 상이한데, 본 발명은 국가별 전원주파수 변화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샘플링 주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한 제품으로 별도의 조작이나 설정 없이 전세계 어디에서나 호환되어 적절하게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샘플링 주기가 결정되면, 샘플링 주기에 따라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부하기기 별 에너지 관련정보를 도출해내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데이터 패킷 생성 단계(S122)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전에, 데이터 패킷의 용량을 줄여 전송이 용이하도록 데이터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부(130)는 에너지 계측부(120)에서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레이블링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주기를 설정하는 데이터 전송 주기 설정 단계(S124)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주기는 상기 샘플링 주기보다 길게 설정되며,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내부 알고리즘 설정 시 샘플링 주기에 따라 계산되어 기 입력된 값이 선택된다.
데이터 전송 주기가 설정되면, 데이터 전송 주기 단위마다 레이블링 서버(200)로 보내질 데이터 패킷의 개수를 결정하는 패킷 개수 결정 단계(S126)를 수행한다. 데이터 패킷의 개수는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샘플링 주기와 연동되어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값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패킷 개수 정보와 해당 개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레이블링 서버(2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S128)를 수행한다.
결정된 특정 주파수, 즉 제1주파수 또는 제2주파수보다 실제 에너지 계측장치(100)에 인입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빠른 경우에는, 상기 결정된 패킷 개수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이 데이터 전송 주기보다 먼저 생성이 완료될 것이다. 이 때에는 상기 결정된 패킷 개수만큼의 데이터 패킷을 레이블링 서버(200)에 전송하며, 이후 데이터 패킷 생성은 계속 진행한다. 한편, 에너지 계측장치에 인입되는 실제 전압의 주파수가 특정 주파수, 즉 제1주파수 또는 제2주파수보다 느린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주기에 결정된 패킷 개수보다 적게 데이터 패킷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결정된 패킷 개수만큼 데이터 패킷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레이블링 서버에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주기가 느려질 수 있지만, 데이터의 누락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을 관장한다. 예컨대, 릴레이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별 부하기기의 전원의 상태를 변경하라는 신호를 제어부에 보낸다. 제어부가 사용자의 신호를 받아 개별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경시키고, 에너지 수집부(110)에서 전력정보를 수집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명령을 받은 에너지 수집부(110)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전력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시간 간격은 실시간에 준할 정도에 짧은 간격이 될 것이며,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알고리즘 설정 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수집된 개별 부하기기 전원 상태 변경 시의 전력정보는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알고리즘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화 되고 레이블링 서버(200)에 전송되어 개별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 시의 에너지 변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는 전원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원 인입단과 유니버셜 콘센트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부하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전원 인입단을 전원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구성하여, 콘센트에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고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어서, 콘센트 위치에 제약이 적게 된다.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는 PCB기판에 결속된 국가별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전원 인입단을 전원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국가별 전원 플러그를 PCB기판에 결속시킨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국가에 따라 해당 국가의 전원 플러그가 구성된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라별로 부하기기의 콘센트 인입부의 기구적 모양이 상이하므로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부하 연결단을 유니버셜 콘센트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한다. 이로 인하여, 나라별 상이한 콘센트 인입부와 에너지 계측 장치(100)의 부하 연결단이 호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세계 설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블링 서버(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레이블링 서버(200)는 에너지 계측 장치(100)에서 생성된 데이터 패킷과 패킷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일련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거쳐 개별 부하기기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여 레이블링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블링 서버(200)를 구성하는 수신부(210)에서 데이터 패킷들과 패킷 개수 정보를 수신한다. 패킷 개수 정보가 함께 전송되면, 수신부는 전송된 패킷의 개수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누락 시키는 오류를 줄일 수 있고, 해당 패킷 개수에 맞는 데이터 패킷이 전부 도달할 때까지의 데이터 전송 주기를 인식하여 시간별로 세분화 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에너지 계측장치의 내부 클럭과 레이블링 서버(200)를 동기화 시킴으로써, 시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개별 에너지 정보 추출부(22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에너지 관련정보를 패턴 별 및 부하기기 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용도 별 에너지 관련 정보를 계측한다. 상기 계측된 패턴과 에너지 관련 정보를 레이블링부(230)를 통하여 레이블링한다.
이하 내용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레이블링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설명한다.
수신부(210)에서 패킷 개수 정보와 함께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집하는 패킷 수집 단계(S202)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패킷 개수를 확인하여, 단위 시간당 그에 매칭되는 정확한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누락될 가능성을 줄이며, 시간 별로 세분화 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개수에 맞게 수집된 데이터 패킷들은 개별 에너지 정부 추출부(220)에서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패킷이 압축된 데이터인 경우 압축을 해제하는 압축 해제 단계(S204)를 거치게 된다.
압축 해제 단계(S204)를 통하여 압축이 해제된 데이터는 개별 부하기기마다 시간 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 단계(S206)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시간 별로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 에너지 총량과 개별 부하기기 별 사용량의 패턴을 생성하거나, 환경변수(온도, 습도 등)를 활용한 사용 에너지 총량 및 개별 부하기기 별 사용량 패턴 등의 패턴을 생성하는 에너지 패턴 생성 단계(S208)를 수행한다. 상기 환경변수를 활용한 사용 에너지 총량 및 개별 부하기기 별 사용량 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성할 경우에는 레이블링 서버(200)에 온도나 습도 등의 외부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마련한다.
다음, 기준 데이터 생성 및 비교 단계(S210)를 수행한다. 상기 생성된 패턴들을 이용하여 내부 연산을 통하여 사용 에너지 총량 및 개별 부하기기 용도별 사용량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실시간 또는 시간 별로 수집되는 데이터와 생성되는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패턴, 기준데이터 및 비교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에너지 관련 정보 추출 단계(S212)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추출되는 에너지 관련 정보는 실시간 또는 정해진 시간 간격의 개별 부하기기의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향후 시간대별로 사용될 에너지 총량 및 개별 부하기기의 에너지 사용량 예측 등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비교 데이터를 통하여 이상 징후 정보를 추출해낼 수도 있다.
추출된 에너지 관련 정보는 레이블링부(230)에서 용도별 레이블링 단계(S214)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시각적으로 편리하게 레이블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할 수 있다. 에너지 사용 총량, 수요 예측량, 실시간 사용량 가이드라인, 부하기기의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등 디스플레이에 다양하게 추출된 에너지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이상 사용량 패턴 등이 나타날 경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너지 계측 장치
110: 데이터 수집부
120: 에너지 계측부
130: 통신부
200: 레이블링 서버
210: 수신부
220: 개별 에너지 정보 추출부
230: 레이블링부

Claims (10)

  1. 복수의 부하기기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전력 인입점에서 전력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전력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인식된 전압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전압의 주파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변경에 따라 변동되는 샘플링 주기로 취득하여, 에너지 관련정보를 계측하여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주기 및 상기 샘플링 주기에 기반하여 데이터 패킷의 개수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개수만큼 데이터 패킷이 생성된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을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전압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미만인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낮은 미리 정해진 제1주파수 전원으로 인식하고, 기준 주파수 이상일 경우 기준 주파수보다 높은 미리 정해진 제2주파수 전원으로 인식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레이블링 서버로 송신하는 주기는 상기 샘플링 주기보다 길게 설정되고,
    에너지 계측 장치는 전원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원 인입단과 유니버셜 콘센트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부하 연결단을 포함하고,
    에너지 계측 장치는 PCB기판에 결속된 국가별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을 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 변경 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실시간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전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는 55Hz이고, 상기 제1 주파수는 50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는 60Hz이고,
    상기 에너지 계측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기 전에 데이터 압축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호를 받아 상기 부하기기의 전원 상태를 변경시키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수집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상기 명령을 받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계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80680A 2015-12-17 2015-12-17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KR10175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80A KR101758791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80A KR101758791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82A KR20170072482A (ko) 2017-06-27
KR101758791B1 true KR101758791B1 (ko) 2017-07-31

Family

ID=5941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80A KR101758791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948A (ja) * 2011-11-30 2013-06-10 Junitsu Kagaku Kofun Yugenkoshi ダブルコンセントを含むユニバーサル家電アースコンセント
JP2013169059A (ja) * 2012-02-15 2013-08-29 Toshiba Corp 保護継電装置及び保護継電システム
KR101422682B1 (ko) * 2014-02-18 2014-09-25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인입점 에너지 계측 장치 및 이를 통한 에너지 계측 정보 레이블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948A (ja) * 2011-11-30 2013-06-10 Junitsu Kagaku Kofun Yugenkoshi ダブルコンセントを含むユニバーサル家電アースコンセント
JP2013169059A (ja) * 2012-02-15 2013-08-29 Toshiba Corp 保護継電装置及び保護継電システム
KR101422682B1 (ko) * 2014-02-18 2014-09-25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인입점 에너지 계측 장치 및 이를 통한 에너지 계측 정보 레이블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82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027B1 (ko) 온라인 전기회로 정수 측정에 의한 전력설비 상태감시 시스템 및 방법
EP27373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rent and voltage monitoring
KR101885556B1 (ko) 배전반 고장 감시 시스템
CN108390217A (zh) 电源插头
US20150233984A1 (en) Energy measuring apparatus and energy measurement information labeling system using same
CN102257689A (zh) 用于监视和/或信号化/可视化气体绝缘开关设备的操作参数的单元
KR101608328B1 (ko)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N109975694A (zh) 一种继电器状态监测系统
CN106485899B (zh) 基于工频畸变通信技术的户表接线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JP2017147935A (ja) 電力管理機能を有する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端末並びにその電力管理方法
CN110568354A (zh) 一种隔离开关分合闸到位检测平台
EP2784944B1 (en) Method, sensor and system for analyzing appliances in a power line network
CN104749489A (zh) 一种基于振动信号的高压gis设备击穿性放电定位系统
CN104458023A (zh) 基于Zigbee网络的母线智能测温系统
KR101758791B1 (ko) 전기 에너지 계측장치 및 부하별 레이블링 시스템
EP3133373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CN211478558U (zh) 一种隔离开关分合闸到位检测平台
KR101435626B1 (ko)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CN207779463U (zh) 一种环网柜的智能监测模块
CN104267321A (zh) 一种基于Zigbee无线组网的GIS状态监测装置
CN202178570U (zh) 一种新型智能网络监控型电源防雷保护器系统
KR101151127B1 (ko) 보호 계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샘플링 레이트 자동 검출 방법
KR101674402B1 (ko) 손실전력측정 알고리즘 및 이를 이용한 손실전력 측정장치
CN110568323A (zh) 开关柜局部放电检测系统及开关柜局部放电检测方法
CN204794377U (zh) 变电站ptn600线远程在线监测装置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