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482B1 -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8482B1 KR101758482B1 KR1020150178923A KR20150178923A KR101758482B1 KR 101758482 B1 KR101758482 B1 KR 101758482B1 KR 1020150178923 A KR1020150178923 A KR 1020150178923A KR 20150178923 A KR20150178923 A KR 20150178923A KR 101758482 B1 KR101758482 B1 KR 101758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rod
- rolling
- billet
- steel sheet
- steel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bal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함량 0.8 % 이상 첨가된 고탄소강(과공석강, hyper eutectoid steel)은 통상적인 조건에서 건식 신선하여 선경 3 ~ 7 mm으로 제조되며, 구조물 용도에 맞게 50~1000 mm 로프로 연선되어 실 환경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장교 및 현수교의 주케이블용 또는 콘크리트 보강용 PC 강선으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또는 로프 증가는 구조물의 중량 증가를 의미하는데, 가설 업체에서는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를 구성하는 강선의 고강도화를 언급한다. 강선 고강도화 시 로프의 선경 감소에 따른 경량화뿐 아니라, 자중 및 주탑 높이 감소, 보강형의 단순화, 가설 작업성 개선 효과가 있다.
강선 고강도화는 1960년대 엠버리(Embury)와 피셔(Fisher)가 제안한 실험식에 따르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강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1) 소재의 강도 증가, 2) 전위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는 초기 조직의 미세화에 따른 가공 경화율 향상, 3) 신선 가공량 증가 등이 있다.
소재 강도 증가 및 조직 제어에 따른 가공 경화율 향상은 합금 원소의 첨가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C는 고용강화 및 석출 강화 효과, Cr은 오스테나이트에서 C 확산 저하 및 이로 인한 핵생성 사이트 증가에 따른 조직 미세화 및 이에 따른 신선 가공성 증가, Si은 페라이트 내 고용 강화, 펄라이트 조직 미세화에 따른 초기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신선 가공량 증가는 앞서 언급한 합금 원소 첨가에 따른 강도 증가보다 효율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인데, 실험실적 결과에 따르면 신선가공량 증가시 강도는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펄라이트 조직이 신선방향으로 전체 회전함에 따라 연질상과 경질상이 겹겹이 존재하는 복합조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이유와 신선 가공량이 증가하면서 세멘타이트 내 존재하는 탄소가 페라이트로 확산하는 함량이 증가하고, 이러한 탄소가 페라이트 내 과포화되면서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역할을 하고 이러한 조직 형성이 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이유라고 설명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이론적인 설명만이 주로 이루어졌고, 실험적인 검증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합금원소 중 C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이면서도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0.92 % 까지는 0.1 % C 증량에 따라 100 MPa 증가되나, 그 이상 C 첨가시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수의 설이 존재하나 C이 더 이상 펄라이트를 미세화시키지 않고, 세멘타이트 두께를 증가시키고, 또한 편석 내 C 농도 증가에 따른 초석 세멘타이트 형성으로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과공석강에서 C는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화를 위해서는 다른 원소 첨가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Cr은 오스테나이트에서 C 확산 저하 및 이로 인한 핵생성 사이트 증가에 따른 조직 미세화 및 이에 따른 신선 가공성 증가시키는 원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펄라이트와 베이나이트 노즈를 분리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고객사에서 열처리 시 상부 베이나이트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 및 조업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과공석강에서 고 Cr 사용은 중심부 편석대에서 Cr의 편석에 의한 초석 세멘타이트 형성 및 이들에 의한 신선 가공성 악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합금조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강편을 1200~1300 ℃에서 600~700분 동안 확산 열처리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는 단계;
상기 빌렛을 1000~1100 ℃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고, 90~120분 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95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850~950 ℃에서 권취한 후,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강선에 관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부의 초석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0.98C-1.3Si-0.5Mn 성분계에 Cr이 0.6, 1.2 % 첨가 되었을 때 펄라이트 노즈와 베이나이트 노즈가 분리되는 것을 온도와 경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0.98C-1.3Si-0.5Mn 성분계에 Cr이 0.6, 1.2 % 첨가 되었을 때 펄라이트 노즈와 베이나이트 노즈가 분리되어, 고 Cr 사용 시 고객사 열처리 조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고탄소강(과공석강, hyper eutectoid steel)에서 고 Cr 첨가는 초석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유도하고 신선 가공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합금조성, 특히 Cr 및 Co의 함량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초석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신선성을 우수하게 하여 고강도 고탄소강 강선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는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이다.
먼저,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합금조성의 단위는 중량%이다.
C (탄소): 0.9~1.1 %
C는 소재 강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원소이며, C가 0.1 % 증가될 때 신선 후 강도를 약 100 MPa 향상시킬 수 있으나, 0.9 % 초과 첨가시 강도 증가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는 펄라이트 조직을 형성시키는 주요 원소이며, 펄라이트 조직 미세화에 기여하고 가공 경화율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C 함량이 0.9 % 미만인 경우에는 고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C 함량이 1.1 % 초과인 경우에는 중심 편석이 크게 증가하고 이 영역에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C 함량은 0.9~1.1 %인 것이 바람직하다.
Si (실리콘): 0.7~1.5 %
Si은 페라이트 고용강화 및 펄라이트 조직을 미세화 따른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Si이 0.1 % 증가될 때 14~16 MPa 정도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Si은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계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열처리 시 C 확산을 억제하므로 케이블, 로프 등에서는 Si이 높게 사용된다. Si 함량이 0.7 % 미만인 경우 상술한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Si 함량이 1.5 % 초과인 경우 모재와 밀착성이 큰 Fe2SiO4 스케일을 표면에 형성시켜 스케일 박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Mn (망가니즈): 0.4~0.8 %
Mn은 강도 증가 역할 보다는 고객사에서 열처리 할 때 변태 노즈를 충분히 지연시켜주는 소입성 확보 목적으로 첨가된다. 또한, 강 내 S와 쉽게 결합하기 때문에 탈황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Mn 함량이 0.4 %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소입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Mn 함량이 0.8% 초과인 경우에는 중심 Mn 편석이 강하게 작용하여 신선 중 단선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Mn 함량은 0.4~0.8 %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크롬): 0.6~1.2 %
Cr은 펄라이트 조직을 미세화시키고 신선 가공성을 크게 형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이기 때문에 공석 변태 개시온도를 증가시키고, Cr 함량이 증가될수록 펄라이트 형성 변태 온도는 상향, 베이나이트 형성 온도는 하향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Mo, V 등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Cr이 0.1 % 증가될 때 인장강도는 40 MPa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r 함량이 0.6 % 미만인 경우에는 고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Cr 함량이 1.2 % 초과인 경우에는 Cr 탄화물 등이 조대하게 형성되어 신선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Cr 함량은 0.6~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Co (코발트): 0.3~1.7 %
Co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이며, 세멘타이트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세멘타이트의 경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펄라이트 층간 간격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강도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는 않지만, 콜로니간 배열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큰 고경각 경계를 갖는 콜로니의 형성을 억제하여 신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여 최종 강선의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o의 또 다른 특성은 과공석강의 오스테나이트에서 펄라이트를 형성시키는 항온 변태 시 초석 세멘타이트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Co 함량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초석 세멘타이트를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고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Co 함량이 1.7% 초과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될 수 있다. 따라서, Co 함량은 0.3~1.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이다.
P 및 S: 각각 0.030 % 이하
P 및 S는 불순물이며, 특별히 함유량을 규정하지는 않지만, 종래의 강선과 마찬가지로 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각각 0.0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이다. 나머지 기타 불가피한 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석 페라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선재의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 면적 분율이 0.8~4%로 신선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아, 강선의 인장강도를 2500 MPa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는 선재 중심으로부터 1/4D(D: 선재의 직경)까지의 영역를 말한다.
이때, 상기 펄라이트의 평균 층간 간격은 100~200nm일 수 있으며, 상기 초석 세멘타이트 최대 두께는 2 ㎛이하이고, 최대 형성 길이는 1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재의 강도는 1400MPa 이상일 수 있다. 선재의 강도가 1400MPa 이상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초석 세멘타이트 면적 분율이 0.8~4%이므로 신선시 단선이 발생하지 않아, 강선의 인장강도를 2500 MPa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편을 1200~1300 ℃에서 600~700분 동안 확산 열처리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는 단계; 상기 빌렛을 1000~1100 ℃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고, 90~120분 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95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850~950 ℃에서 권취한 후,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확산 열처리 단계
상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강편을 연속 주조 후 균열로(soaking pit)에서 1200~1300 ℃에서 600~700분 동안 확산 열처리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는다. 상기 확산 열처리는 C 및 Cr의 편석 저감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확산 열처리 온도가 1200 ℃미만이거나 유지시간이 600분 미만인 경우에는 C, Cr 확산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확산 열처리 온도가 1300 ℃ 초과이거나 유지시간이 700분 초과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빌렛
열처리 단계
상기 빌렛을 1000~1100 ℃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고, 90~120분 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한다.
가열 온도가 1000 ℃미만이거나 유지시간이 90분 미만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균질화 처리가 충분하지 않다. 반면에, 가열 온도가 1100 ℃초과이거나 유지시간이 120분 초과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탈탄 두께 증가에 따른 실수율 감소 및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압연 단계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95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조압연 및 중사압연한 후 950~1050 ℃에서 사상압연하고 수냉하고, 최종압연(RSM, Reducing & Sizing Mill) 출측 온도 98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최종압연하고 수냉하여 선재를 얻을 수 있다.
귄취
및 냉각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 ℃에서 권취하고 스텔모아 냉각대에서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권취 온도가 850 ℃미만인 경우에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950 ℃초과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에 따라 선재의 연성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이유는 펄라이트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는 급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할 수 있다.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강선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강선은 합금조성을 가지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이다. LP 열처리 및 신선 공정에 의해서 펄라이트 및 초석 세멘타이트의 면적분율에는 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선재와 동일한 상분율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강선의 인장강도가 2500 MPa 이상이고, 비틀림 횟수는 13회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강선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상술한 선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선재를 고온가열로에서 980℃이상으로 3분 이상 유지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선재를 납조에서 590℃이상으로 1분 이상 유지하고 ??칭(quenching)하여 LP(Lead patenting) 열처리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LP 열처리재를 100m/m 이상의 신선속도로 총감면량 83% 이상으로 건식 신선하여 강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재를 LP(Lead Patenting) 열처리하여 얻어진 LP 열처리재는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 면적 분율이 0.8~4%로, 상기와 같이 100m/m 이상의 신선속도로 총감면량 83% 이상으로 건식 신선하여도 단선이 발생하지 않아 강선의 인장강도를 2500 MPa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본 발명에서는 최종 강선의 인장강도가 2500 MPa 이상을 갖는 강선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하기 표 1의 합금조성을 갖는 강편을 연속 주조 후 1250℃에서 700분간 확산 열처리를 실시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었다.
선재 제조 조건으로는 선재 가열로 균열대: 1050 ℃, 추출대 온도: 1030 ℃ (가열로 총 유지시간 90분), 조압연-중사압연한 후 사상압연 출측 온도: 1010 ℃, 수냉 후 마무리압연(RSM, Reducing & Sizing Mill) 출측 온도: 1120 ℃, 수냉 후 권취 온도: 910 ℃, 스텔모아 냉각대에서 500 ℃까지 10 ℃/s로 냉각한 후, 5 ℃/s 로 냉각하여 13 mm 선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선재로 강선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온가열로에서 980 ℃로 3분간 유지하고, 납조에서 590 ℃로 1분간 유지한 후 ??칭하여 LP 열처리재를 얻었으며, 건식신선 속도 100 m/m로 5.3 mm까지 신선하여 최종 강선을 제조하였다.
상기 선재의 인장강도 및 중심부에 존재하는 초석 세멘타이트 면적 분율(세타 분율), 상기 LP 열처리재의 인장강도, 상기 최종 강선의 인장강도 및 비틀림 특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중심부는 선재 중심으로부터 1/4D(D: 선재의 직경)까지의 영역를 말한다.
구분 | C | Si | Mn | Cr | Co | P | S |
비교예1 | 0.88 | 1.30 | 0.50 | 0.61 | 0.00 | 0.012 | 0.011 |
비교예2 | 0.98 | 1.30 | 0.51 | 0.62 | 0.00 | 0.012 | 0.010 |
비교예3 | 1.08 | 1.30 | 0.52 | 0.60 | 0.00 | 0.013 | 0.012 |
비교예4 | 1.18 | 1.30 | 0.50 | 0.60 | 0.00 | 0.010 | 0.013 |
비교예5 | 0.98 | 0.60 | 0.51 | 0.61 | 0.00 | 0.011 | 0.012 |
비교예6 | 0.98 | 1.60 | 0.52 | 0.62 | 0.00 | 0.011 | 0.010 |
비교예7 | 0.98 | 1.30 | 0.53 | 0.25 | 0.00 | 0.010 | 0.011 |
비교예8 | 0.98 | 1.29 | 0.51 | 0.92 | 0.00 | 0.015 | 0.012 |
비교예9 | 0.98 | 1.30 | 0.52 | 1.32 | 0.00 | 0.012 | 0.015 |
비교예10 | 0.98 | 1.31 | 0.51 | 0.61 | 0.25 | 0.011 | 0.012 |
발명예1 | 0.98 | 1.30 | 0.52 | 0.62 | 0.50 | 0.010 | 0.011 |
발명예2 | 0.98 | 1.32 | 0.51 | 0.60 | 0.75 | 0.009 | 0.010 |
발명예3 | 0.98 | 1.29 | 0.50 | 0.63 | 1.00 | 0.011 | 0.010 |
발명예4 | 0.98 | 1.30 | 0.52 | 0.61 | 1.25 | 0.010 | 0.009 |
발명예5 | 0.98 | 1.31 | 0.50 | 0.60 | 1.50 | 0.012 | 0.010 |
비교예11 | 0.98 | 1.30 | 0.51 | 0.62 | 1.80 | 0.011 | 0.012 |
비교예12 | 0.98 | 1.31 | 0.51 | 0.25 | 0.25 | 0.010 | 0.011 |
비교예13 | 0.98 | 1.30 | 0.52 | 0.24 | 0.50 | 0.011 | 0.013 |
비교예14 | 0.98 | 1.32 | 0.51 | 0.26 | 0.75 | 0.012 | 0.012 |
비교예15 | 0.98 | 1.29 | 0.50 | 0.25 | 1.00 | 0.010 | 0.013 |
비교예16 | 0.98 | 1.30 | 0.52 | 0.24 | 1.25 | 0.010 | 0.012 |
비교예17 | 0.98 | 1.31 | 0.50 | 0.25 | 1.50 | 0.011 | 0.012 |
비교예18 | 0.98 | 1.30 | 0.51 | 0.24 | 1.80 | 0.012 | 0.011 |
비교예19 | 0.98 | 1.30 | 0.52 | 0.92 | 0.25 | 0.010 | 0.012 |
발명예6 | 0.98 | 1.32 | 0.51 | 0.91 | 0.50 | 0.013 | 0.012 |
발명예7 | 0.98 | 1.29 | 0.50 | 0.92 | 0.75 | 0.012 | 0.012 |
발명예8 | 0.98 | 1.30 | 0.52 | 0.9 | 1.00 | 0.013 | 0.013 |
발명예9 | 0.98 | 1.31 | 0.50 | 0.89 | 1.25 | 0.012 | 0.010 |
발명예10 | 0.98 | 1.30 | 0.51 | 0.91 | 1.50 | 0.010 | 0.010 |
비교예20 | 0.98 | 1.30 | 0.53 | 0.92 | 1.80 | 0.012 | 0.010 |
비교예21 | 0.98 | 1.29 | 0.51 | 1.32 | 0.25 | 0.011 | 0.011 |
비교예22 | 0.98 | 1.30 | 0.52 | 1.31 | 0.50 | 0.011 | 0.012 |
비교예23 | 0.98 | 1.31 | 0.51 | 1.30 | 0.75 | 0.010 | 0.012 |
비교예24 | 0.98 | 1.30 | 0.52 | 1.32 | 1.00 | 0.012 | 0.013 |
비교예25 | 0.98 | 1.32 | 0.51 | 1.30 | 1.25 | 0.011 | 0.010 |
비교예26 | 0.98 | 1.30 | 0.53 | 1.31 | 1.50 | 0.013 | 0.010 |
비교예27 | 0.98 | 1.29 | 0.51 | 1.32 | 1.80 | 0.012 | 0.011 |
상기 표 1에서 각 원소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 세타 분율 (%) | 선재 인장강도 (MPa) |
LP열처리재 인장강도 (MPa) |
강선 (@5.32 mm) | |
인장강도 (MPa) |
비틀림 (회) |
||||
비교예1 | 3.20 | 1350 | 1450 | 2310 | 16 |
비교예2 | 5.80 | 1442 | 1543 | 2420 | 14 |
비교예3 | 7.50 | 1522 | 1580 | 2405 | 12 |
비교예4 | 9.80 | 1555 | 1610 | 단선 | x |
비교예5 | 5.20 | 1380 | 1480 | 2375 | 15 |
비교예6 | 6.80 | 1590 | 1650 | 단선 | x |
비교예7 | 5.60 | 1380 | 1470 | 2280 | 15 |
비교예8 | 5.90 | 1540 | 1600 | 단선 | x |
비교예9 | 6.00 | 1550 | 1550 | 단선 | x |
비교예10 | 5.70 | 1442 | 1552 | 2439 | 15 |
발명예1 | 3.50 | 1448 | 1605 | 2502 | 17 |
발명예2 | 2.60 | 1452 | 1615 | 2513 | 19 |
발명예3 | 1.70 | 1455 | 1635 | 2524 | 19 |
발명예4 | 1.20 | 1465 | 1642 | 2530 | 18 |
발명예5 | 0.80 | 1466 | 1655 | 2541 | 17 |
비교예11 | 0.80 | 1470 | 1652 | 단선 | X |
비교예12 | 5.60 | 1380 | 1553 | 2373 | 15 |
비교예13 | 4.80 | 1388 | 1580 | 2400 | 15 |
비교예14 | 3.50 | 1392 | 1590 | 2410 | 16 |
비교예15 | 3.00 | 1395 | 1600 | 2420 | 16 |
비교예16 | 2.80 | 1398 | 1607 | 2427 | 15 |
비교예17 | 2.70 | 1400 | 1620 | 2440 | 15 |
비교예18 | 2.40 | 1402 | 1625 | 2445 | 14 |
비교예19 | 5.7 | 1560 | 1640 | 단선 | x |
발명예6 | 3.60 | 1575 | 1705 | 2575 | 16 |
발명예7 | 1.80 | 1578 | 1715 | 2592 | 16 |
발명예8 | 1.35 | 1590 | 1727 | 2600 | 14 |
발명예9 | 1.00 | 1600 | 1737 | 2602 | 14 |
발명예10 | 0.90 | 1602 | 1752 | 2610 | 13 |
비교예20 | 3.5 | 1615 | 1757 | 단선 | x |
비교예21 | 6.00 | 1580 | 1560 | 단선 | x |
비교예22 | 6.10 | 1570 | 1540 | 단선 | x |
비교예23 | 5.80 | 1582 | 1530 | 단선 | x |
비교예24 | 5.70 | 1579 | 1525 | 단선 | x |
비교예25 | 5.30 | 1580 | 1520 | 단선 | x |
비교예26 | 5.70 | 1598 | 1550 | 단선 | x |
비교예27 | 5.50 | 1578 | 1520 | 단선 | x |
비교예 1~4는 C 함량 증가에 따른 선재, LP 열처리재 및 강선에서의 물성 변화를 보여준다. 탄소 함량 증가 시 강도 증가는 나타나나, 현재의 납조열처리 로에서 냉각능의 한계 때문에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은 증가하는 것이 확인 가능하고, 이러한 특성이 신선재의 강도 증가 폭 및 강도를 저하 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C 함량이 0.90 % 미만인 비교예 1의 경우,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은 적으나 강선 강도가 낮아 목표 강도에 도달할 수 없었다. C 함량이 1.1 % 초과인 비교예 4의 경우, 신선 중 단선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 5 및 6은 Si 함량에 따른 강도 증가 효과를 보여주며, Si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이 증가하였으나 C와 달리 급격히 증가하지는 않았다. Si 함량이 0.60 %인 비교예 5의 경우, 목표 강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Si 함량이 1.6 % 인 비교예 6의 경우, 신선 중 단선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 7~9는 Cr 함량에 따른 강도 증가를 보여준다. C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재 및 열처리재의 강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Cr 함량이 0.90%를 초과하는 비교예 8 및 9의 경우, 신선 중 단선이 발생하였다. 이는 중심부 내 조대하게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발명예 1~5, 비교예 2, 10 및 11은 0.98C-1.3Si-0.5Mn-0.6Cr 성분계에 Co 함량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C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재 및 열처리재의 강도는 약간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Co 첨가가 초석 세멘타이트 형성을 억제시킴에 따라, C가 조직을 미세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Co가 1.8 % 첨가된 비교예 11의 경우 중심부에 존재하는 초석 세멘타이트 면적 분율이 5.7 %에서 0.8 %까지 감소되었으나, 강선 제조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2500 MPa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강선을 얻기 위해서는 0.6 % Cr 첨가 시 Co 함량이 0.3~1.5 %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비교예 12~18은 0.98C-1.3Si-0.5Mn-0.2Cr 성분계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Co 함량을 0 %에서 1.8 % 첨가시킨 강이고, Co 첨가량 증가에 따라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은 감소하였으나, Cr 함량이 부족하여 목표로 하고자 하는 2500 MPa 이상의 강도를 얻을 수 없었다.
발명예 6~10, 비교예 8, 19 및 20은 0.98C-1.3Si-0.5Mn-0.9Cr 성분계에서 Co 함량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Co 함량이 0.3% 미만인 비교예 8 및 19의 경우 신선시 단선이 발생하였으며, Co함량이 1.8%인 비교예 20의 경우에도 신선시 단선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Co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 6~10은 단선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2500 MPa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9, 21~27은 0.98C-1.3Si-0.5Mn-1.3Cr 성분계에서 Co 첨가에 따른 강도 증가를 확인한 결과인데, Cr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선재에서도 강도가 낮으며, Co 함량 증가함에도 강도 수준은 큰 변화가 없다. 상기 선재를 납조 열처리 한 LP 열처리재는 1600 MPa 이하의 강도를 갖고 초석 세멘타이트 분율에도 큰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Co 첨가에 따른 초석 세멘타이트 감소 효과는 Cr 함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인장강도는 1400 MPa 이상인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편을 1200~1300 ℃에서 600~700분 동안 확산 열처리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는 단계;
상기 빌렛을 1000~1100 ℃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고, 90~120분 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95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선재를 850~950 ℃에서 권취한 후,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얻는 단계의 압연은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조압연 및 중사압연한 후 950~1050 ℃에서 사상압연하고 수냉한 후, 최종압연 출측 온도 98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최종압연하고 수냉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펄라이트 95% 이상이며,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초석 세멘타이트가 0.8~4%인 고탄소강 강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인장강도가 2500 MPa 이상이고, 비틀림 횟수는 13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강 강선.
- 중량%로, C: 0.90~1.1 %, Si: 0.7~1.5 %, Cr: 0.6~1.2 %, Mn: 0.4~0.8 %, Co: 0.3~1.7 %, P: 0.030 % 이하, S: 0.030 % 이하,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편을 1200~1300 ℃에서 600~700분 동안 확산 열처리한 후, 압연 및 절단하여 빌렛을 얻는 단계;
상기 빌렛을 1000~1100 ℃의 온도 범위로 가열하고, 90~120분 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950~1050 ℃의 온도 범위에서 압연하여 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선재를 850~950 ℃에서 권취한 후, 450~550 ℃까지 9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한 후, 5 ℃/s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선재를 고온가열로에서 980℃이상으로 3분 이상 유지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선재를 납조에서 590 ℃이상으로 1분 이상 유지하고 ??칭(quenching)하여 LP(Lead patenting) 열처리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LP 열처리재를 100m/m 이상의 신선속도로 총감면량 83% 이상으로 건식 신선하여 강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소강 강선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923A KR101758482B1 (ko) | 2015-12-15 | 2015-12-15 |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923A KR101758482B1 (ko) | 2015-12-15 | 2015-12-15 |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632A KR20170071632A (ko) | 2017-06-26 |
KR101758482B1 true KR101758482B1 (ko) | 2017-07-17 |
Family
ID=5928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8923A KR101758482B1 (ko) | 2015-12-15 | 2015-12-15 |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84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440B1 (ko) * | 2017-12-20 | 2019-10-11 | 주식회사 포스코 |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2098534B1 (ko) * | 2019-07-23 | 2020-04-07 | 주식회사 포스코 |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12-15 KR KR1020150178923A patent/KR10175848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632A (ko) | 2017-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1469B1 (ko) | 2000MPa급 과공석 강선의 제조방법 | |
KR101676109B1 (ko) | 신선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고강도 강선과 선재의 제조방법 | |
KR101758482B1 (ko) | 신선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
KR101316324B1 (ko) | 미니블럭 스프링강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04744B1 (ko) | 고강도 pc강연선용 선재, pc강연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89178B1 (ko) | 고탄소 고강도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90054B1 (ko) | 강도 및 가공성이 향상된 강섬유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30157B1 (ko) |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용 강선, 강선용 고탄소 선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147701B1 (ko) | 비틀림 특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고탄소강 강선의 제조방법 | |
KR101696095B1 (ko) | 신선성이 우수한 열처리재의 제조방법 | |
KR101461717B1 (ko) | 초고강도 타이어코드용 선재 및 강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58477B1 (ko) |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611724B1 (ko) | 고강도 선재 및 강선과 그 제조 방법 | |
KR20090069880A (ko) | 신장 플랜지성과 연성이 우수한 복합조직 고강도 열연강판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362665B1 (ko) | 선재, 고강도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518583B1 (ko) |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326240B1 (ko) | 초고강도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372651B1 (ko) |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62454B1 (ko) | 고강도 pc강연선용 선재, 신선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120001012A (ko) | 연신율 개선 효과를 갖는 곱쇠 저감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31440B1 (ko) |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36618B1 (ko) |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강선과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2470032B1 (ko) |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이 우수한 합금강의 제조방법 | |
KR101674870B1 (ko) |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의 제조방법, 강선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82608A (ko) |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