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59B1 -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59B1
KR101758059B1 KR1020150073953A KR20150073953A KR101758059B1 KR 101758059 B1 KR101758059 B1 KR 101758059B1 KR 1020150073953 A KR1020150073953 A KR 1020150073953A KR 20150073953 A KR20150073953 A KR 20150073953A KR 101758059 B1 KR101758059 B1 KR 10175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lance
ray detector
blo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314A (ko
Inventor
김익한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신영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포엠 filed Critical (주)신영포엠
Priority to KR102015007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0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는 X선디텍터; X선디텍터에 연결된 상하슬라이딩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촬영스탠드; X선디텍터와 상하슬라이딩부 사이에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X선디텍터와 촬영스탠드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디텍터각도조정부; 및 디텍터각도조정부에 연결되어, 촬영스탠드에 대한 X선디텍터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디텍터각도조정부는, 상하슬라이딩부에 결합된 본체유닛; 본체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에 손잡이부가 부착된 회동유닛; X선디텍터에 연결되고 회동유닛의 다른 일면에 결합되어, X선디텍터가 본체유닛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작동되는 전후슬라이딩유닛; 본체유닛과 전후슬라이딩유닛 사이에 2단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전후슬라이딩유닛의 전진슬라이딩이동시 펼쳐지고, 후진슬라이딩이동시 접혀지면서 X선디텍터를 지지하는 링크유닛; 본체유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동유닛에 연결되어, 회동유닛의 회전각도에 따라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밸런스유닛; 및 회동유닛과 본체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회동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Medical Equipment Stand Provided with slidig structure}
본 발명은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X선디텍터가 촬영스탠드를 따라 상하로 구동됨은 물론 X선디텍터가 촬영스탠드에 대해 수직에서 수평으로 회동시 x선디텍터와 촬영스탠드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 의료용 진단기기는 인체 내부질환을 영상을 통한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흉부, 두부, 소화관, 척추 및 상해를 입은 부위에서 인체의 뼈가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X선을 통해서 분석하는 기기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튜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촬영대상이 촬영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엑스레이 검출부를 통상 '엑스레이 디텍터(DR)'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X선 의료용 진단기기의 경우, 동물이나 환자의 검사부위에 따라 환자를 세워 촬영하거나 진단용 테이블에 눕혀서 촬영한다. 진단용 테이블에 환자를 눕혀서 촬영할 때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X선 촬영장치는 X선디텍터(20)를 촬영스탠드(10)의 하부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하강시킨 후 X선디텍터(20)를 회동시킨다. 그런 다음, 진단용 테이블을 촬영장치측으로 이동시킨 후 진단용 테이블의 높이에 맞추어 다시 X선디텍터(20)를 하강시켜서 위치를 조정한 후 진단용 테이블을 더욱 이동시켜 X선디텍터(20)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등 진단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할 때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X선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X선 조사부의 회동 등을 위하여 X선 조사부의 헤드부분이 일정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촬영동작시 촬영스탠드(10)와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X선 조사부를 촬영스탠드(10)와 일정거리 이격시키야 하였고, 이에 따라, X선 조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X선디텍터(20)도 촬영스탠드(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X선디텍터(20)는 이러한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별다른 구동원없이도 촬영스탠드에 대한 X선디텍터의 각도 및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X선디텍터가 촬영스탠드를 따라 상하로 구동됨은 물론 X선디텍터가 촬영스탠드에 대해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X선디텍터의 각도를 조정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X선 조사부를 촬영스탠드와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시키면서도 X선디텍터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는 X선디텍터; X선디텍터에 연결된 상하슬라이딩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촬영스탠드; X선디텍터와 상하슬라이딩부 사이에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X선디텍터와 촬영스탠드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디텍터각도조정부; 및 디텍터각도조정부에 연결되어, 촬영스탠드에 대한 X선디텍터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디텍터각도조정부는, 상하슬라이딩부에 결합된 본체유닛; 본체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에 손잡이부가 부착된 회동유닛; X선디텍터에 연결되고 회동유닛의 다른 일면에 결합되어, X선디텍터가 본체유닛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작동되는 전후슬라이딩유닛; 본체유닛과 전후슬라이딩유닛 사이에 2단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전후슬라이딩유닛의 전진슬라이딩이동시 펼쳐지고, 후진슬라이딩이동시 접혀지면서 X선디텍터를 지지하는 링크유닛; 본체유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동유닛에 연결되어, 회동유닛의 회전각도에 따라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밸런스유닛; 및 회동유닛과 본체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회동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유닛은, 일단이 본체유닛에 결합된 기준링크바; 일단이 기준링크바의 타단에 힌지연결된 제 1 링크바; 일단이 제 1 링크바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전후슬라이딩유닛에 결합된 제 2 링크바를 포함하고, 제 1 링크바와 제 2 링크바는 기준링크바에 대해 2단링크구조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유닛은, 상부에 전후슬라이딩유닛이 설치되고, 일면에 손잡이부가 설치된 회동본체; 회동본체와 본체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회동축; 및 제 1 회동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밸런스유닛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런스유닛은, 제 1 회동축에 이격되어, 본체유닛의 내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부재; 일면에 피니언기어에 기어결합된 랙기어가 마련되고, 랙기어의 작동시 한쌍의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런스블럭; 밸런스블럭과 이격되어, 본체유닛의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유닛; 및 밸런스블럭과 스프링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밸런스블럭의 상하이동시 시소운동하는 테이퍼블럭유닛을 포함하고, 스프링유닛은, 링크유닛의 펼침작동시, 압축스프링이 이완되도록 작동되어, 테이퍼블럭유닛에 의해 밸런스블럭이 한쌍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본체유닛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링크유닛의 접힘작동시,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작동되어, 테이퍼블럭유닛에 의해 밸런스블럭이 한쌍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본체유닛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랙기어의 위치를 제한하여 피니언기어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회동유닛의 회전시 디텍터각도조정부의 힘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런스블럭은 테이퍼블럭유닛과 접촉되는 면이 하향만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퍼블럭유닛은, 밸런스블럭과 스프링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본체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회동축; 밸런스블럭의 하향만곡된 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회전바퀴; 제 1 회전바퀴와 이격되고 스프링유닛에 접하도록 위치된 제 2 회전바퀴; 제 1 회전바퀴와 접하는 제 1 접촉면과 제 2 회전바퀴와 접하는 제 2 접촉면이 부채꼴구조로 마련되고, 제 1 회전바퀴와 제 2 회전바퀴에 맞닿게 제 2 회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테이퍼블럭; 및 제 1 회전바퀴와 제 2 회전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회전바퀴와 제 2 회전바퀴를 테이퍼블럭에 대해 시소구조로 연결하는 테이퍼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유닛은, 제 2 회전바퀴와 맞닿도록 본체유닛에 설치된 가압판; 일단이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유닛의 바닥면에 결합된 가이드봉;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가이드봉에 연결되고, 일단이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유닛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가압판의 가압시 가이드봉을 따라 탄성운동하는 압축스프링; 및 가압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가압판에 연결되어, 가압판의 위치를 조종토록 작동되는 밸런스조정부재를 포함하고, 밸런스조정부재는 링크유닛의 펼침작동시 가압판이 본체유닛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링크유닛의 접힘작동시 가압판이 본체유닛의 하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유닛은, 본체유닛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토퍼홀; 회동본체의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지지블럭; 및 스토퍼지지블럭에 연결되고, 누름작동시 복수의 스토퍼홀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홀에 삽입되어, 회동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X선디텍터가 촬영스탠드에 대해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X선디텍터의 각도를 수동으로 미세하고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디텍터각도감지부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촬영스탠드에 대한 X선디텍터의 위치 및 각도 조정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치 않아, 전력을 사용할 수 없는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선 조사부를 촬영스탠드와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시키면서도 X선디텍터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진단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후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X선디텍터와 손잡이부가 제거된 상태의 디텍터각도조정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를 분해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 개시된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A-A따라 절단한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3(b)에 개시된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경사상태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은 도 3(c)에 개시된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의 펼침상태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100)는 촬영스탠드(110), X선디텍터(120), 상하슬라이딩부(115), 디텍터각도조정부(140) 및 손잡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X선디텍터(120)가 촬영스탠드(110)를 따라 상하로 구동됨은 물론 X선디텍터(120)가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X선디텍터(12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촬영스탠드(110)는 전면에 X선디텍터(120)가 연결된다. 촬영스탠드(110)는 X선디텍터(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X선디텍터(120)는 상하슬라이딩부(115)와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의해 촬영스탠드(110)에 연결된다.
상하슬라이딩부(115)는 X선디텍터(120)와 촬영스탠드(110) 사이에 연결된다. 상하슬라이딩부(115)는 촬영스탠드(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된다. X선디텍터(120)는 상하슬라이딩부(115)에 의해 촬영스탠드(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설치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X선디텍터(120)는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설치각도가 조정된다. 디텍터각도조정부(140)의 각도조정은 손잡이부(150)에 의한다. 손잡이부(150)는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연결되어, 촬영스탠드(110)에 대한 X선디텍터(12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각도조정부(140)는 X선디텍터(120)와 상하슬라이딩부(115) 사이에 연결되어, X선디텍터(12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각도조정부(140)는 본체유닛(140a), 회동유닛(140b), 전후슬라이딩유닛(140c), 링크유닛(140d), 밸런스유닛(140e) 및 스토퍼유닛(140f)을 포함한다.
본체유닛(140a)은 회동유닛(140b), 링크유닛(140d)과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40a)은 상하슬라이딩부(115)에 결합되어, 상하슬라이딩부(115)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40a)은 내부가 중공된 통구조를 가진다. 본체유닛(140a)에는 회동유닛(140b)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체유닛(140a)의 내부에는 회동유닛(140b)의 제 1 회동축(142b), 피니언기어(143b)와 밸런스유닛(140e)이 설치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유닛(140b)은 본체유닛(140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유닛(140b)은 손잡이부(150)에 의해 수동으로 X선디텍터(12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손잡이부(150)는 회전유닛의 회전본체의 외면에 부착된다.
회동유닛(140b)은 회동본체(141b), 제 1 회동축(142b) 및 피니언기어(143b)를 포함한다. 회동본체(141b)는 제 1 회동축(142b)에 의해 본체유닛(14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본체(141b)에는 스토퍼유닛(140f)이 설치된다.
제 1 회동축(142b)은 회동본체(141b)와 본체유닛(140a)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제 1 회동축(142b)의 외주면에는 피니언기어(143b)가 설치된다.
피니언기어(143b)는 밸런스유닛(140e)의 랙기어(143e)에 연결된다. 피니언기어(143b)는 제 1 회동축(142b)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된다. 피니언기어(143b)는 스프링유닛(145e)의 작동시 스프링유닛(145e)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밸런스블럭(142e)의 랙기어(143e)에 기어결합되어, 제 1 회동축(142b)의 회전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유닛(140f)은 회동유닛(140b)과 본체유닛(140a) 사이에 연결된다. 스토퍼유닛(140f)은 회동유닛(140b)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유닛(140f)은 복수 개의 스토퍼홀(141f), 스토퍼지지블럭(142f) 및 스토퍼부재(143f)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스토퍼홀(141f)은 본체유닛(140a)의 일면에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스토퍼홀(141f)은 스토퍼부재(143f)가 삽입되는 개구이다.
스토퍼지지블럭(142f)은 회동본체(141b)의 외면에 설치된다. 스토퍼지지블럭(142f)에는 스토퍼부재(143f)가 연결된다. 스토퍼지지블럭(142f)은 스토퍼부재(143f)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스토퍼부재(143f)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부재(143f)는 버튼구조로 스토퍼지지블럭(142f)에 연결된다. 스토퍼부재(143f)는 누름작동시 복수의 스토퍼홀(141f)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홀(141f)에 삽입되도록 작동된다. 스토퍼부재(143f)는 회동본체(141b)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은 회동본체(141b)에 설치된다. 여기서, 회동본체(141b)는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에 의해 X선디텍터(120)에 연결된다.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은 X선디텍터(120)가 본체유닛(140a)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은 가이드레일부재(141c)와 전후슬라이딩부재(142c)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부재(141c)는 회동본체(141b)의 상부에 결합된다. 가이드레일부재(141c)에는 전후슬라이딩부재(142c)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는 X선디텍터(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는 후술할 링크유닛(140d)의 제 2 링크바(144d)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링크유닛(140d)은 본체유닛(140a)과 전후슬라이딩유닛(140c) 사이에 2단링크구조로 연결된다. 링크유닛(140d)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의 전진슬라이딩이동시 펼쳐지고, 후진슬라이딩이동시 접혀지면서 X선디텍터(1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유닛(140d)은 기준링크바(142d), 제 1 링크바(143d) 및 제 2 링크바(144d)를 포함한다. 링크유닛(140d)은 제 1 링크바(143d)와 제 2 링크바(144d)가 기준링크바(142d)에 대해 2단링크구조로 연결된다.
기준링크바(142d)는 일단이 링크고정블럭(141d)에 결합되어, 본체유닛(140a)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링크고정블럭(141d)은 본체유닛(140a)의 내부에 고정된다. 제 1 링크바(143d)는 일단이 기준링크바(142d)의 타단에 힌지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링크바(143d)는 기준링크바(142d)와 제 2 링크바(144d)를 힌지연결한다.
제 2 링크바(144d)는 일단이 제 1 링크바(143d)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 결합된다. 제 2 링크바(144d)는 제 1 링크바(143d)와 전후슬라이딩부재(142c)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링크유닛(140d)은 손잡이부(150)에 의해 회동유닛(140b)이 본체유닛(140a)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X선디텍터(120)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에 의해 전진이동되면서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 연결된 제 2 링크바(144d)가 제 1 링크바(143d)를 잡아당기면서, 제 1 링크바(143d)가 기준링크바(142d)에 대해 멀리 벌려지면서 펼침상태가 된다.
링크유닛(140d)은 펼침상태에서, 손잡이부(150)에 의해 회동유닛(140b)이 본체유닛(140a)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X선디텍터(120)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에 의해 후진이동되면서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 연결된 제 2 링크바(144d)가 제 1 링크바(143d)를 본체유닛(140a)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제 1 링크바(143d)가 기준링크바(142d)에 대해 좁혀지게 위치되면서 접힘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100)는 상기와 같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과 링크유닛(140d) 구조에 의해, X선디텍터(120)를 전후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촬영동작시 X선 촬영스탠드(110)와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공간을 차지하는 X선 조사부를 X선 촬영스탠드(110)와 일정거리 이격시키더라도, X선 조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X선디텍터(120)를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X선 촬영스탠드(110)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밸런스유닛(140e)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유닛(140e)은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 밸런스블럭(142e), 테이퍼블럭유닛(144e) 및 스프링유닛(145e)을 포함한다.
밸런스유닛(140e)은 본체유닛(140a)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런스유닛(140e)은 회동유닛(140b)에 연결되어, 회동유닛(140b)의 회전각도에 따라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는 본체유닛(140a)의 내면에 설치된다.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는 제 1 회동축(142b)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는 밸런스블럭(142e)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밸런스블럭(142e)은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에 상하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런스블럭(142e)은 본체유닛(140a)의 구조에 의해 이동거리가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의 길이에 한정된다. 밸런스블럭(142e)은 일면에 랙기어(143e)가 마련된다. 랙기어(143e)는 피니언기어(143b)에 기어결합된다.
밸런스블럭(142e)은 테이퍼블럭유닛(144e)과 접촉되는 면이 하향만곡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테이퍼블럭유닛(144e)과 접촉되는 면을 '하향만곡된 면(142e-1)'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밸런스블럭(142e)은 스프링유닛(145e)의 작동시, 스프링유닛(145e)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테이퍼블럭유닛(144e)에 의해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본체유닛(140a)의 상부로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이동된다. 밸런스블럭(142e)의 슬라이딩이동시 랙기어(143e)에 기어결합된 피니어기어가 회전된다. 피니어기어의 회전방향의 밸런스블럭(142e)의 이동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가변된다.
테이퍼블럭유닛(144e)은 밸런스블럭(142e)과 스프링유닛(145e) 사이에 연결된다. 테이퍼블럭유닛(144e)은 스프링유닛(145e)의 이완 또는 압축운동시 시소운동하면서, 밸런스블럭(142e)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테이퍼블럭유닛(144e)은 스프링유닛(145e)의 이완운동시 밸런스블럭(142e)이 본체유닛(140a)의 하부를 향해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슬라이딩이동토록 작동되고, 스프링유닛(145e)의 압축운동시 밸런스블럭(142e)이 본체유닛(140a)의 상부를 향해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슬라이딩이동토록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퍼블럭유닛(144e)은, 제 2 회동축(144e-1), 제 1 회전바퀴(144e-2), 제 2 회전바퀴(144e-3), 테이퍼블럭(144e-4) 및 테이퍼가이드부재(144e-5)를 포함한다.
제 2 회동축(144e-1)은 밸런스블럭(142e)과 스프링유닛(145e)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회동축(144e-1)은 본체유닛(140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회동축(144e-1)에는 테이퍼블럭(144e-4)과 테이퍼가이드부재(144e-5)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테이퍼블럭(144e-4)은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이 마련된 부채꼴구조를 가진다. 제 1 접촉면은 제 1 회전바퀴(144e-2)가 접하는 면이다. 제 2 접촉면은 제 2 회전바퀴(144e-3)가 접하는 면이다. 테이퍼블럭(144e-4)은 제 1 회전바퀴(144e-2)와 제 2 회전바퀴(144e-3)에 맞닿게 제 2 회동축(144e-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테이퍼가이드부재(144e-5)는 제 1 회전바퀴(144e-2)와 제 2 회전바퀴(144e-3)를 테이퍼블럭(144e-4)에 대해 시소구조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테이퍼가이드부재(144e-5)는 제 1 회전바퀴(144e-2)와 제 2 회전바퀴(144e-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회전바퀴(144e-2)와 제 2 회전바퀴(144e-3)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1 회전바퀴(144e-2)는 테이퍼블럭(144e-4)의 제 1 접촉면과 밸런스블럭(142e)의 하향만곡된 면(142e-1)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테이퍼블럭(144e-4)의 시소운동시 밸런스블럭(142e)을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본체유닛(140a)의 상부로 밀어올리던가, 본체유닛(140a)의 하부로 밀어내리도록 한다.
제 2 회전바퀴(144e-3)는 제 1 회전바퀴(144e-2)와 이격되어, 스프링유닛(145e)의 가압판(145e-1)과 테이퍼블럭(144e-4)의 제 2 접촉면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제 2 회전바퀴(144e-3)는 스프링유닛(145e)의 작동시 가압판(145e-1)과 테이퍼블럭(144e-4)의 제 2 접촉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되면서 테이퍼블럭(144e-4)을 시소운동시켜, 제 1 회전바퀴(144e-2)로 하여금 밸런스블럭(142e)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스프링유닛(145e)은 밸런스블럭(142e)과 이격되어, 본체유닛(140a)의 내부에 결합된다. 스프링유닛(145e)은 테이퍼블럭유닛(144e)에 의해 밸런스블럭(142e)에 연결된다.
스프링유닛(145e)은, 링크유닛(140d)의 펼침작동시, 압축스프링(145e-3)이 이완토록 작동되어, 테이퍼블럭유닛(144e)에 의해 밸런스블럭(142e)이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링크유닛(140d)의 접힘작동시 압축되면서 테이퍼블럭유닛(144e)을 본체유닛(140a)의 하부로 잡아당기면서 밸런스블럭(142e)이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랙기어(143e)로 하여금 피니언기어(143b)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회동유닛(140b)의 회전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유닛(145e)은 가압판(145e-1), 가이드봉(145e-2), 압축스프링(145e-3) 및 밸런스조정부재(145e-4)를 포함한다.
가압판(145e-1)은 제 2 회전바퀴(144e-3)와 맞닿도록 본체유닛(140a)에 설치된다. 가압판(145e-1)은 본체유닛(140a)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봉(145e-2)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압판(145e-1)에는 밸런스조정부재(145e-4)가 연결된다. 가압판(145e-1)의 상면에는 상술한 제 2 회전바퀴(144e-3)가 맞닿게 위치되고, 가압판(145e-1)의 하면에는 압축스프링(145e-3)이 연결된다.
가이드봉(145e-2)은 일단이 가압판(145e-1)에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유닛(140a)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가이드봉(145e-2)의 외주면에는 압축스프링(145e-3)이 둘러싼 구조로 연결된다.
압축스프링(145e-3)은 가이드봉(145e-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가이드봉(145e-2)에 연결되고, 일단이 가압판(145e-1)에 연결된다. 압축스프링(145e-3)은 타단이 본체유닛(140a)의 바닥면에 연결된다. 압축스프링(145e-3)은 가압판(145e-1)의 가압시 가이드봉(145e-2)을 따라 탄성운동한다.
밸런스조정부재(145e-4)는 가압판(145e-1)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가압판(145e-1)에 연결되어, 가압판(145e-1)의 위치를 조종토록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밸런스조정부재(145e-4)는 링크유닛의 펼침작동시 가압판(145e-1)이 본체유닛(140a)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링크유닛의 접힘작동시 가압판(145e-1)이 본체유닛(140a)의 하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어, 가압판(145e-1)에 연결된 테이퍼블럭유닛(144e)으로 하여금 밸런스블럭(142e)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랙기어(143e)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43b)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회동유닛(140b)의 회전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밸런스조정부재(145e-4)는 회동유닛(140b)의 작동시 회동유닛(140b)에 연결된 밸런스블럭(142e)부재과 테이퍼블럭유닛(144e)이 가압판(145e-1)을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판(145e-1)이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테이블(130)에 환자가 누워있을 때, 환자의 측면부분을 촬영하고자 할 때, 디텍터각도조정부(140)는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위치된다. 도 7에는 도 3(a)에 도시된 디텐터각도조정부의 종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유닛(140d)이 접힘상태일때, X선디텍터(120)는 본체유닛(140a)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된다. 링크유닛(140d)이 접힘상태일 때, 밸런스블럭(142e)은 한쌍의 가이드부재(141e)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제 1 회전바퀴(144e-2)는 밸런스블럭(142e)의 하향만곡된 면(142e-1)의 하부에 맞닿게 위치된다.
제 1 회전바퀴(144e-2)가 테이퍼블럭(144e-4)을 스프링유닛(145e)이 있는 쪽으로 밀어내면, 테이퍼블럭(144e-4)은 제 2 회동축(144e-1)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 2 회전바퀴(144e-3)가 테이퍼블럭(144e-4)의 제 2 접촉면을 따라 제 2 회동축(144e-1)에 인접하게 제 2 회전바퀴(144e-3)를 밀어내면, 제 2 회전바퀴(144e-3)가 가압판(145e-1)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145e-3)은 가압판(145e-1)에 의해 압축되면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의 힘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테이블(130)에 환자가 누워있을 때, 환자의 측면을 비스듬히 촬영하고자 할 때, 디텍터각도조정부(140)는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된다. 도 8에는 도 3(b)에 도시된 디텐터각도조정부의 종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테이블(130)에 환자가 누워있을 때, 환자가 누워있는 부분을 촬영하고자 할 때, 디텍터각도조정부(140)는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촬영스탠드(11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된다. 도 9에는 도 3(c)에 도시된 디텐터각도조정부의 종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디텍터(120)가 촬영스탠드(110)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장착된 손잡이부(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각도조정부(140)가 진단테이블(130)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각도조정부(140)가 진단테이블(13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본체(141b)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X선디텍터(120)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에 의해 전진이동하고,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의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 연결된 제 2 링크바(144d)가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기준링크바(142d)에 대해 제 1 링크바(143d)를 잡아당기도록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밸런스유닛(140e)이 작동된다.
이때, 밸런스유닛(140e)은 밸런스조정부재(145e-4)가 가압판(145e-1)을 본체유닛(140a)의 상부를 향해 밀어내도록 작동된다. 밸런스조정부재(145e-4)의 작동에 의해 가압판(145e-1)이 압축스프링(145e-3)을 이완토록 움직이는 과정에서, 가압판(145e-1)이 테이퍼블럭(144e-4)의 제 2 접촉면에 대해 제 2 회전바퀴(144e-3)를 밀어올리면, 제 2 회전바퀴(144e-3)가 테이퍼블럭(144e-4)의 제 2 접촉면에서 회전되면서 테이퍼블럭(144e-4)이 제 2 회동축(144e-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회전바퀴(144e-2)를 향해 기울어지게 작동된다.
테이퍼블럭(144e-4)이 제 1 회전바퀴(144e-2)를 향해 기울어지면, 제 1 회전바퀴(144e-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 회전바퀴(144e-2)에 맞닿게 위치된 밸런스블럭(142e)이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40a)의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이동된다.
밸런스블럭(142e)이 하부로 슬라이딩이동되면, 피니언기어(143b)는 랙기어(143e)에 맞물려져 밸런스블럭(142e)의 위치에 따라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밸런스유닛(140e)을 통해 디텍터각도조정부(140)의 회전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c)에 도시된 펼침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접힘상태가 될 때의 디텍터각도조정부(14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디텍터(120)가 촬영스탠드(110)에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본체(14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X선디텍터(120)가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에 의해 후진이동한다.
전후슬라이딩유닛(140c)의 후진이동에 의해, 전후슬라이딩부재(142c)에 연결된 제 2 링크바(144d)가 기준링크바(142d)에 대해 제 1 링크바(143d)가 접히도록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밸런스유닛(140e)이 작동된다.
밸런스유닛(140e)은 밸런스조정부재(145e-4)가 가압판(145e-1)을 본체유닛(140a)의 하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밸런스조정부재(145e-4)의 작동에 의해 가압판(145e-1)이 압축스프링(145e-3)을 압축토록 움직이면, 제 2 회전바퀴(144e-3)는 회전되면서 테이퍼블럭(144e-4)을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어 제 1 회전바퀴(144e-2)로 하여금 밸런스블럭(142e)을 밀어올리도록 작동된다.
즉, 밸런스블럭(142e)이 상부로 슬라이딩이동된 후 밸런스블럭(142e)이 본체유닛(140a)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면, 밸런스블럭(142e)의 랙기어(143e)에 연결된 피니언기어(143b)도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밸런스블럭(142e)의 위치에 따라 피니언기어(143b)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밸런스유닛(140e)을 통해 디텍터각도조정부(140)의 회전시 디텍터각도조정부(140)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어, 동일한 환자의 여러 부위를 여러 상태로 촬영하여야 할 경우, 종래와 같이 환자를 이동시키고, 여러 번의 동작을 거쳐 진단용 테이블 및 X선디텍터(1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환자를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도 한 번의 동작으로 원하는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110: 촬영스탠드 115: 상하슬라이딩부
120: X선디텍터 130: 진단테이블
140: 디텍터각도조정부 140a: 본체유닛
140b: 회동유닛 141b: 회동본체
142b: 제 1 회동축 143b: 피니언기어
140c: 전후슬라이딩유닛 141c: 가이드레일부재
142c: 전후슬라이딩부재 140d: 링크유닛
141d: 링크고정블럭 142d: 기준링크바
143d: 제 1 링크바 144d: 제 2 링크바
140e: 밸런스유닛 141e: 가이드부재
142e: 밸런스블럭 143e: 랙기어
144e: 테이퍼블럭유닛 144e-1: 제 2 회동축
144e-2: 제 1 회전바퀴 144e-3: 제 2 회전바퀴
144e-4: 테이퍼블럭 144e-5: 테이퍼가이드부재 145e: 스프링유닛 145e-1: 가압판
145e-2: 가이드봉 145e-3: 압축스프링
145e-4: 밸런스조정부재 140f: 스토퍼유닛
141f: 스토퍼홀 142f: 스토퍼지지블럭
143f: 스토퍼부재 150: 손잡이부

Claims (9)

  1. X선디텍터;
    상기 X선디텍터에 연결된 상하슬라이딩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촬영스탠드;
    상기 X선디텍터와 상기 상하슬라이딩부 사이에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X선디텍터와 상기 촬영스탠드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 상기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디텍터각도조정부; 및
    상기 디텍터각도조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촬영스탠드에 대한 상기 X선디텍터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각도조정부는,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에 결합된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면에 상기 손잡이부가 부착된 회동유닛;
    상기 X선디텍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유닛의 다른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X선디텍터가 상기 본체유닛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작동되는 전후슬라이딩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전후슬라이딩유닛 사이에 2단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전후슬라이딩유닛의 전진슬라이딩이동시 펼쳐지고, 후진슬라이딩이동시 접혀지면서 상기 X선디텍터를 지지하는 링크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X선디텍터의 힘 균형을 조정하는 밸런스유닛; 및
    상기 회동유닛과 상기 본체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일단이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된 기준링크바;
    일단이 상기 기준링크바의 타단에 힌지연결된 제 1 링크바;
    일단이 상기 제 1 링크바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슬라이딩유닛에 결합된 제 2 링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바와 상기 제 2 링크바는 상기 기준링크바에 대해 2단 링크구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부에 상기 전후슬라이딩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일면에 상기 손잡이부가 설치된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와 상기 본체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1 회동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밸런스유닛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유닛은,
    상기 제 1 회동축에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내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부재;
    일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기어결합된 랙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랙기어의 작동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밸런스블럭;
    상기 밸런스블럭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유닛; 및
    상기 밸런스블럭과 상기 스프링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밸런스블럭의 상하이동시 시소운동하는 테이퍼블럭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의 펼침작동시, 압축스프링이 이완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테이퍼블럭유닛에 의해 상기 밸런스블럭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유닛의 접힘작동시, 상기 압축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테이퍼블럭유닛에 의해 상기 밸런스블럭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랙기어의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회동유닛의 회전시 상기 디텍터각도조정부의 힘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블럭은 상기 테이퍼블럭유닛과 접촉되는 면이 하향만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블럭유닛은,
    상기 밸런스블럭과 상기 스프링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회동축;
    상기 밸런스블럭의 하향만곡된 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회전바퀴;
    상기 제 1 회전바퀴와 이격되고 상기 스프링유닛에 접하도록 위치된 제 2 회전바퀴;
    상기 제 1 회전바퀴와 접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제 2 회전바퀴와 접하는 제 2 접촉면이 부채꼴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회전바퀴와 상기 제 2 회전바퀴에 맞닿게 상기 제 2 회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테이퍼블럭; 및
    상기 제 1 회전바퀴와 상기 제 2 회전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회전바퀴와 상기 제 2 회전바퀴를 상기 테이퍼블럭에 대해 시소구조로 연결하는 테이퍼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유닛은,
    상기 제 2 회전바퀴와 맞닿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설치된 가압판;
    일단이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바닥면에 결합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가이드봉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의 가압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탄성운동하는 상기 압축스프링; 및
    상기 가압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의 위치를 조종토록 작동되는 밸런스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조정부재는 상기 링크유닛의 펼침작동시 상기 가압판이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링크유닛의 접힘작동시 상기 가압판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스토퍼홀;
    상기 회동본체의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지지블럭; 및
    상기 스토퍼지지블럭에 연결되고, 누름작동시 상기 복수의 스토퍼홀 중 어느 하나의 스토퍼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본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KR1020150073953A 2015-05-27 2015-05-27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KR10175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53A KR101758059B1 (ko) 2015-05-27 2015-05-27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53A KR101758059B1 (ko) 2015-05-27 2015-05-27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14A KR20160139314A (ko) 2016-12-07
KR101758059B1 true KR101758059B1 (ko) 2017-07-14

Family

ID=5757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953A KR101758059B1 (ko) 2015-05-27 2015-05-27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77Y1 (ko) * 2019-03-28 2019-12-16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KR200490678Y1 (ko) * 2019-03-28 2019-12-16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WO2020153692A1 (ko) * 2019-01-23 2020-07-30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3040B (zh) * 2017-11-22 2021-05-11 毕晓旺 一种ct科用ct探头安放设备
KR101965574B1 (ko) * 2019-03-12 2019-04-04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KR102577025B1 (ko) * 2022-11-30 2023-09-11 기드온시스템주식회사 휴대용 엑스레이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17B1 (ko) 2009-02-23 2010-07-06 (주)신영포엠 회동가능한 x선 촬영 스탠드를 갖는 의료용진단기기
KR101110696B1 (ko) * 2011-05-02 2012-02-24 동강의료기(주) 엑스선 촬영장치용 디텍터의 회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17B1 (ko) 2009-02-23 2010-07-06 (주)신영포엠 회동가능한 x선 촬영 스탠드를 갖는 의료용진단기기
KR101110696B1 (ko) * 2011-05-02 2012-02-24 동강의료기(주) 엑스선 촬영장치용 디텍터의 회전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92A1 (ko) * 2019-01-23 2020-07-30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KR200490677Y1 (ko) * 2019-03-28 2019-12-16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KR200490678Y1 (ko) * 2019-03-28 2019-12-16 한용해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14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59B1 (ko) 슬라이드구조를 가진 의료기기용 스탠드
US5386447A (en) Mammographic screening and biopsy apparatus
US4854301A (en) Endoscope apparatus having a chair with a switch
US6848826B2 (en) Mam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JP6749322B2 (ja) マンモグラフィ/トモシンセシスx線システムのための枢動パドル装置
JP2006239126A (ja) X線診断装置
JP2007519451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N107961503B (zh) 一种上肢镜像训练设备
CN108852473B (zh) 一种穿刺手术系统
US10070835B2 (en) X-ray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sitioning assemblies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JP4667089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撮影台
KR20180077989A (ko) 의료기기
WO2010100625A1 (en) Radiological apparatus
JP7123862B2 (ja) 医療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044622B (zh) 一种耳内镜手术支架
US11986335B2 (en) Dental imaging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movable seat arrangement
CN110123357A (zh) 乳腺钼靶检查用压迫装置
KR20190092001A (ko) 엑스선 영상장치
CN114947986A (zh) 一种肾内科检查装置
WO2009096899A1 (en) Variable angle limb support
CN215994668U (zh) 医学影像检查床
US20190313988A1 (en) Adjustable lower shelf on an x-ray unit
CN219397303U (zh) 带多角度调整接收器的可移动拍片机
JP5806847B2 (ja) 放射線画像撮像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像装置の作動方法
CN115067867A (zh) 一种可视化探查的妇科阴道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