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583B1 -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583B1
KR101757583B1 KR1020160030823A KR20160030823A KR101757583B1 KR 101757583 B1 KR101757583 B1 KR 101757583B1 KR 1020160030823 A KR1020160030823 A KR 1020160030823A KR 20160030823 A KR20160030823 A KR 20160030823A KR 101757583 B1 KR101757583 B1 KR 10175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infrared
spac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민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3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공간에서의 터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신뢰성 높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는 도광판; 도광판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및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것인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Space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근거리 공간에서의 터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신뢰성 높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직관적이고 간편한 입력 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부분에서 채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멀티터치와 같은 다양한 응용 입력방식을 구현하는 데 보다 유리한 정전용량 방식이 시장에서 더 큰 호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몸에 있는 정전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사람이 손가락 등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때에 상기 정전기를 터치스크린의 전극영역에서 검출함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한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하고 있는 각종 기기의 스크린 크기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어 다양한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형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등에도 터치패널방식의 입력방식이 응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가 비교적 먼 상태에서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직접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입력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에서의 터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신뢰성 높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는 도광판;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및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한다.
적외선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일 수 있다.
도광판은 하면에 방사적외선을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는 메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일 수 있다.
공간터치영역은 도광판으로부터 수직거리가 5 내지 1,0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광판, 도광판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 및 도광판의 하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센서; 및 도광판의 하면에 인접한 화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도광판의 상면에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은 도광판의 하면에 방사적외선을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 및 적외선 수광부의 배선은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는 x축 방향의 센싱전극 및 y축 방향의 센싱전극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이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하여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도 터치가 가능하여 성능이 우수해지고, 단순한 공정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하여 저비용의 신뢰성 높은 터치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100)는 도광판(110); 도광판(110)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120); 및 도광판(1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발광부(120)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L1)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110)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L4)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130);를 포함한다.
도광판(110)은 광을 가이드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발광부(12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공간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영역인 공간터치영역으로 가이드하여 방출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공간터치영역은 공간에서 물체(O)를 센싱하여 물체(O)로 인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도 1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도광판(110)의 상면에 형성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공간터치영역이 도광판(110)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상면, 하면,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달리 공간터치영역은 도광판(110)의 하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공간터치영역에 물체(O)가 위치하면 물체(O)를 센싱하여 터치여부 및 터치위치를 공간터치센서(100)가 감지한다. 공간터치영역은 적외선 발광부(120)의 적외선 방사특성이나 적외선의 특성, 적외선 수광부(130)의 수광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100)의 공간터치영역은 도광판(110)으로부터 수직거리(l)가 5 내지 1,0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100)는 공간터치센서(100)로부터 근접한 터치의 감지에 특히 유용하다.
도광판(110)은 측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광부(120)로부터의 적외선을 도광판(110)의 상부방향으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판으로서, 투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도광판(110)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광투과율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10)은 플라스틱 판의 일면에 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판의 하부면에 경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패턴이 형성되거나 일면에 반사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도광판(110)의 일면에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적외선을 상부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내용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기로 한다.
적외선 발광부(120)는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광부(120)는 도광판(110)으로 적외선을 방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외선 발광부(120)는 도광판(110)의 좌측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적외선 발광부(120)는 도광판(110)의 4 측면 중 어느 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든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적외선 발광부(120)가 도광판(110)의 측면에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도광판(110)을 통해 외부로 수직 방출되는 적외선의 비율이 높아져 공간터치센서(100)의 감도가 높아진다. 대면적 터치센서의 경우, 측면에 적외선 발광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형의 고감도 공간터치센서의 구현이 가능하다.
적외선 발광부(120)에서 발광되어 도광판(110) 내부로 진입된 방사적외선(L1)은 도광판(110)의 내부에서 내부적외선(L2)으로서 이동하다 도광판(110)의 표면에서 방출적외선(L3)으로 외부로 방출된다. 방출적외선(L3)은 공간터치영역에 위치하는 물체(O)에 반사되어 도광판(110)으로 복귀적외선(L4)으로서 복귀한다. 복귀적외선(L4)은 도광판(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수광부(130)에 수광되게 되고, 적외선 수광부(130)에 의해 물체(O)의 존재여부 및 위치가 감지되어 물체(O)에 의한 공간터치가 인식된다.
적외선 수광부(130)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일 수 있다. 적외선 수광부(130)가 포토다이오드인 경우, 공간터치영역의 수직거리(l)가 작아지나 포토다이오드의 단가가 낮아 적외선 수광부(130)를 도광판(110)의 표면에 많이 구현할 수 있어 동일비용으로 센싱감도는 높일 수 있다. 즉, 포토다이오드일 경우, 근접거리에서의 공간터치에 대한 효율이 높아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200)는 도광판(210), 적외선 발광부(220) 및 적외선 수광부(230)를 포함하고, 이들에 대하여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도광판(210)은 반사부(240)를 포함한다. 반사부(240)는 도광판(210)의 일면에 위치하여 방사적외선(L1)을 도광판(210)의 외부로 방출시킨다. 특히 반사부(240)는 방사적외선(L1)을 방출시킬 때 수직으로 방출시켜 공간터치영역에 수직하게 방출적외선(L3)을 방출시킬 수 있다. 반사부(240)는 도광판(210)의 상면이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는데, 공간터치영역이 도광판(210)의 상면에 위치하면, 도광판(210)의 하면에 위치하여 도광판(210)의 상면으로 방출적외선(L3)을 수직으로 방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240)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반사부(240)는 적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금속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반사부(240)는 유기물 내에 적외선을 반사킬 수 있는 무기물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반사부(240)는 복수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반사부(240)는 복수개의 금속층으로 구현되거나, 유무기 반사층과 금속층이 2이상 교번하여 적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단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센서(300)는 도광판(310), 적외선 발광부(320) 및 적외선 수광부(330)를 포함하고, 이들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300)의 반사부(340)는 메쉬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340)가 메쉬패턴인 경우, 도광판(310)은 내부적외선(L2)을 효과적으로 수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반사부(240)가 도 2에서와 같이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도 3에서와 같이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면 공간터치센서(300)의 센싱감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미도시)의 일측면에 적외선 발광부(320)가 위치하고, 하면에 메쉬패턴으로 형성된 반사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광판(310)의 상면에 적외선 수광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적외선 수광부(330)는 배선(331)으로 연결되어 있다.
반사부(340)가 메쉬패턴으로 형성된 경우, 공간터치센서(100)의 센싱감도가 증가되는 효과 이외에 메쉬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부(340)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센서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터치센서는 도광판의 하면에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즉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는 도광판의 반사부 기능을 수행한다.
도광판의 반사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간터치센서는 공간에서의 터치와 도광판 표면에서의 터치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공간터치센서는 근접거리에서의 터치는 적외선 수광부를 통해 감지하고, 표면에서의 직접적인 터치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간터치센서에서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적외선 발광부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직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는 도 6에서와 같이 x축 방향의 센싱전극(441) 및 y축 방향의 센싱전극(442)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수광부와 정전용량식 터치센서의 각 센싱전극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외선 수광부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의 x축 방향의 센싱전극(441) 및 y축 방향의 센싱전극(442)이 형성되지 않은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광판, 도광판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에 인접하는 상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 및 도광판의 하면에 위치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센서(510); 및 도광판의 하면에 인접한 화상표시부(520);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에서 화상표시부(520)를 조작하기 위하여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에 접근하여 공간터치센서(510)의 표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공간터치센서(510)의 정전용량식 터치센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명령을 입력받는다(제1방식).
두번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의 공간터치영역 내로 진입하여 공간터치영역에서 화상표시부(620)의 화상을 참조하여 공간을 터치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적외선 발광부가 방사한 방사적외선을 도광판이 공간터치영역으로 방출하고, 방출된 방출적외선(L3)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반사되어 적외선 수광부가 복귀적외선(L4)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고 명령이 입력된다(제2방식).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표면으로 접근하는 동안에는 공간터치센서가 작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접근에 대한 공간터치감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의 표면에 터치를 수행하면 표면터치감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는 공간터치 및 표면터치를 모두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간터치 및 표면터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두가지 방식 중 어떤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공간터치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소정시간이 지난 후 표면터치감지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공간터치감지 데이터를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하고 명령을 수행한다. 공간터치감지 데이터가 수신되고 소정시간 내에 표면터치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표면터치감지 데이터를 사용자의 명령으로 인식하고 명령을 수행한다. 제어부가 대기하는 시간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500)의 공간터치영역의 면적이나 수직거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방식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사용자에 비해 크지 않고, 단일 또는 소수의 사용자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에 접근하여 직접 화면을 터치할 수 있을때 유용한 터치방식이다. 이와 달리 제2방식은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매우 크거나 공공장소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초근접 사용이 어려운 경우 근거리에서 터치입력을 하기 위한 방식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가지 방식의 터치가 모두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면적이나 디스플레이의 사용상태 등에 따라 효율적인 터치가 가능하고 거리에 따라 센싱감도를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어 제품신뢰성이 향상된 공간터치센서 및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적외선을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도광판의 상면에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도광판을 통해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도광판으로 복귀한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의 하면에 방사적외선을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에서는 도광판을 준비하고 적외선 발광부를 도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도광판의 일면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적외선 수광부를 형성하고, 타면에는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물질을 도포하여 반사부를 형성한다. 반사부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사부를 메쉬패턴으로 하는 경우, 반사부와 적외선 수광부의 배선은 금속프틴팅 등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반사부는 x축 방향의 센싱전극 및 y 축 방향의 센싱전극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부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공간터치센서 110, 210, 310 도광판
120, 220, 320 적외선 발광부 130, 330 적외선 수광부
240, 340 반사부 331 적외선 수광부 배선
441 x축 방향의 센싱전극 442 y축 방향의 센싱전극
500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510 공간터치센서 520 화상표시부
L1 방사적외선 L2 내부적외선
L3 방출적외선 L4 방사적외선
O 물체

Claims (11)

  1.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상기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상기 도광판으로 복귀한 것인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하면에 상기 방사적외선을 상기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정전용량형 터치센서인 공간터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인 공간터치센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메쉬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공간터치센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터치영역은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수직거리가 5 내지 1,000 mm인 공간터치센서.
  7. 도광판,
    상기 도광판 적어도 일측면에서 적외선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상기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상기 도광판으로 복귀한 것인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 및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위치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센서; 및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인접한 화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공간터치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8.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적외선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방사하는 적외선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통해 방사된 방사적외선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상기 도광판의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방출되었다가 공간터치에 의해 상기 도광판으로 복귀한 것인 복귀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상기 방사적외선을 상기 공간터치영역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정전용량 터치센서인 것인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 및 상기 적외선 수광부의 배선은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인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x축 방향의 센싱전극 및 y축 방향의 센싱전극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공간터치센서 제조방법.
KR1020160030823A 2016-03-15 2016-03-15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23A KR101757583B1 (ko) 2016-03-15 2016-03-15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23A KR101757583B1 (ko) 2016-03-15 2016-03-15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583B1 true KR101757583B1 (ko) 2017-07-12

Family

ID=5935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23A KR101757583B1 (ko) 2016-03-15 2016-03-15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5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3392B2 (en) Apparatus for sensing pressure using optical waveguide and method thereof
US865956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EP2419812B1 (en)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EP284350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ximity touch function
US8624876B2 (en) Display device hav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JP5323987B2 (ja) ユーザ入力オブジェクトのサイズ及び/又は方位角を検出し且つそれに応答する電子デバイス用ディスプレイ
US8803845B2 (en) Optical touch input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reference in the same
US20100123665A1 (en) Displays for Mobile Devices that Detect User Inputs Using Touch and Tracking of User Input Objects
WO2010044810A1 (en) User input displays for mobile devices
KR101232596B1 (ko) 적층형 구조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01468U (ko) 터치 패널
US20240118771A1 (en) Contactless touch input system
CN104205028B (zh) 具有弯曲边界和倾斜边框的基于光的触摸表面
WO2020124777A1 (zh) 悬浮触控显示装置及悬浮触控方法
TWI454983B (zh) 電子裝置及其觸控模組
US20140111478A1 (en) Optical Touch Control Apparatus
KR101757583B1 (ko) 공간터치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278761A (zh) 感测2d触摸和3d触摸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9760197B2 (en) Touch window with sensor member
CN106293273B (zh) 触控基板和触控显示装置
KR20160129497A (ko) 이엠알 터치 센서와 적외선 터치 센서를 갖는 좌표검출장치
CN109804338B (zh) 用于探测物体接近的电子器件、方法
JP2015095210A (ja) 操作入力装置
KR20150049106A (ko) 이중 스캔 구조를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법
KR20240056232A (ko) 회전 타입 렌즈가 구비된 물체의 위치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