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398B1 -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398B1
KR101757398B1 KR1020160058377A KR20160058377A KR101757398B1 KR 101757398 B1 KR101757398 B1 KR 101757398B1 KR 1020160058377 A KR1020160058377 A KR 1020160058377A KR 20160058377 A KR20160058377 A KR 20160058377A KR 101757398 B1 KR101757398 B1 KR 10175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association test
keyword
implicit association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준상
복상용
정언용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Abstract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 Implemented Method)로서, (a)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근거하여,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고,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와 상기 측정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 간을 비교하여, 연결 강도 간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무 관련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TRESS CAUSAL FACTOR USING IMPLICIT ASSOCIATION TES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무의식적 측정 기법을 사용하여 진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2014년 관광 서비스 R&D 지원 사업의 연구결과로서 수행되었다(This research is suppor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and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KCTI) Research & Development Program 2014.)
스트레스는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불면증, 피로감 등의 형태로 나타나 일상 생활 전반에 걸쳐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은 물론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개인의 건강은 물론 조직의 성과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회사 또는 조직 내에서의 직무 수행과 관련하여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4년 기준 직업의 종류를 살펴보면, 한국 11,440개, 일본 25,000개, 미국 30,654개로 추산되고 있다(2015 한국직업사전). 이와 같이 다양한 직업의 종류에 비하여 전통적인 스트레스 관련 교육, 훈련 프로그램은 직무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one-size-fits-all)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즉, 전통적인 스트레스 대응 교육 훈련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의 원인에 따른 처치가 아니라, 스트레스 발생 후 스트레스의 정신적, 신체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명상, 긍정적 사건 생각하기, 휴식 등과 같은 사후 조치와 같은 스트레스 관리법이 주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스트레스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파악된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이 스트레스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Implicit Association Test : IAT)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무 특성 별로 근본적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규명하여 제공함으로써 직무에 특화된 스트레스 관리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응답(socially desirable responses)과 같은 의식의 관여를 배제하여, 직무 특성 별로의 근본적 스트레스 유발 요인 파악에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 Implemented Method)로서, (a)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근거하여,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고,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와 상기 측정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 간을 비교하여, 연결 강도 간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무 관련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직무 관련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직무 관련 키워드는, 조직원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로서 입력된 복수 개의 직무 관련 단어들을 의미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그룹핑 처리한 후, 빈도수가 높은 단어 순서로 사전 설정된 개수의 단어로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가,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통해서 상기 조직원이 상기 조직원 자신과는 무관한 타인의 관점 또는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관점에서 해당 키워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 조작된 상태로 프라이밍(Priming)되어 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직무 상황에서의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무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가,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통해서 상기 조직원 자신의 관점 또는 상기 조직원 자신의 직무 상황에서의 관점에서 해당 키워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 조작된 상태로 프라이밍(Priming)되어 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강도 간의 변화의 정도가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 분류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직무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의식의 수준이 아닌 무의식 수준에서 찾아냄으로써, 직무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정교하게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무 특성 별로 파악된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따라서 직업의 특성에 특화된 스트레스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프로세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순서도에 따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일반적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직무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에 관한 개념 원리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는 무의식적 심리 측정 방법으로서, 자극(stimuli)과 자극의 감정(긍정, 부정)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전통적으로 의식 영역에서 자기 응답식으로 진행되는 측정방법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socially desirable way)으로의 응답, 인지적 편향(cognitive bias)의 영향 등을 피할 수 없어 테스트 결과의 설명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반면,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는 주어진 자극과 자극과 연결된 개념간의 연결 강도를 응답 시간으로 측정하는 무의식적 측정 방식으로서 기존의 측정방법이 갖고 있던 의식의 관여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 방법이다.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는 인간의 두뇌(brain)가 연상 네트워크(associative network)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연상 네트워크란 대상(object) 또는 자극의 속성(긍정, 부정)이 유사한 개념 간의 연결 강도가 그렇지 않은 대상이나 자극과 대비할 때 연관도 높은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상 네트워크란 기억의 접근성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자극이 긍정적으로 인지되었을 경우, 긍정과의 연결강도가 높은 기억들의 접근성(연상)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출된(withdrawn) 기억은 긍정으로 편향(bias) 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보에 대한 결과적인 평가 및 판단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긍정은 긍정을 연상시키고 부정은 부정을 연상시킨다는 것이 연상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이다.
또한, 태도와 행동에 있어 일관성의 결여는 소비자 행동, 조직행동 등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다뤄져 왔다. 특히, 태도는 행동의 예측변수(Predictor)로서 작용하며, 긍정적 태도는 긍정적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가 보고 되었다(Ajzen, I., & Sexton, J. (1999). Depth of processing, belief congruence, and attitude-behavior correspondence. Dual-Process Theories in Social Psychology). 이러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연구된 분야가 이중적 태도(Dual Attitudes)이다. 이중적 태도는 태도가 하나의 구성개념(construct)이 아닌 외재적 태도(Explicit Attitude)와 내재적 태도(Implicit Attitude)로 나뉘어져 있으며, 외재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의 차이가 상황적 변수의 개입 강도의 영향을 받아 결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하고 있다(Gawronski, B., & Bodenhausen, G. V. (2006). Associative and propositional processes in evalu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 change. Psychological Bulletin, 132(5), 692-731).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조직에 있어 조직원의 태도는 기업의 성과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즉,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원의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성과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조직은 조직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교육, 훈련 등의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성은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Van Der Klink, J. J. L., Blonk, R. W. B., Schene H., A., & Van Dijik, F. J. H. (2001). The benefits of interventions for work related stres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2), 270-276). 전통적인 교육, 훈련은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일반적인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사후 처리에 관한 것으로 직무 스트레스 발생의 원인에 기인한 스트레스의 정성적 차이까지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조직의 특성, 업무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의 개념을 직무 특성 별 스트레스 원인의 파악에 활용함으로써,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의식의 관여로 인한 결과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스트레스 원인의 파악을 보다 정교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프로세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순서도에 따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일반적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직무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순서도를 기준으로 도 2 ~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단계 S100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에서는 직무와 관련된 특정 키워드를 도출한다. 여기서, 직무와 관련된 키워드는 조직원의 평소 업무와 관련된 것으로서, 그 단어의 형태(예를 들어, 명사, 동사, 형용사 등)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아도 무방하다.
직무와 관련된 키워드의 추출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해당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조직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묘사하는 단어를 자유 기술 형으로 나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도출된 직무 관련 단어들은 도 2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에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직무 관련 단어들은 도 2의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직무 관련 단어들은 직무 별로 구분되어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고, 혹은 그 직무와 관련하여 사전에 설정해둔 상위 개념의 업무 속성 별로 재분류된 후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1차 도출된 직무 관련 단어들을 저장하는 방식은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도출된 직무 관련 단어들이 입력되면,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0)(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류부(134) 참조)는 1차 도출된 복수 개의 직무 관련 단어들을 의미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그룹핑(Grouping) 한 후, 빈도수가 높은 단어 순서로 정렬하고, 그 중 일정 수(예를 들어,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상위 10개 등)의 단어를 향후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에 사용할 직무 관련 키워드로서 추출(선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에는 직무 별로 추출된 직무 관련 키워드가 예시되고 있다.
직무 직무 관련 키워드 추출 예
일반사무직 보고서 작성, 출장, 회의참석, 잔업, 일정관리, 거래처 관리
서비스직 고객상담, 피곤함, 진상고객, 참을성, 봉사, 희생
도 1의 단계 S200을 참조할 때, 앞선 단계를 통해 직무 관련 키워드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0)(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부(132) 참조)는, 추출된 직무 관련 키워드들에 대해서 직무 상황이 아닌 일반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직무 관련 특정 키워드에 대해서, 본 단계에서의 측정 결과는 직무 외적인 상황(일반적 상황)에서 해당 키워드가 긍정과의 연결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즉, 해당 키워드에 대하여 긍정적인 감정이 높았으나), 도 1의 단계 S300에서의 측정 결과는 직무 상황에서 해당 키워드가 부정과의 연결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면, 그 키워드는 직무와 관련하여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직무 외적인 상황(즉, 일반적 상황)에서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직무 상황에서의 해당 키워드에 대한 긍정-부정 연결 강도와 대비하여 그 연결 강도 간에 차이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향후 추출(후술할 도 1의 단계 S500 참조)해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무 관련 스트레스 유발 요인과 관련된 키워드의 추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본 단계(도 1의 단계 S200)를 통한 일반적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IAT General)를 실시하기 전에[도 3의 단계 S240 참조], 테스트 받는 조직원이 그 키워드를 일반적인 맥락 또는 타인의 관점에서 해석(인지)될 수 있도록 프라이밍(Priming)을 실시할 수 있다[도 3의 단계 S220 참조]. 여기서, 프라이밍이란, 목표 개념을 직접적(의식 수준)으로 노출하지 않으면서 관련 개념의 접근성을 높이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해당 조직원에게 자신이 아닌 일반적인 직장인의 하루 일과를 묘사하도록 하여, IAT에서 제시되는 단어들에 대한 자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아지도록 조작하는 등의 방식이 그 예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채용하게 되면, 일반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키워드를 의식적으로 자신의 직무와 관련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측정의 오류(편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밍을 실시한 상태에서 결과로서 도출된 특정 키워드와의 긍정-부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에 입력되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일반적 상황에서의 특정 키워드와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의 단계 S300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0)(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부(132) 참조)는, 추출된 직무 관련 키워드들에 대해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한다. 즉, 도 1의 단계 S200에서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특정 키워드와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였던 방식을, 본 단계에서는 직무 상황으로 바꿔서 동일 키워드에 대한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된 직무 관련 특정 키워드에 대해서, 본 단계에서의 측정 결과는 직무 상황에서 부정과의 연결 강도가 높았으나, 직무 외적인 상황(일반적 상황)에서는 부정과의 연결 강도가 감소하거나 긍정과의 연결 강도가 높아진다면, 그 키워드는 직무와 관련하여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IAT 실시[단계 S340 참조] 이전에 프라이밍[단계 S320 참조]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 S320에 따른 프라이밍은, 앞서 설명한 도 3의 단계 S220의 프라이밍에서와 반대로, IAT를 실시할 특정 키워드가 직무 상황인 맥락 또는 자기 자신의 관점에서 해석(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자기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는 일상적인 상황 또는 직무 상황에 대하여 묘사하도록 함으로써, 제시되는 키워드와 자신과의 관련성 또는 자신의 직무와의 관련성이 높아지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단계 S200(IAT General) 및 단계 S300(IAT Specific)을 거쳐, 각각 일반적인 상황과 직무 상황에서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긍정-부정 연결 강도가 측정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30)(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부(132) 참조)는, 동일 키워드에 대한 일반적 상황에서와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비교한다[도 1의 단계 S400 참조].
이에 따라, 양자가 서로 다른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 프로세서(130)(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류부(134) 참조)는 그 서로 다른 결과로서 나타나는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 분류한다[도 1의 단계 S500 참조]. 이와 반대로, 양자가 통계적으로 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키워드는 제거(혹은, 스트레스 유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도 1의 단계 S520 참조]. 이러한 비교 및 분류 결과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100)의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서 해당 결과를 요청하는 장치, 단말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 Implemented Method)로서,
    (a)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된 결과 데이터에 근거하여,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고, 직무 관련 키워드에 관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측정된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와 상기 측정된 직무 상황에서의 긍정-부정 연결 강도 간을 비교하여, 연결 강도 간의 변화를 나타내는 직무 관련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직무 관련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직무 관련 키워드는, 조직원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로서 입력된 복수 개의 직무 관련 단어들을 의미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그룹핑 처리한 후, 빈도수가 높은 단어 순서로 사전 설정된 개수의 단어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가,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통해서 상기 조직원이 상기 조직원 자신과는 무관한 타인의 관점 또는 직무 외적 상황에서의 관점에서 해당 키워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 조작된 상태로 프라이밍(Priming)되어 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직무 상황에서의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무 상황에서의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직무 관련 키워드가, 상기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통해서 상기 조직원 자신의 관점 또는 상기 조직원 자신의 직무 상황에서의 관점에서 해당 키워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 조작된 상태로 프라이밍(Priming)되어 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 강도 간의 변화의 정도가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으로 분류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 해당 키워드를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6.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시스템.
KR1020160058377A 2016-05-12 2016-05-12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75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77A KR101757398B1 (ko) 2016-05-12 2016-05-12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77A KR101757398B1 (ko) 2016-05-12 2016-05-12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398B1 true KR101757398B1 (ko) 2017-07-12

Family

ID=5935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77A KR101757398B1 (ko) 2016-05-12 2016-05-12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1773A1 (en) 2007-02-16 2014-08-07 Bodymedia, Inc. Determining a continuous duration that an individual has been in the stress-related st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1773A1 (en) 2007-02-16 2014-08-07 Bodymedia, Inc. Determining a continuous duration that an individual has been in the stress-related st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A meta‐analysis on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in South Korea (2000–2020)
King et al. Social desirability bias: A neglected aspect of validity testing
Kula et al. Influence of Supervisor Support on Job Satisfaction Levels: An Evaluation of Turkish National Police (TNP) Officers in the Istanbul Police Department.
Davis et al. Relational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Appraisals that may hinder forgiveness.
Wrigh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in career search activities: a structural model
Gutiérrez et al. Meta-analysis and scientific mapping of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KR20170137514A (ko) 심리측정 데이터 기반 개인 신용평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103335A1 (en) Success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CA3020921A1 (en) Query optimizer for combine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records
Vagharseyyedin et al. The role of workplace social capital,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affective organisational commitment of a sample of Iranian nurses
Cengiz et al. The effect of mobbing in workplace on professional self-esteem of nurses
Dezaki et al. Life satisfaction of veteran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redictive role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alexithymia
Kamalanabhan et al. Evaluation of entrepreneurial risk-taking using magnitude of loss scale
KR101757398B1 (ko) 내재적 연관성 테스트를 이용한 스트레스 유발 요인 추출 방법 및 시스템
Happ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dimensions of work-life balance and work engagement: A study on faculty members of private universities in Dhaka, Bangladesh
Beck et al. The use of public attitude surveys: what can they tell police managers?
Allameh et al.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role clarity effects o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front line employees (studied on the clerks of the Keshavarzi Bank in the province of Chaharmahal-E-Bakhtiary)
Zahedi et al. Employing data mining to explore association rules in drug addicts
Marznaki et al.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leave profession in Iran
Patel Race and employee engagement in a diversified South African retail group
Nurwisda et al. The Influence of Work Motivation,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Izedi et al. The correlation of nurses' job burnout and their social responsibility considering the role of control locus
Fowler et al. Study protocol for the evaluation o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Martins et al. Validating a theoretical model of organisational culture and occupational health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erdinandov A multi-axial model of meta-emotional functions in healthy people compare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 Brief scientific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