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249B1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249B1 KR101757249B1 KR1020160168569A KR20160168569A KR101757249B1 KR 101757249 B1 KR101757249 B1 KR 101757249B1 KR 1020160168569 A KR1020160168569 A KR 1020160168569A KR 20160168569 A KR20160168569 A KR 20160168569A KR 101757249 B1 KR101757249 B1 KR 101757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query
- multidimensional
- specific
- processing
- proced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7/30424—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3—Multi-dimensional databases or data warehouses, e.g. MOLAP or ROLAP
-
- G06F17/305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Multi-dimensional database) 기반의 질의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에 관한 것이다.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는 과학정보, 의료정보 등과 같은 대용량의 다차원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질의 처리 및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애트리뷰트(Attribute) 항목을 가지고 있는 자료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대용량의 다차원 데이터를 분석 및 그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나, 최근 실험 데이터 및 과학연구에서 활용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관측 장비 및 관련 기술의 발달로 폭증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클러스터 또는 하나의 기관에서 모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자가 보유하고 있는 전산자원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차원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질의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처럼 개별적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됨에 따라 데이터 로딩 및 관리를 위해 소비되는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서로 다른 관리 방식으로 관리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질의처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지 못하던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질의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송수신관리부;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하는 절차관리부; 및 상기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질의실행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마스터서버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관리부; 및 상기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관련정보는 상기 마스터서버 별 주소와 포트(Port)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관련정보는 상기 슬레이브서버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차관리부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Federated Query) 로 확인하며,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차관리부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연합질의인 경우,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상기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며,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다차원질의인 경우,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상기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연합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별로 제1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제2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질의처리결과를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의 동작방법은, 사용자단말로부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송수신관리단계;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하는 절차관리단계; 및 상기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질의실행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마스터서버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관리단계; 및 상기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관련정보는 상기 마스터서버 별 주소와 포트(Port)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관련정보는 상기 슬레이브서버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차관리단계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차관리단계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연합질의인 경우,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상기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다차원질의인 경우,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상기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의실행관리단계는, 상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연합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별로 제1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제2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질의처리결과를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처리장치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Multi-dimensional database) 기반의 질의(Query)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하, 질의처리장치)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질의처리장치(100), 사용자단말(200) 및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Multi-dimensional database)(예: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c..)(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 간의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가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 간의 연동을 통해 질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서비스(이하,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특정질의라 함은,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가 연결된 이후 동기화가 수행된 상태일 때,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여 처리되는 연합질의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여 처리되는 다차원질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질의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질의처리장치(100)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와 별도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와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의 처리를 위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사용자단말(200)은,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를 질의처리장치(100)로 전송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은,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기관/조직의 단말이거나, 또는 일반개인이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는, 대용량의 다차원 데이터(예: 과학정보, 의료정보 등)를 모델링하고, 질의 처리 및 연산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속성 항목을 가지고 있는 자료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는, 원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c..)를 포함하며,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질의처리장치(100)와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이하,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c..)의 각 구성은 동일하므로,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전산자원에 구축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이며, 원격에 위치하는 기 구축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일 때,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및 b와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이 수행되어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는, 각각 마스터서버(MS)와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를 포함하며, 질의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마스터서버(MS)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를 처리하기 위한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게 되는 데,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는 어레이(Array)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마스터서버(MS)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마스터서버(MS)를 이용하여 각 구성의 특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질의처리절차수립부(310a)는, Federated Multi-dimensional Data Query Planner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를 처리하기 위해 어느 어레이(Array)정보에 접근할 것이며, 어떤 연산을 수행할지 등에 대한 계획하여,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수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질의스케줄러(320a)는, Federated Multi-dimensional Data Query Scheduler일 수 있으며, 입력되는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작업수행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질의처리부(330a)는, Federated Multi-dimensional Data Query Processor일 수 있으며,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의 처리를 통해 특정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도록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병합실행부(340a)는, Result Data Merger일 수 있으며,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각자의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각자의 질의처리결과에 대한 병합을 실행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송수신부(350a)는, Data Transmitter 및 Data Receiver일 수 있으며, 질의처리장치(100) 또는 다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 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실행부(360a)는, Database Connector일 수 있으며, 마스터서버(MS) 간의 연결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는, 각 마스터서버(MS)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스터관련정보는, 마스터서버 별 주소와 포트(Port)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마스터서버(MS)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마스터서버(MS)는, 자신의 주소와 해당 포트(Port)정보를 기반으로 연결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물리적인 연결이 완료되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는, 환경정보를 서로 공유 및 동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는, 각 슬레이브서버(SS)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슬레이브관련정보는, 각 슬레이브서버(SS)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가 주로 클러스터 환경을 고려하기 때문에, 동기화 수행을 위해 각자의 슬레이브서버(SS)들의 네트워크정보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매칭하여 메타정보로서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질의처리장치(100)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가 연동하여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 내에서 질의처리장치(100)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300) 가 상기 질의처리장치(100)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처리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송수신관리부(110),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하는 절차관리부(120), 및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질의실행관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마스터서버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관리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관련정보는, 마스터서버 별 주소 및 포트(Port)정보를 포함한다.
즉, 연결관리부(140)는,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마스터서버(MS)의 주소와 해당 포트(Port)를 포함하는 마스터관련정보를 확인하고,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연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100)는, 연결관리부(140)에 의해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관리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관련정보는, 슬레이브서버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한다.
즉, 동기화관리부(150)는,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슬레이브서버(SS)의 네트워크정보와 현재 포함되어 있는 어레이(Array)를 포함하는 슬레이브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정보를 서로 공유 및 동기화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의처리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질의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질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처리결과가 제공되기까지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처리하게 되는 인터페이스부(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송수신관리부(110), 절차관리부(120), 질의실행관리부(130), 연결관리부(140), 동기화관리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는 질의처리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처리장치(100)는,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을 제공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질의처리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c..) 중 사용자의 전산자원에 구축된 로컬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가 질의처리장치(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마스터실행모드로 동작하며, 원격에 위치하는 기 구축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가 슬레이브실행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여기서, 마스터실행모드는, 질의처리결과를 병합해야 하는 경우, 슬레이브실행모드로 동작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질의처리결과를 수신하여 병합하거나,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등과 같이 질의처리장치(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주도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송수신관리부(11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관리부(110)는,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관련되는 특정질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질의화면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특정질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가 연결된 이후 동기화가 수행된 상태일 때,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여 처리되는 연합질의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여 처리되는 다차원질의로 구분된다.
이후, 사용자가 질의화면을 통해 특정질의를 입력하게 되면, 송수신관리부(11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특정질의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서, 송수신관리부(11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특정질의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특정질의를 절차관리부(120)로 전송한다.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다.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수신되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확인한다. 이후, 절차관리부(12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와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확인한다.
한편,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수신되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와의 연동 없이 마스터실행모드로 동작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만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의 호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게 되면,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절차관리부(12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 동시에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기 위해, 절차관리부(12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연동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 사이에서의 연합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절차관리부(120)는,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기 위해, 절차관리부(12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연동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또는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 다차원질의를 전송하여 등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절차관리부(12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달리,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 다차원질의가 전송되어 등록되어야 하므로, 절차관리부(12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질의실행관리부(130)는,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질의처리수행절차가 생성되면,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한다.
즉,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가 생성되는 경우, 특정질의인 연합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간에 처리되게 되므로,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로 생성되는 제1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 제1 질의처리결과가 확인 되면, 질의실행관리부(13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가 생성되는 경우, 특정질의인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처리되게 되므로,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생성되는 제2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제2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되면,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제2 질의처리결과를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특정질의처리결과의 생성 및 결정이 완료되면,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단말(200)로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전술한 질의처리장치(100)의 각 기능부에 의해 제어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특정질의가 수신되면, 질의처리장치(100)의 연결관리부(14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마스터서버(MS)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간의 연결을 제어한다(①, ①').
이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마스터서버(MS)의 연결실행부(360a)는, 연결관리부(140)의 제어에 따라 확인되는 마스터서버 별 주소 및 포트(Port)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 내 동기화관리부(150)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SS)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간의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슬레이브서버(SS)의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하는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정보를 공유 및 동기화할 수 있게 된다(②, ②'). 이러한 동기화가 수행은, 각 마스터서버(MS)의 연결실행부(360a, 360b)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슬레이브서버(SS) 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 내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하여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 또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즉,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게 되면,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로 판단하여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절차관리부(120)는,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판단하여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절차관리부(120)에서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질의처리절차수립부(310a, 310b)는,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어느 어레이(Array)정보에 접근하며, 어떤 연산을 수행할지 등을 계획하여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수립하고, 이를 공유 및 절차관리부(120)로 제공하게 된다(③, ③').
이때, 계획의 수립은, 해당 데이터가 어레이(Array)이기 때문에 어레이(Array)의 셀의 수에 따라 고정된 크기의 청크(Chunk)로 분할하여 수행되게 된다.
이에, 절차관리부(120)에서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로부터 수신되는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하고, 특정질의의 속성이 연합질의이면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고, 특정질의의 속성이 다차원질의이면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 또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의 생성이 완료되면, 질의처리장치(100) 내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즉,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가 생성되면,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로 생성되는 연합질의의 처리 결과인 제1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질의스케줄러(320a, 320b)는, 연합질의를 등록한 후 작업수행을 관리하게 되며(④, ④'), 질의처리부(330a, 320b)는, 연합질의와 관련되는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연합질의의 처리 결과인 제1 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⑤, ⑤').
이후, 질의실행관리부(13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 제1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되면,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병합실행부(340a, 340b)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질의실행관리부(130)의 제어에 따라,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병합실행부(340a)는, 각자의 제1 질의처리결과에 대한 병합을 실행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질의실행관리부(130)로 전달한다.
즉,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가 마스터실행모드이므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병합실행부(340a)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부터 제1 질의처리결과를 수신한(⑥') 후 자신의 제1 질의처리결과와 병합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⑥, ⑦).
이에,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연합질의의 처리 결과인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질의실행관리부(130)는, 절차관리부(120)로부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가 생성되면,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연동하여,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또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부터 생성되는 다차원질의의 처리 결과인 제2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2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질의스케줄러(320a)는, 질의처리절차수립부(310a)에서 수립된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의 접근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④).
즉,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경우,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질의스케줄러(320a)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 다차원질의를 전송하게 된다(②, ②'). 그러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질의스케줄러(320b)는, 질의처리절차수립부(310b)에서 수립된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자신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판단하여 다차원질의에 대한 등록여부를 결정한다(④').
한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질의스케줄러(320a)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의 접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신에게 다차원질의를 등록하게 된다(④).
전술에 따라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또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 다차원질의가 등록되게 되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해당 질의처리부(330a/320b)는, 다차원질의와 관련되는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다차원질의의 처리 결과인 제2 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⑤/⑤').
전술에서는 제2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가 마스터실행모드로 동작하여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의 접근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가 각각 자신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판단하여 다차원질의에 대한 등록여부를 결정하여 제2 처리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제2 질의처리결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질의스케줄러(320a, 320b)는, 질의처리절차수립부(310a, 320b)에서 수립된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자신의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판단하여 다차원질의에 대한 등록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다차원질의를 등록하는 것으로 결정된 해당 질의처리부(330a/320b)는, 다차원질의와 관련되는 특정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다차원질의의 처리 결과인 제2 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질의실행관리부(13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질의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제2 질의처리결과를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c..) 중 사용자의 전산자원에 구축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 원격에 위치하는 기 구축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인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를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마스터서버(MS)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한다(S100).
즉,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각각의 마스터서버(MS)의 주소와 해당 포트(Port)를 포함하는 마스터관련정보를 확인하고,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연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a,b로 전달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는,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의 각 슬레이브서버(SS)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101).
즉,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각각의 슬레이브서버(SS)의 네트워크정보와 현재 포함되어 있는 어레이(Array)를 포함하는 슬레이브관련정보를 확인하고,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정보를 서로 공유 및 동기화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질의가 수신되기 이전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간의 연결 및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순서는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질의처리장치(100)는, 동기화 기반 질의처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관련되는 특정질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질의화면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특정질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가 연결된 이후 동기화가 수행된 상태일 때,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여 처리되는 연합질의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여 처리되는 다차원질의로 구분된다.
이후, 사용자가 질의화면을 통해 특정질의를 입력하게 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특정질의를 수신하게 된다(S102).
질의처리장치(100)는,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다(S103).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확인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와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를 확인한다.
한편, 질의처리장치(100)는, 특정질의가 수신되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와의 연동 없이 마스터실행모드로 동작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만 연동하여, 특정질의를 처리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가 호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각 슬레이브서버(SS)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의 호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게 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 동시에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S104).
이때, 이러한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기 위해, 질의처리장치(10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연동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와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 사이에서의 연합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에 따라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의 생성이 완료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연합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간에 처리되게 되므로,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로 생성되는 제1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 제1 질의처리결과가 확인 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별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게 된다(S106, S107).
한편, S103 단계의 판단결과,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는,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S105).
이때, 이러한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기 위해, 질의처리장치(100)는,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와 연동하여, 각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의 기본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 또는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 다차원질의를 전송하여 등록할 필요가 없으므로,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달리,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 중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게 되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로 다차원질의가 전송되어 등록되어야 하므로, 질의처리장치(100)는, 다차원 데이터베이스b에서 다차원질의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게 된다.
전술에 따라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의 생성이 완료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특정질의인 다차원질의가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처리되게 되므로,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a/b)에서만 생성되는 제2 질의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질의처리장치(100)는, 제2 질의처리결과를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게 된다(S107).
전술에 따라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 또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에 의해, 특정질의처리결과의 생성 및 결정이 완료되면, 질의처리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제공하게 된다(S10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원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통해 특정질의(예: 연합질의, 다차원질의 등)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새로운 질의 처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질의처리장치
110: 송수신관리부 120: 절차관리부
130: 질의실행관리부 140: 연결관리부
150: 동기화관리부 160: 인터페이스부
200: 사용자단말
300: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110: 송수신관리부 120: 절차관리부
130: 질의실행관리부 140: 연결관리부
150: 동기화관리부 160: 인터페이스부
200: 사용자단말
300: 다수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하는 절차관리부; 및
상기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질의실행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차관리부는,
상기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Federated Query)로 확인하며,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마스터서버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관리부; 및
상기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관련정보는 상기 마스터서버 별 주소와 포트(Port)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관련정보는 상기 슬레이브서버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송수신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관리부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연합질의인 경우,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상기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며,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다차원질의인 경우,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상기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실행관리부는,
상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연합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별로 제1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제2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질의처리결과를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 -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되는 특정질의의 속성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결정하는 절차관리단계; 및
상기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질의를 처리하여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질의실행관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차관리단계는,
상기 특정질의가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연합질의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중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어레이(Array)정보만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특정질의의 속성을 다차원질의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마스터서버에 대한 마스터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관리단계; 및
상기 연결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의 각 슬레이브서버에 대한 슬레이브관련정보를 기반으로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관련정보는 상기 마스터서버 별 주소와 포트(Port)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관련정보는 상기 슬레이브서버 별 네트워크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Array)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특정질의를 수신하는 송수신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관리단계는,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연합질의인 경우,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상기 연합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질의가 상기 다차원질의인 경우,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상기 다차원질의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실행관리단계는,
상기 제1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연합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동기화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별로 제1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질의처리결과가 병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의처리수행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질의가 처리되어 상기 일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서만 제2 질의처리결과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질의처리결과를 상기 특정질의처리결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8569A KR101757249B1 (ko) | 2016-12-12 | 2016-12-12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PCT/KR2017/014370 WO2018110909A1 (ko) | 2016-12-12 | 2017-12-08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8569A KR101757249B1 (ko) | 2016-12-12 | 2016-12-12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7249B1 true KR101757249B1 (ko) | 2017-07-13 |
Family
ID=5935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8569A KR101757249B1 (ko) | 2016-12-12 | 2016-12-12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249B1 (ko) |
WO (1) | WO2018110909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09878A1 (en) * | 2010-10-27 | 2012-05-03 | Crazy Development | Debugging system for multidimensional database query expressions on a processing serv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144B1 (ko) * | 2001-01-30 | 2004-03-24 | (주)우리랑월드 | 웹 기반 다차원 정보 분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US7275055B2 (en) * | 2004-02-26 | 2007-09-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ggregation data structures |
KR100547896B1 (ko) * | 2004-03-05 | 2006-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및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동기화 방법 |
EP2741217A1 (en) * | 2012-12-04 | 2014-06-11 | Thomson Licensing | Database synchronization |
-
2016
- 2016-12-12 KR KR1020160168569A patent/KR10175724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2-08 WO PCT/KR2017/014370 patent/WO201811090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09878A1 (en) * | 2010-10-27 | 2012-05-03 | Crazy Development | Debugging system for multidimensional database query expressions on a processing ser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10909A1 (ko) | 2018-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18693B (zh) | 一种基于云计算的监控视频在线处理任务管理方法及系统 | |
EP2156308B1 (en) | Extensible and programmable multi-tenant service architecture | |
US9442749B2 (en) | Transaction-based ser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 |
US8892742B2 (en) | Concurrent web based multi-task support for computing system | |
US825540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change log for files in a managed network | |
EP3588295B1 (en) | Self-managed intelligent elastic cloud stack | |
CN113114498B (zh) | 一种可信区块链服务平台的架构系统及其构建方法 | |
CN106911648B (zh) | 一种环境隔离方法及设备 | |
US1164708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user session continuity across multiple devices and/or multiple platforms | |
CN102917006A (zh) | 一种实现计算资源和对象权限的统一控制管理方法及装置 | |
KR101352699B1 (ko) | 병렬 처리 기반의 가상 클러스터 컴퓨팅 시스템의 프로비저닝 방법 및 장치 | |
CN111625496A (zh) | 分布式文件系统在虚拟机环境下的部署方法、装置及设备 | |
CN111625497A (zh) | 一种分布式文件系统的部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KR101357135B1 (ko) | 로그 정보 수집 장치 | |
CN106547790B (zh) | 一种关系型数据库服务系统 | |
CN105786732B (zh) | 数据访问方法及装置 | |
CN118312626B (zh) | 一种基于机器学习的数据管理方法及系统 | |
US1165702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rsioning cloud network configuration | |
CN105637471B (zh) | 用于对存储环境进行监测和控制的方法及设备 | |
CN104090937A (zh) | 一种基于云计算的数据库访问方法及系统 | |
KR101757249B1 (ko) |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30409542A1 (en) | Using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 Single User Interface for Streamlines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Multiple Types of Databases | |
US100019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ly available storage management using storage providers | |
CN109814973A (zh) | 一种桌面云平台的实现方法、系统及服务器 | |
US10257026B1 (en) | System and method to manage interrelated devices in a computing infra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