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11B1 -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 Google Patents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11B1
KR101757111B1 KR1020160042030A KR20160042030A KR101757111B1 KR 101757111 B1 KR101757111 B1 KR 101757111B1 KR 1020160042030 A KR1020160042030 A KR 1020160042030A KR 20160042030 A KR20160042030 A KR 20160042030A KR 101757111 B1 KR101757111 B1 KR 10175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ee end
end connector
connecto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 서
이정규
조성근
정용원
형창희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스
Priority to KR102016004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1/20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1Physical deposition at reduced pressure, e.g. MBE,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원용 히터 구성에 있어서, 가열 도중 히터를 구성하는 선형 히터부재가 선 팽창되어도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히터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선형 히터부재를 도전성 커넥터에 고정시키되, 선형 히터부재가 늘어날 경우,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 커넥터로 구성하였다.
즉, 자유단 커넥터는 조립 블럭에 결합되되,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조립 블럭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선형 히터부재가 늘어나면 조립 블럭을 관통하여 자유단 커넥터에 접촉된 와이어가 자유단 커넥터의 하강동작에 따라 휘어져 선형 히터부재의 선 팽창 현상을 자유단 커넥터의 하강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였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er connector of a new construction capable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a linear heater member constituting a heater is bent even when linearly expanded during heat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e-end connector that is not a fixed end so that the linear heater member is fixed to the conductive connector, but can be moved together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is extended.
That is, the free e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assembly block so that the free end connector can be moved up and down.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is extended, the wire penetrating the assembly block contacts the free end connector, So that the linear expansion phenomenon of the linear heater member can be accommodated by the descent of the free end connector.

Description

히터의 선형 부재 휨을 방지한 히터 커넥터{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0001]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0002]

본 발명은 증발원용 히터 구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히터를 고정하는 커넥터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heater for an evaporation sou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fixing a heater.

증발원을 이용하여 물질을 증발시켜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OLED, 태양전지 등의 제조기술에 사용되고 있다. 증발원은 물질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금속재의 선형 부재들을 배열한 히터를 구성한다. 증발원을 고온으로 가열하다 보면, 금속재로 된 선형 히터 부재들이 선 팽창된다. 히터 부재들은 지지체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3409호 등)에 늘어난 길이로 인해 중간에서 구부러지는 현상(bending)이 발생한다. A process for forming a thin film by evaporating a material using an evaporation source is used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of OLED, solar cell, and the like. The evaporation source includes a heater for heating the material, and constitutes a heater which arranges linear members of the metal material. When the evaporation sourc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e linear heater members made of metal are linearly expanded. Since the heater members have both ends fixed to the suppor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73409, etc.), a bending phenomenon occurs in the middle due to the increased length.

이러한 히터 변형 현상은 Al(알루미늄)과 같이 열 변형이 심한 경우 더욱 문제된다. 히터의 변형은 도가니의 가열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며, 도나기가 깨어지는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Such a heater deformation phenomenon is more problematic when thermal deformation is severe, such as Al (aluminum). Deformation of the heater causes problems in controlling the heating of the crucible, and may cause an accident in which the donna is broken.

도 1에는 선형 히터 부재(100)를 사용한 히터 구성을 보여준다. 선형 히터부재(100)는 구리(Cu)로 된 커넥터(20)에 고정된 상태로 전원 접속부(30)에 연결되어 상부로 뻗어있는 상태이다. 상부에는 도가니가 배치되며, 선형 히터 부재(100)는 도가니를 감는 방식으로 배열된 후 다시 하방으로 내려와 도 1과 같은 형상을 띠게 된다. Fig. 1 shows a heater configuration using a linear heater member 100. Fig.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nection portion 30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connector 20 made of copper (Cu) and extending upward. And a crucibl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arranged in a manner of winding a crucible and then descends downward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전원을 켜 선형 히터부재(100)가 발열을 하게 되면 선형 히터부재(100)가 선 팽창되는데, 커넥터(20)에 의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형 히터부재(100)가 휘게 된다.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linearly expanded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generates heat. Since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firmly fixed by the method of welding or the like by the connector 20,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bent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원용 히터 구성에 있어서, 가열 도중 히터를 구성하는 선형 히터부재가 선 팽창되어도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히터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er connector of a new construction capable of preventing the linear heater member constituting the heater from being bent even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is linearly expanded during heating.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선형 히터부재를 도전성 커넥터에 고정시키되, 선형 히터부재가 늘어날 경우,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 커넥터로 구성하였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e-end connector that is not a fixed end so that the linear heater member is fixed to the conductive connector, but can be moved together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is extended.

즉, 자유단 커넥터는 조립 블럭에 결합되되,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조립 블럭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선형 히터부재가 늘어나면 조립 블럭을 관통하여 자유단 커넥터에 접촉된 와이어가 자유단 커넥터의 하강동작에 따라 휘어져 선형 히터부재의 선 팽창 현상을 자유단 커넥터의 하강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였다. That is, the free e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assembly block so that the free end connector can be moved up and down.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is extended, the wire penetrating the assembly block contacts the free end connector, So that the linear expansion phenomenon of the linear heater member can be accommodated by the descent of the free end connector.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선형 히터 부재를 고정하되, 이동성을 갖는 자유단 커넥터;A free end connector fixing the linear heater member, the free end connector having mobility;

상기 자유단 커넥터를 전원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전원 전극부에 전기접속되는 단자대;및A terminal block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ree end connector to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상기 단자대와 자유단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주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And a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lock and the free end connector,

상기 자유단 커넥터는 상기 와이어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와이어 일측 단부로부터 후퇴된 지점에서 와이어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선형 히터 부재가 발열로 인한 선 팽창을 일으킬 경우, 자유단 커넥터가 이동되어 선형 히터 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The free end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is fixed to the wire and the fixing means at a position retreated from one end of the wire so that the free end connector is moved when the linear heater member causes linear expansion due to heat generation Thereby preventing a warpage of the linear heater member.

또한, 상기 히터 커넥터 모듈은,Further, the heater connector module includes:

상기 단자대와 결합 되며, 상기 와이어 부재를 내장하는 조립 블럭;을 더 포함하고,And an assembly block coupled to the terminal block and including the wire member,

조립 블럭은 절연체로 구성되고, 조립 블럭에 내장되는 와이어는 한 상을 이루고, 와이어 간에 서로 단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격된 경로로 배열된 상태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Wherein the assembly block is formed of an insulator and the wires embedded in the assembly block are formed in a single phase and are arranged in a pat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be short-circuited with each other.

상기에서, 조립 블럭은 절연체로 구성되고, 조립 블럭에 내장되는 와이어는 한 쌍을 이루고, 와이어 간에 서로 단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격된 경로로 배열된 상태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The assembly block is composed of an insulator, and the wires embedded in the assembly block are formed as a pair, and the wires are arranged in a pat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cause a short circuit therebetween .

상기에서, 와이어의 타측 단부는 단자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terminal block by fixing means.

상기에서, 와이어는 열 팽창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고,In the above, the wire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thermally expanded and flexible,

단자대, 조립 블럭 및 자유단 커넥터는 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And the terminal block, the assembly block, and the free end connector are made of a rigid body.

상기에서, 이어는 도체로 된 도선에 절연체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ear connector module includes an insulator coating on a conductor made of a conductor.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과 같이 히터를 구성하는 선형 부재가 고온에서 성 팽창을 일으켜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발열로 인해 늘어난 알루미늄 선형 히터부재를 전원 접속용 커넥터에 고정되어, 선 팽창을 수용하지 못하는 고정 커넥터로 인해 알루미늄 선형 히터 부재가 구부러지는 문제가, 어느 정도 자유롭게 상승하강이 가능한 자유단 커넥터 구성으로 인해 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inear member such as aluminum from being bent due to a thermal expansion at a high temperature. That is, the problem of the aluminum linear heater member being bent due to the fixed connector, which is fix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connector due to the heat generation and is unable to accommodate the linear expansion, . ≪ / RTI >

도 1은 종래, 선형 히터 부재가 고정단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단 커넥터를 구비한 히터의 정면도,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단 커넥터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부재들로서, 조립 블럭, 단자대 및 자유단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 이다.
도 4는 단자대에 와이어를 끼우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5는 단자대와 조립 블럭이 결합된 상태와 조립 블럭의 상단 일부를 절개하여 와이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및 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블럭에 자유단 커넥터를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7은 자유단 커넥터에 선형 히터 부재가 조립되어 완성된 히터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ear heater member is fixed to a fixed end connector.
2 i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heater having a free e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block, the terminal block, and the free end connector, which are new members for implementing the free e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ire is inserted into a terminal block.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rminal block and the assembly block are coupled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block is cut to connect the wires, and a plan view there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ee end connector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block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mpleted heater in which a linear heater member is assembled in a free end connecto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히터가 정면도, 배면도, 사시도 순서로 나와있다. 선형 히터 부재(100)가 자유단 커넥터(200)에 고정되어 조립 블럭(500)에 결합되고, 전원의 전극부(300)에 접속된 단자대(400)가 조립 블럭(500)과 조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히터 부재(100)가 조립된 자유단 커넥터(200) 자체가 이름 그대로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어느 정도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 블럭(500)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선형 히터 부재(100)는 전원에 접속되어 전력이 인가될 수 있어야 하므로 궁극적으로 전원의 전극부(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체로 구성된 단자대(400)와 선형 히터 부재(100)가 직접적으로 조립되는 자유단 커넥터(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대(400)와 자유단 커넥터(200)를 구리(Cu)로 만들었고, 이들을 공간적으로 매개시켜 주는 조립 블럭(500)은 절연체인 BN으로 만들었으며, 단자대(400)와 자유단 커넥터(2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부재로서, 와이어(600)를 적용하였다. 와이어(600)의 배선 구조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다. 상기에서 조립 블럭(50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와이어(600)가 서로 단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와이어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열 팽창으로 인한 와이어의 움직임에 대해 상하이동은 허용하되, 다른 방향으로는 고정되게 하여 열 팽창시 이동가이드 역할을 하며, 자유단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안정성있게 한다. 즉, 조립 블럭(500)을 설치하지 않고 와이어(600)와 자유단 커넥터(200)를 접속시키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와이어(600)의 전기적 단락을 막을 수 있도록 절연부재로 적절히 고정할 수도 있다. 2, the heater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perspective view.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fixed to the free end connector 200 and is coupled to the assembly block 500 and the terminal block 4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portion 300 of the power source is assembled with the assembly block 500 Able to know.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 end connector 200 in which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assembled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block 500 so that the free end connector 200 itself can be moved up and down to some extent .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300 of the power source since it must b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be able to be powered. Therefore, the terminal block 400 composed of a conductor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to which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s directly assembled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block 400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are made of copper, and the assembly block 500 for spatially mediating the terminal block 400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made of BN, which is an insulator. The wire 600 is applied as a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200 to the electrode. The wiring structure of the wire 600 is shown in detail in Fig. Although the assembly block 500 is not essential, the assembly block 500 ma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wires so that the wires 600 do not short-circuit with each other, and allow vertical movement of the wires due to thermal expansion, Which serves as a movement guide for thermal expansion, and makes the free end connector as a whole stable. In other word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connecting the wire 600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without providing the assembly block 500. In order to prevent electrical shorting of the wire 600, As shown in FIG.

도 3에는 본 발명을 위해 새롭게 설계된 부재들을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s newly designed for the present invention.

BN으로 된 조립 블럭(500)은 본체(510)의 양단에 단자대(400)의 상단부가 조립될 수 있는 개구부(520)를 구비한다. 좌우대칭을 이루므로 도 3에서 부호를 어느 한 편에만 부기하여 단순화하였다. 조립 블럭(500)의 전면에는 자유단 커넥터(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540)가 형성되며, 자유단 커넥터(200) 한쌍이 좌우로 하나씩 돌출부(540)에 의해 수용되도록 세 개의 돌출부(540)가 형성된다. 도 4에서 후술될 와이어(600)가 조립블럭(500)의 개구부(520) 측면으로 인입되어 돌출부(540)들이 이루는 수용부 전면으로 인출되어, 이를 위한 홀들이 형성된다. 즉, 조립블럭(500)의 개구부(520) 외측면에 홀(525)가 형성되고, 개구부(520) 내측면에 홀(535)가 형성되어 와이어(600)가 이들을 통과한다. 본체(510) 내부에는 와이어(600)가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며, 통로는 본체(510) 측면에서 시작되어 경로를 꺽어 수용부 전면에서 종료되며, 홀(530)이 수용부 전면에 나타나있다. 와이어(600)는 통로를 따라 조립 블럭의 본체(510) 측면에서 홀(525)로 들어와 홀(535)를 지나 경로를 꺽어 수용부 전면의 홀(530)로 인출된다. The assembly block 500 made of BN has openings 520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510 where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block 400 can be assembled. Since it is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reference numerals in FIG. The protrusion 540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assembly block 500 to receive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ssembly block 500 so that a pair of the free end connectors 200 are received by the protrusion 540 Three protrusions 540 are formed. The wire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4 is drawn into the side of the opening 520 of the assembly block 500 and drawn ou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by the protrusions 540, thereby forming holes for the same. That is, a hole 52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520 of the assembly block 500 and a hole 53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520 to allow the wire 600 to pass therethrough. A passageway is formed in the main body 510 to allow the wire 600 to pass therethrough. The passageway start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510 and terminates at the front of the receptacle by turning the path, and the hole 530 is shown on the receptacle . The wire 600 enters the hole 525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510 of the assembly block along the passage and passes through the hole 535 to be drawn out to the hole 530 in the front 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단자대(400)는 상단부(410)와 이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하단부(430)를 구비하며, 상단부(410)는 조립 블럭(500)의 개구부(520)에 끼워져 조립된다. 따라서 상단부(410)에는 와이어의 통로가 될 관통 홀(425)가 형성된다. 또한, 상단부(410)의 관통 홀(425)이 있는 곳 바로 아래에 돌출된 턱(420)이 있어 조립 블럭(500)의 양단부를 받쳐주게 된다. The terminal block 400 has an upper end portion 410 and a lower end portion 4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410 and the upper end portion 410 is fitted into the opening portion 520 of the assembly block 500 and assembled. Therefore, a through hole 425 is formed in the upper end portion 410 to be a passage of the wire. In addition, a protrusion 420 protruding just below the through hole 425 of the upper end portion 410 supports the both ends of the assembly block 500.

자유단 커넥터(200)는 전면부에 샌드위치 식으로 선형 히터 부재(1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샌드위치 패널(210)을 구비한다. 샌드위치 패널(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파이프형 결합부(220)가 있고 결합부(220) 상단에는 홀(225)이 있어, 와이어(600)가 결합부(220)에 끼워지고 홀(225)에 볼트를 체결시켜 와이어(600)와 자유단 커넥터(200)가 결합된다.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provided with a sandwich panel 210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as to fix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in a sandwich manner on the front part. A pipe type engaging portion 220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andwich panel 210 and a hole 225 at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20. The wire 60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220, 225, so that the wire 600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are coupled.

도 4와 도 5에는 단자대(400), 조립 블럭(500) 및 자유단 커넥터(200)의 조립 및 와이어(600)의 조립에 대해 나와 있다. Figs. 4 and 5 show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block 400, the assembly block 500, the free end connector 200, and the assembly of the wire 600. Fig.

단자대(400)는 하단에 홀(440)이 있어 전원 전극부(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조립 블럭(5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끼워져 조립된다. The terminal block 400 has a hole 440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300 and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openings formed at both ends of the assembly block 500.

와이어(600)는 조립 블럭(500)의 양단부에 있는 홀(525)을 통해 인입되어, 단자대 홀(425), 개구부 내측 홀(535)을 통과하여 경로를 꺽어 수용부의 홀(530) 전방으로 돌출된다(도 4). 이때 볼트로 단자부 상단에 있는 홀에서 와이어(600)를 단자대와 고정시킨다. 단자대(400) 정면의 홀에 볼트를 넣어 단자대(400)와 전원 전극부(300)를 고정시킨다. The wire 600 is drawn through the holes 525 at both ends of the assembly block 500 and passes through the terminal hole 425 and the opening inner hole 535 to be bent and protruded forward of the hole 530 of the receiving portion (Fig. 4). At this time, fix the wire (600) to the terminal block in the hole at the top of the terminal portion with the bolt. A bolt is inserted into a hole i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lock 400 to fix the terminal block 400 and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300.

조립 블럭(500)은 개구부 전면에 있는 홀(555)에 볼트를 넣어 단자대(400)와 고정된다. 도 5는 결합된 상태의 조립 블럭(500)의 일부를 위에서 절개하여 와이어(600)의 경로를 보여준다. 와이어(600)는 조립 블럭(500)에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 상태이며, 조립블럭(500)은 와이어(600)의 경로 외에는 절연물질인 BN으로 채워져 있어 와이어(600) 간의 단락(합선)은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와이어(600) 자체에도 테플론과 같은 절연물을 피복하고 전기접속이 필요한 부분에서만 도체를 노출시켜 전기적인 안정성을 강화하였다. 본 실시예는 와이어(600)를 테플론으로 피복한 구리도선으로 형성하였다. 피복물질은 다른 물질로 대체가능하다. The assembly block 500 is fixed to the terminal block 400 by inserting a bolt into a hole 555 in the front of the opening. 5 shows a path of the wire 600 by cutting a part of the assembly block 500 in a coupled state. The wires 60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ssembly block 500 and the assembly block 500 is filled with BN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path of the wires 600 so that a short- Do not. In addition, the wire 600 itself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Teflon, and the electrical conductor is exposed only at the portion where electrical connection is required, thereby enhancing electrical stability. In this embodiment, the wire 600 is formed of a copper wire coated with Teflon. The covering material can be replaced by another material.

도 6에는 자유단 커넥터(200)가 와이어(600)와 조립되는 상태가 나와 있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assembled with the wire 600. FIG.

와이어(600)가 들어있는 결합부(220) 상단의 홀(225)에 볼트로 양자를 체결하여 자유단 커넥터(200)가 조립 블럭(500)과 결합된다. 즉, 와이어(600)를 매개로 자유단 커넥터(200)가 조립 블럭(500)에 조립된다. 와이어(600)는 홀(225)를 넘어서 돌출된 부분이 있고 열 팽창성도 있으며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자유단 커넥터(200)가 이에 매달려 상하로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와이어(600) 직경은 결합부(220) 내경에 비해 작고, 홀(225)에서 볼트로 자유단 커넥터(200)와 고정되지만 이후 돌출된 길이부는 자유단이 되어 와이어(600)에 매달린 상태로 결합된 자유단 커넥터(200)도 상하 이동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자유단 커넥터(200)에 고정된 선형 히터 부재(100)가 발열로 늘어나 자유단 커넥터(200)를 누르면 자유단 커넥터(200)는 하강하여 선형 히터 부재(100)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coupled to the assembly block 500 by fastening the bolts to the holes 225 at the upper end of the joint 220 where the wire 600 is inserted. That is,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block 500 via the wire 600. Since the wire 600 has a portion protruding beyond the hole 225 and is also thermally expandable and flexible, the free end connector 200 can be moved up and down to some extent by hanging therefrom. That is, the diameter of the wire 6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220, and is fixed to the free end connector 200 with the bolts in the hole 225. However, the protruded length part then becomes a free e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coupled to the connector can also have a degree of freedom of up and down movement.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fixed to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extended by heat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is lowered by pressing the free end connector 200 to prevent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from being warped .

도 7에는 선형 히터 부재(100)까지 조립된 완성된 히터의 모습이 나와 있다. Fig. 7 shows a completed heater assembled up to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Fig.

이와 같이 하여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히터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 heater connector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 warping phenomenon can be realized.

상기에서, 자유단 커넥터(200)가 선형 히터 부재(100)의 열 팽창에 따라 이를 수용하여 하강함으로써 선형 히터 부재(100)가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수할 수 있는 한, 세부적인 구성들은 다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조립 블럭(500)과 단자대(400)의 결합 위치, 형상 등은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조립 블럭(500)과 단자대(400)의 일체형 구조도 가능하고, 자유단 커넥터(200)를 연결하는 와이어(600)의 배선 방법, 형상, 위치도 다소 변형실시될 수 있다. Insofar as the free end connector 200 can adhere to the fact that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may not be bent by receiving and lowering the free end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linear heater member 100, But may be somewhat modified. That is, the joint position and shape of the assembly block 500 and the terminal block 400 may be modified and the integrated block 500 and the terminal block 400 may be integrally structured, and the free end connector 200 may be connected The wiring method, the shape, and the position of the wire 600 may be somewhat modified.

조립 블럭은 와이어 사이를 절연시키면서 와이어를 단자대에 전기접속시키는 매개체 역할만 할 수 있으면 되므로 블럭이 아닌 일종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assembly block may be a kind of frame instead of a block as long as it can only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 to the terminal block while insulating the wires therebetween.

볼트를 이용한 고정 방법도 용접 등 다른 고정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에서 예시한 각 부분별 소재도 BN, Cu, Al, 테플론 외에 다른 고온 내성 절연체, 전도체로 대체될 수 있다.The fixing method using the bolt can be replaced by other fixing means such as welding, and the material for each part exemplified above can also be replaced with a high temperature resistant insulator or conductor other than BN, Cu, Al and Teflon.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선형 히터 부재
200: 자유단 커넥터
300: 전극부
400: 단자대
500: 조립 블럭
600: 와이어
210: 패널
220: 결합부
410: 상단부
420: 턱
430: 하단부
510: 본체
520: 개구부
225, 425, 440, 525, 530, 535, 550, 555: 홀
540: 돌출부
100: Linear heater member
200: Free-end connector
300:
400: Terminal block
500: Assembly block
600: wire
210: Panel
220:
410:
420: chin
430:
510:
520: opening
225, 425, 440, 525, 530, 535, 550, 555: holes
540:

Claims (5)

선형 히터 부재를 고정하되, 이동성을 갖는 자유단 커넥터;
상기 자유단 커넥터를 전원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전원 전극부에 전기접속되는 단자대;및
상기 단자대와 자유단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주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 커넥터는, 상기 와이어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와이어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기 자유단 커넥터의 안쪽으로 후퇴된 지점에서 와이어와 상기 자유단 커넥터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선형 히터 부재가 발열로 인한 선 팽창을 일으킬 경우, 상기 자유단 커넥터가 이동되어 선형 히터 부재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
A free end connector fixing the linear heater member, the free end connector having mobility;
A terminal block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ree end connector to the power supply electrode portion;
And a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lock and the free end connector,
Wherein the free end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wire and the wire and the free end connector are fixed by fixing means at a point where the wire and the wire are retracted from the one end of the wire along the wire to the inside of the free end connector, Wherein when the member causes linear expansion due to heat generation, the free end connector is moved to prevent warping of the linear heat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단자대와 결합 되며, 상기 와이어를 내장하는 조립 블럭;을 더 포함하고,
조립 블럭은 절연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립 블럭에 내장되는 상기 와이어는 한 쌍을 이루고, 와이어 간에 서로 단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이격 된 경로로 배열된 상태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
The heater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ssembly block coupled to the terminal block and including the wire,
The assembly block is composed of an insulator and has an opening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block. The wires embedded in the assembly block are arranged in a pair and are arranged in a spaced- The heater connector modul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자유단 커넥터와 고정된 지점을 지나 구부러져 연장된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는 단자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The heater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wire bent and extending beyond a fixed point of the free-end connector is fixed to the terminal block by fix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열 팽창되고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단자대, 조립 블럭 및 자유단 커넥터는 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 is comprised of a thermally expanded and flexible material,
Wherein the terminal block, the assembly block, and the free end connector are formed of a rigid body.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도체로 된 도선에 절연체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커넥터 모듈.

The heater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comprises an insulator coating on a conductive wire.

KR1020160042030A 2016-04-06 2016-04-06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KR101757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30A KR101757111B1 (en) 2016-04-06 2016-04-06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030A KR101757111B1 (en) 2016-04-06 2016-04-06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11B1 true KR101757111B1 (en) 2017-07-13

Family

ID=5935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30A KR101757111B1 (en) 2016-04-06 2016-04-06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1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7007A (en) * 2004-06-01 2005-12-15 Yazaki Corp Connector device for motor
KR100704071B1 (en) * 2006-02-14 2007-04-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urnace for drawing down optical fiber preform into optical fiber
JP2015191734A (en)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沖データ Heater uni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7007A (en) * 2004-06-01 2005-12-15 Yazaki Corp Connector device for motor
KR100704071B1 (en) * 2006-02-14 2007-04-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urnace for drawing down optical fiber preform into optical fiber
JP2015191734A (en)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沖データ Heater uni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600B2 (en) Circuit structure
CN102208783B (en) Junction box
TW200905999A (en)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CN101305504B (en) Semiconductor laser apparatus
JP6330690B2 (en) Board unit
JP5240982B2 (en) Heat conduit
JP2013524455A (en) Replaceable small surface mount type high power LED lamp
JP5334457B2 (en) Semiconductor device
TWM496880U (en) Connection box
KR101757111B1 (en) Heater connector preventing linear member of heater from bending
JP2005222924A (en) Socket connector
JP2007325345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362774B2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JP2006005107A (en) Circuit structure body
JP2006325352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6019532A (en) Solar cell connector
JP2011096710A (en) Lead connection method of solar panel
CN109478752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JPS63213980A (en) Thermoelectric device
JP2006310818A (en) Electrothermal module, electrotherm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205732A (en) Circuitr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5568974B2 (en) Circuit structure
JP4932686B2 (en) Antenna feeder
CN103477504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129934A (en) Stem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