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98B1 -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98B1
KR101756898B1 KR1020170011299A KR20170011299A KR101756898B1 KR 101756898 B1 KR101756898 B1 KR 101756898B1 KR 1020170011299 A KR1020170011299 A KR 1020170011299A KR 20170011299 A KR20170011299 A KR 20170011299A KR 101756898 B1 KR101756898 B1 KR 10175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graph
cube data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17001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98B1/ko
Priority to JP2019560613A priority patent/JP2020506492A/ja
Priority to US16/480,648 priority patent/US20200183952A1/en
Priority to PCT/KR2018/000184 priority patent/WO20181397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55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82Tablespace storage structures;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3Multi-dimensional databases or data warehouses, e.g. MOLAP or ROL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F17/30339
    • G06F17/305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정보를 단일 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수치값을 가지는 큐브데이터와 이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관리하는 수치정보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수치 값을 포함하는 큐브데이터 및 상기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부; 상기 변환된 큐브데이터, 메타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 템플릿을 구분하여 분리저장하는 DB; 및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추출 및 해석하여 상기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Number information management appratus using a data-structure}
본 발명은 수치정보를 단일 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수치값을 가지는 큐브데이터와 이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관리하는 수치정보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수치 값을 포함하는 큐브데이터 및 상기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부; 상기 변환된 큐브데이터, 메타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 템플릿을 구분하여 분리저장하는 DB; 및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추출 및 해석하여 상기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활동에 의해 사회적 또는 개인적으로 다양한 정보들이 형성된다. 이때, 다양한 정보들은 텍스트, 이미지, 수치(숫자) 등과 관련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이러한 정보들의 통계 등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의사결정 등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첨단과학기술에 의존한 정보의 수집과 축적 및 검색과 이용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인간의 지적 활동에 필요 불가결한 행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자원관리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5373호는 정보검색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키워드검색을 통해, 키워드가 포함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에 불과하여, 수치정보들에 대한 검색, 관계파악 및 활용 등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사용자목적에 맞게 수치정보를 검색하거나 활용할 수 있고, 수치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적합한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수치정보관리장치가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35373호(2005.12.02.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수치정보를 단일 데이터구조로 구조화하여 관리함으로써데이터를 용이하게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큐브데이터를 세트열 단위로 정의함으로써, 수정, 분할, 삭제, 확장 및 병합 등의 데이터 가공을 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치정보를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는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수치 값을 포함하는 큐브데이터 및 상기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부; 상기 변환된 큐브데이터, 메타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 템플릿을 구분하여 분리저장하는 DB; 및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추출 및 해석하여 상기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 데이터는, 시간정보를 기록하는 시간 관점, 공간정보를 기록하는 공간 관점, 상기 시간정보 및 공간정보 이외의 정보를 기록하는 사용자 관점 및 수치 값을 포함하는 세트 열(row) 구조를 가지고, 상기 데이터 구조부는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관점, 공간 관점 및 사용자 관점 중 적어도 하나와 수치 값을 추출하여 해당영역에 기록하여 상기 큐브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큐브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상기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 데이터는, 파일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트 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 데이터의 시간 관점, 공간 관점 및 사용자 관점은 각각 다수의 관점으로 구분되고, 상기 다수의 관점은, 상위 개념, 상기 상위 개념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개념으로 계층 구분되며, 각 관점은 계층위치에 따른 계층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공된 그래프에 대한 큐브데이터 다운로드 요청시, 해당 큐브데이터를 엑셀파일 및 텍스파일 중 하나의 파일로 제공하며, 제공되는 큐브데이터는 널(null) 데이터가 제거된 유효데이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해당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파일 색인정보, 컬럼명, 해석정보 및 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B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관계테이블형태로 저장하며, 상기 컬럼명은 상기 해당 큐브 데이터에 포함된 각 관점의 계층명 순서로 정의되고, 상기 해석정보는,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에 포함된 수치 값 표현을 위한 단위정보, 그래프 템플릿 정보, 계층 컬럼명,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관점의 계층명은 tn이되고, 공간관점의 계층명은 ln이되며, 사용자관점의 계층명은 Un이 되고, n은 계층레벨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프 템플릿 정보는 특수용도 그래프 또는 일반 그래프가 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그래프 템플릿 정보가 특수용도 그래프이면, 해당 특수용도에 따라 기설정된 해석방법으로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특수용도는 지도좌표, 바둑, 경기기록, 족보, 시간표, 체형관리표 및 분자식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큐브데이터의 세트열 단위로 수정, 분할, 삭제, 확장,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컨텐츠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가공부는, 메타데이터의 단위정보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병합을 수행하며, 메타데이터의 계층 컬럼명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계층 컬럼명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파일 색인정보 및 컬럼명을 이용하여 해당 큐브 데이터를 추출하는 큐브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큐브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해석된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프 템플릿을 추출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그래프 제공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수치 값을 가지는 정보 또는 봇을 이용해 인터넷 및 지정된 로컬망에서 수집된 수치 값을 가지는 정보가 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부에 의해 변환된 큐브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된 그래프를 사용자 지정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링크 URL, 다운로드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그래프 템플릿 또는 추천 그래프 템플릿을 상기 DB에서 추출하고, 상기 해석된 큐브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그래프 템플릿에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큐브데이터의 시간관점, 공간관점 및 사용자관점에 기록된 정보여부 및 수치 값의 단위에 따라 그래프 템플릿을 추천하는 그래프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는, 수치정보를 단일 데이터구조로 구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및 제공이 용이하다.
또한, 큐브데이터를 세트열 단위로 정의함으로써, 수정, 분할, 삭제, 확장 및 병합 등의 데이터 가공을 사용자목적에 맞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색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치 값을 포함하는 큐브데이터와 큐브데이터를 해석하는 메타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리저장함으로써 데이터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큐브데이터의 관점을 기준으로 적합한 그래프 템플릿을 추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치정보 특성이 반영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다운로드하거나, SNS 및 링크 URL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어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큐브데이터의 컬럼명을 계층명 순서로 정의하여 메타데이터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쿼리 등을 통해 호출하여 큐브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큐브데이터에 변경이 발생되어도 호출쿼리를 재작성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큐브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수치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큐브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수용도의 큐브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7의 특수용도 수치정보에 대응되는 특수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는 사회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수치정보들을 기설정된 하나의 데이터구조로 구조화하여 DB화하고, 사용자요청에 따라 수치정보들을 도시화된 그래프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치정보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1000: 이하, 수치정보 관리장치라 함)는 데이터 구조부(100), 데이터 입력부(200), 데이터 수집부(300), DB(400), 컨텐츠 제공부(500), 검색부(600), 컨텐츠 가공부(700) 및 컨텐츠 공유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부(500)는 메타데이터 추출부(510), 큐브데이터 추출부(520), 그래프 추천부(530) 및 그래프 제공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화된 데이터구조를 기준으로, 입력되는 수치정보들을 변환시켜 DB(40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치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입력부(200)는 데이터구조를 기준으로 수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치정보를 데이터 구조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입력부(200)는 일반적인 수치정보와 특수용도에 따른 수치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수용도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300)는 봇(bot)을 이용하여 인터넷망 및 기설정된 로컬망에 존재하는 수치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되는 수치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구조부(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정보는, 사회에서 발생되는 수치(숫자)와 관련된 정보들로, 학교에서 공부하는 학생에 의해 발생되는 성적, 개인에 의해 발생되는 카드사용액, 키, 몸무게, 자연에서 발생되는 개체수, 기업에서 발생되는 매출, 주가, 고객수, 생산량 등등의 수치(숫자)를 생성하는 모든 정보들이 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조부(100)는 본 발명의 데이터구조에 따라, 수치정보를 큐브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로 변환시켜 DB(4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큐브데이터는 수치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는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로 도 8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큐브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큐브 데이터 구조(10)는 시간정보를 기록하는 시간 관점(11:tn), 공간정보를 기록하는 공간 관점(12:ln), 시간정보 및 공간정보 이외의 정보를 기록하는 사용자 관점(13:Un) 및 수치 값(14:value)을 포함하는 세트 열(row) 구조를 가진다.
또한, 큐브 데이터의 시간 관점, 공간 관점 및 사용자 관점은 각각 다수의 관점(계층레벨:n)으로 구분되고, 다수의 관점은 상위 개념 및 상위 개념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개념으로 계층 구분되며, 각 관점은 계층위치에 따른 계층명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3을 참고하면, 각 관점은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간관점(11:tn)은 t0 내지 t6의 계층명을 가지는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t6는 시간관점의 6번째 계층이라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t0 내지 t6의 각 계층은 다음과 같은 계층 컬럼명이 부여될 수 있다. 즉, t0는 가장 상위개념이 되고, t6가 가장 하위개념이 될 수 있다.
t0 t1 t2 t3 t4 t5 t6
세기 분기 시간 사용자정의
또한, 공간관점(12:ln)은 l0 내지 l6의 계층명을 가지는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l2는 시간관점의 2번째 계층이라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l0 내지 l6의 각 계층은 다음과 같은 계층컬럼명이 부여될 수 있다. 즉, l0는 가장 상위개념이 되고, l6가 가장 하위개념이 될 수 있다.
l0 l1 l2 l3 l4 l5 l6
대륙 국가 광역시도 시군구 읍면동 사용자정의 사용자정의
또한, 사용자관점(13:Un)은 U0 내지 U6의 계층명을 가지는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U1은 시간관점의 1번째 계층이라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관점(Un)은 계층컬럼명을 기본으로 부여하지 않고, 데이터 입력부(200)를 통한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300)를 통해 수집되는 경우, 수집된 수치정보 내에 포함된 사용자관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조부(100)에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계층컬럼명은 메타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치정보가 생물수에 관한 것이면 다음과 같이 부여될 수 있다.
U0 U1 U2 U3 U4 U5 U6
또는, 물가에 관한 것이면 다음과 같이 부여될 수도 있다.
U0 U1 U2 U3 U4 U5 U6
업태구분 업종구분 상품구분 상품명 - - -
한편, 큐브데이터는 세트 열(row) 구조를 가짐으로써, 열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때, 큐브데이터는 다수의 세트 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세트 열은 하나의 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큐브데이터는 파일별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부(100)는 도 3과 같은 큐브데이터 구조(10)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200) 및 데이터 수집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수치정보로부터 시간 관점(11:tn), 공간 관점(12:ln) 및 사용자 관점(13:Un) 중 적어도 하나와 수치 값(14:value)을 추출하여 해당영역에 기록함으로써 큐브 데이터(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수치정보가 시간 관점만 포함하는 경우 큐브데이터는 시간관점 및 수치 값만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는 수치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수치정보는 그래프형태가 될 수 있다. 데이터 구조부(100)는 도 4의 수치정보로부터 발생년도를 시간관점(11:tn), 전쟁명칭을 공간관점(13:Un), 전쟁기간을 수치값(14:value)로 인식하고, 시간관점의 계층값(111), 공간관점의 계층값(113) 및 각 세트열의 수치값(114)을 파악하여 큐브데이터를 생성할 있다.
또한, 데이터 구조부(100)는 생성된 큐브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DB(400)의 큐브데이터 DB(4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파일 단위로 생성된 큐브 데이터는 도 5 내지 6과 같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큐브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큐브데이터(20)는 '2015년 7월 국가별 남녀 인구수(파일)'에 대한 수치정보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시간관점으로 t2,t3, 공간관점으로 l0.l2, 사용자관점으로 U0,U1의 계층들에 대한 계층값 및 각 세트열에 대한 수치 값(value)으로 인구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큐브데이터는 't2,t3,l0,l2,U0,U1'의 컬럼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럼명 정보는 해당 메타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큐브데이터(20)는 '태양으로부터의 각 행성별 거리(파일)'에 대한 수치정보로부터 생성된 경우, 사용자관점 및 수치값(거리)만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큐브데이터는 'U0'의 컬럼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럼명 정보는 해당 메타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조부(100)는 도 7과 같이 특수용도의 수치정보로부터 큐브데이터(20)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특수용도는 지도좌표, 바둑, 경기기록, 족보, 시간표, 체형관리표 및 분자식 등의 특정목적에 맞게 작성된 수치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는 일반 수치정보들과 달리, 특정목적에 맞는 특수 그래프가 요구되는 수치정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은 바둑 기보에 관한 수치정보(21) 및 수치정보에 대한 큐브데이터(20)가 될 수 있다. 이때, 흑돌 27번째수의 위치가 바둑판의 좌하귀 17, 우상귀 19의 위치이면, 큐브데이터는 시간관점으로 시간(t5), 사용자관점으로 흑 또는 백 번째수(U0) 및 수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치값은 특수용도에 맞게 기설정된 방식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바둑의 경우 '좌기준위치-소수점-우기준위치'로 기록될 수 있다. 이에, 수치 값은 17.19가 되고, 시간경과에 따라 큐브데이터는 다수의 세트열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구조부(100)는 수치정보로부터 데이터구조를 기준으로, 큐브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DB(400)의 메타데이터 DB(4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관계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메타데이터를 큐브데이터와 분리하여 저장관리함으로써 데이터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메타데이터(30)는 해당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파일 색인정보(31), 컬럼명(32), 해석정보(33) 및 관리정보(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색인정보(31)는 파일단위로 저장된 큐브데이터 추출을 위한 색인값, 파일명(그래프명)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컬럼명(32)은 해당 큐브 데이터에 포함된 각 관점의 계층명 순서로 정의되는 것으로, 해당 큐브데이터가 시간관점(t1), 사용자관점(U0) 및 수치 값(value)를 포함하면, 해당 큐브데이터의 컬럼명은 't1,U0'가 될 수 있다.
또한, 해석정보(33)는 큐브데이터에 포함된 계층 및 수치값의 관계 해석을 위한 것으로, 입력된 수치정보에 포함된 수치 값 표현을 위한 단위정보, 그래프 템플릿 정보, 계층 컬럼명,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정보는 도량형, 줄임단위, 기호로 구분될 수 있다. 도량형은 무게, 길이, 개수, 화폐단위 등과 같은 수치 값 단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줄임단위는 수치값의 단위가 큰 경우 줄임표현하기 위한 단위로, 일예로 만(10,000) 줄임단위를 가지며 수치값이 1이면, 일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줄임단위는 승수표현시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106표현시 줄임단위는 6이 될 수 있다. 한편, 기호는 승수, 루트, 파이 등의 수치값 이용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템플릿 정보는 수치정보의 특수용도 여부에 따라 수치정보를 도시화할 수 있는 그래프 템플릿 정보가 될 수 있다. 특수용도의 경우 기설정된 번호만 기재하고, 해당 해석방법은 별도로 저장하여 이용함으로써 메타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언어는 큐브데이터의 각 계층값을 표현한 언어명이 될 수 있다.
한편, 관리정보(34)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부가적인 정보들로, 수치정보의 소유자, 출처(원천), 해당 큐브데이터의 이용횟수, 갱신주기, 해당 정보이용에 따른 유무료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B(400)는 데이터 구조부(100)에 의해 생성된 큐브데이터, 메타데이터 및 그래프 템플릿을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큐브데이터 DB(410)는 큐브데이터를 파일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DB(420)는 메타데이터를 관계형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래프 템플릿 DB(430)는 다양한 그래프를 저장하며, 특수용도 그래프 및 일반 그래프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500)는 검색부(600)를 통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500)는 추출된 메타데이타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고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입력부(200)를 통해 수치정보 입력시, 데이터 구조부(100)에서 생성한 메타데이터 및 큐브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메타 데이터 추출부(510)는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계층 컬럼명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큐브 데이터 추출부(520)는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파일 색인정보 및 컬럼명을 이용하여 해당 큐브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래프 추천부(530)는 추출된 큐브데이터의 시간관점, 공간관점 및 사용자관점에 기록된 정보여부 및 수치 값의 단위에 따라 그래프 템플릿을 추천하거나, 사용자 이용횟수가 최고인 그래프 템플릿을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관점, 공간관점 및 사용자관점이 모두 있는 경우 멀티막대계열을 추천하고, 시간차원이 있으면 꺾은선 계열을 추천하고, 공간차원이 있는 경우 막대계열을 추천하고, 관점이 1개이며 계층값이 6개 이하이면 방사형 계열을 추천할 수 있다.
그래프 제공부(540)는 추출된 큐브 데이터를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해석된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프 템플릿을 추출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 추천부(530)의 추천 그래프 템플릿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그래프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특수용도인 경우 해당 특수그래프를 적용할 수 있다.
그래프 제공부(540)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프의 일 예는, 도 9 및 도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대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10은 도 7의 특수용도 수치정보에 대응되는 특수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4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막대그래프가 지정되면, 그래프 제공부(540)는 각 계층 컬럼명에 따라 축을 형성하여 도 9와 같은 그래프(4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 추천부(530)로부터 꺾은선 계열 그래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프 제공부(540)는 메타데이터가 특수용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도 10과 같이 특수용도에 따른 그래프(4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부(500)는 제공된 그래프에 대한 큐브데이터 다운로드 요청시, 유무료정보에 따라 해당 큐브데이터를 엑셀파일 및 텍스파일 중 하나의 파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큐브데이터는 널(null) 데이터가 제거된 유효데이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가공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큐브데이터를 컨텐츠 가공부(7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가공은 수정, 분할, 삭제 및 병합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다수의 사용자 간의 협업이 가능하다.
컨텐츠 가공부(7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큐브데이터의 세트열 단위로 수정, 분할, 삭제, 확장 및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병합은 메타데이터의 단위정보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수행할 수 있고, 확장은 계층 컬럼명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500)는 컨텐츠 가공부(700)에서 가공된 큐브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큐브데이터가 A사의 사원수에 관한 것이고, 제2큐브데이터가 A사의 매출에 관한 것이면, 제1큐브데이터 및 제2큐브데이터를 이용하여 확장된 그래프를 통해 A사의 1인 매출액을 추정 및 파악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부(800)는 컨텐츠 제공부(500)에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제공된 그래프를 사용자 지정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링크 URL, 다운로드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희망하는 수치정보를 이용한 그래프를 공유하거나, 활용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0 :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00 : 데이터 구조부 200 : 데이터 입력부
300 : 데이터 수집부 400 : DB
410 : 큐브데이터 DB 420 : 메타데이터 DB
430 : 그래프 DB 500 : 컨텐츠 제공부
600 : 검색부 700 : 컨텐츠 가공부
800 : 컨텐츠 공유부

Claims (14)

  1.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시간정보를 기록하는 시간 관점, 공간정보를 기록하는 공간 관점, 상기 시간정보 및 공간정보 이외의 정보를 기록하는 사용자 관점 및 수치 값을 포함하는 세트 열(row) 구조의 큐브데이터 및 상기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구조부;
    상기 변환된 큐브데이터, 메타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 템플릿을 구분하여 분리저장하는 DB; 및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큐브데이터를 추출 및 해석하여 상기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큐브데이터의 각 관점은 고정된 계층명으로 정의되고, 상기 큐브데이터는 해당 계층명에 대한 계층값 및 계층값들에 의해 생성된 수치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트열로 구성된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어 세트열 단위로 가공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해당 큐브데이터에 정의된 계층명을 순서대로 기재한 컬럼명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세트열의 가공 시에도 큐브데이터 추출을 위한 쿼리 호출의 변경없이, 해당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계층명의 파일명 및 컬럼명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세트열을 가지는 큐브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조부는,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로부터 상기 시간 관점의 계층값, 공간 관점의 계층값 및 사용자 관점의 계층값 중 적어도 하나와 수치 값을 추출하여 해당영역에 기록하여 상기 큐브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큐브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상기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데이터의 시간 관점, 공간 관점 및 사용자 관점은 각각 다수의 관점으로 구분되고,
    상기 다수의 관점은, 상위 개념, 상기 상위 개념에 종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개념으로 계층 구분되며, 각 관점은 계층위치에 따른 계층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공된 그래프에 대한 큐브데이터 다운로드 요청시, 해당 큐브데이터를 엑셀파일 및 텍스파일 중 하나의 파일로 제공하며, 제공되는 큐브데이터는 널(null) 데이터가 제거된 유효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해당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파일 색인정보, 컬럼명, 해석정보 및 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B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관계테이블형태로 저장하며,
    상기 해석정보는,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에 포함된 수치 값 표현을 위한 단위정보, 그래프 템플릿 정보, 계층 컬럼명,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관점의 계층명은 tn이되고, 공간관점의 계층명은 ln이되며, 사용자관점의 계층명은 Un이 되고, n은 계층레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템플릿 정보는 특수용도 그래프 또는 일반 그래프가 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그래프 템플릿 정보가 특수용도 그래프이면, 해당 특수용도에 따라 기설정된 해석방법으로 큐브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특수용도는 지도좌표, 바둑, 경기기록, 족보, 시간표, 체형관리표 및 분자식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큐브데이터의 세트열 단위로 수정, 분할, 삭제, 확장, 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컨텐츠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가공부는, 메타데이터의 단위정보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병합을 수행하며, 메타데이터의 계층 컬럼명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큐브데이터에 대해 세트열 단위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계층 컬럼명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파일 색인정보 및 컬럼명을 이용하여 해당 큐브 데이터를 추출하는 큐브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큐브 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메타 데이터의 해석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해석된 큐브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래프 템플릿을 추출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하는 그래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수치정보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수치 값을 가지는 정보 또는 봇을 이용해 인터넷 및 지정된 로컬망에서 수집된 수치 값을 가지는 정보가 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부에 의해 변환된 큐브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수치정보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서 제공된 그래프를 사용자 지정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링크 URL 및 다운로드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그래프 템플릿 또는 추천 그래프 템플릿을 상기 DB에서 추출하고, 상기 해석된 큐브데이터를 상기 추출된 그래프 템플릿에 적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큐브데이터의 시간관점, 공간관점 및 사용자관점에 기록된 계층값의 여부 및 수치 값의 단위에 따라 그래프 템플릿을 추천하는 그래프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KR1020170011299A 2017-01-24 2017-01-24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KR10175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99A KR101756898B1 (ko) 2017-01-24 2017-01-24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JP2019560613A JP2020506492A (ja) 2017-01-24 2018-01-04 データ構造を用いた数値情報管理装置
US16/480,648 US20200183952A1 (en) 2017-01-24 2018-01-04 Numer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ing data structure
PCT/KR2018/000184 WO2018139777A1 (ko) 2017-01-24 2018-01-04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99A KR101756898B1 (ko) 2017-01-24 2017-01-24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898B1 true KR101756898B1 (ko) 2017-07-11

Family

ID=5935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99A KR101756898B1 (ko) 2017-01-24 2017-01-24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83952A1 (ko)
JP (1) JP2020506492A (ko)
KR (1) KR101756898B1 (ko)
WO (1) WO20181397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3827A (zh) * 2017-10-19 2018-04-20 广东创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数据的快速自定义图表展现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047A (ja) * 2000-10-06 2002-04-19 Business Brain Showa Ota Inc 多次元データ分析装置、多次元データ分析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13925B1 (ko) * 2009-08-31 2012-12-20 액센츄어 글로벌 서비시즈 리미티드 적응적 분석 다차원 프로세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050B1 (en) * 1999-03-23 2001-07-10 Microstrategy, Inc. System and method of adapting automatic output of service related OLAP reports to disparate output devices
JP2000285128A (ja) * 1999-03-31 2000-10-13 Toshiba System Kaihatsu Kk 業務分析システム
JP2001357344A (ja) * 2000-06-13 2001-12-26 Hitachi Ltd データ視覚化支援システム
JP2002140480A (ja) * 2000-10-31 2002-05-17 Toshiba Corp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を用いた業務分析システムおよび業務分析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KR20020061443A (ko) * 2001-01-18 2002-07-24 (주)투비소프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의 수집, 가공 및 표시방법과 그 시스템
JP2011053861A (ja) * 2009-09-01 2011-03-17 Qualitech Inc 多次元データ表示装置、多次元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多次元データ表示方法
CN101894316A (zh) * 2010-06-10 2010-11-24 焦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国际市场景气状况的监测指数方法及系统
KR20140065611A (ko) * 2012-11-19 2014-05-30 조한준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047A (ja) * 2000-10-06 2002-04-19 Business Brain Showa Ota Inc 多次元データ分析装置、多次元データ分析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13925B1 (ko) * 2009-08-31 2012-12-20 액센츄어 글로벌 서비시즈 리미티드 적응적 분석 다차원 프로세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3827A (zh) * 2017-10-19 2018-04-20 广东创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数据的快速自定义图表展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6492A (ja) 2020-02-27
US20200183952A1 (en) 2020-06-11
WO2018139777A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4519B (zh) 一种基于公安领域知识本体模型的信息搜索方法
CN105468605B (zh) 一种实体信息图谱生成方法及装置
CN104899273B (zh) 一种基于话题和相对熵的网页个性化推荐方法
CN103023714B (zh) 基于网络话题的活跃度与集群结构分析系统及方法
CN109271477A (zh) 一种借助互联网构建分类语料库的方法及系统
Alexander et al. Natural language web interface for database (NLWIDB)
CN104199938B (zh) 基于rss的农用土地信息发送方法和系统
Mazeika et al. Entity timelines: visual analytics and named entity evolution
CN115757689A (zh) 一种信息查询系统、方法及设备
Chiang Querying historical maps as a unified, structured, and linked spatiotemporal source: vision paper
KR101756898B1 (ko) 데이터구조를 이용한 수치정보관리장치
CN107391690B (zh) 一种处理文献信息的方法
Börner Semantic association networks: Using semantic web technology to improve scholarly knowledge and expertise management
Huang et al. Design a batch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 on a concept-lattice-like structure
Burrows Connecting medieval and renaissance manuscript collections
KR101944692B1 (ko) 콘텐츠의 상세 수치정보 제공장치
Connaway et al. Publisher names in bibliographic data
KR101758219B1 (ko) 수치정보 검색이 가능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Taniar Research and trends in data min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Donig et al. Web archive analytics: Blind spots and silences in distant readings of the archived web
Bao The application of big data technology in the research of ancient Chinese silk road
KR101929794B1 (ko) 그래프 통합 제공장치 및 그 방법
Mai et al. An efficient approach for mining closed high utility itemsets and generators
Ahmad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ext mining techniques
KR20180087198A (ko) 수치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