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744B1 -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744B1
KR101756744B1 KR1020160024052A KR20160024052A KR101756744B1 KR 101756744 B1 KR101756744 B1 KR 101756744B1 KR 1020160024052 A KR1020160024052 A KR 1020160024052A KR 20160024052 A KR20160024052 A KR 20160024052A KR 101756744 B1 KR101756744 B1 KR 10175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k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6002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는 기능버튼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중앙영역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샤프트와 고정되어 손잡이부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며, 이동된 샤프트를 중심에 위치하도록 복원하는 링크부,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링크부를 수용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링크부가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홀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부,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자성체, 링크부를 지지하며, 상부 바디부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부, 하부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자성체의 이동을 감지하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홀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을 수납하며, 하부 바디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ELECTRICAL JOYSTICK DEVICE}
본 발명은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촉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구현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사용하는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이스틱(joystick)은 막대(bar)모양의 레버(손잡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2차원 좌표값을 지정하는 장치로서, 이를 이용하여 게임기, 다관절 로봇 또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조정장치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조이스틱은 조작레버의 작동범위를 검출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식 또는 회전식 가변저항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관절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사용되는 전기식 조이스틱은 조작레버의 작동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가변저항 방식이 사용되어, 조작레버 작동 시 작동 정도에 따라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이 가변저항의 저항값에 의해 분압된 후 각각의 제어대상으로 인가됨에 따라 중장비를 제어한다.
상기 가변저항 방식을 이용한 조이스틱은 저항체 위에 섭동자가 마찰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저항체와 섭동자의 마모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접촉불량에 의한 오작동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변저항을 이용한 조이스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광학식, 자기식, 정전용량식 등의 비접촉식 조이스틱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은 비접촉식 조이스틱은 그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이나 분진 등에 의한 오염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이스틱을 비접촉식으로 출력전압을 갖도록 구현하여 기밀구성을 실현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버튼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중앙영역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며, 이동된 샤프트를 중심에 위치하도록 복원하는 링크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부를 수용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가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홀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자성체;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바디부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부; 상기 하부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자성체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홀센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납하며, 상기 하부 바디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샤프트가 이동가능하게 제1 샤프트 회동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아치형바와,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바의 양단에 상기 복수의 거치홀 중 2개의 거치홀에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 및 제2 거치부와, 상기 이동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거치홀 각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1 제어링크;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바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 양단에 상기 상기 복수의 거치홀 중 2개의 거치홀에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제3 및 제4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제3 및 제4 거치부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샤프트 회동부와, 상기 샤프트가 결합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을 구비하는 제2 제어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전기식 조이스틱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거치홀을 상기 상부 바디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상부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거치홀 각각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부는 상기 홀센서가 위치하는 영역이 상부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배면에 상기 홀센서가 내재될 수 있다.
상기 조이스틱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링크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탄소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는 출력전압을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되도록 자성체와 홀센서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습기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 또는 신호선 등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이스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회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는 손잡이부(10), 샤프트(20), 가이드 플레이트(40), 링크부, 상부 바디부(50), 하부 바디부(80), 자성체(120), 홀센서(110), 인쇄회로기판(10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0)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12, 14)이 구비될 수 있다. 기능버튼(12, 14)은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신호선(미도시)을 통해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00) 또는 외부장치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샤프트(20)는 손잡이부(10)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샤프트(20)는 손잡이부(10)의 내측에 깊게 삽입 고정되어 손잡이부(10)의 조작에 따라 그 끝단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샤프트(20)는 손잡이부(10)의 반대측의 소정 영역에 링크부와 결합을 위한 관통홀(2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0)는 얇은 사각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플레이트(40)는 중앙영역이 사각형태로 절개된 개구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42)는 샤프트(20)가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개구부(42)의 외각이 샤프트(20)의 최대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링크부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샤프트(20)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며, 손잡이부(10)를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링크부는 샤프트(20)가 고정되어 샤프트(20)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링크부는 제1 제어링크(60)와 제2 제어링크(70)가 구비되어 손잡이부(10)의 조작에 따른 샤프트(20)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링크(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제2 제어링크(70)가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 사이는 샤프트(20)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샤프트 회동부(64)가 형성되며, 제2 제어링크(70) 측으로 샤프트(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절개된다. 제1 제어링크(60)는 제1 및 제2 야치형바(62a, 62b) 양단에 상부 바디부(50)에 거치되도록 돌기형태의 제1 및 제2 거치부(66a, 66b)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제어링크(60)는 제1 및 제2 거치부(66a, 66b)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은 샤프트(20)가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에 수직방향으로 동작 시 제1 제어링크(6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은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제어링크(60)는 제1 및 제2 거치부(66a, 66b)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 각각이 하부 바디부(80)의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부(69a, 69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부(69a, 69b)는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의 양단 하부에서 제1 및 제2 거치부(66a, 66b) 각각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부(69a, 69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디부(80)에서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링크(7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제어링크(6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2 제어링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링크(60)의 제1 및 제2 아치형바(62a, 62b)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2 제어링크(70)는 제1 제어링크(60)와 같이 양단에 돌기형태의 제3 및 제4 거치부(74a, 74b)가 형성된다. 제3 및 제4 거치부(74a, 74b)는 제1 및 제2 거치부(66a, 66b)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링크(70)는 샤프트(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제2 샤프트 회동부(72)가 형성된다. 이때, 제2 샤프트 회동부(72)는 제1 샤프트 회동부(64)와 수직으로 교차된다.
제2 제어링크(70)는 샤프트(20)에 마련된 관통홀(22)과 중첩되도록 제2 제어링크(70)를 관통하는 고정홀(77)이 형성된다. 제2 제어링크(70)는 관통홀(22)과 고정홀(77)을 통해 샤프트(20)가 제2 제어링크(70)에 결합되도록 고정핀(7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제어링크(70)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68a, 68b)과 같은 제3 및 제4 스프링(78a, 78b)이 제3 및 제4 거치부(74a, 74b)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스프링(78a, 78b)은 토션스프링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링크(70)는 제3 및 제4 거치부(74a, 74b) 하단에 상기 제3 및 제4 스프링(78a, 78b) 각각이 하부 바디부(80)의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3 및 제4 보조 가이드부(79a, 79b)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보조 가이드부(79a, 79b)는 제3 및 제4 거치부(74a, 74b) 각각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보조 가이드부(79a, 79b)는 하부 바디부(80)에서 제3 및 제4 스프링(78a, 78b)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제어링크(60, 70)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4방향으로 샤프트(20)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링크(60, 70)에 의해 4방향 뿐만 아니라 4방향의 각 대각선 방향을 포함하는 8방향으로 샤프트(20)를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바디부(50)는 사각형상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부 바디부(50)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하부면에 나사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상부 바디부(50)는 제1 및 제2 제어링크(60, 7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바디부(50)의 4개의 면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거치부(66a, 66b, 74a, 74b)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내지 제4 거치홀(52a, 52b, 54a, 54b)이 구비될 수 이다. 이때, 상부 바디부(50)는 제1 내지 제4 거치부(66a, 66b, 74a, 74b)가 제1 내지 제4 거치홀(52a, 52b, 54a, 54b)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끝단부터 제1 내지 제4 거치홀(52a, 52b, 54a, 54b)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부 바디부(50)는 제1 내지 제4 거치부(66a, 66b, 74a, 74b)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내지 제4 거치부(66a, 66b, 74a, 74b)가 제1 내지 제4 거치홀(52a, 52b, 54a, 54b)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및 제2 제어링크(60, 70)를 상부 바디부(50)에 고정하도록 제1 내지 제4 결합부재(56a, 56b, 58a, 58b)가 상기 제1 내지 제4 거치부(66a, 66b, 74a, 74b) 각각에 결합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결합부재(56a, 56b, 58a, 58b)는 상부 바디부(5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바디부(80)는 상부 바디부(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바디부(50)와 볼트 등의 나사로 결합된다. 하부 바디부(80)는 제1 및 제2 제어링크(60, 70)를 지지한다. 이때, 하부 바디부(80)는 중앙이 도 2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82)가 형성되며, 반대편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융기된 영역에서 4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4)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84)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보조 가이드부(69a, 69b, 79a, 79b)가 안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프링(68a, 68b, 78a, 78b)이 지지된다.
자성체(120)는 샤프트(20)의 끝단에 설치된다. 자성체(120)는 N극과 S극이 구비된 원형 자석 또는 사각 형태의 자석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은 컨트롤러 등의 신호처리소자가 실장되며, 전원부 등의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은 기판 지지플레이트(90) 상에 고정된다.
홀센서(110)는 자성체(1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100)에 실장된다. 홀센서(110)는 샤프트(20)에 의해 이동된 자성체(12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처리소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홀센서(110)와 자성체(120)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홀센서(110)는 하부 바디부(80)의 융기부(8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센서(110)는 전, 후, 좌, 우를 감지하여 2개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가 4방향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전, 후에 대한 전압(예를 들면, 0.5V(후) ~ 2.5V(중립) ~ 4.5V(전))을 출력할 수 있으며, 좌, 우에 대한 전압(예를 들면, 0.5V(좌) ~ 2.5V(중립) ~ 4.5V(우))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0)에는 홀센서(110)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작동 및 내부 소자들의 회손 시 사용하고 있는 장비(예를 들면, 작업차량 등)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호회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0)에는 홀센서(110)에서 제공되는 2개의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출력부(160)와 제2 출력부(17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센서(110)에서 출력되는 2개의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된 2개의 전압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알람을 발생하거나, 제어부(140)에서 제1 및 제2 출력부(160, 170)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한할 수 있는 보호회로(150)가 실장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기판 지지플레이트(90)를 수납하며, 하부 바디부(8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커버부(130)는 인쇄회로기판(100)을 수납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이 외부의 습기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커버부(130)는 인쇄회로기판(100)에 유입되는 전자파 또는 인쇄회로기판(100)의 신호처리소자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탄소섬유 등으로 재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커버(35) 및 보호커버 지지플레이트(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커버(35)는 보호커버 지지플레이트(30) 상에 형성되어 샤프트(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호커버(35)와 보호커버 지지플레이트(30)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상부에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0)에 형성된 개구부(42)를 통해 이물질이 링크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커버(45)는 샤프트(20)의 이동방향과 거리를 구속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이스틱 장치는 비접촉 방식으로 자성체와 홀센서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습기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부품 또는 신호선 등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0: 손잡이부
12, 14: 기능버튼
20: 샤프트
22: 관통홀
30: 보호커버 지지플레이트
35: 보호커버
40: 가이드 플레이트
42: 개구부
50: 상부 바디부
52a, 52b: 제1 및 제2 거치홀
54a, 54b: 제3 및 제4 거치홀
56a, 56b: 제1 및 제2 결합부재
58a, 58b: 제3 및 제4 결합부재
60: 제1 제어링크
62a, 62b: 제1 및 제2 아치형바
64: 제1 샤프트 회동부
66a, 66b: 제1 및 제2 거치부
68a, 68b: 제1 및 제2 스프링
69a, 69b: 제1 및 제2 보조 가이드부
70: 제2 제어링크
72: 제2 샤프트 회동부
74a, 74b: 제3 및 제4 거치부
76: 고정핀
77: 고정홀
78a, 78b: 제3 및 제4 스프링
79a, 79b: 제3 및 제4 보조 가이드부
80: 하부 바디부
82: 융기부
84: 돌출부
90: 기판 지지플레이트
100: 인쇄회로기판
110: 홀센서
120: 자성체
130: 커버부
140: 제어부
150: 보호회로
160: 제1 출력부
170: 제2 출력부

Claims (7)

  1. 기능버튼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중앙영역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며, 이동된 샤프트를 중심에 위치하도록 복원하는 링크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부를 수용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가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홀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자성체;
    상기 링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바디부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부;
    상기 하부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자성체의 이동을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홀센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납하며, 상기 하부 바디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바디부는,
    상기 홀센서가 위치하는 영역이 상부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융기부의 오목한 배면에 상기 홀센서가 내재되며,
    상기 커버부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탄소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샤프트가 이동가능하게 제1 샤프트 회동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아치형바와,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바의 양단에 상기 복수의 거치홀 중 2개의 거치홀에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 및 제2 거치부와, 상기 이동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거치홀 각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1 제어링크;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바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 양단에 상기 상기 복수의 거치홀 중 2개의 거치홀에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제3 및 제4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된 샤프트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제3 및 제4 거치부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샤프트 회동부와, 상기 샤프트가 결합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을 구비하는 제2 제어링크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거치홀을 상기 상부 바디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상부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거치홀 각각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링크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7. 삭제
KR1020160024052A 2016-02-29 2016-02-29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KR10175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52A KR101756744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52A KR101756744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744B1 true KR101756744B1 (ko) 2017-07-11

Family

ID=5935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052A KR101756744B1 (ko) 2016-02-29 2016-02-29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88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조이스틱 장치
KR102085197B1 (ko) * 2018-10-11 2020-03-04 주식회사 컴씨스 건설장비용 전자식 조이스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5545A (ja) * 1999-04-21 2001-01-12 Hosiden Corp 多方向入力装置
US20030107502A1 (en) * 2000-03-17 2003-06-12 Alexander Alfred John Joystick cont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5545A (ja) * 1999-04-21 2001-01-12 Hosiden Corp 多方向入力装置
US20030107502A1 (en) * 2000-03-17 2003-06-12 Alexander Alfred John Joystick cont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88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조이스틱 장치
KR102085197B1 (ko) * 2018-10-11 2020-03-04 주식회사 컴씨스 건설장비용 전자식 조이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744B1 (ko) 전자식 조이스틱 장치
CN1776560B (zh) 带有冗余传感器处理的操纵杆装置
US20040011154A1 (en) Joystick with enabling sensors
CA2400198C (en) Control lever for heavy machinery with near-proximity sensing
US9672994B2 (en) Device for operating multiple functions in a motor vehicle
US9548168B2 (en) Robot and emergency stop method of robot
CN103168192B (zh) 便携工具中的安全系统
EP3599818B1 (en) Lift detection arrangement in a robotic lawnmower
EP3174081B1 (en) A rotary switch
US5396222A (en) Ergonomic machine actuator
US6160323A (en) Safety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trolled machines
EP0304370B1 (en) Robotic hand for transporting semiconductor wafer carriers
EP3434245B1 (en) Electric wheelchair operation apparatus and vehicle operation method therefor
DE102016225309B4 (de) Ein-Achs-Bedieneinheit für sicherheitsrelevante Anwendungen
CA1162625A (en) Touch detector for electron applicator
JP7487082B2 (ja) レバーとハウジングを備えたジョイスティック
AU2005330931B2 (en) A device for a remote monitoring the state of at least a single-pole surge protection
WO2003005334A3 (en) Controller with tactile feedback
DE102020207520A1 (de) Werkzeugmaschinenvorrichtung
KR100480010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조이스틱
US3698527A (en) Press guard and parts monitor
GB210607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ed machines
KR200441993Y1 (ko)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장치
KR20230099355A (ko) 배전함용 케이블 덕트
KR20090056699A (ko)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센서를 장착한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