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145B1 -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145B1
KR101756145B1 KR1020160109183A KR20160109183A KR101756145B1 KR 101756145 B1 KR101756145 B1 KR 101756145B1 KR 1020160109183 A KR1020160109183 A KR 1020160109183A KR 20160109183 A KR20160109183 A KR 20160109183A KR 101756145 B1 KR101756145 B1 KR 10175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box
unit
reinforcing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소은
Original Assignee
권소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소은 filed Critical 권소은
Priority to KR102016010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Individual packages joined together, e.g. by means of integral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45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2583/0468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f drawer-and-shel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를 구비하는 제1 박스 유닛;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스 유닛에 체결되는 제2 박스 유닛; 및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을 덮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단을 가지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2 개방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또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상기 커버 유닛과 평행한 방향인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수납통을 구비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BOX ASSEMBLY OF ASSEMBLING TYPE}
본 발명은 분해된 상태로 보관되며 조립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는 박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물건을 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박스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여러 개가 한 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박스가 한 번에 사용되는 경우에, 그러한 박스들은 복수의 개방구를 갖는 프레임에 층층이 쌓여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박스 및 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져서, 그 윗부분을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서 박스를 꺼낼 수는 있지만, 프레임 자체의 크기는 고정적이어서 배송 등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필요에 따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조립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전체로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물품의 보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상태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 시에 무거운 하중에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부와 관련된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를 구비하는 제1 박스 유닛;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스 유닛에 체결되는 제2 박스 유닛; 및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을 덮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단을 가지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2 개방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또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상기 커버 유닛과 평행한 방향인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수납통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의 측부가 상기 제2 박스 유닛의 바닥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개방단은 상방을 지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상기 측방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의 바닥부가 상기 제2 박스 유닛의 바닥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개방단은 측방 중 일 측을 지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상기 측방 중 타 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몸체의 외면에 설치된 제1 체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 요소 및 상기 제2 체결 요소 각각은,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몸체의 바닥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가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게 하는 제1 분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분할 부재는,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체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심재의 코너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강 코너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코너재는, 상기 보강 심재의 측부에 대응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보강 심재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1 날개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보강 심재의 배면에 대응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코너재를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코너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몸체와 탈착 결합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유닛은,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접히게 하는 접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링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커버링 스트랩; 및 상기 복수의 커버링 스트랩 중 인접한 커버링 트랩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링 스트랩은, 스트랩 본체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결합된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3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모두에 체결되는 제3 박스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3 개방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상기 제2 박스 유닛, 및 상기 제3 박스 유닛이 차지하는 박스 영역은, 상기 커버 유닛이 차지하는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 중 하나는 상방을 지향하고, 나머지 둘은 측방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지향하거나,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모두 측방 중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는, 필요에 따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조립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전체로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물품의 보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는, 조립 상태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공 시에, 무거운 하중에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의 조립 상태에서 수납통(139)이 꺼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에서 커버 유닛(170)을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에서 제1 박스 유닛(210) 및 제2 박스 유닛(230)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강체(237)의 종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강체(237)의 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제2 박스 유닛(230) 및 커버 유닛(270)에서의 하중 지지 구조물의 배치 관계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에서 제1 박스 유닛(310),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는,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제3 박스 유닛(150), 및 커버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들은 수평적으로 3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박스 유닛(110)는 제2 박스 유닛(130)과 제3 박스 유닛(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 중 인접한 박스들은 서로 간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커버 유닛(170)은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을 덮도록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이 차지하는 박스 영역은, 커버 유닛(170)이 차지는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유닛(170)은 라텍스 등 완충성 소재를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는, 전체적으로 스툴, 또는 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박스 유닛(110)에서 측방으로 인출되는 수납통(139)을 갖춤에 의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는 수납 가구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의 조립 상태에서 수납통(139)이 꺼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에서 커버 유닛(170)을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박스 유닛(110)는 제1 내부 공간(112)을 갖는 제1 몸체(111)를 갖는다. 제1 내부 공간(112)은 제1 방향(상방)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단(112a)을 가진다. 제1 박스 유닛(110)의 개방단(112a)는 커버 유닛(170)에 의해 폐쇄된다.
제1 박스 유닛(110)과 달리, 제2 박스 유닛(130)과 제3 박스 유닛(150)은 각각의 내부 공간이 측방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이때, 제2 박스 유닛(130)과 제3 박스 유닛(150)의 개방단(132a,152a)은 서로 반대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제2 박스 유닛(130)은, 제2 몸체(131), 보강체(137), 및 수납통(139)을 가질 수 있다.
제2 몸체(131)는 제2 내부 공간(132)을 가진다. 제2 내부 공간(132)은 제2 방향(측방 중 일 측)을 향해 개방된 개방단(132a)을 구비한다.
보강체(137)는 제2 내부 공간(132)에 위치하도록 제2 몸체(131)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체(137)는 심재(137a)와, 외피(137b)를 가질 수 있다. 심재(137a)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일정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MDF나, 골판지, 합성수지, 압축된 종이(하드보드), 금속재(알루미늄이나 철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심재(137a)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외피(137b)는 심재(137a)를 감싸고 또한 제2 몸체(131)와 연결된다. 외피(137b)는 합성수지재질 원단, 천연가죽, 합성수지재질의 섬유로 직조된 원단, 일반적인 천, 비닐원단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피(137b)는 심재(137a)에 대해 일정 유격(D)을 가진다.
이상의 보강체(137) 뿐만 아니라, 제2 몸체(131)의 측벽[나아가, 제1 몸체(111)의 측벽, 제3 몸체(151)의 측벽 등 포함] 또한 심재와 외피를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수납통(139)은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납통(139)은 제2 내부 공간(132)에 삽입되어, 커버 유닛(170)과 평행한 측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3 박스 유닛(150)은 제2 박스 유닛(130)과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제3 박스 유닛(150) 역시 대략 직육면체인 제3 몸체(151)를 가진다. 제3 몸체(151) 역시 제3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3 내부 공간은 제3 방향(측방 중 타측)으로 개방된 제3 개방단(152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 공간에는 역시 인출 가능한 수납통(159)이 삽입될 수 있다. 수납통(159)은 수납통(139)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커버 유닛(170)은 제1 박스 유닛(110)의 개방된 상부, 제2 박스 유닛(130)의 닫힌 상부, 및 제3 박스 유닛(150)의 닫힌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유닛(170)은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커버링 플레이트(171,172,173)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커버링 플레이트(171,172,173) 사이에는 제1 내지 제2 접힘 라인(174,175)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커버링 플레이트(171)는 제1 접힘 라인(174)을 기준으로 제2 커버링 플레이트(172)에 포개어지게 접힐 수 있다. 또한, 제3 커버링 플레이트(173)은 제2 접힘 라인(175)을 기준으로 제2 커버링 플레이트(172)에 포개어지게 접힐 수 있다. 이렇게 접힌 상태에서, 제1 커버링 플레이트(171) 및 제3 커버링 플레이트(173)은 제2 커버링 플레이트(17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커버링 플레이트(171,172,173)의 표면은 합성수지재질 원단, 천연가죽, 합성수지재질의 섬유로 직조된 원단, 일반적인 천, 비닐원단 등으로 마감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커버링 플레이트(171,172,173) 중 일 부분은 나무 판재로 마감될 수 있다. 이러한 나무 판재는, 박스 어셈블리(100)에서 차를 마시거나 과일을 먹을 때, 받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커버 유닛(170)은 커버링 스트랩(176)과 결합 부재(177)를 더 가질 수 있다. 커버링 스트랩(176)은 제1 커버링 플레이트(171), 제2 커버링 플레이트(172), 그리고 제3 커버링 플레이트(173) 각각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커버링 스트랩(176)은 커버링 플레이트(171,172,173)와 수납통(139, 159) 사이의 틈새를 가려준다. 결합 부재(177)는 인접한 커버링 스트랩(176)을 서로에 대해 결합/분리되게 한다. 결합 부재(177)는 원터치 결합형 파스너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의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박스 유닛(110),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박스 유닛(110)의 제1 몸체(111)의 바닥부에는 제1 분할 부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분할 부재(113)는, 예를 들어 상기 바닥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나누는 지퍼일 수 있다. 제1 몸체(111)의 양쪽 측벽의 외면에는 제1 체결 요소(1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요소(115)는, 예를 들어 벨크로일 수 있다.
제2 박스 유닛(130) 및 제3 박스 유닛(150)는 대체로 제1 박스 유닛(11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그래서, 그들 역시 바닥부에 제2 분할 부재(133), 제3 분할 부재(153)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그들의 체결 요소(135,155)는 각기 제2 몸체(131)의 바닥부, 제3 몸체(151)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체결 요소(115) 중 일부는 제2 체결 요소(135)에 체결되고, 제1 체결 요소(115) 중 나머지는 제3 체결 요소(155)에 체결된다.
제1 박스 유닛(110) 내지 제3 박스 유닛(150)은 각자의 분할 부재(113,133,153)에 의해 바닥부가 분할된 상태에서,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넘어져서 접힐 수 있다. 이때, 심재(137a)에 대한 외피(137b)의 유격(D)에 의해, 심재(137a)가 들어간 부분[예를 들어, 보강체(137)]도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는, 제1 박스 유닛(210), 제2 박스 유닛(230), 및 커버 유닛(270)을 가질 수 있다.
제1 박스 유닛(210)과 제2 박스 유닛(230)은 각각 일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박스 유닛(210)과 제2 박스 유닛(230)은 각각의 바닥부가 서로 체결되어, 그들의 측면이 측방을 향해 개방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제1 박스 유닛(210)의 제1 내부 공간의 개방단(212a)은 도면상 좌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제2 박스 유닛(230)의 제2 내부 공간(232)의 개방단(232a)은 도면상 우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1 박스 유닛(210)의 내부 공간에는 수납통(219)이 도면상 좌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2 박스 유닛(230)의 내부 공간(232)에는 수납통(239)이 도면상 우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 박스 유닛(230)의 내부 공간(232), 구체적으로 보강체(237)에는 제2 결합 부재(238)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38)는 벨크로일 수 있다.
커버 유닛(270)은 3개의 커버링 플레이트(271,272,273)와, 2개의 접힘 라인(274,275)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커버 유닛(270)의 스트랩(276)은 스트랩 본체(276a)를 구비한다. 이 스트랩 본체(276a)에는 위의 제2 결합 부재(238)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278)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78) 역시 벨크로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에서 제1 박스 유닛(210) 및 제2 박스 유닛(230)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박스 유닛(210) 및 제2 박스 유닛(230)은 서로의 바닥부에 설치된 체결 요소(215,235)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제1 박스 유닛(210) 및 제2 박스 유닛(230)은 각각의 분할 부재(213,233)에 의해 각각의 바닥부가 2개 영역으로 나뉘어 접혀질 수 있다. 이때, 보강체(237)는 유격(D, 도 4)에 의해 하우징(211,231)과 함께 접히거나, 하우징(211,231)에서 사전에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는 앞선 실시예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100)에 비해 상부가 개방된 박스 유닛(110, 도 3)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상부가 개방된 박스 유닛의 부재로 인한 수직 방향 하중 지지 능력의 약화를 보완하기 위해, 좀 더 개선된 보강체(237)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체(237)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보강체(237)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보강체(237)는, 보강 심재(237a)와, 외피(237b)를 가질 수 있다.
보강 심재(237a)는, 대체로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이다. 보강 심재(237a)는 MDF나, 골판지, 합성수지, 압축된 종이(하드보드), 금속재(알루미늄이나 철재)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외피(237b)는 보강 심재(237a)를 감싸는 백(bag)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237b)는, 보강 심재(237a)를 수용하는 수용부(237b1)와, 수용부(237b1)에서 연장된 한 쌍의 탈착부(237b2)를 가질 수 있다. 탈착부(237b2)는 대체로 수용부(237b1)의 상단과 하단에서 돌출 연장된다. 탈착부(237b2)에는 제2 몸체(231)의 내면에 설치된 벨크로에 대응하는 또 다른 벨크로(237b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부(237b2)에 의해, 보강체(237)는 제2 몸체(231)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보강체(237)는 보강 코너재(237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 코너재(237c)는 보강 심재(237a)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보강 코너재(237c)는 보강 심재(237a)의 코너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코너재(237c)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보강 심재(237a)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보강 코너재(237c)는 한 개로 구비되어, 보강 심재(237a)의 양 측부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박스 어셈블리(200)의 외곽 부분의 하중을 견디는 힘이 강해진다. 물론 앞서와 같이, 보강 심재(237a)의 양 측부 모두에 보강 코너재(237c)를 장착하면, 하중을 견디는 힘은 보다 강화될 것이다. 나아가, 보강 코너재(237c)는 보강 심재(237a)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강 코너재(237c)는, 중앙부(237c1)와, 제1 날개부(237c2), 및 제2 날개부(237c3)를 가질 수 있다. 중앙부(237c1)는 보강 심재(237a)의 측면에 대응하며, 제1 날개부(237c2)는 보강 심재(237a)의 전면에 대응하고, 제2 날개부(237c3)는 보강 심재(237a)의 배면에 대응한다. 그에 의해, 중앙부(237c1)와 제1 날개부(237c2) 및 제2 날개부(237c3)는 전체적으로 '⊂'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여 보강 심재(237a)의 인접한 3개의 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보강 코너재(237c)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강 코너재(237c)는 보강 심재(237a)를 보조하여, 보강 심재(237a)가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좌굴(buckling)될 가능성을 낮춰준다.
이상에서는 제2 몸체(231)에 설치되는 보강체(237)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보강체(237)는 제1 하우징(211)에도 동일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도 5에서 제2 박스 유닛(230) 및 커버 유닛(270)에서의 하중 지지 구조물의 배치 관계를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 유닛(270) 위에 사람이 올라앉는 경우 등에 있어서,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은 여러 구조물의 배치 관계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유닛(270)에는 커버링 플레이트(271,272,273) 내에 기본 심재(271',272',273')가 배치된다. 기본 심재(271',272',273')의 하측에는 제1 몸체(231)의 상부의 상부 심재(231a)가 배치된다. 나아가, 제1 몸체(231)의 하부에는 하부 심재(231b)가 배치된다. 하부 심재(231b)는 제1 몸체(231)의 형상에 의해, 상부 심재(231a)와 이격된 채로 배치된다. 이러한 기본 심재(271',272',273')와 상부 심재(231a) 및 하부 심재(231b)는 모두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그들은 모두 MDF나, 골판지, 합성수지, 압축된 종이(하드보드), 금속재(알루미늄이나 철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심재(231a)와 하부 심재(231b) 사이에는 보강 심재(237a)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보강 심재(237a)는 하부 심재(231b)에 지지된 채로, 상부 심재(231a) 및 기본 심재(271',272',273')를 떠받친다. 보강 심재(237a)는 보강 코너재(237c)에 의해 그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커버 유닛(270)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L)은, 기본 심재(271',272',273')에 의해 먼저 흡수된다. 이때, 기본 심재(271',272',273')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으나, 이들은 다시 하나의 상부 심재(231a)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된다. 그에 의해, 하중(L)이 상부 심재(231a)의 전 영역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상부 심재(231a)에 분산된 하중은, 보강 심재(237a) 및 보강 코너재(237c)에 의해 하부 심재(231b)로 전달된다. 이때, 보강 심재(237a) 자체의 하중 지지 능력이 일정 수준에 달하고, 그 이상의 하중에 대해서도 보강 코너재(237c)에 의해 지지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보강 코너재(237c)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보강 심재(237a)의 좌굴 가능성을 크게 낮춰준다.
보강 심재(237a) 등을 통해 전달된 하중은 하부 심재(231b)에 다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가 놓이는 바닥면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관된 하중 지지 구조에 의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는 큰 하중(L)에도 강인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는 물품 수납과 더불어, 스툴의 역할 수행에도 충분한 것이 된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형태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에 대해 도 11 및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에서 제1 박스 유닛(310),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300)는, 제1 박스 유닛(310),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을 가질 수 있다.
제1 박스 유닛(310)의 개방단(312a), 제2 박스 유닛(330)의 개방단(332a), 및 제3 박스 유닛(350)의 개바단(352a)는 각기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모두 측방을 지향하나, 그들의 구체적 지향 방향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은 도면상 우측으로, 제3 방향은 도면상 좌측을 지향한다. 그 결과,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직각을 이루고, 제1 방향과 제3 방향도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박스 유닛(310)의 제1 체결 요소(315a, 315b)는 제1 몸체(311)의 바닥부에 형성된다. 제2 박스 유닛(330)의 제2 체결 요소(335a, 355b)는 제2 몸체(331)의 측부와 바닥부에 각기 형성된다. 또한 제3 박스 유닛(350)의 제3 체결 요소(355a, 355b)는 제3 몸체(351)의 측부와 바닥부에 각기 형성된다. 그에 의해, 제1 박스 유닛(310)와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 간의 체결 시에는, 제1 체결 요소(315a)와 제3 체결 요소(355a)가 체결되며 또한 제1 체결 요소(315b)와 제2 체결 요소(335a)가 체결된다. 제2 박스 유닛(330)과 제3 박스 유닛(350) 간의 체결 시에는, 제2 체결 요소(335b)와 제3 체결 요소(355b)가 체결된다.
제1 박스 유닛(310),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의 위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제1 박스 유닛(310), 제2 박스 유닛(330), 및 제3 박스 유닛(350) 모두는 측방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통(319,339,359)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200)의 측면 중 3개 방향에서 수납통(319,339,359)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1 몸체(311), 제2 몸체(331), 및 제3 몸체(351)의 길이가 앞선 실시예 보다 짧아지게 되므로, 그들의 수직 하중에 대한 지지 능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두 번째 실시예의 보강체(237)의 구체적 구성은 첫 번째 실시예의 보강체(137), 세번 째 실시예의 보강체(317,337)에도 적용 가능하다.
100,200,300: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10,210,310: 제1 박스 유닛
111,211,311: 제1 몸체 130,230,330: 제2 박스 유닛
131,231,331: 제2 몸체 150,250,350: 제3 박스 유닛
151,251,351: 제3 몸체 170,270,370: 커버 유닛

Claims (16)

  1.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를 구비하는 제1 박스 유닛;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스 유닛에 체결되는 제2 박스 유닛; 및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을 덮는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은 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단을 가지고, 상기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2 개방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내부 공간 또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상기 커버 유닛과 평행한 방향인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수납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몸체와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플레이트 형태의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심재의 코너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강 코너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코너재는, 상기 보강 심재의 측부에 대응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보강 심재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보강 심재의 배면에 대응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의 측부가 상기 제2 박스 유닛의 바닥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개방단은 상방을 지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상기 측방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의 바닥부가 상기 제2 박스 유닛의 바닥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개방단은 측방 중 일 측을 지향하고 상기 제2 개방단은 상기 측방 중 타 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몸체의 외면에 설치된 제1 체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2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 요소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요소 및 상기 제2 체결 요소 각각은, 벨크로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몸체의 바닥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가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게 하는 제1 분할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부재는, 지퍼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코너재를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보강 심재 및 상기 보강 코너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몸체와 탈착 결합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인접한 다른 하나에 대해 접히게 하는 접힘 라인을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커버링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링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커버링 스트랩; 및
    상기 복수의 커버링 스트랩 중 인접한 커버링 트랩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스트랩은, 스트랩 본체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결합된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박스 유닛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제3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제3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및 상기 제2 박스 유닛 모두에 체결되는 제3 박스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향해 개방된 제3 개방단을 가지며,
    상기 제1 박스 유닛, 상기 제2 박스 유닛, 및 상기 제3 박스 유닛이 차지하는 박스 영역은, 상기 커버 유닛이 차지하는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 중 하나는 상방을 지향하고, 나머지 둘은 측방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지향하거나,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모두 측방 중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KR1020160109183A 2016-08-26 2016-08-26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KR10175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183A KR101756145B1 (ko) 2016-08-26 2016-08-26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183A KR101756145B1 (ko) 2016-08-26 2016-08-26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145B1 true KR101756145B1 (ko) 2017-07-10

Family

ID=5935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183A KR101756145B1 (ko) 2016-08-26 2016-08-26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4330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Item carrier
USD924329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Outer shell of an item carrier
USD924328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Inner shell of an item carrier
RU224070U1 (ru) * 2023-03-16 2024-03-14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Савченко Органайзер Куби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533B2 (ja) * 1992-06-22 2000-11-13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折戸の連結装置
JP3125141B2 (ja) * 1998-05-29 2001-01-15 紀孝 松村 船舶の動揺軽減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533B2 (ja) * 1992-06-22 2000-11-13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折戸の連結装置
JP3125141B2 (ja) * 1998-05-29 2001-01-15 紀孝 松村 船舶の動揺軽減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4330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Item carrier
USD924329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Outer shell of an item carrier
USD924328S1 (en) 2019-11-26 2021-07-06 Applestone Meat Company Llc Inner shell of an item carrier
RU224070U1 (ru) * 2023-03-16 2024-03-14 Денис Анатольевич Савченко Органайзер Куби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3236A (en) Modular shipping container
KR101756145B1 (ko)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US20100154118A1 (en) Mattress foundations, mattress foundation kits and related methods
US5765707A (en) Modular shipping container
US5557813A (en) Knock down mattress system
CN105326181B (zh) 用于行李箱物品的框架结构
US7325500B2 (en) Packag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ith articulable corner support members
US9675154B2 (en) Compound suitcase
US6516965B1 (en) Stackable collapsible container
MXPA97000875A (en) Bulk product container box with sopo side beams
US20050114995A1 (en) Earthquake-proof bed
US7455017B2 (en) Packaging system
US20220296003A1 (en) Mattress assemblies
KR101722072B1 (ko) 다단적재 조립 박스
CN207174536U (zh) 组合式集装箱
KR101756143B1 (ko) 조립형 박스 어셈블리
KR20130131811A (ko)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
CN114711576B (zh) 一种床头板、床及包装方法
KR20100093366A (ko) 포장 상자
CN215638217U (zh) 一种冰箱
KR102221502B1 (ko) 조립식 알루미늄 팔레트를 이용하는 물품적재대
CN217146906U (zh) 一种循环包装结构
KR102409434B1 (ko) 분해조립이 간편한 수납서랍 침대프레임
CN220694916U (zh) 一种卡板用支撑桩及可扩展多功能卡板
CN213139885U (zh) 一种组合式多功能箱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