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739B1 - 전장상황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장상황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739B1
KR101754739B1 KR1020160179534A KR20160179534A KR101754739B1 KR 101754739 B1 KR101754739 B1 KR 101754739B1 KR 1020160179534 A KR1020160179534 A KR 1020160179534A KR 20160179534 A KR20160179534 A KR 20160179534A KR 101754739 B1 KR101754739 B1 KR 10175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electric field
arrangement
ba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준
방범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6017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상황 배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방법은,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부대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인 부대, 비행대대 및 함정을 식별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에서 시설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의 제대규모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 비행대대, 함정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 및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관련된 전장의 주기장을 검색하고, 상기 주기장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함정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함정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재배치하고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차폐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져 배치된 경우,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 가능한 인접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인접 위치에 상기 분해 대상 장비를 재배치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장상황 배치 방법{Battlefield situation plac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전장상황맵에 표시하기 위한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동정보모의모델은 영상정보 자산운용모의를 통해 각종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첩보로써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정보 자산의 특성 및 제원을 기준으로 선정된 적 부대가 보유한 주요장비는 고해상도 객체분해 및 배치 모의논리에 따라 처리된다.
분해된 적부대의 주요장비는 적 부대의 상태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된 전개대형과 지형 격자정보를 고려한 고해상도 객체배치 모의논리를 적용, 3차원 영상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영상관리서버와 UAV모의기로 제공한다. 이후 각 서버 또는 운용기에서는 3차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영상정보 워크스테이션의 훈련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행상도로 분해된 객체를 배치하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549471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장상황정보를 바탕으로 부대 및 시설물을 전장상황맵에 배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방법은,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부대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인 부대, 비행대대 및 함정을 식별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에서 시설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의 제대규모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 비행대대, 함정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부대 및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관련된 전장의 주기장을 검색하고, 상기 주기장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함정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함정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재배치하고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차폐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져 배치된 경우,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 가능한 인접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인접 위치에 상기 분해 대상 장비를 재배치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장상황정보를 바탕으로 부대 및 시설물을 지형, 제대규모, 임무, 도시화 정도에 따라 전장상황맵에 배치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장 상황을 손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형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장에 따른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화 정도에 따른 건물 차폐율을 결정하고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표셔 여부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병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갑기계화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대대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장치(100)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전장상황 배치 장치(100)는 전장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에 대하여 전장상황맵에 표시하기 위한 배치 위치, 배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장상황 배치 장치(100)는 수신부(110), 송신부(120) 및 고해상도 분해배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부대 정보는, 전장에 위치한 부대, 비행대대 및 함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시설물 정보는 전장에 위치한 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는 보병 부대, 기갑기계화 부대 및 포병 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은 이동형 유도탄 기지 및 고정형 유도탄 기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상황정보는, 예를 들어, 무인 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드론(drone), 유인 정찰기, 무인 정찰기, 인공 위성 등을 이용한 정찰 활동의 결과로 획득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전장상황정보는, 국방사물인터넷(M-IoT, Military Internet of Things) 기반 플랫폼을 통해서 수신부(110)에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국방사물인터넷 기반 플랫폼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에 기반한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 분석과 신속한 보고체계가 구현되는 국방정보 서비스이다.
고해상도 분해배치부(200)는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서 분해대상을 고행상도로 분해하고, 상기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포함한 배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배치부(200)는 수신패킷 분석부(210),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 객체분해 처리부(230), 분해 규칙부(240) 및 고해상도 분해객체 매핑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패킷 분석부(210)는 상기 수신된 전장상황정보가 유효한 데이터인지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패킷 분석부(210)는 수신된 전장상황정보의 위변조 여부, 유효한 데이터 형식인지 여부, 암호화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상기 수신된 전장상황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배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식별을 위하여,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객체분해 처리부(230)를 이용할 수 있다.
객체분해 처리부(230)는 분해 규칙부(240)에 포함된 고해상도 객체 분해 규칙을 바탕으로, 상기 수신된 전장상황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 분해 규칙부(240)에는 상기 전장상황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추출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전장상황정보가 영상 정보이면, 분해 규칙부(240)에는 상기 영상 정보에서 포병 부대를 인식하기 위한 포의 벡터 데이터, 포의 형상, 포의 크기, 포의 색상 등의 포병 메타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객체분해 처리부(230)는 상기 전장상황정보의 영상에서 상기 포병 메타 이미지 정보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정보에서 메타 데이터에 일치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한국공개특허 10-2016-0115386 와 같이,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객체분해 처리부(230)에서 분해된 고해상도 객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고해상도 객체 정보는, 상기 고해상도 객체의 식별 정보, 영상에서의 위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고해상도 객체를 부대, 비행 대대, 함정 및 시설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해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상기 영상에서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의 전장에서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상기 전장의 지형, 상기 부대의 임무, 상기 전장의 주기장 및 상기 전장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 배치 방법 및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매핑부(250)는 상기 최종적으로 조정된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바탕으로, 상기 분해대상을 상기 전장의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매핑부(250)는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지역의 지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도 정보에 상기 분해대상이 배치된 전장상황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해대상이 보병이고, (x,y) 좌표 상에 배치되고, 일선형으로 배치되며, 북쪽을 향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지도 상에 상기 (x,y) 좌표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보병을 가리키는 아이콘(icon)을 북쪽 방향으로 일선형으로 배치하여, 전장상황맵을 생성할 수 있다.
고해상도 분해객체 관리부(220)는 상기 생성된 전장상황맵을 송신부(120)를 통해서 외부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상황정보를 바탕으로 부대 및 시설물을 배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가 수신된다(S100).
상기 전장상황정보는 공중 정찰 활동의 결과로 획득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대 정보는 부대, 비행 대대 및 함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대 정보는 부대, 비행 대대 및 함정을 가리키는 이미지 이며, 상기 전장상황정보의 영상에 상기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대는 보병 부대, 기갑/기계화 부대 및 포병 부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은, 이동형 유도탄 기지 및 고정형 유도탄 기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인 부대, 비행대대 및 함정을 식별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에서 시설물을 식별한다(S110).
상기 부대 정보는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지형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은, 사전에 정해진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장상황정보에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병 부대에 관한 메타 데이터인 이미지 벡터를 바탕으로, 상기 전장상황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에서 상기 이미지 벡터와 일치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보병 부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이 부대인 경우, 상기 부대의 제대 규모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부대를 가리키는 추출된 이미지의 크기를 바탕으로 부대 규모가 식별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보병인 경우, 상기 제대 규모는 연대, 중대 및 대대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부대가 기갑기계화 부대인 경우, 상기 제대 규모는 대대, 중대 및 소대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부대가 포병 부대인 경우, 상기 제대 규모는 대대 및 포대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인 부대, 비행대대, 함정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부대를 가리키는 추출된 이미지에서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가리키는 장비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바탕으로 장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보병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중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60mm 박격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보병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대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82mm 박격포, 14.5mm 고사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보병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연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76.2mm 박격포, 107mm 박격포, 120mm 박격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기갑기계화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소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T-34, 천마, M-19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기갑기계화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중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상기 소대의 장비와 14.5mm(M-19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기갑기계화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대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상기 중대의 장비와 120mm 자주박격포(M-19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포병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포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122mm 곡사포(D-30), 15.2mm곡사포(D-20), 240mm(M-9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가 포병 부대이고 제대 규모가 대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상기 포대의 장비와 30mm(M-19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대상이 비행 대대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MI-2, MIG-15, SU-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대상이 함정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장비는 상어급 잠수함, 로미오급 잠수함, 위스키급 잠수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대상이 시설물인 경우, 상기 식별할 수 있는 분해대상 시설물은, 이동 및 고정형 유도탄기지인 SA-2, SA-3, SA-5, 노동, 스커드, KN-02, Silk-Warm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부대 및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120).
상기 획득된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위치의 지형에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배치가 불가하면, 상기 위치의 인접 지역을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새로운 배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지형에 따른 배치 위치 결정은 도 3의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관련된 전장의 주기장을 검색하고, 상기 주기장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130).
상기 전상상황정보가 획득된 전장 지역에서 주기장을 검색할 수 있다. 주기장은 항공기가 주기하는 공간이다. 상기 주기장이 검색되면,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에 포함된 항공기를 상기 검색된 주기장이 상기 항공기의 배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주기장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부내 정보에 포함된 상기 항공기의 위치가 상기 항공기의 배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함정의 상기 부대 정보에 포함된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함정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140).
함정의 경우에는 바다 위에 배치가 되므로, 지형에 따른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전장상황정보에서 식별되는 위치가 배치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조정한다(S150).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을 상기 전장상황맵에 표시할 때 그 임무에 따라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전장상황맵에 표시된 배치 형태를 보면,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즉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서, 보병 부대가 전술적 이동 임무 중인 경우에, 전장상황맵에 작은 원으로 일선형 종대로 표시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전장상황맵에 작은 원이 일선형 종대로 표시된 것은 전술적 이동 중인 보병 부대로 인식될 수 있다. 임무에 따른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는 도 5, 도 8 내지 도 13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장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재배치하고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차폐율을 적용한다(S160).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배치한 경우, 건물에 가려서 차폐가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차폐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시화 정도에 따른 차폐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차폐율에 따라 건물 주변에 위치한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차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시화 정도는, 상기 지형 정보에 얼마나 많은 건물이 있는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상기 도시화 정도는 마을 없음, 마을, 소읍, 소도시, 중도시 및 대도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시화 정도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건물 차폐율이 선택되고, 상기 건물 차폐율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차폐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시화 정도에 따른 건물의 차폐율 적용은, 도 6의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져 배치된 경우,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 가능한 인접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인접 위치에 상기 분해 대상 장비를 재배치 한다(S170).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위치가 모두 결정된 이후에, 겹쳐져 배치되는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배치 위치가 겹치지는 분해대상 장비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전에 정해진 반경 거리에 위치한 지점 중에 어느 하나의 지점에 새롭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상기 반경 거리에 위치한 지점 중에서 사전에 정해진 8방향의 지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지점 중에서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지지 않는 지점이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선정된 지점의 위치가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새로운 배치 위치가 될 수 있다. 겹쳐진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위치 조정은 도 7의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형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지형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현재 위치에 상기 부대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가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는지 판단한다(S200).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지형의 유형이 평지, 구름 또는 소택지 인 경우 장비 배치 가능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형의 유형이 수면 또는 산악인 경우 장비 배치 불가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0).
상기 판단 결과 장비 배치 가능 지역이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가 될 수 있다(S220).
상기 판단 결과 장비 배치 불가 지역이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전에 정해진 8 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제1 반경 거리에 위치한 제1 인접 위치를 선정한다(S230).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반경일 수 있고, 상기 8 방향은 45도 간격의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및 북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는지 판단한다(S240).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포함된 부대 및 시설물의 새로운 배치 위치가 된다(S250).
배치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8 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제2 반경 거리에 위치한 제2 인접 위치를 선정한다(S260).
예를 들어,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제1 반경의 두 배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는지 판단한다(S270).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포함된 부대 및 시설물의 새로운 배치 위치가 된다(S280).
배치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접 위치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가장 배치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새로운 배치위치로 결정한다(S2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장에 따른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주기장에 따른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상상황정보가 획득된 전장 지역에서 주기장을 검색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전장상황정보가 획득된 전장 지역의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기장이 검색될 수 있다.
상기 주기장이 검색되면, 주기장에 위치할 상기 비행대대에 포함된 항공기 수를 결정한다(S310).
예를 들어, 보유항공기 수에서 격납고내 항공기 수와 임무중인 항공기 수를 제외한 항공기 수가 상기 주기장에 위치할 항공기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주기장에 위치할 항공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예를 들어 상기 결정된 주기장 위치 항공기수가 0보다 큰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주기장 위치 항공기수가 0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색된 주기장의 위치 및 방향을 상기 비행대대에 포함된 항공기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으로 결정한다(S330).
상기 주기장이 검색되지 않거나, 상기 주기장 위치 항공기가 없는 경우, 상기 부대 정보에 포함된 상기 비행대대의 현재 위치가 배치 위치가 되며, 배치 형태는 일선형 배치가 된다(S340). 이 경우, 상기 비행대대는 부대 지향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임무에 따른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확인한다(S400).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바탕으로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는, 아군의 경우 작전 정보를 공유하여 획득될 수 있고, 적군의 경우 다양한 첩보 활동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를 확인한다(S410). 상기 부대의 분해대상 장비는, 보병 부대, 기갑기계화 부대 및 포병 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의 분해대상 장비는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에 보병 부대가 포함된 경우(S420), 상기 보병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종대 배치이고, 방어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 배치이고,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로 결정될 수 있다(S425).
상기 부대에 기갑기계화 부대가 포함된 경우(S430), 상기 기갑기계화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종대 배치이고, 방어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 배치이고,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로 결정될 수 있다(S435).
상기 부대에 포병 부대가 포함된 경우(S440), 상기 포병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종대 배치이고, 방어 임무 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횡대 또는 사선형 배치이며,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횡대 또는 사선형으로 결정될 수 있다(S445).
상기 시설물 정보에 시설물이 포함된 경우(S450), 상기 배치된 시설물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임무 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일선형 종대, 고정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는 타원형으로 결정될 수 있다(S455).
상기 배치 형태에 관하여서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대에 포함된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도로 이동 중이면(S460). 상기 분해대상 장비와 가장 가까운 도로 위로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방향을 부대지향 방향으로 변경한다(S46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화 정도에 따른 건물 차폐율을 결정하고 부대 및 시설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표셔 여부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도시화 정도에 따른 건물 차폐율 적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장상황정보가 획득된 지역의 건물수, 건물 밀도 등을 바탕으로 도시화 정도를 결정한다(S500). 상기 도시화 정도는, 지역 내에 건물의 밀도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화 정도는 마을 없음, 마을, 소읍, 소도시, 중도시 및 대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을 없음은 건물이 거의 없는 경우이며, 마을, 소읍, 소도시, 중도시, 대도시 순으로 건물의 밀도가 높을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도시화 정도가 마을 없음, 마을, 소읍, 소도시, 중도시 및 대도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된 경우(S510), 상기 부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위로 상기 부대의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 위치를 변경한다(S515).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마을 없음인 경우(S520), 건물 차폐율이 0 % 이상 5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25). 예를 들어, 상기 도시화 정도가 마을 없음인 경우, 건물 차폐율은 0% 이상 5%이사의 사이 값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3%일 수 있다.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마을인 경우(S530), 건물 차폐율이 6 % 이상 33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35).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소읍인 경우(S540), 건물 차폐율이 34 % 이상 6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45).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소도시인 경우(S550), 건물 차폐율이 67 % 이상 7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55).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중도시인 경우(S560), 건물 차폐율이 77 % 이상 8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65).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대도시인 경우(S570), 건물 차폐율이 87 % 이상 100%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S575).
상기 결정된 건물 차폐율에 의해서 상기 부대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의 차폐 여부를 판단한다(S580). 예를 들어, 상기 건물 차폐율을 확률로 하는 주사위를 던져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차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차폐 되는 걸로 판단되면,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는 숨김으로 설정된다(S59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차폐 되지 않는 걸로 판단되면, 상기 분해대상 장비의 배치는 표시로 설정된다(S595).
상기 분해대상의 배치가 표시로 설정될 때만, 전장상황맵에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쳐진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겹쳐진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은 상기 전장상황정보에서 고해상도 식별된 부대, 비행대대, 함정 및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서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들의 배치 위치를 조사하여, 다른 고해상도 분해대상과 배치 위치가 겹쳐진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검색한다(S710).
상기 검색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전에 정해진 8 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제1 반경 거리에 위치한 제1 인접 위치를 선정한다(S720).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반경일 수 있고, 상기 8 방향은 45도 간격의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및 북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이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는지 판단한다(S730).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배치 가능한 위치가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새로운 배치 위치가 된다(S740).
배치 가능한 위치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8 방향으로 사전에 정해진 제2 반경 거리에 위치한 제2 인접 위치를 선정한다(S750).
예를 들어,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제1 반경의 두 배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분해대상 장비가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는지 판단한다(S760).
배치 가능한 위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새로운 배치 위치가 된다(S770).
배치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접 위치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가장 배치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새로운 배치위치로 결정한다(S78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병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부대 정보에서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이 보병 부대인 경우에, 상기 보병 부대에 대한 배치 형태는 임무 및 제대 규모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임무는 전술적 이동, 방어 집결지 행동, 방어 교전, 공격 집결지 행동, 공격 교전 및 철수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대 규모는 중대, 대대 및 연대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보병 부대는,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결정된 배치 형태로, 상기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배치 위치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에 상기 배치 형태의 중심 부분을 위치시켜 상기 배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갑기계화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부대 정보에서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이 기계기갑화 부대인 경우에, 상기 기계기갑화 부대에 대한 배치 형태는 임무 및 제대 규모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임무는 전술적 이동, 방어 집결지 행동, 방어 교전, 공격 집결지 행동, 공격 교전 및 철수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대 규모는 소대, 중대 및 대대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기계기갑화 부대는,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결정된 배치 형태로, 상기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배치 위치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에 상기 배치 형태의 중심 부분을 위치시켜 상기 배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부대의 제대 규모 및 임무에 따른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대 정보에서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이 포병 부대인 경우에, 상기 포병 부대에 대한 배치 형태는 임무 및 제대 규모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임무는 전술적 이동, 방어 집결지 행동, 방어 교전, 공격 집결지 행동, 공격 교전 및 철수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대 규모는 포대 및 대대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포병 부대는,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결정된 배치 형태로, 상기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배치 위치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에 상기 배치 형태의 중심 부분을 위치시켜 상기 배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대대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비행대대에 포함되는 항공기는 전투기, 폭격기, 수송기 및 정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의 배치 형태는, 상기 항공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비행대대는,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결정된 배치 형태로, 상기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배치 위치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에 상기 배치 형태의 중심 부분을 위치시켜 상기 배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함정에 포함되는 개별함정은 전투함, 화력지원정, 수송함 및 잠수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정의 배치 형태는, 상기 개별함정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비해대대는, 상기 전장상황맵에 상기 결정된 배치 형태로, 상기 전장상황 배치 방법에 의해서 결정된 배치 위치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에 상기 배치 형태의 중심 부분을 위치시켜 상기 배치 형태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전장상황 배치 장치

Claims (7)

  1.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부대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인 부대, 비행대대 및 함정을 식별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에서 시설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식별된 부대의 제대규모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식별된 부대, 비행대대, 함정 및 시설물에 포함된 분해대상 장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식별된 부대 및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관련된 전장의 주기장을 검색하고, 상기 주기장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식별된 함정의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함정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전장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상기 전장상황맵 상에 재배치하고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차폐율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져 상기 전장상황맵에 배치된 경우,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 가능한 인접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인접 위치에 상기 분해 대상 장비를 상기 전장상황맵에 재배치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장상황맵은,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지역의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맵 데이터이며,
    상기 부대는,
    보병 부대, 기갑/기계화 부대 및 포병 부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은,
    이동형 유도탄 기지 및 고정형 유도탄 기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장상황 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을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지형의 유형이 평지, 구름 또는 소택지 인 경우 장비 배치 가능 지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지형의 유형이 수면 또는 산악인 경우 장비 배치 불가 지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장비 배치 가능 지역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대 및 상기 시설물의 제1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상기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장비 배치 불가 지역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장상황맵에서 상기 부대 및 상기 시설 물의 위치를 중심으로 인접한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접한 위치를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8 방향으로 제1 반경에 위치한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가능한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상기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8 방향으로 제2 반경에 위치한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가능한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간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상기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인접 위치 및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가장 배치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상기 부대 및 시설물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부대 또는 시설물의 반경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제1 반경의 2배의 거리인,
    전장상황 배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장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된 비행대대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보유항공기 수에서 격납고내 항공기 수와 임무중인 항공기 수를 제외한 항공기 수를 상기 주기장에 위치할 항공기수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주기장 위치 항공기수가 0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색된 주기장의 위치 및 방향을 상기 비행대대에 포함된 항공기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주기장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부대 정보에 포함된 상기 항공기의 위치를 상기 항공기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장상황 배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에 따라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배치된 부대 및 시설물의 임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부대에 보병 부대가 포함된 경우, 상기 보병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종대 배치로 결정하고, 방어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 배치로 결정하며,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부대에 기갑기계화 부대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갑기계화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종대 배치로 결정하고, 방어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 배치로 결정하며,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좌우 제차형, 전후각형 또는 일선형 횡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부대에 포병 부대가 포함된 경우, 상기 포병 부대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또는 철수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종대 배치로 결정하고, 방어 임무 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횡대 또는 사선형 배치로 결정하며, 공격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횡대 또는 사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배치된 시설물의 임무가 전술적 이동 임무 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일선형 종대로 결정하고, 고정 임무이면 상기 배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부대에 포함된 장비가 도로 이동 중이면 상기 장비와 가장 가까운 도로 위로 상기 전장상황맵에 배치되는 상기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부대에 포함된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방향을 부대지향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장상황 배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상기 분해대상 장비를 재배치하고 상기 지형 정보에 포함된 건물의 차폐율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도시화 정도를 마을 없음, 마을, 소읍, 소도시, 중도시 및 대도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소도시, 중도시 또는 대도시인 경우, 상기 부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위로 상기 부대의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마을 없음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0 % 이상 5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마을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6 % 이상 33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소읍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34 % 이상 6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소도시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67 % 이상 7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중도시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77 % 이상 86 %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도시화 정도가 대도시인 경우 건물 차폐율을 87 % 이상 100% 이하 범위에서 무작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는 상기 결정된 건물 차폐율에 의해서 상기 부대의 장비가 차폐되면, 상기 장비를 상기 전장상황맵에서 숨기고, 차폐되지 않으면 상기 장비를 상기 전장상황맵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장상황 배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가 다른 분해대상 장비와 겹쳐져 배치된 경우, 상기 분해 대상 장비를 재배치 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겹쳐져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위치인 제1 위치를 기준으로 8 방향으로 제1 반경에 위치한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가능한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상기 겹쳐져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1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위치를 기준으로 8 방향으로 제2 반경에 위치한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가능한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간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상기 겹쳐져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장상황 배치 장치가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인접 위치 및 상기 제2 인접 위치 중에서 가장 배치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상기 겹쳐져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경은, 상기 상기 겹쳐져 배치된 분해대상 장비의 반경이고,
    상기 제2 반경은, 상기 제1 반경의 2배의 거리인,
    전장상황 배치 방법.
  7.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가 포함된 전장상황정보가 수신되는 수신부;
    상기 전장상황정보에 포함된 지역의 지도 정보를 바탕으로 맵 데이터인 전장상황맵을 생성하며, 상기 부대 정보 및 시설물 정보에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고해상도 분해대상을 전장 지형,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종류,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임무, 및 상기 전장 지형의 도시화 정도를 바탕으로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상기 전장상황맵 상의 배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는 고해상도 분해배치부; 및
    상기 고해상도 분해대상의 객체 정보, 배치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는 고해상도 분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장상황 배치 장치.
KR1020160179534A 2016-12-26 2016-12-26 전장상황 배치 방법 KR10175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34A KR101754739B1 (ko) 2016-12-26 2016-12-26 전장상황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34A KR101754739B1 (ko) 2016-12-26 2016-12-26 전장상황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739B1 true KR101754739B1 (ko) 2017-08-08

Family

ID=5965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534A KR101754739B1 (ko) 2016-12-26 2016-12-26 전장상황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8434A (zh) * 2019-10-30 2019-12-2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隧道内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KR102146264B1 (ko) * 2020-01-08 2020-08-20 제이에스씨(주) 5g 네트워크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합 지휘통제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95B1 (ko) 2012-07-24 2013-02-26 대한민국 실시간 무인첩보기 영상 시뮬레이터와 훈련시뮬레이션의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38243B1 (ko) 2013-09-03 2013-12-06 국방과학연구소 웹기반 가상공간을 활용한 군사정보 시각화 시스템
KR101416916B1 (ko) 2013-12-13 2014-07-09 국방과학연구소 에이전트 기반의 군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물자의 최적 분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85508B1 (ko) 2015-05-14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군상황도 처리 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95B1 (ko) 2012-07-24 2013-02-26 대한민국 실시간 무인첩보기 영상 시뮬레이터와 훈련시뮬레이션의 연동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38243B1 (ko) 2013-09-03 2013-12-06 국방과학연구소 웹기반 가상공간을 활용한 군사정보 시각화 시스템
KR101416916B1 (ko) 2013-12-13 2014-07-09 국방과학연구소 에이전트 기반의 군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물자의 최적 분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85508B1 (ko) 2015-05-14 2016-01-19 국방과학연구소 군상황도 처리 장치 및 그것의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8434A (zh) * 2019-10-30 2019-12-2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隧道内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CN110618434B (zh) * 2019-10-30 2021-11-1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激光雷达的隧道内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KR102146264B1 (ko) * 2020-01-08 2020-08-20 제이에스씨(주) 5g 네트워크 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한 통합 지휘통제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9522A1 (en)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AND TARGETING (eSAT) SYSTEM
EP2693160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 to calculate and display a no-fly zone.
KR101754739B1 (ko) 전장상황 배치 방법
US10593224B2 (en) Tactical engagement simulation (TES) ground-based air defense platform
O'Neil et al. The 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CEC): Transforming naval anti-air warfare
RU2539707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сами вооружения формирований артиллерии при стрельбе
Kleinschmidt et al. Scanning the horizon: Drones and counter-narcotics in latin america
Fedaravicius et al. Design and research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elemetric equipment for the laser-guided very short range air defence systems field simulator
Liu et al. Research of UAV cooperative reconnaissance with self-organization path planning
Kurdi et al. Cooperative Unmanned Air and Ground Vehicles for Landmine Detection
Czeszejko Radar surveillance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of the 21 st century
Miklaski et al.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timing constraints for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Fučík 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and Outer Space
Kopczewski et al. Defense and deterrence as the foundation of the a2/ad system in smart city air defense
Mishra Network centric warfare in the context of ‘operation Iraqi freedom’
Poteat Stealth, Countermeasures, and ELINT, 1960-1975
Willis et al. Distributed Sensor Networks on the Future Battlefield
Lee Optimal Allocation Model of Anti-Artillery Radar by Using ArcGIS and its Specifications
Naydenov The role of GIS in the military systems–some facts and issues
Rădulescu et al.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Need for the Use of Unmanned Systems in the Naval Forces Operations
Cheng China's nuclear command, control and operations
Harrington Unattended ground sensors for Expeditionary Force 21 intelligence collections
Furján Capabilities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intelligence functional sub-system of „HUTOPCCIS” computer-aided command system operating on a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basis
KR20210060834A (ko) 다중접속 멀티협업 군사용 교육 훈련 시스템
Marquet et al. Future directions of information systems in the Army After N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