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648B1 -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 Google Patents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648B1
KR101754648B1 KR1020150065939A KR20150065939A KR101754648B1 KR 101754648 B1 KR101754648 B1 KR 101754648B1 KR 1020150065939 A KR1020150065939 A KR 1020150065939A KR 20150065939 A KR20150065939 A KR 20150065939A KR 101754648 B1 KR101754648 B1 KR 10175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et
ball
g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206A (ko
Inventor
손용재
Original Assignee
손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재 filed Critical 손용재
Priority to KR102015006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64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사이드라인과,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앤드라인으로 이루어진 그라운드와, 상기 그라운드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더블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네트부는 제1 네트 및 제2 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와 제2 네트 사이의 영역에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이벤트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을 이용한 경기를 보다 다양하고, 즐겁게 진행할 수 있고, 부상의 위험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COURT FOR A GAME OF BALL AND RULE OF THE GAME}
본 발명은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네트 사이의 영역에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이벤트존이 형성되고,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관한 것이다.
지금의 배구는 YWCA 지도자 웰리암 지 모건이 테니스와 핸드볼에서 힌트를 얻어 테니스 네트를 높이고 농구공이나 튜브를 이용하여 손으로 공을 치거나 발로 공을 차는 구기를 착안한데서 기인한다.
그리고 구기종목은 대중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고 남녀노소 누구나 오락처럼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축구, 농구 등은 지나친 신체적 접촉과 과격한 플레이 등으로 남녀노소가 다 함께 어울려 즐기기 어려움에 따라 남녀를 구분하거나 연령대를 구분하여 경기를 진행하는게 일반적이다.
한편 배구는 네트가 높고 공이 단단하여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공을 다룰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고, 부상등의 위험이 커서 일반인들이 경기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많은 부담이 따르게 된다.
즉,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을 이용한 코트에서 일반인들이 경기를 하기에는 기술습득이 요구되어 경기가 단조롭고 지루하게 경기가 진행되고,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어울려 즐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부상의 위험성이 크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53167호(2010년 4월 8일 등록)
본 발명의 관점은 두개의 더블네트를 이용하고, 상기 더블네트 사이의 영역에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이벤트존이 형성되고,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볼을 선택할 수 있어 경기를 보다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고, 소프트한 공을 이용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길수 있는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사이드라인과,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앤드라인으로 이루어진 그라운드와, 상기 그라운드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더블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네트부는 제1 네트 및 제2 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와 제2 네트 사이의 영역에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이벤트존이 형성된다.
또한,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와 제2 네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더블네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와,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네트망을 포함한다.
또한,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각각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네트망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은 서로 분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복수의 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를 이용한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경기방법은 공격자의 공을 수비자가 블로킹하고, 블로킹된 공이 상기 이벤트존에 떨어지면 수비자는 2점을 획득하고, 공격자와 수비자는 공격 및 블로킹을 위해 점프를 하면 1 실점하고, 본인팀의 네트를 터치하면 무실점, 상대팀 네트를 터치하면 2 실점하고, 서브시 앤드라인 내의 코트안으로 한발을 넣어도 무실점하고, 홀딩, 투터치, 오버네트, 라인크로스의 경우 무실점하고, 서브한 공이 이벤트존에 들어가면 2 실점하고, 이기고 있는 팀은 강하게 서브를 넣으면 1 실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를 이용한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경기방법은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복수의 볼을 더 포함하고, 지고있는 팀은 이벤트 공을 선택할 수 있고, 이벤트 공의 선택 후 득점한 경우 4 득점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을 이용한 경기를 보다 다양하고, 즐겁게 진행할 수 있고, 부상의 위험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트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더블네트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더블네트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코트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네트부를 개
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코트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a)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를 이용한 운동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트(100)는 사이드라인(110), 앤드라인(120) 및 더블네트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더블네트부(130)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상기 사이드라인(110)과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앤드라인(120)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그라운드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더블네트부(130)는 제1 네트(130a) 및 제2 네트(1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130a)와 제2 네트(130b) 사이의 영역에 이벤트존(140)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더블네트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더블네트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네트(130a)와 제2 네트(130b)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더블네트부(130)는 제1 프레임부(131)와 제2 프레임부(132), 연결프레임부(133) 및 네트망(13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부(1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132)에는 상기 네트망(134)이 결합되어 제1 네트(130a)와 제2 네트(130b)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프레임부(1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132)는 서로 대향되도록 더블네트부(130)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131)는 상부 프레임(131a), 하부 프레임(131b), 지지프레임(131c)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1a)은 상기 네트망(134)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31b)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31b)은 상기 지지프레임(131c)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1c)은 상기 상부 프레임(131a) 및 상기 하부 프레임(131b)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31a)과 상기 하부 프레임(131b)는 각각 서로 대응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31c)에 각각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31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131a)과 상기 하부 프레임(131b)이 각각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131)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제2 프레임부(132)은 상부 프레임(132a), 하부 프레임(132b), 지지프레임(132c)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2a)은 상기 네트망(134)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32b)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32b)은 상기 지지프레임(132c)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2c)은 상기 상부 프레임(132a) 및 상기 하부 프레임(132b)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32a)과 상기 하부 프레임(132b)은 각각 서로 대응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32c)에 각각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32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132a)과 상기 하부 프레임(132b)이 각각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부(133)은 서로 쌍을 이루는 제1 연결프레임(133a)와 제2 연결프레임(13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3a)과 제2 연결프레임(133b)은 각각 제1 프레임부(1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132)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프레임(133a)과 제2 연결프레임(133b)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1 프레임부(131)의 상부 프레임(132a)과 상기 제2 프레임부(132)의 상부 프레임(132a)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더블네트부(130)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상부 프레임(131a, 132a)를 각각 연결하는 중간프레임(1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 프레임부(131), 제2 프레임부(132) 및 연결프레임부(133)은 상부 프레임(131a, 132a) 및 연결프레임부(133)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네트망(134)을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130a), 제2 네트(130b) 및 이벤트존(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블네트부(130)를 이루는 상기 제1 프레임부(131)와 제2 프레임부(132), 연결프레임부(133) 및 네트망(134)은 분해결합될 수 있다. 이는 이동 및 보관시 편리하게 분해 및 조립하여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1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132)에 결합된 네트망(134)의 높이는 1.5 ~ 2m로 위치될 수 있고, 남자경기의 경우 2m, 여자경기의 경우 1.75m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망(134)의 높이는 선수의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131a, 132a)가 상기 하부 프레임(131b, 132b)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100)의 사이드라인(110)은 14m, 앤드라인(120)은 9m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선수의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코트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블네트부(230)는 도 3에 도시한 더블네트부(130)과 비교하여 네트망의 고정방식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더블네트부(230)는 제1 프레임부(231)와 제2 프레임부(232), 연결프레임부(미도시) 및 네트망(2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2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232)는 서로 대향되도록 더블네트부(230)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231) 및 제2 프레임부(232)는 각각 상부 프레임(231a, 232a), 하부 프레임(231b, 232b), 지지프레임(231c, 232c)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망(234)의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부(231)의 상부 프레임(231a)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프레임부(232)의 상부 프레임(232a)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망(234)의 하부를 묶는다. 이는 공이 이벤트존에 들어감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다시 공을 빼서 경기를 쉽게 재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코트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네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블네트부(330)는 도 3에 도시한 더블네트부(130)과 비교하여 네트망의 결합구조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더블네트부(330)는 제1 프레임부(331)와 제2 프레임부(332), 연결프레임부 및 네트망(3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331)과 상기 제2 프레임부(332)는 서로 대향되도록 더블네트부(330)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331) 및 제2 프레임(332)는 각각 쌍을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331a, 332a) 및 하부 프레임(331b, 332b)과 상기 상부 프레임(331a, 332a) 및 하부 프레임(331b, 332b)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31c, 332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망(234)는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331a, 332a)을 각각 연결함에 따라 제1 네트(330a)와 제2 네트(330b)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실내 및 실외에서 간편하게 더블네트부를 설치하고 경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에 사용되는 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a)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200)은 외피부(210)와 코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피부(2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직물지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코어부(220)는 공의 무게를 유지함과 동시에 많은 충격량을 가하지 않는 에어튜브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공(200)은 탄성력을 지님과 동시에 경기 참여자의 몸에 맞을 경우에도 부상등의 염려가 없게된다.
또한, 상기 공(200)의 둘레는 200 ~ 290cm, 무게는 150 ~ 200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100)에 사용되는 공(200)은 종래의 배구공보다 크고, 가볍게 이루어짐에 따라 공에 맞았을 때 아프거나, 손가락 등의 부상의 염려없이, 남녀노소 쉽게 경기할 수 있고, 경기 참여시에도 부담이 없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에 사용되는 공은 일반 공과 이벤트 공을 포함하고, 이벤트 공의 경우 점수배점을 달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지고 있는 팀은 점수배점이 상대적으로 큰 이벤트 공을 선택하여 역전의 기회를 얻을 수 있어 경기를 보다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를 이용한 운동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트는 사이드라인(110), 앤드라인(120) 및 더블네트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130a)와 제2 네트(130b) 사이의 영역에 이벤트존(140)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코트를 이용한 운동경기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블네트부(130)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1 팀과 제2 팀이 코트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팀과 제2 팀의 인원은 코트의 크기 및 가용인원을 고려하여 4, 5, 6, 7, 8, 9명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도 7은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한 팀에 각각 6명이 입장하여 경기를 진행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경기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선수(1000)들이 모두 코트에 입장하면 심판은 휘슬을 불어 경기의 시작을 알리고, 서브권을 가진 팀의 선수는 앤드라인(120)을 기준으로 서브를 넣는다.
그리고 서브는 2~3회 안에 성공하여야 하며, 그 안에 성공하지 못하면 1점을 실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운동경기는 기본적으로 배구와 같은 경기 방식을 취하되 특유의 점수 포인트 테이블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a) 공격자(1000b)의 공(200)을 수비자(1000a)가 블로킹하고, 블로킹된 공(200)이 상기 제1 네트(130a)와 제2 네트(130b) 사이의 영역인 이벤트존(140)으로 떨어지면 공격자는 2 실점, 수비자는 2 득점.
(b) 공격자와 수비자는 공격 및 블로킹을 위해 점프를 하면 1 실점.
(c) 본인팀의 네트를 터치하면 무실점, 상대팀 네트를 터치하면 2 실점.
(d) 서브시 앤드라인(120) 내의 코트안으로 한발을 넣어도 무실점.
(e) 지고있는 팀은 이벤트 공을 선택할 수 있고, 이벤트 공의 선택 후, 수비시 블로킹하고 공이 이벤트존에 득점한 경우 4 득점하고, 서브를 넣은 후 서브범실로 이벤트존에 이벤트 공이 들어간 경우 4실점, 지고있는 팀이 득점하지 못할 경우 2 실점.
(d) 홀딩, 투터치, 오버네트, 라인크로스의 경우 무실점.
(e) 전원공격, 전원수비가능.
(f) 서브한 공이 이벤트존(140)에 들어가면 2 실점.
(g) 이기고 있는 팀은 강하게 서브(예를들어 오버핸드) 넣으면 1 실점.
(h) 코트내의 전체 선수는 더블네트부(130)에 인접한 전방에서 코트와 멀어진 후방으로 순차적 자리이동.
상기와 같은 점스 포인트 테이블를 적용하여, 총점을 먼저 획특하는 팀이 1세트를 획득하고, 3세트 중 2세트를 먼저 획득하는 팀이 승리한다. 또한, 총점은 시간 및 인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예를들어 10점, 15점 또는 21점 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기규칙 중에서 일부는 선수의 연령 및 성별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점수배점을 달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은 경기방법으로 구현됨에 따라, 지고 있는 팀도 언제든지 역전의 기회가 있고, 키가 크거나 작거나 남녀노소 누구든지 전부 경기에 참여할 수 있고, 부상발생없이 즐겁게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코트 110: 사이드라인
120: 앤드라인 130: 더블네트부
130a: 제1 네트 130b: 제2 네트
131a: 상부 프레임 131: 제1 프레임부
131c: 지지프레임 131b: 하부 프레임
132a: 상부 프레임 132: 제2 프레임부
132c: 지지프레임 132b: 하부 프레임
133: 연결프레임부 133a: 제1 연결프레임
133b: 제2 연결프레임 134: 네트망
135: 중간프레임 140: 이벤트존
200: 공 210: 외피부
220: 코어부 230: 더블네트부
231a: 상부 프레임 231: 제1 프레임부
232a: 상부 프레임 231c, 232c: 지지프레임
231b, 232b: 하부 프레임 232: 제2 프레임부
234: 네트망 330a: 제1 네트
330: 더블네트부 330b: 제2 네트
331: 제1 프레임부 332: 제2 프레임부
334: 네트망 331b, 332b: 하부 프레임
331a, 332a: 상부 프레임 331c, 332c: 지지프레임
1000b: 공격자 1000a: 수비자
1000: 선수

Claims (6)

  1.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사이드라인과,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앤드라인으로 이루어진 그라운드; 및
    상기 그라운드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제1 네트 및 제2 네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네트와 제2 네트 사이의 영역에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이벤트존이 형성된 더블네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 및 제2 네트는 상기 더블네트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네트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는 각각 쌍으로 이루어져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네트망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ㄷ"자 형상을 하는 지지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은 서로 분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점수포인트가 달리 책정되는 복수의 볼을 더 포함하는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5. 삭제
  6. 삭제
KR1020150065939A 2015-05-12 2015-05-12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KR10175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39A KR101754648B1 (ko) 2015-05-12 2015-05-12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939A KR101754648B1 (ko) 2015-05-12 2015-05-12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06A KR20160133206A (ko) 2016-11-22
KR101754648B1 true KR101754648B1 (ko) 2017-07-12

Family

ID=5754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939A KR101754648B1 (ko) 2015-05-12 2015-05-12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4788A1 (en) 2020-05-01 2023-03-08 Daikin Industries, Ltd. Complex, polymer electrolyte, electrochemical device, polymer-based solid-state battery, and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366A (en) 1989-01-23 1990-01-23 Bartasius Joseph A Tennis net
US5615890A (en) 1996-05-16 1997-04-01 Blue; John D. No bounce no dunk recreation ball game
KR200219845Y1 (ko) 2000-08-10 2001-04-16 하웅수 휴대형 조립식 네트
CN203227269U (zh) 2013-04-04 2013-10-09 燕山大学 双网式排球网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67B1 (ko) 2009-06-03 2010-04-20 천형권 체육시설용 코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366A (en) 1989-01-23 1990-01-23 Bartasius Joseph A Tennis net
US5615890A (en) 1996-05-16 1997-04-01 Blue; John D. No bounce no dunk recreation ball game
KR200219845Y1 (ko) 2000-08-10 2001-04-16 하웅수 휴대형 조립식 네트
CN203227269U (zh) 2013-04-04 2013-10-09 燕山大学 双网式排球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06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2057A (ja) 拡張バージョンの球技スポーツ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197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e
Méndez Giménez et al. Using the TGFU tactical hierarchy to enhance student understanding of game play. Expanding the Target Games category
US20080224409A1 (en) Disc-Throwing Target Game
WO2015092424A3 (en) A games apparatus
KR101754648B1 (ko) 공을 이용한 운동경기를 위한 코트 및 운동경기방법
US9248363B1 (en) Miniaturized hockey game
US8282511B2 (en) Ball and elevated court sport
RU2485991C2 (ru) Способ игры и игров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US7104902B2 (en) Throw and catch game and method of playing same
US20180250583A1 (en) Corner Kick Game
KR102565589B1 (ko) 유희용 필러형 골대 및 용도
Smith Goalkeeping for soccer
Crisfield Winning Soccer for Girls
DeNigris Play Faster: Speed, Agility & Quickness for Soccer: Speed kills! Indeed. Speed in soccer can be a potent weapon in matches. With the game offering so many different systems of play, the Speed of Play system used by so many professional and top-level amateur teams can be taught to youth teams. Using the Total Soccer Fitness & Training’s “Speed of Play Coaching Pyramid,” this book can show coaches how to teach the Speed of Play system to their players using myriad Speed, Agility, and Quickness (SAQ) drills and concepts. Players can be coached to become faster both with and without the ball. And using the Total Soccer Fitness & Training’s “Building Blocks to Player Development,” this book shows how to incorporate individual and small-group into a team environment.
Dunphy et al. Volleyball Essentials: The $6 Sports Series
CN210845243U (zh) 一种多种球类运动的组合装置
Tahtouh Volleyball: Techniques and Tactics
WO2019161476A1 (ru) Игровая система, ворота и мяч для игровой системы
JP4806833B2 (ja) 球技用具
Bieri Action Games
AU2022203162A1 (en) A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827138A (en) Ball game and bat for use therewith
Torebaeva THE THRILLING DYNAMICS OF HANDBALL: A FUSION OF SPEED, STRATEGY, AND SKILL
Salayev Minor games in the training system of young handball p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