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12B1 -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12B1
KR101754012B1 KR1020160006128A KR20160006128A KR101754012B1 KR 101754012 B1 KR101754012 B1 KR 101754012B1 KR 1020160006128 A KR1020160006128 A KR 1020160006128A KR 20160006128 A KR20160006128 A KR 20160006128A KR 101754012 B1 KR101754012 B1 KR 10175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achievement
information
video
qui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우
정연우
김종화
김형준
윤정원
유다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에 있어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학업 성취도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활동 정보는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및 SNS 활동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학업 성취도는 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SNS 활동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Method for opera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 managing online-learning conducted before offline-learning}
본 발명은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통신이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PC,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등)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유/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통신 기술과 통신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개인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의 미디어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및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최근 다양하게 서비스되고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 라 다양한 기기에 통신 기능이 부가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및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다양한 기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영상 및 미디어를 네트워크상의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N-스크린 서비스 등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통신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최근에는 교육 및 학습 콘텐츠를 온라인화하여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인터넷 및 모바일을 이용한 교육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온라인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의 업체들이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최근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스쿨로의 전환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스마트 스쿨이 스마트 장비만 도입한 채 그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121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스쿨 및 이에 이용되는 스마트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영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학업 성취도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활동 정보는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및 SNS 활동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학업 성취도는 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SNS 활동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영상 성취도는 수강생이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퀴즈 성취도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퀴즈의 정답률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S 활동정보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온라인 학습 게시판의 활동정보에 관한 것이며, SNS 활동정도는 상기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및 조회수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심화학습 활동정보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참고자료를 게시한 링크사이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심화학습 성취도는 상기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사이트는 게시된 참고자료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등급배점이 부여되며, 상기 심화학습 성취도는 상기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 및 등급배점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수강생을 학습 수준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스마트 스쿨 및 이에 이용되는 스마트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의 데이터가 누적됨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수강생의 학습수준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따.
또한, 온라인을 통해 사전에 수강생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오프라인 교육에서 수강생의 학습수준에 맞는 교수법 적용 및 학습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수강생의 학습활동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심화학습 성취도의 평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100)은 학습에 필요한 정보 및 학업 성취도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성취도 평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수강생의 학습 수준을 분류하는 학습 수준 분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수강생 또는 전체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에 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110)에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상기 DB(110)는 수강생의 계정정보를 저장하는 계정정보 DB(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저장되는 평가기준 DB(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동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동영상정보 DB(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관련한 학습 내용에 대한 퀴즈 정보를 저장하는 퀴즈정보 DB(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관련한 학습 내용의 심화학습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심화학습정보 DB(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SNS DB(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정보 DB(111)에는 수강생이 온라인 학습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수강생의 로그 기록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강생의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응시 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및 SNS 활동정보가 저장된다. 즉, 개별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가 상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되며,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는 해당 수강생의 아이디 정보와 연동되어 저장된다.
동영상정보 DB(113)에는 학습과 관련된 학습 동영상이 저장된다. 학습 동영상은 교육일정에 따라 차시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특정 차시에 해당하는 동영상은 적어도 한 개일 수 있다.
퀴즈정보 DB(114)에는 수강생의 해당 차시 학습내용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한 퀴즈들이 저장된다. 퀴즈정보 DB(114)에 저장되는 퀴즈는 차시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심화학습정보 DB(115)는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심화학습정보는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게재한 링크사이트 정보일 수 있다. 즉, 심화학습정보는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게재한 링크사이트의 주소일 수 있다.
SNS DB(116)에는 수강생의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수강생이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게시한 게시글 및 답글이 SNS DB(116)에 저장된다.
상기 평가기준 DB(112)에는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및 SNS 활동정보를 이용하여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되는 상기 동영상 시청정보는 수강생이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포함한다.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는 수강생이 해당 교육일정(차시)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한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시청완료도는 수강생이 특정 동영상의 시청을 완료한 정도를 의미한다. 수강생이 해당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을 시작한 후 동영상의 시청을 완료하면 시청완료도는 100이된다. 즉, 시청완료도는 해당 동영상의 전체 런닝타임 대비 수강생이 시청을 완료한 런닝타임일 수 있다.
상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되는 퀴즈응시 정보는 해당 차시의 동영상에 관련된 퀴즈를 응시하여 퀴즈를 풀었을 때 수강생의 정답률을 포함한다.
상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되는 심화학습 활동정보는 수강생이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심화보충 학습활동을 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심화학습 활동정보는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게재한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 정보일 수 있다. 즉, 수강생이 해당 차시의 동영상을 시청한 후 보충심화 학습내용에 접근한 횟수일 수 있다.
상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되는 SNS 활동정보는 수강생이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온라인 학습 게시판의 활동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NS 활동정보는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해당 차시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해당 수강생이 게시한 게시글 및 답글의 조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취도 평가부(120)는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된 수강생의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활동 정보, SNS 활동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한다. 상기 성취도 평가부(120)는 동영상 시청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성취도를 평가한다. 또한, 퀴즈 응시정보를 이용하여 퀴즈 성취도를 평가한다. 또한, 심화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심화학습 성취도를 평가한다. 또한, SNS 활동정보를 이용하여 SNS 활동도를 평가한다.
상기 성취도 평가부(120)는 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SNS 활동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된 기준을 활용하여 상기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더불어, 개별 항목(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SNS 활동도)에 대한 수강생의 성취도 및 활동도를 평가하고, 이를 취합하여 수강생의 전체 성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전체 성취도를 산출하는 경우, 개별 성취도에 대한 비중 및 가중치는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 성취도는 동영상의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동영상 성취도는 해당 차시의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달라질 수 있다. 동영상의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와 동영상 성취도의 비례정도 또는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에 대한 가중치는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될 수 있다.
퀴즈 성취도는 수강생이 답한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퀴즈의 정답률을 이용하여 평가되며, 정답률에 비례하여 퀴즈 성취도가 산출될 수 있다. 퀴즈에 응시하지 않은 수강생과 퀴즈에 응시한 수강생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 할 수 있으며, 가중치에 대한 정보는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개별 퀴즈에 대한 난이도 정보가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될 수 있으며, 퀴즈의 난이도를 반영하여 퀴즈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성취도 평가부(120)는 퀴즈의 응시여부, 정답률, 퀴즈 난이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퀴즈 성취도를 평가 및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퀴즈 난이도는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심화학습 성취도는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를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수강생이 링크사이트를 클릭하여 해당 링크사이트에 접속한 횟수를 이용하여 심화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더불어, 심화학습 성취도는 해당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등급배점이 부여되고,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 및 등급배정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수준 및 등급배점은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SNS 활동도는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해당 차시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해당 수강생이 게시한 게시글 및 답글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게시글 작성횟수에 대한 가중치, 답글의 작성횟수에 대한 가중치 및 조회수에 대한 가중치 정보는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조회수에 비례하여 SNS 활동도가 평가 및 산출될 수 있다.
리포트 생성부(140)는 수강생에 대한 개별 항목의 성취도 및 전체 성취도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한다. 관리자 또는 교수자는 생성된 리포트를 확인하여 개별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교수자는 파악된 학업 성취도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수업의 난이도를 달리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학습 수준 분류부(130)는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수강생을 학습 수준별로 분류한다.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학습 수준 분류부(130)는 수강생의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 수준 분류부(130)는 3개의 학습 수준 그룹으로 수강생을 분류할 수 있다. 교수자는 오프라인 수업 시 학습 수준에 따라 수강생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로 학습내용을 달리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수강생이 학습을 진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수강생은 개별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학습사이트에 로그인한다(S110). 학습관리시스템(100)은 수강생이 학습사이트에 로그인할 경우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된 수강생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허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차시의 동영상을 선택하여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다.(S120) 수강생이 동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학습관리시스템(100)의 동영상정보 DB(113)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이 재생된다.
학습 동영상의 시청 중 또는 시청이 완료된 후 해당 동영상의 학습내용에 관한 퀴즈에 응시하거나(S130), 심화학습을 수행한다(S140). 또는 온라인 학습게시판에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S150)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100)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시스템(100)의 운영방법은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업 성취도를 리포팅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수강생을 학습 수준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활동 정보 수집 단계(S210)에서는 수강생의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SNS 활동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학습활동 정보 수집은 학습관리시스템(100)의 성취도 평가부(120)가 계정정보 DB(111)에 접근하여 수집할 수 있다.
학습활동 정보 수집은 상기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SNS 활동정보가 저장된 계정정보 DB(111)에 액세스하여 수집할 수 있다.
동영상 시청정보는 수강생이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포함하며, 수강생이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가 저장된 계정정보 DB(111)에 액세스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퀴즈응시 정보는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된 수강생의 퀴즈 정답률에 액세스하여 수집할 수 있다. 심화학습 활동정보는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게재한 링크사이트의 접근 회수가 저장된 계정정보 DB(111)에 액세스하여 수집할 수 있다. SNS 활동정보는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해당 차시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해당 수강생이 게시한 게시글 및 답글의 조회수가 저장된 계정정보 DB(111)에 액세스하여 수집할 수 있다.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S220)는 상기 학습활동 정보를 평가기준에 의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 및 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학업 성취도는 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SNS 활동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관리시스템(100)의 성취도 평가부(120)는 계정정보 DB(111)에 저장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 및 평가기준 DB(112)에 저장된 개발 학습활동 항목의 평가기준에 액세스 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한다.
동영상 성취도는 동영상의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동영상 성취도는 해당 차시의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시청횟수 및 시청완료도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달라질 수 있다.
퀴즈 성취도는 수강생이 답한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퀴즈의 정답률을 이용하여 평가되며, 정답률에 비례하여 퀴즈 성취도가 산출될 수 있다.
퀴즈에 응시하지 않은 수강생과 퀴즈에 응시한 수강생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 할 수 있으며, 가중치에 대한 정보, 개별 퀴즈에 대한 난이도 정보를 반영하여 퀴즈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성취도 평가부(120)는 퀴즈의 응시여부, 정답률, 퀴즈 난이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퀴즈 성취도를 평가 및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퀴즈 난이도는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심화학습 성취도는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를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수강생이 링크사이트를 클릭하여 해당 링크사이트에 접속한 횟수를 이용하여 심화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더불어, 심화학습 성취도는 해당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등급배점이 부여되고,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 및 등급배정을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수준 및 등급배점은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해당 차시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보충심화 학습내용을 게재한 링크사이트를 입력한다(S310). 다음으로, 개별 링크사이트가 게재하고 있는 내용의 난이도 또는 수준에 따라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배점을 입력한다(S32). 그리고, 수강생이 링크사이트를 접속할 때마다 횟수를 카운팅하며(S330), 카운팅된 링크사이트 접속 횟수 및 해당 링크사이트의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수강생의 심화학습 성취도를 평가한다.(S340)
SNS 활동도는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해당 차시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해당 수강생이 게시한 게시글 및 답글의 조회수를 이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조회수에 비례하여 SNS 활동도가 평가 및 산출될 수 있다.
학업 성취도를 리포팅하는 단계(S230)는 수강생에 대한 개별 항목의 성취도 및 전체 성취도에 관한 리포트를 생성한다. 상기 리포팅 단계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의 리포트 생성부(140)의 의해 수행된다. 관리자 또는 교수자는 생성된 리포트를 확인하여 개별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교수자는 파악된 학업 성취도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수업의 난이도를 달리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학습 수준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S240)는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수강생을 학습 수준별로 분류한다. 상기 분류 단계는 학습관리시스템(100)의 학습 수준 분류부(130)에 의해 수행된다. 학습수준 분류부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학습 수준 분류부(130)는 수강생의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 수준 분류부(130)는 3개의 학습 수준 그룹으로 수강생을 분류할 수 있다. 교수자는 오프라인 수업 시 학습 수준에 따라 수강생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로 학습내용을 달리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학습관리시스템
111 계정정보 DB
112 평가기준 DB
113 동영상정보 DB
114 퀴즈정보 DB
115 심화학습정보 DB
116 SNS DB
120 성취도 평가부
130 학습 수준 분류부
140 리포트 생성부

Claims (8)

  1.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의 성취도 평가부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강생의 학습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성취도 평가부가 상기 학습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의 리포트 생성부가 상기 학업 성취도를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활동 정보는 동영상 시청정보, 퀴즈 응시정보, 심화학습 활동정보 및 SNS 활동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심화학습 활동정보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참고자료를 게시한 링크사이트의 접근 횟수 정보이며,
    상기 학업 성취도는 동영상 성취도, 퀴즈 성취도, 심화학습 성취도 및 SNS 활동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사이트는 게시된 참고자료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등급배점이 부여되고, 상기 심화학습 성취도는 상기 링크사이트의 카운팅된 접근 횟수 정보 및 상기 등급배점을 이용하여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성취도는 수강생이 동영상을 시청한 횟수 및 시청완료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성취도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퀴즈의 정답률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S 활동정보는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온라인 학습 게시판의 활동정보에 관한 것이며,
    SNS 활동정도는 상기 온라인 학습 게시판에 동영상의 학습 내용과 관련된 게시글 및 답글의 작성횟수 및 조회수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관리시스템의 학습 수준 분류부가 상기 학업 성취도에 따라 수강생을 학습 수준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60006128A 2016-01-18 2016-01-18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KR10175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8A KR101754012B1 (ko) 2016-01-18 2016-01-18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8A KR101754012B1 (ko) 2016-01-18 2016-01-18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012B1 true KR101754012B1 (ko) 2017-07-05

Family

ID=5935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28A KR101754012B1 (ko) 2016-01-18 2016-01-18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2475A (ko) 2022-12-01 2024-06-11 주식회사 글로벌아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학습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민석 외 2명.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10., 제10권, 제5호, pp.135-143.*
최제영 외 1명. 빅데이터와 교육.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013.06., 제21권, 제1호, pp.9-2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2475A (ko) 2022-12-01 2024-06-11 주식회사 글로벌아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학습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iney et al. Race and gender differences in how sense of belonging influences decisions to major in STEM
Al-Bahrani et al. Incorporating Twitter, Instagram, and Facebook in economics classrooms
Koutropoulos et al. Emotive Vocabulary in MOOCs: Context & Participant Retention.
Webster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aligned recommendations for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Dixon Social media for school leaders: A comprehensive guide to getting the most out of Facebook, Twitter, and other essential web tools
Phelps et al.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echnology use among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 secondary methods course
Vernon-Dotson et al. Course delivery: Keystones of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US20140120511A1 (en) TeachAtCafe - TeaChatCafe, Transparent Digital and Social Media as an Open Network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with User Driven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Submission Capability for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Gasaymeh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se: a developing country perspective
CN108447329A (zh) 学习效果测试方法、教育资源管理装置、系统及客户端
Silvhiany et al. Critical digital literacy: EFL students’ ability to evaluate online sources
Scott et al. Tweeting the lecture: How social media can increase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Mukhtar et al. Technology integrated on media literacy in economic studies on higher education
Dowell et al. Periscoping economics through someone else’s eyes: A real world (Twitter) app
Aljaad The Role of Social Communication Tools in Education from the Saudi Female Students' Perceptions.
KR101754012B1 (ko) 오프라인 수강 전에 수행하는 온라인 학습을 관리하는 학습관리시스템 운영방법
Hamdan The role of social media in improving teaching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east jerusalem
Prabhakar et al. mooKIT–A MOOC Platform for Developing Countries
Bryant The social media bubble: an examination of social media user motiv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us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uinde The influence of media on behaviour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itui central sub-county, Kitui county
KR20160111677A (ko) 사전체험 강의 제공 장치 및 사전체험 강의 제공 방법
Sakulwichitsintu Learner behavior towards mobile learning at the Open University in Thailand
Zepf et al. Cyber-security curricula for basic users
Smith Social media and social learning: A critical intersection for journalism education
Buruga The use of mobile technologies for social media-based service delivery at Muni University Library,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