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274B1 -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274B1
KR101753274B1 KR1020160043562A KR20160043562A KR101753274B1 KR 101753274 B1 KR101753274 B1 KR 101753274B1 KR 1020160043562 A KR1020160043562 A KR 1020160043562A KR 20160043562 A KR20160043562 A KR 20160043562A KR 101753274 B1 KR101753274 B1 KR 10175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ed
documents
document
citations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중
정미경
한선아
김혜연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16004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274B1/ko
Priority to PCT/KR2016/005355 priority patent/WO20171759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38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특정 특허와 관련된 무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특허와 관련된 무효참증을 검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국내 심사과정 및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문헌뿐 아니라 패밀리 특허의 심사과정 및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문헌을 검색함은 물론, 검색된 문헌들의 인용/피인용 문헌, 동일 분류코드를 가지는 문헌 등 검색된 문헌들을 기초로 추가적인 문헌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무효참증 검색에 필요한 모집단을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고, 확보된 모집단 내에서 가중치 부여에 따른 순위를 가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활용 가능한 무효참증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INVALID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특정 특허와 관련된 무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특허와 관련된 무효참증을 검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국내 심사과정 및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문헌뿐 아니라 패밀리 특허의 심사과정 및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문헌을 검색함은 물론, 검색된 문헌들의 인용/피인용 문헌, 동일 분류코드를 가지는 문헌 등 검색된 문헌들을 기초로 추가적인 문헌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무효참증 검색에 필요한 모집단을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고, 확보된 모집단 내에서 가중치 부여에 따른 순위를 가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활용 가능한 무효참증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식재산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와 관련된 분쟁 사건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보유하고 있는 특허권을 기초로 권리행사를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비례하여 상기 권리행사의 기초가 되는 특허권을 무효화 시키고자 하는 사례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허권의 무효화를 위해서는 해당 특허의 명세서가 명료하게 작성이 되었는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뒷받침되는지 등의 기재불비 사유를 비롯하여 다양한 법리 검토가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도 신규성 내지 진보성 흠결의 무효사유는 특허 무효화를 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신규성 내지 진보성 흠결의 무효사유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대상 특허와 정확히 대비될 수 있는 무효참증을 찾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경우 무효참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키워드 입력 후 선행공보들의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을 하나 하나씩 검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몇몇 패밀리 건들의 심사과정에서 드러난 인용문헌들을 조회해 보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무효참증 검색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해결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18725 (2009.11.18.공개)
본 발명은 특정 특허에 대한 무효참증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효참증 선별에 필요한 모집단을 구성함에 있어 특정 특허의 심사단계, 분쟁단계 등에서 인용된 자료를 조회함으로써 연관성 있는 문헌만으로 빠르게 탐색하고, 나아가 앞서 탐색된 문헌들을 기초로 하여 추가 문헌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모집단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의 방식으로 구성된 모집단 내에서 별도의 선별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직접 활용 가능한 무효참증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a) 임의의 특허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허와 관련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초로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해당 인용문헌과 동일한 분류코드에 속하는 추가 문헌들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해당 인용문헌이 인용한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해당 인용문헌을 피인용한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해당 인용문헌과 패밀리 특허의 관계에 있는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상기 인용문헌의 발명자가 발명자로 포함된 특허공보, 상기 인용문헌의 발명자가 저자로 기록된 논문, 기고문 또는 리포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b)단계 이후, 검색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들에 대하여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b-1)단계; 가중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인용문헌을 선별하는 (b-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단계는, 상기 (b-2)단계에서 선별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초로 추가 문헌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c)단계 이후, 검색된 추가 문헌들에 대하여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c-1)단계; 가중치가 높은 순서에 따라 추가 문헌을 선별하는 (c-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검색된 인용문헌들이 상기 특정 국가에서의 심사과정 중 선행문헌으로 제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b)단계는 상기 특허와 패밀리 관계에 있는 패밀리 특허의 심사과정, 심판과정 또는 소송과정에서 인용된 인용문헌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특허에 대한 무효참증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특허와 관련성이 있는 모집단을 구성한 후 무효참증을 선별하게 되므로 대상 특허와 대비하였을 때 정확도가 높은 무효참증을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대상 특허에 대한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검색된 인용문헌 중 임의의 문헌을 기준으로 추가 검색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검색된 문헌들에 대하여 가중치 연산을 하는 일 예시(인용문헌이 인용된 단계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검색된 문헌들에 대하여 가중치 연산을 하는 또 다른 예시(인용문헌을 인용한 주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 부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검색된 인용문헌들의 인용시점을 참조하여 상기 인용문헌들이 미국에서의 심사과정 중 선행문헌으로 제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과 무효정보 제공 서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종래 무효참증 검색시 키워드 위주로 검색을 하던 것과 달리 기본적으로 무효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는 대상 특허와 연관성을 가지는 문헌들, 그리고 이러한 문헌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또 다른 문건들 등 대상 특허와의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문헌들을 탐색하여 모집단을 구성한 후 이로부터 사용자가 활용 가능한 무효참증을 선별해 내는 것을 주된 기술사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도 1과 도 2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의 제1실시예로 이에 따르면 대상특허 특정(S101), 인용문헌 검색(S102), 인용문헌 검색에서 획득된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추가문헌 검색(S103), 검색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에 대한 가중치 연산(S104), 무효참증 선별(S105), 사용자에게 무효참증 제공(S106)의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의 제2실시예로, 해당 실시예는 대상특허 특정(S201), 1차 인용문헌 검색(S202), 검색된 인용문헌에 대한 가중치 연산(S203), 인용문헌 선별(S204), 선별된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추가문헌 검색(S205), 사용자에게 무효참증(선별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 제공(S206)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으로는, 제1실시예의 경우 인용문헌 검색 및 추가문헌 검색 단계에 의해 구성된 모집단 내 문헌들을 대상으로 가중치 연산을 한 후 무효참증을 선별하는 반면, 제2실시예는 인용문헌 검색 후 가중치 연산에 따라 유효성이 높은 인용문헌을 먼저 선별해 내고, 이렇게 선별된 인용문헌들에 대하여 추가문헌 검색을 실시하여 선별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즉, 양자는 가중치 연산에 따른 문헌 선별을 어느 시점에 하는지에 따라 구별될 수 있으나,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추가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가중치 연산을 하는 단계 등은 본질적으로 그 과정이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대상특허를 특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무효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등록특허를 특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주체가 무효정보 제공 서버인데, 사용자는 상기 서버의 입력수단(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직접 대상특허의 서지사항을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를 통하여 대상특허의 서지사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때 대상특허를 특정하기 위한 서지사항으로는 출원번호, 등록번호, 공개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인, 발명자, 출원일자, 공개일자, 등록일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용문헌 검색 단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대상특허가 특정된 이후,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대상특허의 심사경과, 심판경과, 소송경과, 패밀리 특허의 심사경과, 심판경과, 소송경과 등을 참조하여 관련성이 있는 인용문헌들을 검색한다. 본 인용문헌 검색 단계는 무효참증을 찾기 위해 1차적으로 인용문헌들의 모집단, 즉 풀(pool)을 구성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가능한 한 많은 인용문헌들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무효참증 선별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인용문헌 검색 단계를 통해 모집단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용문헌 검색의 구체적인 구현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각국 특허청에서 직접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각국 특허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공하여 재생산하는 정보제공업체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상특허에 대한 심사경과, 심판경과, 소송경과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들은 각 단계에서 인용된 인용문헌, 즉 비교대상발명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대상특허의 심사단계에서는 심사관이 심사과정에서 참조한 인용문헌들, 무효심판과 같은 당사자계 심판, 소송에서는 청구인이 인용한 비교대상발명이 상기 경과 정보들에 포함될 수 있다.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일 형태의 데이터 중 상기 인용문헌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해 내어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대상특허의 패밀리 건과 관련된 인용문헌들도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만, 해외의 특허관련 절차는 국내와 일부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해외 기관에서의 패밀리 건 심사단계, 심판단계, 소송단계 등 모든 절차 중에서 인용된 문헌이 있는 경우 해당 문헌을 인용문헌으로서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추가문헌 검색 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앞선 인용문헌 검색 단계에서 일정 수준의 모집단, 즉 일정 개수의 인용문헌이 검색된 후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인용문헌들을 기준으로 재차 추가문헌 검색을 수행한다. 추가문헌 검색은 앞서 구성된 모집단을 보다 확장시키기 위한 단계로, 검색된 인용문헌들의 인용/피인용 문헌, 인용문헌과 패밀리 특허의 관계에 있는 문헌, 검색된 인용문헌과 발명자 또는 출원인이 동일한 발명, 특허분류코드가 동일한 발명 등 추가적으로 검색함으로써 앞선 인용문헌 검색 단계에서 획득하지 못한 더 넓은 범위의 추가문헌들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4는 추가문헌 검색 단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앞서 획득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선택하고 해당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상기 인용문헌을 인용한 또 다른 문헌, 상기 인용문헌이 피인용된 또 다른 문헌을 더 검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3뎁스(3-depth)까지의 인용 또는 피인용 문헌을 더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뎁스(depth)는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몇 단계에 걸쳐 인용/피인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예를 들어 임의의 기준문헌을 직접 인용한 문헌은 1뎁스, 상기 인용 문헌을 재차 인용한 문헌은 상기 임의의 기준문헌을 기준으로 2뎁스, 2뎁스의 인용 문헌을 재차 인용한 문헌은 상기 임의의 기준문헌을 기준으로 3뎁스로 정의된다.
또한,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획득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선택하고 해당 인용문헌과 패밀리 특허의 관계에 있는 문헌을 더 검색할 수도 있다. 패밀리 특허의 관계에 있는 문헌이란, 상기 인용문헌을 우선권으로 하여 국내 또는 타국에서 출원된 건, 상기 인용문헌이 우선권 주장을 하여 출원한 것인 경우 국내 또는 타국에서의 선출원 건을 일컫는다.
한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획득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선택하고 해당 인용문헌과 출원인 또는 발명자가 동일한 문헌을 더 검색할 수도 있다. 즉,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출원의 주체, 발명의 주체가 동일한 문헌을 검색하여 이를 추가검색 결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획득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선택하고 해당 인용문헌과 특허분류코드가 동일한 문헌들을 검색할 수도 있다.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위와 같이 임의의 인용문헌(기준문헌)에 대해 인용/피인용 문헌, 출원인/발명자가 동일한 문헌, 특허분류코드가 동일한 문헌을 검색한 후 결과를 앞서 인용문헌 검색 단계에서 구성한 인용문헌들의 집합, 즉 모집단에 병합시켜 모집단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
한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앞서 인용문헌 검색 단계에서 획득한 인용문헌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추가문헌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중치 연산 단계에 대해 살펴본다.
가중치 연산은 인용문헌 검색 단계, 추가문헌 검색 단계에 의해 획득한 일련의 문헌들에 대해 조건에 따라 상이한 값을 부여함으로써 문헌들 간 활용도를 구별하기 위한 단계이다. 가중치 부여를 위한 조건에는 다양한 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각 인용문헌들이 인용된 국가에 따라, 각 인용문헌들이 인용된 단계에 따라, 각 인용문헌들의 유형에 따라, 각 인용문헌들을 인용한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각 인용문헌들이 인용된 단계에 따라 가중치가 달리 부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대상특허는 등록과정에서 비교대상발명#1 내지 비교대상발명#3이 인용문헌으로 검색될 수 있고, 타 무효심판 및 심결취소소송 과정에서 비교대상발명#4 내지 비교대상발명#8이 인용문헌으로 검색될 수 있다. 이 때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대상특허의 등록과정에서 검색된 인용문헌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대상특허의 분쟁과정(무효심판 및 심결취소소송)에서 검색된 인용문헌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또 다른 값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단계의 인용문헌에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부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서버를 제작하는 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등록과정에서의 인용문헌보다 분쟁과정에서의 인용문헌에 보다 더 높은 값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이는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인용문헌의 경우 분쟁 당사자들이 보다 정치한 검색과정을 거쳐 더 유사한 비교대상발명을 검색하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과정, 분쟁과정에서의 인용문헌들에 대해 보다 세분화 된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특허의 등록과정에서는 첫 번째 의견제출통지에서 비교대상발명#1, #2가, 두 번째 의견제출통지에서 비교대상발명#3이 심사관에 의해 인용될 수 있는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두 번의 의견제출통지 절차에서 인용된 비교대상발명들에 대해 상이한 값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첫 번째 의견제출통지에서 인용된 주된 인용발명인 비교대상발명#1에 대해서는 3점을, 비교대상발명#2에는 2점을 부여할 수 있고, 두 번째 의견제출통지에서 인용된 비교대상발명#3에 대해서는 4점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두 번째 의견제출통지에서 추가적으로 비교대상발명이 인용된 경우 이는 심사관의 추가적인 선행기술조사에 의해 검색된 대상특허와 유사성이 더 높은 문헌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분쟁과정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가중치를 달리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특허에 대해 무효심판 및 심결취소소송이 진행된 경우 무효심판 청구 당시 비교대상발명#4, #5가 인용되었고, 청구인의 후속 의견서 제출시 비교대상발명#6이 인용되었으며, 심결취소소송 제기시 비교대상발명#7, 이후 준비서면 제출시 비교대상발명#8이 인용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시간적으로 더 나중에 제출된 비교대상발명들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값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비교대상발명#4는 5점, 비교대상발명#5는 6점, 비교대상발명#6은 7점, 비교대상발명#7은 8점, 비교대상발명#8은 9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대상특허의 등록과정, 분쟁과정에서 인용된 문헌들에 대해 각 문헌들이 어느 시점에 인용되었는지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비단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 진행되는 절차 중 문헌들이 어느 시점에 인용되었는지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특허무효심판제도에 더하여 특허이의신청제도가 더 존재하는데 특허이의신청제도는 특허일로부터 6개월 간 누구든지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무효심판제도(이해관계인만 청구, 언제든지 청구)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와 달리 일본에 별도로 존재하는 특허이의신청 절차에서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값을 달리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럽의 경우에도 검색심사(search report). 특허이의신청제도 등과 같이 국내와는 다른 절차들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검색심사, 실체심사, 이의신청, 분쟁(무효심판 및 소송) 등 각 절차에서 인용된 문헌들에 대해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미국의 경우 IPR(Inter Partes Review. 당사자계 재심사 제도)와 같이 국내와 다른 절차가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출원, 실체심사, IDS제출, IPR, 분쟁(무효심판 및 소송) 등 각 절차에서 인용된 문헌들에 대해 시점 별로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문헌을 인용한 주체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대상특허의 심사과정 또는 분쟁과정에서 인용문헌은 누가 인용하였는지에 따라 그 활용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특허의 심사단계에서 심사주체에 의해 인용된 비교대상발명과 무효심판청구시 청구인이 인용한 비교대상발명은 대상특허와의 관계에서 활용도가 차이날 수 있다. 이는 검색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등의 차이가 남에 따라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중치 연산은 이와 같이 환경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인용문헌의 활용도 차이를 무효참증 선별시 반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예를 들어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출원인에 의해 직접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는 1점, 심사주체(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는 2점, 무효심판 청구인에 의해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는 3점, 심결취소소송 청구인에 의해 인용된 문헌에 대해서는 4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도 5 및 도 6에서의 실시예 이외에도 국가별로 상이한 가중치를, 또는 인용문헌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인용문헌의 유형에는 특허공보, 실용신안공보, 논문, 카탈로그 또는 웹페이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 가중치 연산 단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집단 내 문헌들에 대한 가중치 연산 단계 이후,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가중치 연산 결과에 따라 그 값이 높은 순서대로 인용문헌 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 때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개수의 인용문헌만을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모집단 내 모든 문헌을 가중치가 높은 순서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사용자에게 문헌을 제공할 때에는 문헌의 서지사항 이외에 각각의 문헌이 어떤 조건에서 몇 점의 가중치를 부여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는 텍스트, 그래프, 그 밖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모집단으로부터 가중치에 따라 무효참증을 선별하는 것 이외에도 모집단 내 인용문헌들의 인용시점을 참조하여 상기 인용문헌들이 어느 특정 국가에서의 심사과정 중 선행문헌으로서 제출되었는지를 판단한 뒤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제출되지 않은 인용문헌을 무효참증으로 선별해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과정에서는 IDS제출의무가 있는데 이는 출원시, 심사 중이라도 타국가 등에서 비교대상발명이 드러난 경우 이를 일정 기간 내에 미국 특허청에 제출하여야 할 출원인의 의무를 일컫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인용문헌 검색 단계를 통해 구성한 모집단 내에서 이렇게 IDS의무에 위반된 인용문헌을 탐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국 등록 특허에 대항하여 활용도가 높은 무효참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미국에서 등록된 대상특허 US 6856383가 출원일이 1998.09.05. 이고 2004.07.16. NOA를 받아 등록되었다고 가정할 때, 타국가의 패밀리 출원건들 심사과정, 즉 일본 및 유럽 심사과정에서 인용자료가 제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출원과정에서는 일정 기간 내에 위 인용자료들이 IDS로서 제출되지 않았는바,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위 일본 및 유럽 심사과정에서 제출된 인용자료들을 활용도가 높은 무효참증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효정보 제공 서버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무효정보 제공 서버는 수신부(110), 검색부(120), 연산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특허의 서지사항을 수신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대상특허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신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무효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사용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서지사항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검색부(120)는 앞서 특정된 대상특허에 대하여 인용문헌을 검색하거나, 검색된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추가검색을 한다. 이 때 인용문헌 검색 단계 및 추가문헌 검색 단계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산부(130)는 검색이 완료된 인용문헌, 추가문헌에 대해 가중치 연산을 수행하며, 또 나아가서는 인용문헌들의 인용시점을 참조하여 어느 특정 국가에서 제출되었어야 할 문헌이 제출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연산부(130)는 검색된 인용문헌 및/또는 추가문헌에 대하여 일련의 연산을 행한 뒤 무효참증을 선별해 내는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부, 검색부, 연산부를 총괄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수신부
120 검색부
130 연산부
140 제어부

Claims (11)

  1. 무효정보 제공 서버가 무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특허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허 또는 상기 특허의 패밀리와 관련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초로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을 포함하는 문헌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 또는 상기 문헌이 인용된 시점 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는 등록과정 및 분쟁과정을 포함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가 문헌은 상기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준으로 1뎁스 이상 상기 임의의 인용문헌을 인용하거나, 1뎁스 이상 상기 인용문헌이 피인용된 문헌인 무효정보 제공 방법.
  2. 무효정보 제공 서버가 무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특허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허 또는 상기 특허의 패밀리와 관련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과 동일한 분류코드에 속하는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을 포함하는 문헌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 또는 상기 문헌이 인용된 시점 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는 등록과정 및 분쟁과정을 포함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포함하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
  3. 무효정보 제공 서버가 무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특허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허 또는 상기 특허의 패밀리와 관련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c) 검색된 복수 개의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을 기초로 추가 문헌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을 포함하는 문헌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 또는 상기 문헌이 인용된 시점 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문헌이 인용된 단계는 등록과정 및 분쟁과정을 포함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포함하되,
    (c) 단계는,
    상기 검색된 인용문헌들 중 임의의 인용문헌에 대하여,
    상기 인용문헌의 발명자가 발명자로 포함된 특허공보, 상기 인용문헌의 발명자가 저자로 기록된 논문, 기고문 또는 리포트를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연산 단계는
    검색된 인용문헌 및 추가문헌을 포함하는 문헌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문헌이 인용 또는 피인용된 국가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연산 단계는
    특허의 등록과정에서 검색된 인용문헌에 대해서는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특허의 분쟁과정에서 검색된 인용문헌에 대해서는 다른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되,
    등록과정에서의 인용문헌보다 분쟁과정에서의 인용문헌에 보다 더 높은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색된 인용문헌이 특정 국가의 심사과정 중 선행문헌으로 제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무효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43562A 2016-04-08 2016-04-08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KR10175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62A KR101753274B1 (ko) 2016-04-08 2016-04-08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PCT/KR2016/005355 WO2017175911A1 (ko) 2016-04-08 2016-05-20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62A KR101753274B1 (ko) 2016-04-08 2016-04-08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274B1 true KR101753274B1 (ko) 2017-07-05

Family

ID=5935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62A KR101753274B1 (ko) 2016-04-08 2016-04-08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3274B1 (ko)
WO (1) WO20171759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70A (ko) * 2017-08-18 2019-02-27 송상엽 특허 심사정보를 이용한 기술 이전 수요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356B1 (ko) * 2001-08-01 2004-06-18 (주) 위즈도메인 대상특허 관련 특허의 상호 인용관계 분석 및 제공 방법
JP5181202B2 (ja) * 2006-10-26 2013-04-10 太一 齋藤 知的財産情報の提供方法
KR101045977B1 (ko) * 2008-10-01 2011-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정보분석을 위한 인용정보분석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34159B1 (ko) * 2009-09-03 2015-07-08 (주)광개토연구소 소셜 네트워크 분석 결과의 생성을 위한 특허 정보 융합 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33933A (ko) * 2010-09-30 2012-04-09 (주)광개토연구소 인용 정보를 사용하는 다차원 특허 분쟁 유발 모델을 통한 특허 분쟁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6834A (ko) * 2012-08-23 2014-03-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핵심 경쟁자 탐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770A (ko) * 2017-08-18 2019-02-27 송상엽 특허 심사정보를 이용한 기술 이전 수요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2532B1 (ko) * 2017-08-18 2019-06-24 송상엽 특허 심사정보를 이용한 기술 이전 수요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5911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tschek et al. BLOG 2.0: a software system for character‐based species classification with DNA Barcode sequences. What it does, how to use it
Koler-Povh et al. Impact of open access on citation of scholarly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CN106776901B (zh) 数据提取方法、装置及系统
CN106055539A (zh) 姓名消歧的方法和装置
CN112307374A (zh) 基于待办事项的跳转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5527677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の検索結果提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CN103744918A (zh) 基于垂直领域的微博搜索排序方法及系统
KR101753274B1 (ko) 무효정보 제공 방법 및 무효정보 제공 서버
Basson et al. Data 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measurement of open access. Comparing Dimensions with the Web of Science
JP7092194B2 (ja) 情報処理装置、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20536B2 (ja) 秘匿化データの検索のための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TW201508525A (zh) 文件分類系統、文件分類方法及文件分類程式
Muilwijk et al. Dietary and physical activity strategies to prevent type 2 diabetes in South Asian adults: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CN114021116B (zh) 一种同源分析知识库的构建方法、同源分析方法及装置
Sepehri Rad et al. Towards identifying arguments in Wikipedia pages
Yun et al. Anatomy of scientific evolution
Cheung et al. Application of text mining to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ographic search filter to facilitate evidence retrieval in Ovid MEDLINE: An example from the United States
CN104794397A (zh) 病毒检测方法和装置
CN103744876A (zh) 一种用于提供搜索结果的方法与设备
Rahman et al. Japan's share of research output in urology and nephrology
KR20090087836A (ko) 주요특허 선별 시스템 및 그 방법
Randall et al. Grouping methods for ongoing record linkage
KR101266504B1 (ko) 리치니스를 이용한 문서 집합의 토픽 단어 추출 방법
Higgins et al. Influence of the limit of detection on classification using otolith elemental signatures
CN108538373B (zh) 医生信息的排序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