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00B1 -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00B1
KR101753100B1 KR1020150171221A KR20150171221A KR101753100B1 KR 101753100 B1 KR101753100 B1 KR 101753100B1 KR 1020150171221 A KR1020150171221 A KR 1020150171221A KR 20150171221 A KR20150171221 A KR 20150171221A KR 101753100 B1 KR101753100 B1 KR 10175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ing duct
frame
wiring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697A (ko
Inventor
고재완
선준수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15017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배선 덕트가 등기구와 일체로 되어 등기구와 배선덕트가 연속되게 설치되며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배선 덕트와 등기구 간을 배선회로를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배선 덕트 하부로 삽입되어 양 단이 배선 덕트 내벽에 조립되는 골격판과, 골격판 저면에 형성되는 엘이디 기판 조립부와, 골격판 상면에 형성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엘이디 기판 조립부에 결합되는 엘이디 기판 및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강성 판재로서, 두 개의 배선 덕트의 연결지점에서 길이방향의 양 단이 두 배선 덕트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두 배선 덕트를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커플링 판을 포함하되, 상기 커플링 판은 횡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등기구 간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해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등기구 간의 연결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또한 프레임이 쉽게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Continuous row mounting light united with wire duct}
본 발명은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 덕트가 등기구와 일체로 되어 등기구와 배선덕트가 연속되게 설치되며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배선 덕트와 등기구 간을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을 위한 실내조명에는 레이스 웨이라고 불리우는 배선관체에 레이스웨이용 등기구가 통상적으로 채택된다.
레이스 웨이를 이용한 방식은 등기구를 위한 배선뿐만 아니라 각종 통신을 위한 배선 덕트도 천정에 설치되고 있으며, 등기구는 상기 배선 덕트 하부를 따라 등기구가 설치되는 방식으로서 등기구 설치 위치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력 케이블이 일괄적으로 상기 배선 덕트 내부에 수납되어 미관상 깔끔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레이스 웨이 방식의 등기구는 각 등기구가 덕트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체결공의 위치에 따라 등기구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고, 등기구와 배선덕트의 결합을 현장에서 일일이 수행하여야 하는 점에서 별도의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통상 등기구 프레임과 배선덕트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여 활용하기 힘든 형태이므로 전기회로 외에 통신선까지 수납하려면 각각 별도의 배선덕트를 활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련의 발명을 수행하여 특허출원으로 개시한 바 있다.
이른바 연접설치용 배선회로 일체형 등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램프가 프레임 내에 수납되어 공간활용이 뛰어나고, 덕트 자체에 램프 프레임의 간편한 결합 구조가 마련되어 현장에서의 별도의 시공이 필요없으며, 또한 덕트와 평행한 결합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따로 등기구를 정렬할 필요가 없게되는 점 등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대표적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94750호(등록일자: 2013.08.02), 등록특허공보 제10-0745194호(등록일자: 2007.07.26), 등록특허공보 제10-0745191호(등록일자: 2007.07.26), 등록특허공보 제10-0820084호(등록일자: 2008.04.01) 등의 특허발명들이 있으며, 2013년에는 고정형 LED 등기구로서 KS 인증을 받은 바 있다. 도1에는 연접설치용 배선회로 일체형 등기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제10-0641814의 사시도와 도 2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등기구는 등기구 간의 연결에 있어서 연결을 위한 브라켓(100)과 별도의 체결부재(140)가 필요하여 등기구의 연접 설치에 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보수 유지를 위한 해체 과정에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등기구 간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해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등기구 간의 연결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연접설치용 등기구가 요청된다.
또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에서 배선 덕트 내에 삽입되는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사출 과정에서 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쉽게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이 구비되는 연접설치용 등기구가 요청되는 상황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41814호(등록일자: 2006.10.26)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등기구 간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해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등기구 간의 연결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또한 쉽게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이 구비되는 배선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선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양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며 길게 형성되는 챔버와, 챔버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서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격리판과, 챔버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단이 각각 배선 덕트의 양 측벽 내면 하부에 조립되는 골격판과, 골격판 저면에 마련되는 엘이디 기판 조립부와, 판재 상면에 마련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엘이디 기판 조립부에 결합되는 엘이디 기판 및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강성 판재로서, 두 개의 배선 덕트의 연결지점에서 길이방향의 양 단이 두 배선 덕트 각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커플링 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플링 판은 두께가 증가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판은 수평판과, 수평판 양 측에 경사판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 구간은 커플링 판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판은 배선 덕트에 삽입됨에 있어, 경사판의 하단은 걸림돌기 상부에 안착되고 경사판의 상단은 격리판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평판은 상면이 격리판의 저면에 밀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리판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두 개의 돌기가 격리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형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돌출형 요홈이 내포되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구간은 만곡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골격판은 저면에 엘이디 기판이 조립되는 수평부와, 수평부 양 측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경사부의 상부에는 경사부를 하부 면으로 하고, 경사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두 수직벽과 두 수직벽 상단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상부 면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챔버가 양 측의 경사부 마다 더 구비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수직벽의 수직 길이는 두 수직벽 중 배선 덕트의 측벽에 가까운 수직벽의 수직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은 평판 형태이며, 배선 덕트와 프레임 및 확산판이 조립될 때 확산판의 설치 높이는 배선 덕트의 하단 보다 높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선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등기구 간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해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등기구 간의 연결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며, 또한 프레임이 쉽게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등기구 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배선덕트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서 등기구 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분해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선덕트(10)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배선 덕트(10)와, 배선 덕트(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판(40)과, 프레임(20)의 저면에 조립되는 엘이디 기판(60)과, 배선 덕트(10) 간을 연결시키는 커플링 판(30)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 2와 도 6을 비교했을 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는 종래의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배선 덕트(10)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종래의 배선 덕트(10)의 구성 중 일부 구성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구성과 유기적인 상호 결합 작용을 하게 되므로 배선 덕트(10)의 종래 구성까지 모두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배선 덕트(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챔버와, 챔버 상부의 덮개(13)와, 챔버 내부를 상하로 구획시키는 격리판(12)으로 구성된다. 챔버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므로 두 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격리판(12)은 챔버를 이루는 두 개의 측벽 간을 수평으로 연결시키는 판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12) 챔버를 이루는 양 측벽에는 격리판(12)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격리판(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격리판(1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각 돌기 사이가 요홈으로 된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요홈을 돌출형 요홈(15)이라 부르기로 한다. 돌출형 요홈(15)은 종래에는 복수개의 배선덕트(10)를 나란히 연결해야 되는 경우에 도 1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별도의 브라켓과 체결부재로 배선덕트(10)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이다.
다만 참고로 돌출형 요홈(15)의 작용은 배선덕트(10) 간의 연결시 브라켓과의 결합 이외의 다른 작용도 있다. 프레임(20)에 조립되는 엘이디 기판(60) 및 엘이디 기판(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의 유지 보수시에 프레임(20)을 배선덕트(10)에서 분리하여 작업자가 계속 들고 있으면 위험하고 불편하다. 따라서 이 경우 돌출형 요홈(15)은 프레임(20)이 배선덕트(10)에서 분리되면서도 작업자가 들고 있을 필요가 없도록 프레임(20) 상부로부터 연결되는 사슬을 돌출형 요홈(15)에 고정 삽입되는 볼트에 연결시켜서 프레임(20)을 매달고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작용도 한다.(미도시)
본 발명에서 돌출형 요홈(15)은 후술하게 될 커플링 판(30)과 배선 덕트(10)와의 조립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 내에서 격리판(12) 하부 공간에 결합되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저면에 엘이디 기판(60)이 조립된다. 그리고 프레임(20) 상부에는 엘이디 기판(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안정화기가 설치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프레임(20)은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엘이디 기판(60)이 조립되는 수평부(21)와, 수평부(21) 양 측에 서로 대칭되게 경사지는 경사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경사부(24)의 저면은 수평부(21) 저면의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판 재질의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반사판 재질의 코팅 소재는 공지의 어떤 소재라도 채택 가능하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0)과 배선 덕트(10)의 조립 방식은 여러 가지 방식일 수 있는데,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배선 덕트(10) 하단에 형성되어 배선 덕트(10)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조립돌기(16)의 상부에 프레임(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조립 돌기(25)가 안착됨으로써 프레임(20)과 배선 덕트(10)가 서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공지의 다른 결합 방식으로 프레임(20)과 배선 덕트(10)가 서로 조립되는 것을 배재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하부에는 확산판(40)이 결합된다. 확산판(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판(40)의 양 단이 프레임(20) 양단에 각각 조립된다.
커플링 판(30)은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판상의 부재이다. 커플링 판(30)은 두 개의 배선덕트(10)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배선 덕트(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정도 만큼의 길이로 형성된다.
커플링 판(30)의 수직 단면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수평되게 배치되는 수평판(32)과 수평판(32)의 양 단으로부터 대칭되게 경사가 형성되도록 연장되는 경사판(33)으로 이루어진다. 경사판(33)은 수평판(3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지는 형상이다.
여기서 커플링 판(30)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두께가 증가되는 보강 구간(34)이 형성된다. 보강 구간(34)은 커플링 판(3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나, 횡 방향으로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구간에만 형성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보강 구간(34)은 배선 덕트(10)에 형성되는 돌출형 요홈(15)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배선 덕트(10)의 결합을 위한 커플링 판(30)은 첫째,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연접설치용 등기구에 적용 가능하여야 하며, 둘째,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배선 덕트(10)가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최대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하고, 셋째, 그러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무게와 부피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연결구간의 강성과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커플링 판(30)이 두꺼워지게 되면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전체 배선 덕트(10)들의 무게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20) 상부와 배선 덕트(10)의 격리판(12) 간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전원안정기 설치 공간이 좁아지고 방열 면에서도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첫째,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커플링 판(30)이 배선 덕트(10) 간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배선 덕트(10)의 내부 구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결합 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한다.
특히 나란하게 배치되는 두 배선 덕트(10)가 상하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뒤틀리는 힘을 받더라도 나란한 정렬상태가 유지되도록 커플링 판(30)은 배선 덕트(10) 내의 전 방향에 접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기존에 사용되던 연접설치용 등기구의 배선 덕트(10)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격리판(12)과, 격리판(12) 저면의 돌출형 요홈(15)과, 격리판(12) 측벽에 내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 돌기(18)가 모두 이용되어 커플링 판(30)의 각 부위가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지지점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둘째, 기존의 배선 덕트(10)에 형성된 격리판(12), 돌출형 요홈(15), 측면 돌기(18) 모두에 커플링 판(30)의 상면, 측면 양단이 밀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가 없더라도 나란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배선 덕트(10)의 정렬을 뒤틀게 할 수 있는 모든 방향의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셋째, 커플링 판(30)은 배선덕트(10) 내부에서 격리판(12)의 저면과 측면돌기의 상부에 동시에 밀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넷째, 커플링 판(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의 내부에서 격리판(12)의 저면과 측면 돌기(18)에 접촉됨으로써 배선 덕트(10) 내부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프레임(20) 상면을 통한 방열 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전기 안정화 장치(미도시)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특히 일부에만 보강 구간(34)이 형성됨으로써 커플링 판(30) 전체 두께는 얇게 제작되더라도 보강 구간(34)으로 인하여 전체가 두껍게 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견고한 강성을 갖는다.
한편 확산판(40)은 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평면으로 제작되며, 또한 프레임(20)의 하단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프레임(20) 하단과 같거나 또는 더 높은 위치에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은 수평부(21)와 경사부(24)로 이루어지는데 경사부(24)의 하단에서 두 경사부(24)의 하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내측으로 확산판 결합부(26)가 형성된다. 이때 확산판 결합부(26)는 확산판(4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 형태로 형성되므로 프레임(20)의 하단보다 확산판(40)의 설치 위치가 높게 된다.
이렇게 확산판(40)이 평면으로 제작되고 프레임(20)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는 설치 위치가 높아져서 특히 주차장 등에서 높은 차고를 가지는 탑차와 조명이 충돌하는 사태가 방지되고, 확산판(40)이 평면이 됨으로써 보다 범용적인 표준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평면에 적용 가능한 색상과 인쇄 프린팅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서 선택의 폭이 훨씬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접설치용 등기구에서는 프레임(20)의 휨 방지를 위한 보강 챔버(27)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챔버(27)는 경사부(24)를 하부 면으로 하고, 경사부(24)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두 수직벽과 두 수직벽 상단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상부 면이 하나의 사면체로 이루어지며 프레임(20)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길게 연장되어 챔버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보강 챔버(27)를 이루는 사면 중 양측의 두 수직벽 중에서 배선 덕트(10)의 측벽에 가까운 쪽의 수직벽, 즉 프레임(20)의 양 끝단에 가까운 쪽의 수직벽의 수직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된다. 물론 프레임(20)의 양 끝단에 가까운 쪽의 수직벽의 수직 길이가 더 크더라도 프레임(20) 경사부(24)의 경사로 인하여 최종 높이는 더 낮을 수 있다.
보강 챔버(27)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0)은 길이방향의 무게로 인한 휨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특히 가장자리 쪽의 수직벽의 수직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보강 챔버(27)로 인한 배선 덕트(10) 내부 공간의 불필요한 점유가 없으면서도 프레임(20)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강 챔버(27)가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20) 자체를 두껍게 제작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프레임(20) 무게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프레임(20)의 강성을 보강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보강 챔버(27)는 속이 빈 챔버 형태를 띠더라도 수직벽이 높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0)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프레임(2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프레임(20)의 강성이 필요한 만큼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챔버(27)는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프레임(20)의 사출 과정에서 사출금형의 간단한 변형만으로도 제작 가능하여 생산성도 좋은 효과가 있다.
한편, 프레임(20) 내부로의 이물질과 벌레의 침입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드 캡(50)을 결합시켜서 프레임(20)의 단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선 덕트(10)가 나란히 연결 될 때 가장 마지막에 연결되는 배선 덕트(10)에는 더 이상의 추가적인 배선 덕트(10)의 연결이 없게 되므로 이 경우 배선 덕트(10) 내부로의 이물질과 벌레의 침입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배선덕트용 엔드 캡(미도시)을 결합시켜서 배선 덕트(10)의 단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엔드 캡(50)은 배선 덕트(10) 및 프레임(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되며, 특히 벌레들이 조명을 향하여 모여들게 됨으로써 확산판(40) 상면에 벌레의 시체가 축적되지 않도록 우선적으로 확산판(40)과 프레임(20)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시킨다. 도 5에서도 엔드 캡(50)은 확산판(40)과 프레임(20)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막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엔드 캡(50)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체결 볼트의 도입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엔드 캡(50)이 프레임(20)의 단부에 결합될 때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프레임(20)에 형성되는 보강 챔버(27)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끼움 돌기를 형성시켜서 보강 챔버(27) 내에 끼움 돌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배선 덕트 11: 챔버
12: 격리판 13: 덮개
14: 구분 벽 15: 돌출형 요홈
16: 제1조립 돌기 18: 측면 돌기
20: 프레임 22: 수평 돌기
23: 방열 돌기 24: 경사부
25: 제2조립 돌기 26: 확산판 결합부
27: 보강 챔버 28: 수직 벽
30: 커플링 판 31: 경사판의 상단
32: 수평판 33: 경사판
34: 보강 구간 40: 확산판
50: 엔드 캡 60: 엘이디 기판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양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며 길게 형성되는 챔버와, 챔버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서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격리판과, 챔버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두 개 이상의 배선 덕트와;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배선 덕트 하부로 삽입되어 양 단이 배선 덕트 내벽에 조립되는 골격판과, 골격판 저면에 형성되는 엘이디 기판 조립부와, 골격판 상면에 형성되는 방열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상기 배선 덕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엘이디 기판 조립부에 결합되는 엘이디 기판; 및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강성 판재로서, 수평판과, 수평판 양 측에 경사판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두 개의 배선 덕트의 연결지점에서 길이방향의 양 단이 두 배선 덕트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두 배선 덕트를 나란하게 연결시키는 커플링 판;을 포함하되,
    상기 커플링 판은 횡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 구간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커플링 판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판은 배선 덕트에 삽입됨에 있어, 경사판의 하단은 걸림돌기 상부에 안착되고 경사판의 상단은 격리판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평판은 상면이 격리판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격리판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두 개의 돌기가 격리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형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돌출형 요홈이 내포되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구간은 만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골격판은 저면에 엘이디 기판이 조립되는 수평부와, 수평부 양 측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경사부의 상부에는 경사부를 하부 면으로 하고, 경사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두 수직벽과 두 수직벽 상단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상부 면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챔버가 양 측의 경사부 마다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수직벽의 수직 길이는 두 수직벽 중 배선 덕트의 측벽에 가까운 수직벽의 수직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평판 형태이며, 배선 덕트와 프레임 및 확산판이 조립될 때 확산판의 설치 높이는 프레임의 하단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KR1020150171221A 2015-12-03 2015-12-03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KR10175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21A KR101753100B1 (ko) 2015-12-03 2015-12-03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21A KR101753100B1 (ko) 2015-12-03 2015-12-03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97A KR20170065697A (ko) 2017-06-14
KR101753100B1 true KR101753100B1 (ko) 2017-07-06

Family

ID=5921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221A KR101753100B1 (ko) 2015-12-03 2015-12-03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766A (ko) * 2019-09-04 2021-03-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레이스웨이형 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0863B (zh) * 2017-12-31 2023-12-19 海宁博华照明电器有限公司 线条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52Y1 (ko) 2005-10-13 2006-01-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101014827B1 (ko) * 2009-08-10 2011-02-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KR101566453B1 (ko) * 2014-02-21 2015-11-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52Y1 (ko) 2005-10-13 2006-01-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KR101014827B1 (ko) * 2009-08-10 2011-02-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의 연결부재
KR101566453B1 (ko) * 2014-02-21 2015-11-0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766A (ko) * 2019-09-04 2021-03-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레이스웨이형 조명기구
KR102260158B1 (ko) 2019-09-04 2021-06-07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레이스웨이형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97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8869A1 (en)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RU2017125355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потолочная и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1753100B1 (ko) 배선 덕트 일체형 연접설치용 등기구
US8119915B2 (en) Cable management patch panel system with vertical ducting
US20190003691A1 (en) Strip Light Arrangement for T Bar Ceiling Grid Systems
GB2455646A (en) Support for trim panel accommodating a wire harness
US20170122510A1 (en) Lighting device, fixture body for ligh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unit
KR101281155B1 (ko) 엘이디 라인바 부착기구
US20140307437A1 (en) Led surface light-emitting device for easy shie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56140B1 (ko)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20056653A (ko) 벽면 연출용 엘이디조명 프레임
KR20200076607A (ko) 보지 리브를 갖는 중공 벽돌
CN218565583U (zh) 一种侧后板、空调外机和空调器
US10451230B2 (en) Wall mount light fixture
CN218565582U (zh) 一种空调外机和空调器
RU179610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страивания в стенное отверстие
KR101801093B1 (ko) 보강 챔버가 구비되는 엘이디 프레임 및 엘이디 프레임의 제작 방법
KR20120124543A (ko) 패널 조립구조
KR101754494B1 (ko) 건물의 배선시스템
KR102215554B1 (ko) 천정 고정브라켓 원터치 결합구조를 구비한 면조명
JP6372779B2 (ja) 照明器具
JP67509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CN205402433U (zh) 照明器具
KR102113059B1 (ko) 설치가 손쉬우며 케이블 트레이의 추가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KR200308710Y1 (ko) 하부 전선 덕트를 구비한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