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192B1 -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192B1
KR101752192B1 KR1020160168972A KR20160168972A KR101752192B1 KR 101752192 B1 KR101752192 B1 KR 101752192B1 KR 1020160168972 A KR1020160168972 A KR 1020160168972A KR 20160168972 A KR20160168972 A KR 20160168972A KR 101752192 B1 KR101752192 B1 KR 10175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ydrogen
unit
food wast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규
송민영
Original Assignee
(주)크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린바이오 filed Critical (주)크린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6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되는 음식물 처리조; 음식물 처리조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 및 바이오칩을 교반시키는 교반기; 음식물 처리조가 수용되고, 음식물 처리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와 차폐되는 밀봉 하우징;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고, 밀봉 하우징에 산소를 공급하는 전기 분해부; 및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공급되고, 음식물 처리조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 및 건조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원료가 유입되고, 수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원료를 탄화시키는 원료 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음식물 찌꺼기를 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통에 투입된 후 폐기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있다. 음식물 처리장치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히터를 구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음식물 찌꺼기가 처리되는 동안에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를 폐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5206호(2014. 06. 19 공개, 발명의 명칭: 일체형 주방용 오물분쇄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음식물 찌꺼기를 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되는 음식물 처리조;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 및 바이오칩을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음식물 처리조가 수용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와 차폐되는 밀봉 하우징;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고, 상기 밀봉 하우징에 산소를 공급하는 전기 분해부; 및 상기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공급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 및 건조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원료가 유입되고, 수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원료를 탄화시키는 원료 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저장되고, 상기 원료 탄화부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탄화부에서 연소원료의 탄화시 발생되는 열기가 보일러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원료 탄화부에 연결되고, 상기 원료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탄화물이 저장되는 탄화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밀봉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하우징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밀봉 하우징에 공급되므로, 밀봉 하우징이 외부로부터 차폐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하우징에서 외부로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원료 탄화부에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 및 건조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원료를 수소의 연소에 의해 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탄화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음식물 처리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 처리조(111), 교반기(114), 밀봉 하우징(116), 전기 분해부(140) 및 원료 탄화부(160)를 포함한다.
음식물 처리부(110)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처리부(110)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건조됨에 따라 연소원료가 생산된다.
음식물 처리부(110)는 음식물 처리조(111)와 교반기(114)를 포함한다. 음식물 처리조(111)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된다. 바이오칩은 톱밥을 포함하는 담채에 미생물을 결합시킨 물질이다. 이러한 바이오칩은 탄화되었을 때에 숯(charcoal)과 같은 탄화물이 제조될 수 있는 한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조(111)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바이오칩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교반기(114)는 음식물 처리조(1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고르게 교반한다. 교반기(114)는 교반 블레이드(114a)와 교반 모터(114b)를 포함한다. 교반기(114)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교반기(114)가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교반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조(111)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원료를 원료 탄화부(160)로 이송시키도록 이송기(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기(112)는 이송 스크류(112a)와 이송 모터(112b)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112a)는 교반기(114)와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기(112)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밀봉 하우징(116)은 음식물 처리부(110)는 음식물 처리조(111)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와 차폐되고, 음식물 처리조(111), 수분 응축부(131) 및 공기 가열부(132)가 수용된다. 밀봉 하우징(116)이 외부와 차폐되므로, 밀봉 하우징(116)에서 공기는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에서 순환된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 밀봉 하우징(116)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 하우징(116)에는 음식물 처리조(111)에 음식물 찌꺼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부(117)가 형성되고, 투입부(117)에는 밀봉 커버(118)가 설치된다. 밀봉 커버(118)가 개방된 후 음식물 처리조(111)에 음식물 찌꺼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부(117)를 통해 투입된다. 밀봉 커버(118)가 투입부(117)를 폐쇄시킴에 따라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봉된다. 또한, 밀봉 커버(118)가 투입부(117)를 개방시킬 때에 외부 공기가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로 유입된다.
밀봉 하우징(116)에는 공기 흡입유로부(121)가 설치되고, 공기 흡입유로부(121)에는 밀봉 하우징(116)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팬(122)이 설치된다. 공기 흡입유로부(121)에 흡입팬(122)이 설치되므로,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에 공기를 폐순환시킬 수 있다.
밀봉 하우징(116)의 하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물이 음식물 처리조(1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드레인관(128)이 연결된다. 드레인관(128)에는 드레인 밸브(129)가 설치된다.
밀봉 하우징(116)에는 밀봉 하우징(116)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부(130)가 설치된다. 히터부(130)에는 열교환핀(131)이 설치된다. 히터부(130)로는 전열히터 또는 열전소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기 분해부(140)는 음식물 처리부(11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물이나 또는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고, 물이 분해됨에 따라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킨다. 전기 분해부(140)는 드레인관(128)에 의해 밀봉 하우징(116)에 연결된다. 전기 분해부(140)의 내부에는 캐소드(미도시)와 아노드(미도시)가 설치되고, 캐소드와 아노드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캐소드와 아노드에 전원이 공급되면, 물이 전기분해됨에 따라 산소와 수소가 발생된다.
전기 분해부(140)는 산소 유로관(141)에 의해 음식물 처리부(110)의 밀봉 하우징(116)에 연결된다. 산소 유로관(141)에는 산소 차단밸브(142)가 설치된다. 음식물 처리부(110)에 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미생물이 호기성 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전기 분해부(140)는 수소 유로관(144)에 의해 원료 탄화부(160)에 연결된다. 수소 유로관(144)에는 수소 차단밸브(145)와 수소 공급밸브(146)가 설치된다.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된 수소는 수소 유로관(144)을 통해 원료 탄화부(160)에 공급된다.
전기 분해부(140)는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 분해부(140)가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밀봉 하우징(116)의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부(140)가 밀봉 하우징(116)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일러의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장치는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저장되고, 원료 탄화부(160)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저장부(150)를 더 포함한다. 수소 차단밸브(145)는 수소 유로관(144)에서 수소 저장부(150)와 전기 분해부(140) 사이에 설치된다. 수소 공급밸브(146)는 수소 유로관(144)에서 수소 저장부(150)와 원료 탄화부(160) 사이에 설치된다.
수소 저장부(150)에 수소가 저장되므로, 원료 탄화부(160)에서 탄화물이 생산되지 않을 때에는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수소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원료가 원료 탄화부(160)에 충분히 투입된 후 연소원료를 탄화시킬 수 있다.
원료 탄화부(160)에서 연소원료의 탄화시 발생되는 열기는 보일러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원료 탄화부(160)는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수소와 음식물 처리부(110)에서 생산되는 연소원료가 유입되고, 수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원료를 탄화시킨다. 원료 탄화부에는 수소를 연소시키도록 수소 연소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원료 탄화부(160)는 수소 유로관(144)에 의해 수소 저장부(150)에 연결된다. 원료 탄화부(160)는 연소원료 배출관(161)에 의해 밀봉 하우징(116)에 연결된다. 연소원료 배출관(161)에는 연소원료 차단밸브(162)가 설치된다. 원료 탄화부(160)에서 연소원료가 탄화됨에 따라 탄화물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숯과 같은 탄화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장치는 원료 탄화부(160)에서 생산되는 탄화물이 저장되는 탄화물 저장부(170)를 더 포함한다. 탄화물 저장부(170)는 탄화물 배출관(163)에 의해 원료 탄화부(160)에 연결된다. 탄화물 배출관(163)에는 탄화물 차단밸브(164)가 설치된다. 탄화물 저장부(170)에 충분한 양의 탄화물이 채워지면, 탄화물 저장부(170)를 분리하여 탄화물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밀봉 커버(118)를 투입부(117)에서 분리시킨 후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음식물 처리조(111)에 투입한다.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는 약간의 수분이 포함된다.
작동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교반기(114)가 구동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고르게 교반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이 단축된다. 예를 들면, 10kg의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지 않고 음식물 처리조(111)에 투입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은 대략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반면, 10kg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다음에 음식물 처리조(111)에 투입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은 대략 8시간으로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이 3배정도 감소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량을 3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교반기(114)가 구동되면, 히터부(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밀봉 하우징(116)의 공기를 가열한다. 이때, 흡입팬(122)이 구동됨에 따라 공기 흡입유로부(12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부(130)에 의해 가열된다. 히터부(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로 다시 순환된다.
밀봉 하우징(116) 내부의 공기는 흡입팬(122)에 의해 폐순환되므로,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에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최적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밀봉 하우징(116)의 내부에서 공기가 폐순환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 분해부(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기 분해부(14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물이 분해되어 수소와 산소가 발생된다. 산소 유로관(141)의 산소 차단밸브(142)가 개방되면,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산소는 산소 유로관(141)을 통해 음식물 처리부(110)의 밀봉 하우징(116)으로 공급된다. 밀봉 하우징(116)에 산소가 공급되므로,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때에 필요한 산소를 보충할 수 있다. 밀봉 하우징(116)에 계속적으로 산소가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시 밀봉 하우징(116)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하우징(116)에서 악취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유로관(144)의 수소 차단밸브(145)가 개방되면,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수소는 수소 유로관(144)을 통해 수소 저장부(150)에 공급된다. 수소 저장부(150)는 수소를 저장한다. 따라서, 수소 저장부(150)는 원료 탄화부(160)에서 수소가 필요한 경우에 원료 탄화부(160)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면, 전기 분해부(140)에서 전원이 중단된다. 이때, 수소 차단밸브(145)와 산소 차단밸브(142)가 수소 유로관(141)와 산소 유로관(144)을 폐쇄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에는 수분이 대략 95% 정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분해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히터부(130)는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에 가열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므로, 가열된 공기가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 수준 건조됨에 따라 연소원료가 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시간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는 드레인관(1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별도의 배관을 설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료되면, 이송기(112)가 구동되고, 연소원료 차단밸브(162)가 개방된다. 이송기(112)가 구동됨에 따라 연소원료가 연소원료 배출관(161)을 통해 원료 탄화부(160)에 공급된다. 음식물 처리조(111)의 연소원료가 원료 탄화부(160)에 거의 모두 공급되면, 연소원료 차단밸브(162)를 폐쇄시킨다.
수소 공급밸브(146)가 개방되면, 수소 저장부(150)의 수소가 수소 유로관(144)을 통해 원료 탄화부(160)에 공급된다. 원료 탄화부(160)에 공급되는 수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원료가 탄화된다. 연소원료가 탄화됨에 따라 숯과 같은 탄화물이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을 활용하여 탄화물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탄화물을 활용하여 자가발전에 사용할 수 있다.
원료 탄화부(160)에서 탄화물의 생산이 완료되면, 탄화물 차단밸브(164)를 개방하여 탄화물을 탄화물 저장부(170)에 배출한다. 따라서, 탄화물 저장부(170)에 탄화물이 채워지면, 탄화물 저장부(170)에서 탄화물을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산소가 밀봉 하우징(116)에 공급되므로, 밀봉 하우징(116)이 외부로부터 차폐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하우징(116)에서 외부로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부(140)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원료 탄화부(160)에 공급되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원료를 수소의 연소에 의해 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탄화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음식물 처리부 111: 음식물 처리조
112: 이송기 112a: 이송 스크류
112b: 이송 모터 114: 교반기
114a: 교반 블레이드 114b: 교반 모터
116: 밀봉 하우징 117: 투입부
118: 밀봉 커버 121: 공기 흡입유로부
122: 흡입팬 128: 드레인관
129: 응축수 차단밸브 130: 히터부
131: 열교환핀 140: 전기 분해부
141: 산소 유로관 142: 산소 차단밸브
144: 수소 유로관 145: 수소 차단밸브
146: 수소 공급밸브 150: 수소 저장부
160: 원료 탄화부 161: 연소원료 배출관
162: 연소원료 차단밸브 163: 탄화물 배출관
164: 탄화물 차단밸브 170: 탄화물 저장부

Claims (5)

  1.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바이오칩이 투입되는 음식물 처리조;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 및 바이오칩을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음식물 처리조가 수용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와 차폐되는 밀봉 하우징;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키고, 상기 밀봉 하우징에 산소를 공급하는 전기 분해부;
    상기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공급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 및 건조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원료가 유입되고, 수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원료를 탄화시키는 원료 탄화부;
    상기 음식물 처리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건조된 연소원료를 상기 원료 탄화부에 이송시키는 이송기; 및
    상기 전기 분해부와 상기 밀봉 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음식물 처리조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에 발생되는 물을 상기 전기 분해부에 공급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부에서 발생되는 수소가 저장되고, 상기 원료 탄화부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탄화부에서 연소원료의 탄화시 발생되는 열기가 보일러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탄화부에 연결되고, 상기 원료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탄화물이 저장되는 탄화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하우징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160168972A 2016-12-12 2016-12-12 음식물 처리장치 KR10175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72A KR101752192B1 (ko) 2016-12-12 2016-12-12 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72A KR101752192B1 (ko) 2016-12-12 2016-12-12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192B1 true KR101752192B1 (ko) 2017-06-29

Family

ID=5928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72A KR101752192B1 (ko) 2016-12-12 2016-12-12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25B1 (ko) * 2007-03-14 2008-03-07 이성국 음식물 쓰레기 탄화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25B1 (ko) * 2007-03-14 2008-03-07 이성국 음식물 쓰레기 탄화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55550A (ja) 生ごみ乾燥処理機
JP6472125B2 (ja) 有機物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337393B1 (k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장치용 반응조
CN109943380A (zh) 一种固体燃料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0772008B1 (ko) 증기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924420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752192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49735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JP4789595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0824290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2024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119344A (ja) 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634311B1 (ko) 고함수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JP2010185021A (ja) 脱塩素燃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50101530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06320B1 (ko) 음식물쓰레기 비료화방법
KR101350238B1 (ko)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KR10125155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 장치 및 방법
KR101869679B1 (ko) 음식물 탄화장치
KR102616264B1 (ko)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절약형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 제조장치
KR100688279B1 (ko)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스템
KR201000325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31010A (ko) 미생물과 우드칩, 황토입자, 볏짚, 왕겨숯의 조합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0000109A (ko) 유기성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22011545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