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988B1 -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988B1 KR101751988B1 KR1020160117527A KR20160117527A KR101751988B1 KR 101751988 B1 KR101751988 B1 KR 101751988B1 KR 1020160117527 A KR1020160117527 A KR 1020160117527A KR 20160117527 A KR20160117527 A KR 20160117527A KR 101751988 B1 KR101751988 B1 KR 1017519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tank
- sludge
- pipe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294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hosphorus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7 polyphosphor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B01D23/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수처리부와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된 방류수가 방류되는 방류관거에 연결되어 방류수역의 둔치에 조성되는 습지부로 구성되어 하수처리부는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이용하여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부를 조성함으로써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고갈되어 가는 지하수를 조성함과 아울러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도 분야 기술 중에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수처리부에서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이용하여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부를 조성함으로서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고갈되어 가는 지하수를 조성하고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물학적 하수처리 공법에는 부유식 공법(Suspended Process)과 미디어 공법(Media Process)이 있다.
부유식 공법에는 활성슬러지(Activated Sludge) 공법, SBR(Sequencing Batch Reactor) 공법, A/O(Anaerobic or Anoxic/Oxic) 공법 및, A2/O(Anaerobic / Anoxic/Oxic) 공법이 있다.
활성슬러지 공법은 모든 공법의 기본이 되는 공법으로서, 기본적으로 1차침전지→포기조→2차침전지로 구성되어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과 불용성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을 제거시킨다. 대규모 하수처리장의 설계에 기본이 되고 있으며, '표준활성슬러지 공법'이라고도 한다. 최근 강화된 법에 의해 고도처리로 점차 개조되고 있다.
SBR 공법은 오래전에 개발되었으나 운전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실용화되고 있지 못하다가 최근 자동화 운전기술의 개발로 비교적 간단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활성슬러지의 공간적인 개념을 시간적인 개념으로 바꾼 것으로 단일 반응조 내에서 포기→침전을 수행하는 공법으로서, 유입→반응(포기)→침전→유출→휴지기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A/O 공법은 초기에는 인 제거 공정으로 출발하였지만 침전지에서 반송으로 인한 질산성 질소의 증가로 무산소조로 변형되어 질소 제거 위주로 변화한 공법이다. 공정은 혐기(무산소)→호기→침전→유출로 이루어진다.
A2/O 공법은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시키는 영양소제거공법으로 A/O 공법에서 한층 더 진보된 공법이다. 혐기조에서 유기물을 이용하여 인을 방출시키고, 무산소조에서 유기물을 이용하고, 호기조에서 반송된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가스(N2)로 전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호기조에서는 미처리된 유기물을 제거하고 질산화를 유도한다.
미디어 공법에는 부착식 공법과 생물막 공법(biofilm process)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살수여상(Trickling Filter : TF) 공법과, 회전원판(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 RBC) 공법과, BAF(Biological Aerated Filter) 공법 및, SBBR(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 공법과 EBPR(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공법이 있다.
살수여상 공법은 대체로 BOD제거효율이 활성슬러지 보다 저조하며 산소가 부복한 상태에서 윤전되기 쉽기 때문에 질산화를 위해서는 표준율로 설계하여야 한다. 활성슬러지보다 넓은 부지가 소요되며, 플라스틱이나 쇄석을 반응조내에 충전시킨다.
회전원판(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 RBC) 공법은 회전원판이 1~2 rpm으로 약 40% 가량이 물에 잠겨 회전하면서 미생물이 표면에 부착되어 성장한다. 미생물 부착이 크게 되면 탈리가 되며 유기물 부하가 높거나 회전속도가 낮으면 부착미생물이 과다하게 되어 원판 축이 파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BAF(Biological Aerated Filter) 공법은 여재내에 미생물을 부착시켜 유기물과 질소를 산화시킨 후 여과하는 공정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 외에 일반적인 모래여과지와 다를 게 없다. 하향류와 상향류가 있으며 여재의 종류와 반응조의 구조, 장치의 형태, 운전방법에 따라 다르다. 소요부지가 적게 들고 침전시키지 않고 여과시키기 때문에 수질이 안정적이고 부하변동에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SBBR(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 공법과, EBPR(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공법은 일반적인 SBR공법에 media를 도입시킨 공법으로 질소 제거 위주인 SBR을 인 제거까지도 할 수 있게끔 적절한 변형으로 운전하는 공법이다. media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유동시킬 수도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충격부하에 강하며 동절기의 질산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부지소요가 적은 것이 커다란 장점이다.
상술한 생물학적 하수처리 공법들은 공통점은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불용성 부유물질을 침전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고,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통하여 제거하며, 최종처리수는 방류관거를 통해 방류수역으로 방류하는 것이다.
종래 생물학적 하수처리 기술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67034호(1998.09.25. 등록) "하수 및 오, 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인 동시 제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036호(2007.10.16. 등록) "생활하수나 폐수의 생물학적 고도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었으며, 지금도 생태계의 파괴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과 선행기술들은 부유물질과 유기물을 제거 처리한 방류수를 단순히 방류수역으로 방류하는 것으로 방류수역의 수질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생태계의 복원에는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하수 중의 유기물질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방류수역에 이르는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를 조성함으로써 생태계를 복원하고 지하수를 조성하고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부에서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이용하여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부를 조성함으로서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고갈되어 가는 지하수를 조성하고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최초침전조,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최종침전조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침전조,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및 최종침전조는 이송로를 통해 연결되며, 최종침전조에는 처리수가 방류되는 방류로가 설치되고, 상기 최종 침전조의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관이 연결되며 이 슬러지 배출관에는 슬러지를 호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슬러지 반송수단과, 잉여슬러지를 슬러지 처리처로 배출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배출수단 및, 잉여슬러지를 혐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반송수단이 연결설치되는 하수처리부와; 상기 하수처리부의 방류로에 연결되는 방류관거와; 상기 방류관거의 종단에 연결되며 방류수역의 둔치에 설치되는 습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호기조와 무산소조 사이에는 호기조내의 미생물 혼합액을 무산소조로 순환시키기 위한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수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에 연결되는 반송슬러지 반송관과 이 반송관에 설치된 반송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의 도중에는 사행형 배관 반응기가 구비되고, 이 배관 반응기에는 순산소 공급기가 순산소 공급관으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의 끝단부는 호기조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가 설치되고, 상기 순산소 공급관의 도중에는 순산소 제어밸브가 설치되어 호기조에 침지되는 용존산소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수단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에 연결되는 잉여슬러지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설치된 잉여슬러지 배출펌프 및 배출관에 연결된 잉여슬러지 방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은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관에 잉여슬러지 반송관과, 잉여슬러지 방출관을 개폐하는 방출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의 끝단은 혐기조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가 설치되고, 상기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은 호기조와 무산소조의 하단을 연결하는 미생물 혼합액 순환관과, 이 순환관의 도중에 설치되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관의 무산소조측 끝단에는 혼합 방사기가 설치되고, 상기 습지부는 상기 방류수역의 둔치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둔치 지표에서 노출되며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는 제1 벽체, 제2 벽체 및 제3 벽체와,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바닥과,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바닥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벽체와 제2 벽체 및 제1 바닥에 의하여 형성되는 습지조성공간과, 상기 제2 벽체와 제3 벽체 및 제2 바닥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랑조성공간, 그리고 상기 제1 벽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류관거의 종단에 연결되는 방류수유입구과, 상기 제1 벽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습지조성공간과 도랑조성공간을 연결하는 통수공 및, 상기 제2 바닥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하침투공을 포함하는 습지부구조물과; 상기 습지조성공간 내에서 상기 제1 바닥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과; 상기 굵은자갈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층과; 상기 코이어매트층의 상기 제1 벽체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벽체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코이어매트벽체와; 상기 코이어매트층의 상기 제2 벽체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벽체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코이어매트벽체와; 상기 코이어매트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과; 상기 가는자갈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과; 상기 자연토양층의 상층에 적층되며 토양과 식물종자 및 비료가 혼합된 인공토양층과; 상기 도랑조성공간 내에서 상기 제2 바닥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과; 상기 굵은자갈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과; 상기 가는자갈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층과; 상기 코이어매트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과; 상기 자연토양층의 상층에 적층되는 인공토양층과; 상기 방류수유입구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와; 상기 통수공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 및 상기 자연토양층과 인공토양층에 식재되는 초목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하수처리부와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된 방류수가 방류되는 방류관거에 연결되어 방류수역의 둔치에 조성되는 습지부로 구성되어 하수처리부는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이용하여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부를 조성함으로써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고갈되어 가는 지하수를 조성함과 아울러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하수처리부의 계통도,
도 3은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하수처리부의 계통도,
도 3은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방류관거와 습지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은,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와; 상기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방류수역으로 방류하는 방류관거(200)와; 상기 방류관거(200)의 종단에 연결되어 방류수역(400)의 둔치(410)를 따라 설치되는 습지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는 상술한 종래의 생물학적 하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는 최초침전조(110), 혐기조(120), 무산소조(130), 호기조(140) 및 최종침전조(150)를 포함한다. 상기 최종침전조(150), 혐기조(120), 무산소조(130), 호기조(140) 및 최종침전조(150)는 이송로(111, 121, 131, 141)를 통해 연결되며, 최종침전조(150)에는 처리수가 방류되는 방류로(151)가 설치된다.
상기 최종침전조(150)의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관(152)이 연결되며 이 슬러지 배출관(152)에는 슬러지를 호기조(140)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슬러지 반송수단(160)과, 잉여슬러지를 슬러지 처리처로 배출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배출수단(170) 및, 잉여슬러지를 혐기조(120)로 반송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이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기조(140)와 무산소조(130)사이에는 호기조(140)내의 미생물 혼합액을 무산소조(130)로 순환시키기 위한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190)이 설치된다.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수단(16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152)에 연결되는 반송슬러지 반송관(161)과 이 반송관(161)에 설치된 반송펌프(162)로 구성된다.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도중에는 사행형 배관 반응기(163)가 구비되며, 이 배관 반응기(163)에는 순산소 공급기(164)가 순산소 공급관(165)으로 연결설치된다.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끝단부는 호기조(140)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산소 공급관(165)의 도중에는 순산소 제어밸브(166)가 설치되어 호기조(140)에 침지되는 용존산소 검출기(167)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168)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수단(17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152)에 연결되는 잉여슬러지 배출관(171)과 이 배출관(171)에 설치된 잉여슬러지 배출펌프(172) 및 배출관(171)에 연결된 잉여슬러지 방출관(1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은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관(171)에 잉여슬러지 반송관(181)과, 잉여슬러지 방출관(173)을 개폐하는 방출밸브(182)로 구성된다.
상기 방출밸브(182)는 방출관(173)을 폐쇄되었을 경우에는 잉여슬러지가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을 통해 혐기조(120)으로 반송되고,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잉여슬러지가 방출관(173)을 통하여 방출됨과 아울러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측으로는 차단되거나 미량만이 반송되도록 함으로써 잉여슬러지의 반송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의 끝단은 혐기조(120)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된다.
상기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190)은 호기조(140)와 무산소조(130)의 하단을 연결하는 미생물 혼합액 순환관(191)과, 이 순환관(191)의 도중에 설치되는 순환펌프(192)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관(191)의 무산소조(130)측 끝단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된다.
상기 혼합 방사기(INJ)는 반송슬러지 반송관(161), 잉여슬러지 반송관(181), 미생물 혼합액 순환관(191)에 연결되는 분사노즐과, 이 분사노즐의 선단부에 겉으로 끼워지며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홉입공이 천공된 혼합 방사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혼합 방사기(INJ)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7034호에 개시된 것을 그대로 채용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에 의한 하수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가 최초침전조(110)에 유입되면, 부유 고형물질이 침전 제거된 후 유출수가 혐기조(120)로 유입된다.
혐기조(120)에서는 혐기성 상태에서 최종침전조(150)로부터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을 통하여 반송된 미생물체중에 유기물이 섭취, 저장됨과 아울러 인의 방출이 시작된다.
이때, 방출밸브(182)를 폐쇄하였을 경우에는 배출펌프(172)에 의하여 배출되는 잉여슬러지가 방출관(173)으로 방출되지 않고 전량이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을 통하여 혐기조(120)로 반송되며, 방출밸브(182)를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잉여슬러지가 방출관(173)으로 방출되고 반송관(181)측으로는 차단되거나 미량만이 반송되는 것이므로 방출밸브(182)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혐기조(120)로의 잉여슬러지 반송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수중의 인의 함량과 인화합물의 성상에 따라서 인 방출 반응시간(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반송량을 유입수량(Q)의 0.3∼1배(0.3∼1Q)로 한다.
혐기조(120)에서 처리된 후 무산소조(130)을 통하여 호기조(140)로 유입되면, 호기조(140)내의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체 증식과 더불어 폴리인산이 미생물체내에 축적되어 인이 제거되는 것이다.
즉, 인의 제거에 관련된 미생물체들이 혐기조(130)내의 혐기성 상태에서 단순한 효소기질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세포안에 저장 생성물로 동화하면서 인을 방출하고, 호기조(140)내의 호기성 상태 하에서는 다중 인산염의 형태로 인을 과잉 섭취하여 저장하므로 인이 제거되는 것이다.
여기서 최종침전조(150)로부터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에서 혐기조(120)으로 반송됨에 있어서는 잉여슬러지 반송관(181)의 선단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되는 잉여슬러지가 반송관(181)의 끝단에 연결된 분사 노즐에서 혼합 방사관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정리에 의하여 분사노즐의 선단 주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負壓)상태로 되어 혐기조(120)내의 미생물 혼합액이 혼합 방사관의 외주면에 천공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어 반송되어 분사되는 잉여슬러지와 충분히 혼합되면서 가압 제트 방사되므로 혐기조(120)내에서 슬러지들이 가라앉아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송되는 잉여슬러지와 혐기조(120)내의 미생물 혼합액이 매우 활발하게 혼합되므로 처리성능이 상승된다.
한펀, 호기조(140)내에서는 순산소 활성 슬러지 처리공정이 이루어지면서 유기물질을 분해 처리하게 되는바, 이때 질소질은 질산화가 이루어진다.
호기조(140)에서 질산화된 미생물 혼합액을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190), 즉 순환관(191)과 순환펌프(192)에 의하여 무산소조(130)으로 순환시키면 무산소 상태 하에서 질산화물이 미생물에 의하여 환원되면서 대기중에 질소가스로 배출되는 탈질소화 과정에 의하여 질소질이 제거된다.
상기 호기조(140)에서 무산소조(130)으로 순환되는 질산화된 미생물 혼합액의 순환량은 호기조(140)에서 질산화된 질소화합물의 탈질소 반응을 질소질함량과 질소화합물의 성상에 따라 탈질소 반응시간(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입수량(Q) 대비 1∼4배(1∼4Q)로 한다.
여기서 미생물 혼합액이 호기조(140)에서 무산소조(130)으로 순환되는 경우에도 미생물 혼합액 순환관(191)의 선단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사노즐에서 미생물 혼합액이 고속 분사되는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혼합 방사관의 외주면에 천공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면서 충분히 혼합된 후 혼합 방사관의 선단에서 무산소조(130)내로 방사되는 것이어서 무산소조(130)내의 슬러지들이 가라앉으면서 부패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순환되는 호기조(140)측 미생물 혼합액과 무산소조(130)내의 미생물 혼합액이 활발하게 혼합되어 처리성능이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최종침전조(150)으로 유입된 처리수는 최종적으로 침전처리된 후 그 처리수가 월류되어 방류되는 것인 바, 호기조(140)내의 활성슬러지 농도(MLSS)를 조절하기 위하여 반송슬러지를 반송하게 된다.
즉, 최종침전조(150)의 하부에 연결된 반송슬러지 반송수단(160)의 반송펌프(162)가 가동되면 최종침전조(150)내의 슬러지가 반송관(161)을 통하여 호기조(140)측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상기 최종침전조(150)에서 호기조(140)으로 반송되는 반송슬러지의 반송량은 유기물질 농도에 따라서 반송율을 조절하여 고농도의 용존산소에 의한 반응시간(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입수량(Q) 대비 0.3∼1배로 한다.
이때,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도중에는 순산소 공급기(164)가 순산소 공급관(165)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호기조(140)에 침지되어 있는 용존산소 검출기(167)에 의하여 검출된 호기조(140)내의 용존산소가 낮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68)에 의하여 제어밸브(166)가 개방되어 순산소 공급기(164)의 순산소가 공급관(165)을 통하여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으로 공급되어 반송슬러지와 혼합되며, 사행형 배관 반응기(163)을 통과하는 동안 반송슬러지와 순산소가 충분히 혼합되어 1차적으로 용존산소를 높이게 되며, 이후 반송슬러지-산소 혼합액이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끝단에 설치된 혼합 방사기(INJ)을 통하여 호기조(140)내로 고압 제트 방사되는 것이다.
상기 순산소 공급기(164)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는 기체산소로서의 순도가 60%이상으로 한다.
반송슬러지-산소 혼합액이 혼합 방사기(INJ)에서 방사되는 과정에서는 반송슬러지-산소 혼합액이 분사노즐에서 혼합 방사관내로 분사될 때 상술한 원리에 의하여 호기조(140)내와 미생물 혼합액이 혼합 방사관의 외주면에 천공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어 혼합된 후 고속제트 방사되면서 호기조(140)내의 슬러지들이 가라앉으면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송슬러지와 순산소 및 호기조(140)내의 미생물 혼합액이 활발하게 혼합되어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와 같이 반송되는 반송슬러지에 순산소 공급기(164)로부터의 순산소를 반송슬러지반송관(161)에 공급하여 배관 반응기(163)에서 1차적으로 혼합함과 아울러 혼합 방사기(INJ)에 의하여 반송슬러지-산소 혼합액과 호기조(140)내의 미생물 혼합액이 혼합하여 호기조(140)으로 가압 제트 방사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폭기장치에 의하여 폭기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존산소량이 2∼3배 이상으로 됨과 아울러 호기조(140)내의 미생물 혼합액의 활성슬러지 농도(MLSS)도 2배 이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수 중의 오염된 유기물질을 획기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처리 능력과 효율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생물학적 하수처리부(100)에서 처리되어 방류로(151)를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는 방류관거(200)을 통해 이송되어 방류수역에 방류된다.
상기 방류관거(200)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양측벽(211)과, 상기 양측벽(2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212)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수로 형태의 방류관거본체(210)와; 상기 방류관거본체(210)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방류관거덮개(220)로 구성된다.
상기 습지부(300)는 방류수역(400)의 둔치(410)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습지부(300)는 상기 방류수역(400)의 둔치(410)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둔치(410) 지표에서 노출되며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는 제1 벽체(311), 제2 벽체(312) 및 제3 벽체(313)와, 상기 제1 벽체(311)와 제2 벽체(3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바닥(314)과, 상기 제2 벽체(312)와 제3 벽체(313)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바닥(31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벽체(311)와 제2 벽체(312) 및 제1 바닥(3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습지조성공간(S1)과, 상기 제2 벽체(312)와 제3 벽체(313) 및 제2 바닥(3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랑조성공간(S2), 그리고 상기 제1 벽체(3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류관거(200)의 종단에 연결되는 방류수유입구(316)과, 상기 제2 벽체(3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습지조성공간(S1)과 도랑조성공간(S2)을 연결하는 통수공(317) 및, 상기 제2 바닥(315)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하침투공(318)을 포함하는 습지부구조물(310)과; 상기 습지조성공간(S1) 내에서 상기 제1 바닥(314)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321)과; 상기 굵은자갈층(321)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coir mat)층(331)과;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기 제1 벽체(311)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벽체(311)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와;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기 제2 벽체(312)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벽체(312)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코이어매트벽체(333)와;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322)과; 상기 가는자갈층(322)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341)과; 상기 자연토양층(341)의 상층에 적층되며 토양과 식물종자 및 비료가 혼합된 인공토양층(342)과; 상기 도랑조성공간(S2) 내에서 상기 제2 바닥(315)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351)과; 상기 굵은자갈층(351)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352)과; 상기 가는자갈층(352)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층(361)과; 상기 코이어매트층(361)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371)과; 상기 자연토양층(371)의 상층에 적층되는 인공토양층(372)과; 상기 방류수유입구(316)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381)와; 상기 통수공(317)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382); 및 상기 자연토양층(341, 371)과 인공토양층(342, 372)에 식재되는 초목류(3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수처리부(100)에서 처리되어 방류관거(200)을 통해 방류되는 방류수는 제1 벽체(311)에 형성된 방류수유입구(316)을 통해 습지조성공간(S1) 내로 유입된다.
이때, 방류수유입구(316)에는 코이어매트(381)가 삽입되어 있고, 제1 벽체(311)의 내벽면에는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류수유입구(316)을 통해 유입되는 방류수가 급속히 유입되지 않고 서서히 유입된다.
이때 방류관거(200)의 방류수의 수위가 굵은자갈층(321)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방류수는 굵은자갈층(321)으로 유입되고, 방류관거(200)의 방류수의 수위가 굵은자갈층(321)보다 높고 가는자갈층(322)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방류수는 굵은자갈층(321)과 가는자갈층(322)으로 유입되며, 이와 같이 방류수가 자연토양층(341)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코이어매트(281)과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와 코이어매트층(331) 및 제2 코이어매트벽체(333)의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방류수가 자연토양층(341)과 인공토양층(342)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인공토양층(342)에 혼합된 식물종자가 발아하여 생장할 수 있으며, 또한 자연토양층(341)과 인공토양층(342)에 식재된 초목류(391)가 생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류관거(200)의 방류수의 수위가 가능자갈층(322)의 높이보다 높고 자연토양층(341)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방류수가 굵은자갈층(321)과 가는자갈층(322) 및 자연토양층(341)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코이어매트(281)과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와 코이어매트층(331) 및 제2 코이어매트벽체(333)의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방류수가 자연토양층(341)과 인공토양층(342)에 공급되므로 식물종자가 발아 및 생장할 수 있으며 초목류(391)가 생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아하여 생장하는 식물과 초목류(391)는 자연토양층(341)과 인공토양층(342)에 뿌리를 내리고 생장할 수 있게 되며, 습지조성공간(S1)에는 지속적으로 방류수가 유입됨과 아울러 강우시 둔치(410)를 따라 흐르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식물이 생장하는 습지를 이루게 되어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습지조성공간(S1)으로 유입된 방류수는 자연토양층(341)과 가는자갈층(322), 코이어매트층(331) 및 굵은자갈층(321)을 통과하면서 방류수 중의 이물질이 다시 여과되며, 습지조성공간(S1)으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인공토양층(342)과 자연토양층(341), 코이어매트층(331)과 가는자갈층(322) 및 굵은자갈층(321)을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강우유출수 중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굵은자갈층(321)에 이른 방류수와 강우유출수는 제2 벽체(312)의 하단에 형성된 통수공(317)을 통해 도랑조성공간(S2)으로 유입된다.
이때 통수공(317)에는 코이어매트(38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통수공(317)을 통해 도랑조성공간(S2)으로 유입되는 방류수 및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제어하게 되며, 방류수 및 강우유출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도랑조성공간(S2)으로 유입된 방류수와 강우유출수는 굵은자갈층(371)을 통과하면서 흐르게 되고, 제2 바닥(315)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하침투공(318)을 통해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를 조성하게 된다.
또한 강우시 둔치(410)를 따라 흐르는 강우유출수는 도랑조성공간(S2)의 인공토양층(372)과 자연토양층(371), 코이어매트층(381), 가는자갈층(352) 및 굵은자갈층(351)을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강우유출수 중의 이물질이 여과된다.
따라서 방류관거(200)에서 습지조성공간(S1)으로 유입되는 방류수는 코이어매트(381)와 코이어매트벽체(332)를 통해 유입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다시 자연토양층(341), 가는자갈층(322), 굵은자갈층(321)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며, 강우시 둔치(410)를 따라 흐르면서 습지조성공간(S1)으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인공토양층(342), 자연토양층(341), 가는자갈층(322), 코이어매트층(331), 굵은자갈층(321)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며, 습지조성공간(S1)에서 도랑조성공간(S2)로 유입되는 방류수와 강우유출수는 코이어매트(38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다시 굵은자갈층(351)을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강우시 둔치(410)를 따라 흐르면서 도랑조성공간(S2)으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인공토양층(372), 자연토양층(371), 코이어매트층(361), 가는자갈층(352) 및 굵은자갈층(351)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이와 같이 여과된 방류수와 강우유출수가 최종적으로 도랑조성공간(S2)의 제2 바닥(315)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하침투공(318)을 통해 지하로 침투하게 되므로 보다 깨끗한 지하수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둔치(410)는 방류수역(400)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하향경사져 있는 곳이 대부분이나 방류수역(400)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하향경사져 있는 곳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방류관거(200)의 종단에서 볼 때, 둔치(410)가 방류수역(400)의 하류측으로만 하향 경사진 경우에는 방류관거(200)의 종단을 습지부(300)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하여 습지부(300)가 방류관거(200)의 종단에서 하류측에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둔치(410)가 방류수역(400)의 하류측과 상류측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방류관거(200)의 종단을 습지부(300)의 중간부에 연결하여 습지부(300)가 방류관거(200)의 종단에서 상류측과 하류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류수유입구(316)에는 코이어매트(381)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 벽체(311)의 내벽면에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류관거(200)로부터 습지조성공간(S1)으로 유입되는 방류수에 의하여 자연토양층(371)의 토양이 방류관거(200) 측으로 유실되거나 침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코이어매트층(331)과 제1 및 제2 코이어매트벽체(332, 333), 코이어매트층(361) 및 코이어매트(381, 382)는 코이어섬유를 망체로 감쌈으로써 코이어섬유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코이어섬유를 꼬아서 만든 로프를 멍석 형태로 엮어서 매트 형태를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연토양층(341, 371)은 습지부구조물(310)을 설치하기 위하여 굴착된 토양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 지역의 자연토양을 사용하는 것보다 주변의 자연토양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주변생태계가 타 지역의 미생물이나 외래해충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층(342, 372)은 상기 자연토양층(341)과 같이 습지부구조물(310)을 설치하기 위하여 굴착된 토양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토양에 식물종자와 비료를 혼합하여 식물종자가 쉽게 발아하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토양층(342, 372)에 혼합되는 식물종자는 초본류의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지가 조성된 후에도 활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수생식물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목류(391) 또한 습지가 조성된 후에도 활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수생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하수처리부와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된 방류수가 방류되는 방류관거에 연결되어 방류수역의 둔치에 조성되는 습지부로 구성되어 하수처리부는 하수에 함유된 유기물과 인과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처리부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이용하여 방류수역의 둔치에 습지부를 조성함으로써 파괴되고 있는 생태계를 복원하고,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고갈되어 가는 지하수를 조성함과 아울러 확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수처리부 110: 최초침전조
120: 혐기조 130: 무산소조
140: 호기조 150: 최종침전조
160: 반송슬러지 반송수단 170: 잉여슬러지 배출수단
180: 잉여슬러지 반송수단 190: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
INJ: 혼합 방사기 200: 방류관거
300: 습지부 310: 습지부구조물
311, 312, 313: 제1, 제2 및 제3 벽체
314, 315: 제1 및 제2 바닥 316: 방류수유입구
317: 통수공 318: 지하침투공
321: 굵은자갈층 322: 가는자갈층
331: 코이어매트층 332, 333: 제1 및 제2 코이어매트벽체
341: 자연토양층 342: 인공토양층
351: 굵은자갈층 352: 가는자갈층
361: 코이어매트층 371: 자연토양층
372: 인공토양층 381, 382: 코이어매트
391: 초목류
120: 혐기조 130: 무산소조
140: 호기조 150: 최종침전조
160: 반송슬러지 반송수단 170: 잉여슬러지 배출수단
180: 잉여슬러지 반송수단 190: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
INJ: 혼합 방사기 200: 방류관거
300: 습지부 310: 습지부구조물
311, 312, 313: 제1, 제2 및 제3 벽체
314, 315: 제1 및 제2 바닥 316: 방류수유입구
317: 통수공 318: 지하침투공
321: 굵은자갈층 322: 가는자갈층
331: 코이어매트층 332, 333: 제1 및 제2 코이어매트벽체
341: 자연토양층 342: 인공토양층
351: 굵은자갈층 352: 가는자갈층
361: 코이어매트층 371: 자연토양층
372: 인공토양층 381, 382: 코이어매트
391: 초목류
Claims (1)
- 최초침전조(110), 혐기조(120), 무산소조(130), 호기조(140) 및 최종침전조(150)를 포함하되, 상기 최초침전조(110), 혐기조(120), 무산소조(130), 호기조(140) 및 최종침전조(150)는 이송로(111, 121, 131, 141)을 통해 연결되며, 최종침전조(150)에는 처리수가 방류되는 방류로(151)가 설치되고, 상기 최종침전조(150)의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관(152)이 연결되며 이 슬러지 배출관(152)에는 슬러지를 호기조(140)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슬러지 반송수단(160)과, 잉여슬러지를 슬러지 처리처로 배출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배출수단(170) 및, 잉여슬러지를 혐기조(120)로 반송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이 연결설치되는 하수처리부(100)와;
상기 하수처리부(100)의 방류로(151)에 연결되는 방류관거(200)와;
상기 방류관거(200)의 종단에 연결되며 방류수역(400)의 둔치(410)에 설치되는 습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류관거(200)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양측벽(211)과, 상기 양측벽(21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212)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수로 형태의 방류관거본체(210)와, 상기 방류관거본체(210)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방류관거덮개(220)로 구성되며,
상기 호기조(140)와 무산소조(130)사이에는 호기조(140)내의 미생물 혼합액을 무산소조(130)로 순환시키기 위한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190)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수단(16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152)에 연결되는 반송슬러지 반송관(161)과 이 반송관(161)에 설치된 반송펌프(162)로 구성되며,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도중에는 사행형 배관 반응기(163)가 구비되고, 이 배관 반응기(163)에는 순산소 공급기(164)가 순산소 공급관(165)으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반송슬러지 반송관(161)의 끝단부는 호기조(140)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되고,
상기 순산소 공급관(165)의 도중에는 순산소 제어밸브(166)가 설치되어 호기조(140)에 침지되는 용존산소 검출기(167)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168)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수단(17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152)에 연결되는 잉여슬러지 배출관(171)과 이 배출관(171)에 설치된 잉여슬러지 배출펌프(172) 및 배출관(171)에 연결된 잉여슬러지 방출관(173)으로 구성되고,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은 상기 잉여슬러지 배출관(171)에 잉여슬러지 반송관(181)과, 잉여슬러지 방출관(173)을 개폐하는 방출밸브(182)로 구성되며, 상기 잉여슬러지 반송수단(180)의 끝단은 혐기조(120)의 저부에 임하며, 그 끝단부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되고,
상기 미생물 혼합액 순환수단(190)은 호기조(140)와 무산소조(130)의 하단을 연결하는 미생물 혼합액 순환관(191)과, 이 순환관(191)의 도중에 설치되는 순환펌프(192)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관(191)의 무산소조(130)측 끝단에는 혼합 방사기(INJ)가 설치되고,
상기 습지부(300)는,
상기 방류수역(400)의 둔치(410)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며 상단이 둔치(410) 지표에서 노출되며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는 제1 벽체(311), 제2 벽체(312) 및 제3 벽체(313)와, 상기 제1 벽체(311)와 제2 벽체(3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바닥(314)과, 상기 제2 벽체(312)와 제3 벽체(313)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바닥(31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벽체(311)와 제2 벽체(312) 및 제1 바닥(3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습지조성공간(S1)과, 상기 제2 벽체(312)와 제3 벽체(313) 및 제2 바닥(315)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랑조성공간(S2), 그리고 상기 제1 벽체(3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류관거(200)의 종단에 연결되는 방류수유입구(316)과, 상기 제2 벽체(3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습지조성공간(S1)과 도랑조성공간(S2)을 연결하는 통수공(317) 및, 상기 제2 바닥(315)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하침투공(318)을 포함하는 습지부구조물(310)과;
상기 습지조성공간(S1) 내에서 상기 제1 바닥(314)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321)과;
상기 굵은자갈층(321)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층(331)과;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기 제1 벽체(311)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벽체(311)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코이어매트벽체(332)와;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기 제2 벽체(312)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벽체(312)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코이어매트벽체(333)와;
상기 코이어매트층(331)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322)과;
상기 가는자갈층(322)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341)과;
상기 자연토양층(341)의 상층에 적층되며 토양과 식물종자 및 비료가 혼합된 인공토양층(342)과;
상기 도랑조성공간(S2) 내에서 상기 제2 바닥(315) 상에 적층되는 굵은자갈층(351)과;
상기 굵은자갈층(351)의 상층에 적층되는 가는자갈층(352)과;
상기 가는자갈층(352)의 상층에 적층되는 코이어매트층(361)과;
상기 코이어매트층(361)의 상층에 적층되는 자연토양층(371)과;
상기 자연토양층(371)의 상층에 적층되는 인공토양층(372)과;
상기 방류수유입구(316)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381)와; 상기 통수공(317) 내에 삽입되는 코이어매트(382); 및
상기 자연토양층(341, 371)과 인공토양층(342, 372)에 식재되는 초목류(39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527A KR101751988B1 (ko) | 2016-09-12 | 2016-09-12 |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7527A KR101751988B1 (ko) | 2016-09-12 | 2016-09-12 |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1988B1 true KR101751988B1 (ko) | 2017-07-11 |
Family
ID=5935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7527A KR101751988B1 (ko) | 2016-09-12 | 2016-09-12 |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9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57358A (zh) * | 2021-11-25 | 2022-02-18 | 常州大学 | 一种无动力污水处理装置及方法 |
-
2016
- 2016-09-12 KR KR1020160117527A patent/KR10175198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57358A (zh) * | 2021-11-25 | 2022-02-18 | 常州大学 | 一种无动力污水处理装置及方法 |
CN114057358B (zh) * | 2021-11-25 | 2023-10-17 | 常州大学 | 一种无动力污水处理装置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93975A (en) | Enhanced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 |
US6200469B1 (en) | System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water | |
US5951866A (en) | Cold climate wetl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
US2003002487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water | |
MXPA04004496A (es) | Sistemas de tratamiento de agua residual hidroponico y de tierra humeda integrado y metodos asociados. | |
CN102139957B (zh) | 垂直流人工湿地高效强化脱氮运行方式 | |
CN111204927A (zh) | 生态公厕污水处理循环系统及污水处理再利用方法 | |
CN212269810U (zh) | 农村生活污水复合式生态净化系统 | |
CN212292985U (zh) | 一种水体流域面源污染的景观生态净化系统 | |
CN111170580A (zh) | 一种污水净化处理系统 | |
CN111792798A (zh) | 农村生活污水复合式生态净化系统 | |
KR100460463B1 (ko) | 정원형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 |
KR101268084B1 (ko) | 정화용 습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 |
KR101751988B1 (ko) | 생물학적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 |
Brissaud et al. | Infiltration percolation for reclaiming stabilization pond effluents | |
CN215249860U (zh) | 一种污水厂尾水的净化处理系统 | |
KR100561170B1 (ko) |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오수,폐수등의 고도 처리 방법 | |
CN212954725U (zh) | 一种中小型流域农业面源污染水源前置生态治理系统 | |
CN114685010A (zh) | 农村污水收集及处理系统 | |
JP2820387B2 (ja) | 河川浄化装置 | |
KR100893674B1 (ko) | 내부 순환형 식생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 |
KR200220403Y1 (ko) | 반송습지법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 |
KR200357625Y1 (ko) | 자연친화형 접촉순환 하수처리장치 | |
KR200303060Y1 (ko) | 인위적인 공기공급식 자연친화형 하수 처리장치 | |
CN111943434A (zh) | 一种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系统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