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56B1 -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456B1 KR101751456B1 KR1020150158324A KR20150158324A KR101751456B1 KR 101751456 B1 KR101751456 B1 KR 101751456B1 KR 1020150158324 A KR1020150158324 A KR 1020150158324A KR 20150158324 A KR20150158324 A KR 20150158324A KR 101751456 B1 KR101751456 B1 KR 101751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terminal portion
- insulator
- female terminal
- analo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4B5/0006—
-
- H04B5/0025—
-
- H04B5/00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접점 타입으로 이루어져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휴대 단말기와 음향출력기기 간을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음향출력기기에 별도의 전원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암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단자부를 포함하는 무접점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일례로,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암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단자부를 포함하는 무접점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DMB 단말기, MP3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이들의 각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원을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기기로 전달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에서 음향출력기기로 전달되는 음원은 각각에 설치된 유/무선 접속 수단 등을 통하여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유선 접속 수단은 유선 접속 부분에 전도체가 노출되어 있어 수분이나 물 또는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단락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의 무선 접속 수단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와 음향출력기기 사이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기존의 유선 접속 수단과 같은 문제는 없으나, 음향출력기기에 별도의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이 필요하므로, 충전이 필요하거나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접점 타입으로 이루어져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휴대 단말기와 음향출력기기 간을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음향출력기기에 별도의 전원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암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기기의 출력단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암단자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된 제1 암단자부와 제2 암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된 제1 수단자부와 제2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가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단자부 내에 상기 제1 수단자부가 대응 위치되며, 상기 제2 암단자부 내에 상기 제2 수단자부가 대응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기기의 출력단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암단자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암단자부와 제2 암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수단자부와 제2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가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수단자부가 상기 제1 암단자부 내에 대응 위치되고, 상기 제2 수단자부가 상기 제2 암단자부 내에 대응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1 평판형 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평판형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와 상기 제2 평판형 단자부는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접점 타입으로 이루어져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휴대 단말기와 음향출력기기 간을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음향출력기기에 별도의 전원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100)는 암단자부(110)와 수단자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암단자부(110)는, 단말기(10)에 형성되고, 제1 코일(111), 제1 절연체(112) 및 제1 연결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111)은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대략 원통 꼴로 감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음원이나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된 수단으로, 휴대폰, PDA, PMP, DMB 단말기, MP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의미하며, 상기 제1 연결선(113) 간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상기 제1 코일(111)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제1 코일(111)을 통과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112)는 상기 제1 코일(1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단, 상기 제1 코일(111)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체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절연체(112)는 상기 구조체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연체(112)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선(113)은 상기 제1 코일(111)의 양단과 상기 단말기(10) 사이에 연결되고, +선과 -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제1 코일(1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단자부(120)는, 출력기기(20)에 형성되고, 제2 코일(121), 제2 절연체(122) 및 제2 연결선(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기기(20)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실시예에는 모노 오디오 장치에 관한 일례로, 상기 출력기기(20)는 하나의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121)은 상기 제1 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암단자부(110)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체(122)는 상기 제2 코일(1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121)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할 수 있다. 단, 상기 제2 코일(121)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체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연체(122)는 상기 구조체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연체(122)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연체(122)는 상기 수단자부(120)의 삽입 공간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연체(122)는 상기 암단자부(110) 내에 상기 수단자부(12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선(123)은 상기 제2 코일(121)의 양단과 상기 출력기기(20) 사이에 연결되고, +선과 -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코일(121)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기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100)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단자부(110)의 제1 절연체(112)의 내벽에는 결합 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수단자부(120)의 제2 절연체(122)의 외벽에는 결합 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114)은 상기 제1 절연체(1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114)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24)는 상기 제2 절연체(1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124)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24)는 상기 결합 홈(114)에 각각 대응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단자부(110)와 수단자부(12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단자부(110)의 제1 절연체(112)의 내벽에는 가이드 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수단자부(120)의 제2 절연체(122)의 외벽에는 가이드 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5)은 상기 제1 절연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체(112)의 입구(P1)에서 내측(P2) 방향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15)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5)는 상기 제2 절연체(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절연체(122)의 선단(P1)에서 후단(P2) 방향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25)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5)는 상기 가이드 홈(115)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단자부(110)와 수단자부(12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15)은 상기 제1 절연체(112)의 입구(P1)에서 내측(P2)으로 갈수록 깊이(d)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25)는 상기 제2 절연체(122)의 선단(P1)에서 후단(P2)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d)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암단자부(110)와 수단자부(12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100)의 상기 암단자부(110)와 수단자부(120)는 상기 제1 절연체(112)와 제2 절연체(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서로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500)는, 출력기기의 출력단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 즉 출력기기가 이어폰과 같이 출력단이 2개(좌, 우)로 이루어진 경우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암단자부(510A, 510B)로 이루어진 암단자부(510)와, 제1 및 제2 수단자부(520A, 520B)로 이루어진 수단자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100)와 비교하여,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각각 직렬로 배치된 차이점이 있다. 즉, 제1 및 제2 암단자부(510A, 510B)가 서로 직렬로 배치되며, 제1 및 제2 수단자부(520A, 520B)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자부(520)가 상기 암단자부(51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단자부(510A) 내에 상기 제1 수단자부(520A)가 대응 위치하며, 상기 제2 암단자부(510B) 내에 상기 제2 수단자부(520B)가 대응 위치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의 세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5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100)와 비교하여,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각각 병렬로 배치된 차이점이 있다. 즉, 제1 및 제2 암단자부(510A', 510B')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며, 제1 및 제2 수단자부(520A', 520B')가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자부(520')가 상기 암단자부(51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단자부(510A') 내에 상기 제1 수단자부(520A')가 대응 위치하며, 상기 제2 암단자부(510B') 내에 상기 제2 수단자부(520B')가 대응 위치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의 세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암단자부(510)와 수단자부(5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500, 500')의 상기 암단자부(510, 510')와 수단자부(520, 520')는 상기 제1 절연체(512, 512' )와 제2 절연체(522, 522')은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별도의 결합 수단 없이도 서로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900)는 제1 평판형 단자부(910)와 제2 평판형 단자부(9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910)는 단말기(10)에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911), 상기 제1 코일(9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911)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912), 및 상기 제1 코일(911)의 양단과 상기 단말기(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연결선(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판형 단자부(920)는 출력기기(20)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911)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921), 상기 제2 코일(9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921)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912)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922), 및 상기 제2 코일(921)의 양단과 상기 출력기기(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연결선(9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무접점 접속 장치(900)는 제1 실시예의 무접점 접속 장치(100)와 비교하여 단자부의 구조가 평판형인 것과 면 접촉에 의해 결합되는 특징을 제외하고, 신호 전달 원리는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접속 장치의 결합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910)는 제1 마그네틱(9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평판형 단자부(920)는 제2 마그네틱(9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평판형 단자부(910, 920)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914, 924)에 의해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그네틱(914)은 N극을 갖고 상기 제2 마그네틱(924)는 S극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마그네틱(914)은 S극을 갖고 상기 제2 마그네틱(924)는 N극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평판형 단자부(910, 914)를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경우 디자인적으로도 심플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물질의 투입에 따른 오염도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910)의 제1 절연체(915)에는 다수의 결합 홈(9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평판형 단자부(920)의 제2 절연체(922)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9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925)는 상기 결합 홈(915)에 각각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910)와 제2 평판형 단자부(920)가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자의 전도체 부분이 절연체로 감싸지며 유도 전류를 통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타입의 단자가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휴대 단말기와 음향출력기기 간을 구조적으로 직접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 음향출력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단말기 20: 출력기기
100: 접속 장치 110: 암단자부
111: 제1 코일 112: 제1 절연체
113: 제1 연결선 114: 결합 홈
115: 가이드 홈 120: 수단자부
121: 제2 코일 122: 제2 절연체
123: 제2 연결선 124: 결합 돌기
125: 가이드 돌기 500, 500': 접속 장치
510, 510': 암단자부 510A, 510A': 제1 암단자부
511a: 제1 코일 512a: 제1 절연체
513a: 제1 연결선 510B, 510B': 제2 암단자부
511b: 제2 코일 512b: 제2 절연체
513b: 제2 연결선 520: 수단자부
520A, 520A': 제1 수단자부 521a: 제3 코일
522a: 제3 절연체 523a: 제3 연결선
520B, 520B': 제2 수단자부 521b: 제4 코일
522b: 제4 절연체 523b: 제4 연결선
900: 접속 장치 910: 제1 평판형 단자부
911: 제1 코일 912: 제1 절연체
913: 제1 연결선 914: 제1 마그네틱
915: 결합 홈 920: 제2 평판형 단자부
921: 제2 코일 922: 제2 절연체
923: 제2 연결선 924: 제2 마그네틱
925: 결합 돌기
100: 접속 장치 110: 암단자부
111: 제1 코일 112: 제1 절연체
113: 제1 연결선 114: 결합 홈
115: 가이드 홈 120: 수단자부
121: 제2 코일 122: 제2 절연체
123: 제2 연결선 124: 결합 돌기
125: 가이드 돌기 500, 500': 접속 장치
510, 510': 암단자부 510A, 510A': 제1 암단자부
511a: 제1 코일 512a: 제1 절연체
513a: 제1 연결선 510B, 510B': 제2 암단자부
511b: 제2 코일 512b: 제2 절연체
513b: 제2 연결선 520: 수단자부
520A, 520A': 제1 수단자부 521a: 제3 코일
522a: 제3 절연체 523a: 제3 연결선
520B, 520B': 제2 수단자부 521b: 제4 코일
522b: 제4 절연체 523b: 제4 연결선
900: 접속 장치 910: 제1 평판형 단자부
911: 제1 코일 912: 제1 절연체
913: 제1 연결선 914: 제1 마그네틱
915: 결합 홈 920: 제2 평판형 단자부
921: 제2 코일 922: 제2 절연체
923: 제2 연결선 924: 제2 마그네틱
925: 결합 돌기
Claims (5)
-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단말기 외부의 이어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암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부 내부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기의 출력단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암단자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된 제1 암단자부와 제2 암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된 제1 수단자부와 제2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가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단자부 내에 상기 제1 수단자부가 대응 위치되며, 상기 제2 암단자부 내에 상기 제2 수단자부가 대응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삭제
-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단말기 외부의 이어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의 내측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암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부 내부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기의 출력단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암단자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암단자부와 제2 암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수단자부와 제2 수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부가 상기 암단자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수단자부가 상기 제1 암단자부 내에 대응 위치하고, 상기 제2 수단자부가 상기 제2 암단자부 내에 대응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단말기로부터 전위차를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단말기 외부의 이어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고,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코일을 감싸며 밀폐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1 평판형 단자부; 및
상기 출력기기에 형성되고,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코일을 감싸며 밀폐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직접 면접촉하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평판형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판형 단자부와 상기 제2 평판형 단자부는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324A KR101751456B1 (ko) | 2015-11-11 | 2015-11-11 |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324A KR101751456B1 (ko) | 2015-11-11 | 2015-11-11 |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304A KR20170055304A (ko) | 2017-05-19 |
KR101751456B1 true KR101751456B1 (ko) | 2017-06-27 |
Family
ID=5904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8324A KR101751456B1 (ko) | 2015-11-11 | 2015-11-11 |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456B1 (ko) |
-
2015
- 2015-11-11 KR KR1020150158324A patent/KR10175145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5304A (ko) | 2017-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0283B1 (ko) | 휴대폰 케이스 | |
KR101885734B1 (ko) |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케이스 | |
US7639832B2 (en) | Headphones | |
US20070053544A1 (en) | Wireless headphone | |
KR101718325B1 (ko) |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 |
CN107637094A (zh) | 音频设备 | |
JP2019186870A (ja) | ワイヤレスイヤホンとワイヤレスイヤホン用充電器とワイヤレスイヤホンシステム | |
US11564420B2 (en) | Wearable apparatus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 |
ATE441339T1 (de) | Brillenbehälter | |
CN110933549B (zh) |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充电系统 | |
US20100137038A1 (en) | Interchangeable Docking Cradle | |
CN110994718A (zh) |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充电系统 | |
US20180115184A1 (en) | Wireless charging adapter | |
US20220286544A1 (en) | Attachment module for coupling at least one wireless earphone with a mobile device | |
KR20160087671A (ko) | 무선 충전장치 | |
US20230080598A1 (en) | Accessory case for multiple charger types | |
CN104079032A (zh) | 一种用于手机的无线充电系统 | |
KR102237776B1 (ko) |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 |
CN211930833U (zh) | 一种用于无线耳机的充电装置及无线耳机组件 | |
KR101751456B1 (ko) |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접속 장치 | |
KR102208896B1 (ko) | 배터리팩이 구비된 가방 | |
KR200474745Y1 (ko) | 휴대 단말기를 위한 보조 배터리 장치 | |
CN205092624U (zh) | 一种可实现蓝牙耳机手机无线充电的装置 | |
CN208522478U (zh) | 一种无线充电移动电源 | |
CN105530559A (zh) | 蓝牙耳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