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797B1 -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 Google Patents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797B1
KR101750797B1 KR1020150170790A KR20150170790A KR101750797B1 KR 101750797 B1 KR101750797 B1 KR 101750797B1 KR 1020150170790 A KR1020150170790 A KR 1020150170790A KR 20150170790 A KR20150170790 A KR 20150170790A KR 101750797 B1 KR101750797 B1 KR 10175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nozzle
seal member
container
exhaus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829A (ko
Inventor
한석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월드텍 filed Critical (주)제이월드텍
Priority to KR102015017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7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또는 공차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회전 모터가 내장된 본체부;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회전 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용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 노즐을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용기 뚜껑;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 배기 노즐을 감싸면서 외삽되어 배기 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접속 노즐을 구비하고,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바디부; 및 접속 노즐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접속 노즐은 배기 노즐에 닿아 밀려나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BLENDER AND SEALING DEVICE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또는 공차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웰빙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더 나은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 신선한 음식재료들의 조리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갈아서 쥬스나 스프 등을 만들어 먹는 생활 습관에 대한 관심이 다양한 수요자층을 막론하고 높아지고 있다.
보통 믹서기는 과일이나 야채 등을 가공하여 쉽게 섭취하기 위해서 재료를 갈고, 분쇄하거나 즙을 짜는 기능 가진 장치 등을 의미한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560호는 이러한 믹서기의 일 예가 잘 설명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믹서기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을 수 있었다.
종래 믹서기의 경우 영양소가 재료 가공 시 파괴될 가능성이 높았었다. 재료를 칼날로 분쇄하는 과정에서, 용기 내의 공기(산소)와 음식 재료의 분쇄된 부분이 만나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므로 재료의 고유 속성이 변질되거나 영양소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 문제되었다.
또한, 종래 믹서기는 과일이나 야채 등의 재료를 칼날을 회전시켜 분쇄시킬 수 있는데, 이때 분쇄된 재료와 공기가 혼합되면서 저항이 발생될 수 있었다. 이 저항은 재료를 분쇄시킬 때 가공 시간을 길게 하므로 비효율적이며, 또한 재료와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므로 영양소 파괴가 더 많아질 수 있어 문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자들은 음식 재료를 담는 용기 내를 진공 상태를 만들고, 그 상태에서 용기 내 음식 재료를 분쇄하거나 믹싱하는 믹서기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믹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진공을 얼마나 확실하게 잘 할 수 있는 지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5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또는 공차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을 확실히 유지시킴으로 인하여 용기에 담겨 조리되는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영양소를 더욱 보호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빛깔이 더 좋게 보일 수 있고, 더 진하고 부드러운 조리물을 얻을 수 있으며,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본체부;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 노즐을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용기 뚜껑;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바디부; 접속 바디부에 수용되고, 접속 바디부의 하강 시 배기 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하는 접속 노즐; 및 접속 노즐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접속 바디부는,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접속씰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하고,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접속 노즐은,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접속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와, 접속씰부재에 결합되어 삽입구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부재를 더 구비하고, 접속 노즐이 배기 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접속 바디부가 하강할 때, 경사면이 배기 노즐에 닿아 밀려나는 것에 의해서 접속 노즐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는 접속 하우징과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접속 노즐이 배기 노즐과 분리되면, 탄성부재는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접속 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장치는 용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 노즐을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용기 뚜껑; 용기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접속 바디부; 접속 바디부에 수용되고, 접속 바디부의 하강 시 배기 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하는 접속 노즐; 및 접속 노즐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접속 바디부는,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접속씰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하고,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접속 노즐은,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접속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와, 접속씰부재에 결합되어 삽입구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부재를 더 구비하고, 접속 노즐이 배기 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접속 바디부가 하강할 때, 경사면이 배기 노즐에 닿아 밀려나는 것에 의해서 접속 노즐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는 접속 하우징과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접속 노즐이 배기 노즐과 분리되면, 탄성부재는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접속 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 또는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또는 공차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에 담겨 조리되는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영양소를 더욱 보호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빛깔이 더 좋게 보일 수 있고, 더 진하고 부드러운 조리물을 얻을 수 있으며,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A에 따른 평면으로 자르고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배기 노즐의 위치가 공차를 가진 상황에 놓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배기 노즐의 위치가 공차를 가진 상황에 놓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C-C에 따른 평면으로 자르고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본체부(110), 용기(120), 용기 뚜껑(130), 스탠드부(140), 접속 바디부(150), 및 진공 펌프(160)를 포함하고, 접속 바디부(150)는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먼저, 본체부(110)는 믹서기의 하측에 위치하여 베이스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용기(120)의 칼날(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111)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용기(120)는 조리될 음식을 담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용기(120)의 내부에는 본체부(110) 내에 구비된 상기 회전 모터(111)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121)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칼날(121)은 회전하면서 용기(120) 내의 야채나 과일 등의 음식물을 절삭하거나, 잘게 분쇄, 또는 교반(믹싱)할 수 있다.
용기 뚜껑(130)은 용기(120)를 덮는 일종의 덮개일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뚜껑(130)은 용기(12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133)이 형성된 배기 노즐(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뚜껑(130)의 테두리 부분에 용기(120)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고무 패킹 등의 패킹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 수단은 공기의 흐름을 차폐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 뚜껑(130)을 용기(120)에 덮으면 용기(120)의 내부가 용기(120)의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오직 관통홀(133)만이 용기(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용기(120)의 상부에는 용기(120)를 향하여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하거나 용기(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하는 접속 바디부(150)가 위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탠드부(1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접속 바디부(150)는 스탠드부(1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U, D)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는 용기(120)의 배기 노즐(131)과 기밀하게 접속되는 접속 노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가 상승(U)하는 경우 접속 노즐(151)은 배기 노즐(131)과 서로 떨어질 수 있지만, 반대로 접속 바디부(150)가 하강(D)하는 경우는 접속 노즐(151)이 배기 노즐(131)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접속 노즐(151) 또는 배기 노즐(131)의 적어도 일부를 고무 등의 고분자 소재로 구성한다면 접속의 기밀성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탠드부(140)는 기둥 부재(141)를 포함하고, 접속 바디부(150)는 기둥 부재(141)에 결합하는 기둥 홀더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141)는 본체부(110)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둥 부재(141)는 본체부(110)에 고정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다. 특히 기둥 부재(141)는 강도가 큰 금속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 홀더 부분(152)에는 삽입홀(153)이 형성되며, 기둥 부재(141)가 삽입홀(15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기둥 홀더 부분(152)과 기둥 부재(141)는 결합할 수 있다. 기둥 부재(141)가 상기 삽입홀(153)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 홀더 부분(152)은 기둥 부재(14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둥 홀더 부분(152)은, 기둥 부재(141)와 기둥 홀더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둥 부재(141)의 가이드를 받으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 홀더 부분(152)이 상하로 움직이면, 기둥 홀더 부분(152)과 함께 움직이는 접속 바디부(150) 역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접속 바디부(150)가 전기적 작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에서 스탠드부(140)는 렉 기어 부재(143)를 포함하고, 접속 바디부(150)는 피니언 기어 부재(154) 및 구동 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부(140)는 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렉 기어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렉 기어 부재(143)는 기둥 부재(141)와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렉 기어 부재(143)는 일면이 렉 기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는 렉 기어 부재(143)에 기어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 부재(154) 및 피니언 기어 부재(154)와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 부재(15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구동 모터(155)는 접속 바디부(15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 부재(154)는 렉 기어 부재(143)에 기어 결합한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 동력은 구동 모터(155)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전기 스위치의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 부재(154)가 일방향(R)으로 회전 시 피니언 기어부재는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하며, 피니언 기어 부재(154)에 연결된 구동 모터(155) 또한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 모터(155)는 접속 바디부(15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모터(155)가 하측 방향(D)으로 이동 시 접속 바디부(150) 역시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접속 바디부(150)는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가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하는 방식은 상기 하측 방향(D)으로 이동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일 수 있다.
전기 스위치의 작동으로 피니언 기어 부재(154)가 타방향(L)으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 부재(154)는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하며, 피니언 기어 부재(154)에 연결된 구동 모터(155) 또한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모터(155)는 접속 바디부(15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모터(155)가 상측 방향(U)으로 이동 시 접속 바디부(150) 역시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속 바디부(150)는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기둥 부재(141), 기둥 홀더 부분(152), 렉 기어 부재(143), 피니언 기어 부재(154)는 도 1 및 도 2의 도면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않는데, 이는 기둥 부재(141), 기둥 홀더 부분(152), 렉 기어 부재(143), 피니언 기어 부재(154)가 스탠드부(1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겉으로 보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접속 바디부(150)의 넥 부분(156)(도 3 참조)은 스탠드부(140)의 가이드 홀(147)(도 1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넥 부분(156)은 가이드 홀(147)의 가이드를 받으며 상하로 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속 바디부(150)는 스탠드부(140)의 내측면(145)과 나란한 면을 가지는 지지 부재(157)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7)는 스탠드부(140)의 내측면(145)에 인접하게 마주보는 상태로 슬라이딩 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7)는 접속 바디부(15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스탠드부(140)의 내측면(145)을 통해서 접속 바디부(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접속 바디부(150)의 내부에 진공 펌프(160)를 포함한다. 이 진공 펌프(160)는 접속 바디부(150)의 접속 노즐(151)과 연결 부분(16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120)의 내부 공간, 연결 부분(161), 및 진공 펌프(160)의 내부는 연통되는 하나의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진공 펌프(160)가 작동되면 진공 펌프(160)는 연결 부분(161)을 거쳐 용기(120) 내부의 공기를 뽑아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120)의 내부는 소정 기압 이하의 상태가 되거나 진공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진공 펌프(160)를 접속 바디부(150)의 내부에 위치시키면 진공 펌프(160)와 용기(120)와의 거리를 매우 가깝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용기(120) 내부의 진공의 정도를 측정하는 진공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센서(170)에 연동하여 진공 펌프(160)를 작동시킴에 따라 용기(120) 내부의 진공 세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에는 더욱 편리한 조정을 위하여 용기(120) 내부의 적절한 진공 상태를 확인 시켜주는 진공표시램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용기(120) 내부의 진공 세기를 임의 설정한 진공 세기 정도로 맞추고자 하는 경우, 용기(120) 내부의 진공 세기가 임의 설정 값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만 진공표시램프의 불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용기(120) 내부의 상태를 진공 상태로 만든 후에 용기(120) 내부의 음식물을 절삭, 교반(믹싱), 분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120) 내부를 소정의 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믹서기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되는 음식물의 산화(Oxidation)를 방지할 수 있고, 영양소를 더욱 보호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빛깔이 더 좋게 보이게 할 수 있고, 더 진하고 부드러운 조리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로 인한 저항 발생 요인을 줄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만일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면 조리 음식물의 산화 정도는 더욱 심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 하도록 한다.
먼저 조리될 음식물(야채 또는 과일 등)을 용기(120)의 내부에 집어 넣을 수 있다. 그 다음 용기 뚜껑(130)을 덮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속 바디부(15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상하(U, D)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기 스위치를 작동 시켜 접속 바디부(1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접속 노즐(151)을 용기(120)의 배기 노즐(131)에 기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접속 바디부(15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접속 노즐(151)과 배기 노즐(131)이 접속된 상태에서, 스탑 스위치(180)는 접속 바디부(150)의 이동을 정시시킬 수 있다.
스탑 스위치(180)는 접속 바디부(150)의 하측 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접속 노즐(151)이 배기 노즐(131)에 접속될 때, 스탑 스위치(180)가 용기 뚜껑(130)의 상부 면에 닿음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특히, 스탑 스위치(180)는 버튼 식으로 눌리는 방식에 의하여 작동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탑 스위치(18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용기 뚜껑(130)의 상부 면에 의하여 눌리면, 스탑 스위치(180)는 작동될 수 있다.
스탑 스위치(180)가 작동되면 접속 바디부(150)는 하측 방향(D)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그 자리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접속 노즐(151)과 배기 노즐(131)은 분리되지 않고 기밀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접속 노즐(151)을 배기 노즐(131)에 접속시키려는 힘은 피니언 기어 부재(154)가 회전하려는 힘에 따라 발생된 것일 수 있다.
이후, 진공 펌프(160)를 작동 시켜서 용기(1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본체부(110) 내부의 회전 모터(111)를 작동 시켜 조리될 음식물을 분쇄 또는 교반하는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가 끝나면, 회전 모터(111) 및 진공 펌프(16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접속 노즐(151)을 배기 노즐(13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기적 작동에 의하여 접속 바디부(150)가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속 노즐(151)이 배기 노즐(1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후에는 용기(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해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에서는 접속 바디부(150)가 상하로 이동하며 접속 노즐(151)과 배기 노즐(131)이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음에 따라 특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용기(120)의 크기 및 높이가 다양하게 변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100)는 그에 맞추어 진공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큰 용기(220)의 높이와 작은 용기(320)의 높이는 서로 다르지만, 접속 바디부(150)가 각 용기의 높이까지 맞춤으로 내려와 접속 노즐(151)을 배기 노즐(131)에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되는 다양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 믹서기를 이용한 조리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A에 따른 평면으로 자르고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가 실시예 1과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는 회전 모터가 내장된 본체부,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회전 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용기(520), 용기(52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533)이 형성된 배기 노즐(531)을 구비하며, 용기(520)를 덮는 용기 뚜껑(530),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 배기 노즐(531)을 감싸면서 외삽되어 배기 노즐(531)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접속 노즐(551)을 구비하고,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바디부(550) 및 접속 노즐(551)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에 닿아 밀려나는 경사면(555)을 구비한다.
본체부 등 도 7 및 8에 미도시 되는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도면 부호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 뚜껑(530)에 구비되는 배기 노즐(531)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배기 노즐(531)의 중심에는 용기(52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바디부(550)는 상측 방향(U) 또는 하측 방향(D)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접속 바디부(550)에는 접속 노즐(55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과 서로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에 직접 닿는 접속씰부재(553), 및 접속씰부재(553)와 연결되는 흡입관부재(559)를 포함한다. 배기 노즐(531)의 외경과 접속씰부재(553)의 내경(삽입구)이 서로 맞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배기 노즐(531)과 접속씰부재(553)는 서로 끼워 맞춤 되어 기밀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이 곧 접속 노즐(551)과 배기 노즐(531)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흡입관부재(559)는 접속씰부재(553)와 진공펌프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진공 펌프가 작동 시 용기(520) 속의 공기는 접속씰부재(553)의 내부를 지나고 이후 흡입관부재(559)의 내부관을 지나가게 된다.
흡입관부재(559)와 접속씰부재(553)의 결합은 흡입관부재(559)에서 접속씰부재(553)를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돌출부분(561)과 외측돌출부분(563)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돌출부분(561)과 외측돌출부분(563)이 도 7에서는 막대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도 8과 같은 평면도로 본다면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돌출부분(561)은 접속씰부재(553)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도 7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은 끼워 맞춤 되어 결합되는 것이므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접속씰부재(553)가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끼워 맞춤 결합은 더욱 기밀한 결합이 될 수 있다. 외측돌출부분(563)은 케이스처럼 접속씰부재(553)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배기 노즐(531)과 접속 노즐(551)이 정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접속 바디부(550)가 하측 방향(D)으로 수직으로 내려올 경우 접속씰부재(553)와 배기 노즐(531)은 측방향(X)으로의 움직임 없이 그대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용기(520)는 배기 노즐(531)의 위치가 모두 똑 같은 위치가 아닐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크기가 다른 용기 간에는 배기 노즐(531)의 위치의 공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을 향하는 쪽에 경사면(555)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배기 노즐(531)에 닿을 때 측방향(X)으로 밀려나는 경사면(55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속 노즐(551)이 접속씰부재(553)를 구비하는 경우 이 경사면(555)은 접속씰부재(553)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바디부(550)는 접속씰부재(553) 주위에 위치되는 접속 하우징(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하우징(570)은 접속 바디부(550)가 상하로 움직일 때 접속 바디부(55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다만, 접속 하우징(570)은 측방향(X)으로의 이동은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는 접속씰부재(553)와 접속 하우징(570) 사이에 탄성부재(5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의 외주면에서 접속 하우징(57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접속씰부재(553)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가 측방향(X)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서 벗어났을 때 다시 정위치로 되돌리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도 7의 A-A선에 따른 평면도가 도시되고 있다. 즉, A-A선에 따른 가상의 평면으로 자르고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의 외주면에서 등간격으로 6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580)가 360도 방향의 어느 쪽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르게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반드시 6개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7개나 8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 7은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한 이유는 외측돌출부분(563)이 도7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접속씰부재(553)와 탄성부재(580)는 하나의 소재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접속씰부재(553)는 탄성부재(580)와 같은 종류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흡입관부재(559)는 표면에서 접속 바디부(5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5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돌기(565)는 접속 노즐(551)이 측방향(X)으로 이동할 시, 흡입관부재(559)와 접속 바디부(550)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어 더욱 원활한 이동이 가능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는 배기 노즐의 위치가 공차를 가진 상황에 놓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배기 노즐의 위치가 공차를 가진 상황에 놓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접속 노즐과 배기 노즐이 결합하는 부위의 결합 후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C-C에 따른 평면으로 자르고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했지만, 용기(520)의 모양은 크기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고, 그에 따라 배기 노즐(531)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용기(520)의 제조 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배기 노즐(531)의 위치가 용기(520)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기 노즐(531)의 위치가 접속씰부재(553)를 기준으로 약간 오른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9는 결합 전 모습이며, 이 상태에서 접속 바디부(550)가 하측 방향(D)으로 하강하면 배기 노즐(531)은 접속씰부재(553)의 경사면(555)에 닿게 된다.
이렇게 배기 노즐(531)이 접속씰부재(553)의 경사면(555)에 닿으면, 배기 노즐(531)은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구성이므로, 경사면(555)이 측방향(X)으로, 특히 우측 방향(R)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에 따라 접속씰부재(553) 전체는 우측 방향(R)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속씰부재(553)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속씰부재(553)와 결합하고 있는 흡입관부재(559)의 부분도 역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접속씰부재(553)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기 노즐(531)은 접속씰부재의 내주면(557)으로 삽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렇게 배기 노즐(531)이 접속씰부재의 내주면(557)으로 삽이된 모습이 도 10에서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노즐(551)과 배기 노즐(531)은 결합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접속 바디부(550)의 하강으로 접속 노즐(551)과 배기 노즐(531)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접속씰부재(553)가 배기 노즐(531)을 감싸면서 외삽되어 있으며 이때의 결합은 끼워 맞춤 결합일 수 있다. 접속씰부재(553)가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이러한 끼워 맞춤으로 인한 결합은 더욱 긴밀한 결합이 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배기 노즐(531)과 접속 노즐(551)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580)는 굽어 있거나 압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변형으로 인하여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를 좌측 방향(L)으로 미는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좌측 방향(L)으로 작용하는 힘은 접속씰부재(553)를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힘일 수 있다.
다만, 배기 노즐(531)과 접속씰부재(55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기 노즐(531)이 접속씰부재(553)의 좌측 이동을 막고 있으므로, 접속씰부재(553)가 좌측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후 진공 관련 작업이 종료되면, 접속 바디부(550)는 다시 상측 방향(U)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속 노즐(551)과 배기 노즐(531)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씰부재(553)가 배기 노즐(5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탄성부재(580)가 작용시키는 탄성력에 의하여 접속씰부재(553)는 왼쪽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속씰부재(553)는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렇게 접속씰부재(553)가 원래의 자리로 돌아간 경우가 도 7에서 도시되는 모습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520)에 공차가 발생하여 배기 노즐(531)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는 배기 노즐(531)과 접속 노즐(551)의 결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기 노즐(531)이 소정의 범위(G) 내에서 위치가 변하더라도 접속 노즐(551)은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배기 노즐(531)과 접속 노즐(551)의 결합과 관련되는 씰링 장치 부분은 반드시 믹서기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 내에서 공차를 수용할 수 있는 접속 장치가 필요한 곳이라면 어느 곳이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에서 사용되는 씰링과 관련한 장치는, 용기(520), 용기(52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533)이 형성된 배기 노즐(531)을 구비하며, 용기(520)를 덮는 용기 뚜껑(530), 배기 노즐(531)을 감싸면서 외삽되어 배기 노즐(531)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접속 노즐(551)을 구비하고, 용기(52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접속 바디부(550), 및 접속 노즐(551)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에 닿아 밀려나는 경사면(555)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 노즐(551)은 배기 노즐(531)에 직접 닿는 접속씰부재(553), 및 접속씰부재(553)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부재(559)를 포함하고, 경사면(555)은 접속씰부재(553)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바디부(550)는 접속씰부재(553) 주위에 위치되는 접속 하우징(570)을 더 포함하며, 접속씰부재(553)와 접속 하우징(570) 사이에는 탄성부재(5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의 외주면에서 접속 하우징(57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접속씰부재(553)에 연결되고, 접속씰부재(553)는 탄성부재(580)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80)는 접속씰부재(553)의 외주면에서 등간격으로 6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따른 믹서기 또는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또는 공차를 가지는 용기에 대하여 진공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용기에 담겨 조리되는 음식물의 산화를 확실히 방지하고 영양소를 더욱 보호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빛깔을 더욱 좋게 보이게 할 수 있고, 더 진하고 부드러운 조리물을 얻을 수 있으며,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믹서기
110: 본체부
111: 회전 모터
120: 용기
121: 칼날
130: 용기 뚜껑
131: 배기 노즐
133: 관통홀
140: 스탠드부
141: 기둥 부재
143: 렉 기어 부재
145: 스탠드부의 내측면
147: 가이드 홀
150: 접속 바디부
151: 접속 노즐
152: 기둥 홀더 부분
153: 삽입홀
154: 피니언 기어 부재
155: 구동 모터
156: 넥 부분
157: 지지 부재
158: 디스플레이 패널
160: 진공 펌프
161: 연결 부분
170: 진공 센서
180: 스탑 스위치
220: 큰 용기
320: 작은 용기
520: 용기:
530: 용기 뚜껑
531: 배기 노즐
533: 관통홀
550: 접속 바디부
551: 접속 노즐
553: 접속씰부재
555: 경사면
557: 접속씰부재의 내주면
559: 흡입관부재
561: 내측돌출부분
563: 외측돌출부분
565: 돌기
570: 접속 하우징
580: 탄성부재

Claims (11)

  1.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를 덮는 용기 뚜껑;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 바디부;
    상기 접속 바디부에 수용되고, 상기 접속 바디부의 하강 시 상기 배기 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하는 접속 노즐; 및
    상기 접속 노즐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바디부는, 상기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접속씰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은,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접속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접속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구와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이 상기 배기 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속 바디부가 하강할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배기 노즐에 닿아 밀려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속 노즐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 하우징과 상기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접속 노즐이 상기 배기 노즐과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접속 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믹서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접속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접속씰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등간격으로 6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부재는 표면에서 상기 접속 바디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7.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배기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를 덮는 용기 뚜껑;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접속 바디부;
    상기 접속 바디부에 수용되고, 상기 접속 바디부의 하강 시 상기 배기 노즐에 기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접속씰부재를 구비하는 접속 노즐; 및
    상기 접속 노즐과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바디부는, 상기 접속씰부재를 수용하되, 내측면이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접속씰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접속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씰부재는,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은,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접속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탄성부재와, 상기 접속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구와 상기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이 상기 배기 노즐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접속 바디부가 하강할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배기 노즐에 닿아 밀려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속 노즐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 하우징과 상기 접속씰부재 사이에서 압축되고, 상기 접속 노즐이 상기 배기 노즐과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접속 노즐이 이동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씰링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접속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접속씰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씰부재의 외주면에서 등간격으로 6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장치.
KR1020150170790A 2015-12-02 2015-12-02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KR10175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790A KR101750797B1 (ko) 2015-12-02 2015-12-02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790A KR101750797B1 (ko) 2015-12-02 2015-12-02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829A KR20170064829A (ko) 2017-06-12
KR101750797B1 true KR101750797B1 (ko) 2017-06-26

Family

ID=5921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790A KR101750797B1 (ko) 2015-12-02 2015-12-02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71B1 (ko) * 2017-09-14 2019-04-12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개인용 맞춤화장품 제조장치
CN108534191B (zh) * 2018-05-09 2024-02-02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可拆卸式搅拌器具及具有其的微波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1051A (ja) * 2013-02-12 2014-08-25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フードミキサー
CN203815313U (zh) 2014-03-14 2014-09-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食品加工机
KR101490888B1 (ko) 2014-10-22 2015-02-06 주식회사 신성산업 진공형성이 가능한 믹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1051A (ja) * 2013-02-12 2014-08-25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フードミキサー
CN203815313U (zh) 2014-03-14 2014-09-1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食品加工机
KR101490888B1 (ko) 2014-10-22 2015-02-06 주식회사 신성산업 진공형성이 가능한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829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31431A1 (en) Blender
US20230270290A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82977B1 (ko) 믹서기
US11627837B2 (en) Kitchen appliance
US20200368932A1 (en) Oscillating blade for food processor system
US9084508B2 (en) Kitch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tuff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310603B1 (ko) 용기에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비-회전식 조립을 위한 방법 및 기구
KR20200024781A (ko) 안전 메커니즘을 구비한 블렌더
KR101674164B1 (ko) 진공 믹서기
KR101750797B1 (ko) 믹서기 및 그에 사용되는 씰링 장치
KR20170070870A (ko) 믹서기를 이용한 규격 용기 진공 장치
KR101673246B1 (ko) 진공 믹서기
KR101974747B1 (ko) 진공믹서기
KR101750798B1 (ko) 믹서기
CN209346781U (zh) 过滤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109152500B (zh) 具有玻璃烹饪碗的烹饪装置和其手柄结构
CN109567626A (zh) 杯盖组件、杯体组件及料理机
JP4390696B2 (ja) ミキサー
JP4463058B2 (ja) ミキサー
CN212879032U (zh) 一种搅拌机上盖密封结构
CN209610921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09595578U (zh) 抽气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09595577U (zh) 抽气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208463856U (zh) 排气盖组件、杯盖组件及料理机
KR200349323Y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