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328B1 -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328B1
KR101750328B1 KR1020130119775A KR20130119775A KR101750328B1 KR 101750328 B1 KR101750328 B1 KR 101750328B1 KR 1020130119775 A KR1020130119775 A KR 1020130119775A KR 20130119775 A KR20130119775 A KR 20130119775A KR 101750328 B1 KR101750328 B1 KR 10175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lyte
electrolytic solution
electrode assembly
wet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1355A (en
Inventor
조아라
이용태
김인정
김석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3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4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3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대한 전해액 젖음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전해액에 의한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전극 조립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수납 유닛; 및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유닛으로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수납 유닛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하는 측량 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capable of quantitatively measuring electrolyte wettability with respect to a secondary battery.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by an electrolytic solution, compris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o accommodate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flow into at least one side, ;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inlet side to supply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the housing unit and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Description

이차 전지의 젖음성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해액에 대한 전극 조립체의 젖음성이 어느 정도인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an electrode assembly with respect to an electrolyte solution in each secondary battery.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and electric vehicles. Particular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larger capacity than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so that the utilization rate thereof is rapidly increasing.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a lithium-based oxide and a carbonaceous material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each coated with su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jacket for sealingly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can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액체 상태의 전해질, 즉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지 케이스가 실링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The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a liquid electrolyte, that is, an electrolyte is injected and the battery case is sealed while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the battery case.

여기서, 주입된 전해액은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사이로 모세관 힘에 의해 스며들게 된다. 그런데,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는 소수성이 큰 물질인 반면, 전해액은 친수성이 큰 물질로서, 전해액에 의한 전극 조립체의 젖음(wetting)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공정 조건 또한 까다롭다.Here, the injected electrolyte is impregnated by the capillary for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However,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are materials having high hydrophobicity, whereas the electrolyte is a material having high hydrophilicity.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wet the electrode assembly by the electrolyte, and the process conditions are also severe.

만일, 전해액이 양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 또는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충분히 침투하지 못하는 경우, 리튬 이온 등에 의한 충방전 효율은 떨어지므로, 이차 전지의 성능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I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not sufficiently penetrat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or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the charge / discharge efficiency of the lithium ion or the like decreases,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not help but decrease.

따라서, 이러한 이차 전지의 전해액에 의한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해액의 주액 공정 내지 활성화 공정 이후에 이차 전지를 장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들 수 있다.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by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example, a process of aging the secondary battery for a long time after the pouring step or the activating step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performed.

하지만, 아직까지 이차 전지의 전해액에 의한 젖음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대로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각 이차 전지에서 전극 조립체에 최대로 젖어들 수 있는 전해액의 젖음량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에 최대로 젖어드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However, a technology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wettability by the electrolyte of the secondary battery has not been proposed so far.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for effectively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which can be wet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in each secondary battery, or the time for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reaches the electrode assembly at the maximum not.

때문에, 지금까지는, 이차 전지의 제조시 전해액을 너무 적게 투입하여 전해액에 의한 젖음성이 최대화되지 않아 이차 전지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거나 전해액을 불필요하게 과다 투입하여 전해액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충분한 숙성 시간을 거치지 않아 전해액의 젖음성이 최대화될 수 없거나 지나치게 많은 숙성 시간을 거쳐 제조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until now, the electrolyte solution is not sufficiently inject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wettability due to the electrolyte solution is not maximiz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not be exhibited properly or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unnecessarily overcharged, .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not be maximized because a sufficient aging time is not achieved, or an excessive aging time may be required to make the manufacturing time unnecessarily lo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 전지에 대한 전해액 젖음성, 이를테면 전해액 젖음량이나 젖음 시간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an electrolyte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n electrolyte solution wetting time and a wetting tim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전해액에 의한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전극 조립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수납 유닛; 및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유닛으로 전해액을 공급하고, 상기 수납 유닛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하는 측량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by an electrolyte, the apparatus compris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o accommodate an electrode assembly; A receiving unit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inlet side to supply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the housing unit and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은, 전해액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전해액 중 감소한 전해액을 측량하여 상기 수납 유닛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한다.Preferably, the measuring unit receives the electrolytic solution, measures the reduced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measure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accommodating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된 형태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measuring un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 scale is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유닛은, 상단이 개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seal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음성 측정 장치는, 상기 수납 유닛의 내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유닛을 더 포함한다.Still preferably,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unit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유닛은, 내부 공간의 크기 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un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음성 측정 장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한다.Still preferably,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imer unit for measuring time.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 전지에 대하여 전해액에 의한 젖음성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by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measured easily and accurately quantitatively.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전해액에 의한 이차 전지의 젖음성이 최대가 되었는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asily grasp whether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by the electrolyte is maximized in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해액 젖음성이 최대가 된 경우 침투된 전해액의 양, 즉 전해액 최대 젖음량은 어느 정도인지,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에 최대로 젖어드는데 필요한 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파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정보 등을 통해, 시간당 전극 조립체에 젖어드는 전해액의 양, 즉 전해액 젖음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한 쉽게 파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is maximize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mpregnated, that is, the maximum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wet the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grasped. Moreover, through such information or the like, it is easy to grasp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wetted on the electrode assembly per hour, that is, the rat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wetting.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이차전지별로 파악된 전해액 젖음량이나 전해액 젖음 속도 등을 통해, 해당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전해액 주입량이나 주입 속도, 숙성 시간 등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해액 젖음성 최대화에 의한 이차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해액 및 제조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injected, the injection rate, and the aging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through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wetted by each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by maximizing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and to prevent waste of electrolyte and manufacturi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나 크기를 갖는 이차 전지에 대하여 전극 조립체의 젖음량이나 젖음 시간, 젖음 속도 등이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차 전지의 각 형태별 내지 크기별로 전해액 젖음성의 비교가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형태 또는 어느 크기를 갖는 이차 전지가 젖음성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될 수 있는지 용이하게 파악되어, 고성능 이차 전지의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tting amount, a wetting time, a wetting speed, and the lik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This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electrolyte wettability by each type or size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grasped whether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any type or size can be maximized or minimized, and this can be helpful in the design of a high performance secondary batter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구성에 대한 상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aug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of a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op view of the coupling arrangement of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이차 전지의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될 때 전해액에 의해 내부의 전극 조립체가 젖어드는 정도, 즉 전극 조립체의 젖음성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젖음성이란, 함침성이나 침투성 등과 같이,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로 대체 사용될 수 있다.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that is,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secondary battery. Here, the wettability can be used in various terms to mean that the electrolyte penetrates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such as impregnation property and perme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수납 유닛(100) 및 측량 유닛(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nd a measurement unit 200.

상기 수납 유닛(10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이러한 내부 공간에 전극 조립체(1)가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may have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 can be housed in the internal space.

여기서, 수납 유닛(100)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1)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 그리고 세퍼레이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극판과 음극판, 즉 전극판들은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전극판들에는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무지부에는 각각의 전극판에 대응되는 전극 탭이 부착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de assembly 1 housed in the housing unit 100 may have at least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hat is, the electrode plates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active material slurry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The slurry is usually agitated in the state where the active material, auxiliary conductor, binder, plasticizer, .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may have an uncoated portion to which no slurry is applied, and an electrode tab corresponding to each electrode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uncoated portion.

전극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 그리고 다수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이들이 수평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수납 유닛(100)에 수납될 수 있다. 또는, 전극 조립체(1)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배치된 세퍼레이터가 폴딩되는 구성이나 하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는 구성 등의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electrode assembly 1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ve plates, a plurality of negative plates, and a plurality of separators. The electrode assembly 1 may be housed in the housing unit 100 in a stacked mann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electrode assembly 1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plates and a sepa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negative plates are arranged are folded, or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젖음성 측정 장치의 수납 유닛(1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극 조립체(1)가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유닛(100)은 전극 조립체(1)의 형태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유닛(100)은 직육면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형 또는 폴딩형 전극 조립체(1)의 수납에 유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납 유닛(100)은, 원통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권취형 전극 조립체(1)의 수납에 유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electrode assemblies 1 can be housed in the housing unit 100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ccommodat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 this case, it may be advantageous to store the stacked or foldable electrode assembly 1. Alternatively, the housing unit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 this case, it may be advantageous for storing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1.

상기 수납 유닛(100)은 적어도 일측에 유입구(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구(101)를 통해 수납 유닛(100)의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전극 조립체(1)에 전해액이 젖어드는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가 수납된 수납 유닛(100)의 내부 공간으로 전해액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닛(100)에는 유입구(101)가 형성되며, 이러한 유입구(101)를 통해 전해액은 전극 조립체(1)로 전해액이 투입될 수 있다.The inlet unit (100) has an inlet (101)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inlet 101. Since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easure the degree of wetting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electrode assembly 1,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10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 is housed . Therefore, the hous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inlet 101,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injec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

여기서, 유입구(101)는 양극판과 세퍼레이터, 또는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로 전해액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양극판과 음극판의 모서리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이 도면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층된 경우, 유입구(101)는 전극판의 모서리가 위치하지 않는 수납 유닛(10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지 않고, 전극판의 모서리가 위치하는 수납 유닛(100)의 상부나 하부, 또는 좌측부나 우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101 may b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corner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formed so that the electrolyte can easily permeate into the gap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or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electrode plate is stack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inlet 10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housing unit 100 where the edge of the electrode plate is not positioned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 left side portion, or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housing unit 100 where the edge of the electrode plate is located.

특히, 이러한 유입구(101)의 위치는 이차 전지의 제조시 제조 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에서 전해액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주입되는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입구(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inlet 101 may be realized in a different form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the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lytic solution is inj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inlet 101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housing unit 100 as shown in FIG. 2 have.

상기 수납 유닛(100)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수납 유닛(100)은, 쉽게 깨지지 않고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납 유닛(100)에 의하면, 전해액의 투입에도 형태가 변하지 않고 측정시 안전성과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유닛(100)은, 합성수지나 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수납 유닛(1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ousing unit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hich does not react with the electrolytic solution.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unit 100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asily broken and light. According to such a storage unit 100, the shape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input, and safety and convenience in measurement can be ensure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r ir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housing unit 100.

상기 측량 유닛(200)은, 수납 유닛(100)의 유입구(101) 측에 구비되며, 유입구(101)를 통해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을 공급한다. 특히, 유입구(101)는 수납 유닛(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측량 유닛(200) 또한 수납 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수납 유닛(100)으로의 전해액 공급은,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2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let 101 of the housing unit 100 and supplies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inlet 101. In particular, the inlet 101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metering unit 200 may also be located on top of the housing unit 100. In this case, the suppl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to the storage unit 100 can be performed by gravity without requiring any additional power.

특히, 측량 유닛(200)은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중에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 유닛(200)과 수납 유닛(100)의 연결 부분에 실링 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lytic solution from leaking while supply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e measuring unit 200 is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easuring unit 200 and the accommodating unit 100, as shown in Fig. 2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상기 측량 유닛(200)은,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한다. 즉, 상기 측량 유닛(200)은, 수납 유닛(100)으로 어느 정도 양의 전해액이 공급되는지를 측량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200 measure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100.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measure how much electrolyte is supplied 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이와 같은 측량 유닛(200)의 측량 정보는,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의 젖음성은 전극 조립체(1) 사이로 침투된 전해액의 양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측량 유닛(200)이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하면, 이와 같이 계측된 전해액 양은 곧 전극 조립체(1)로 침투된 전해액의 양이라 추정될 수 있다. Such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used for quantitatively grasping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wet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referred to a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that has permeated through the electrode assembly 1. When the measurement unit 200 measure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00,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estimated a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penetra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200)은, 전해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량 유닛(200)은 이와 같이 수용된 전해액을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an electrolyte, and an empty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lyte can be formed for this purpose. The measuring unit 200 can be configured to supply the electrolytic solution thus accommodated to the housing unit 100. [

예를 들어, 상기 측량 유닛(200)은,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에 전해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er, and configured to receive electrolyte in the internal space.

특히, 상기 측량 유닛(200)은 수납 유닛(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량 유닛(200)의 하단 개구부는 수납 유닛(100)의 유입구(10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량 유닛(200)에 수용된 전해액은 하단 개구부와 유입구(101)를 통해 수납 유닛(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easurement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100,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survey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101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erefore,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the inlet 101.

여기서, 상기 측량 유닛(200)은, 전해액 감소량을 통해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량 유닛(200)은, 자체에 수용된 전해액이 어느 정도로 감소하였는지를 계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해액 감소는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이 공급된 것에 기인하므로, 전해액 감소량은 곧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 양으로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량 유닛(200)은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 중 30 ml가 감소한 경우, 30 ml의 전해액이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것으로 계측할 수 있다.Here,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reduced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to some extent the amount of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unit 200.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electrolyte is caused by the suppl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storage unit 100,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100 can be estimated. 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measure 30 ml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100 when 30 ml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ed therein is decreased.

또한, 상기 측량 유닛(200)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량 유닛(200)은 이러한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전해액이 유입되어 전해액을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200 may have an opening at an upp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receive the electrolytic solution through the upper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측량 유닛(200)이 실린더 형태로 구성된 경우, 상단과 하단에 모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전해액이 투입되어 측량 유닛(200)의 내부에 소정 양의 전해액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측량 유닛(200)에 수용된 전해액은 하단 개구부를 통해 수납 유닛(100)의 전극 조립체(1)로 유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easuring unit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 opening may be formed at bo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injected through the upper end opening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electrolyte may be injected into the measuring unit 200 To be accommodated.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 of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bottom open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200)은,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 하단 개폐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단 개폐 부재는, 측량 유닛(20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측량 유닛(200)에 의한 전해액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개구부를 통해 측량 유닛(200)으로 전해액을 유입시키는 경우, 하단 개폐 부재를 닫아 측량 유닛(200)으로의 전해액 유입 과정 중에 하단 개구부를 통해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측량 유닛(200)에 전해액이 유입되는 과정이 완료된 이후, 하단 개폐 부재를 열어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etering unit 200 may include a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when an opening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is a compon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easurement unit 200, and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unit 200 supplies the electrolytic solution. For example,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measurement unit 200 through the upper opening,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losed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flows out to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lower opening dur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inflow into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prevented. After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into the measurement unit 200 is completed, the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may be opened to allow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flow out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to the storage unit 100.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200)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 상단 개폐 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단 개폐 부재(210)는, 측량 유닛(20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상단 개구부로 전해액이 넘치거나 증발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수납 유닛(100)으로의 전해액 공급량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Further, preferably, the metering unit 200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 closing member 210 when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he upper openable and closable member 210 is a component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measurement unit 200 and can prevent the electrolytic solution from overflowing or evaporating out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to the upper opening.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from the measuring unit 200 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 유닛(20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량 유닛(200)은 메스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measurement unit 2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cale may b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calpel cylinder.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측량 유닛(200)에 수용된 전해액의 감소량이 육안으로도 쉽게 측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메스 실린더 형태의 측량 유닛(200)에 최초 수용된 전해액의 양이 100ml의 눈금을 가리키고, 소정 시간 경과한 이후에 전해액의 양이 70ml의 눈금을 가리킨 상태로 정지되어 있다면, 감소분인 30ml의 전해액이 수납 유닛(100)의 전극 조립체(1) 내부로 스며들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해액의 젖음량은 30ml라 예측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mount of reduc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be easily measured with the naked eye.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originally housed in the measuring unit 200 in the form of a scalpel indicates the scale of 100 ml, and if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stopped while pointing to the scale of 70 m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Can be said to have penetra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 of the housing unit 100. Therefore, in this case,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estimated to be 30 ml.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해액의 젖음량이 관측자의 육안으로 판단되는 구성이 설명되어 있으나, 이러한 전해액의 젖음량은 측량 유닛(200)이 측량하여 모니터 등에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량 유닛(200)은, 전해액 감소량을 30ml로 계측한 경우, 계측량이 30ml라는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However, the wetting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measured by the surveying unit 200 and displayed on a monitor or the lik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etting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determined by the naked eye of the observer. For example, the measurement unit 200 can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easurement amount is 30 ml on the monitor when the electrolyte decrease amount is measured to be 30 m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해액에 의한 전극 조립체(1)의 젖음량, 즉 전극 조립체(1)에 어느 정도 양의 전해액이 스며들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supplied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1 by the electrolytic solution That is, how much electrolyte has penetra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 can be measured.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젖음량 측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 전해액이 측량 유닛(200)으로부터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하단 개폐 부재를 개방하여 측량 유닛(200)에서 전해액이 감소된 양을 측정하는 경우, 하단 개폐 부재를 소정 시간 동안 개방하고, 더 이상 전해액의 감소가 없을 때의 전해액 감소량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해액의 침투가 더 진행될 수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여 전해액 젖음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measuring unit 200 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for a sufficient tim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wettability. For example, when the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is opened to measure the amount of electrolyte decrease in the measurement unit 200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good to measure the amount of electrolyte decrea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nfiltra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proce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being accurately measur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2, the housing unit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lid 120.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may have the same shape.

상기 본체부(110)는, 전극 조립체(1)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하되, 상단이 개방되어, 이러한 상단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수납 공간으로 전극 조립체(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개방 면적은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1)의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극 조립체(1)가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an upper end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opened portion of the upper end . At this time, the opening area of the main body 110 has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to be accommodated,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 can be easily inserted or withdrawn through the opened portion.

상기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하여 개방된 부분을 폐쇄함으로써 본체부(110)를 밀폐시킨다. 다만, 전해액의 투입을 위해 유입구(101)는 덮개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덮개부(120)를 덮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극 조립체(1)를 본체부(110)에 수납하고, 이후 덮개부(120)를 덮어 본체부(110)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 유닛(100)이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d part 120 closes the opened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by sealing the opened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However, the inlet 101 may be formed in the lid 120 for the inpu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ode assembly 1 is housed in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opened portion in a state that the cover 120 is not covered, and then the cover 110 is closed to cover the main body 110 can do.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 can be facilitated because the storage unit 10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typ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유닛(100)은,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에 실링 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0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130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상기 실링 부재(13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을 실링하여 밀폐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으로 전해액이 누출되면, 누출된 전해액으로 인해 전극 조립체(1)로 스며든 전해액의 양, 즉 전해액 젖음량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에서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전해액의 누설로 인해 전해액 젖음량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130 is a component for sealing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to strengthen the sealing force.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mpregna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1 due to the leaked electrolyte, that is, the electrolyte wettability, when the electrolyte leaks to the joint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cover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leakage of the electrolyte from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for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electrolyte fluid wettability is reduced due to leakag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prevented.

상기 실링 부재(130)는, 측량 유닛(200)의 형태에 적합하게 O-링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130)는, 실링력이 우수하고 전해액에 녹지 않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링 부재(130)의 형태 및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 부재(13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20)를 실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30 may have an O-ring shape or the lik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measurement unit 200. The seal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eflon which is excellent in sealing ability and does not dissolve in the electrolyte solu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130. The seal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shapes or materials capable of seal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유닛(100)은,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에 체결 부재(1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unit 100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140 at a portion where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are coupled.

상기 체결 부재(14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20)를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체결 부재(140)를 통해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 부분에서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140 is a component for fasten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to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40 tighte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from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140)는, 클램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형태의 체결 부재(140)는, 본체부(110)와 덮개부(120)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체결 부재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부재(1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부재(140)는 볼트 형태로 구현되어 볼트의 삽입으로 본체부(110)와 덮개부(120)가 상호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fastening member 140 may be implemented as a clamp. Such a clamp-type fastening member 140 can mak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more rigi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ype of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140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so that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are fastened together by inserting bolt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삽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uni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구성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덮개부(120)나 측량 유닛(200)은 도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극 조립체(1) 및 삽입 유닛(300)이 수납 유닛(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top view of the combined structure of FIG. In Figs. 3 and 4,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cover 120 or the metering unit 200 of Figs. 1 and 2 are not shown. 3,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the inserting unit 300 are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유닛(300)은, 수납 유닛(100)의 내면과 전극 조립체(1)의 외면 사이에 삽입된다. 측량 유닛(200)에 의해 계측된 전해액 공급량을 통해 전해액 젖음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납 유닛(100)으로 공급된 전해액은 전극 조립체(1) 사이, 즉 양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 또는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사이로 공급되어야 하며, 전극 조립체(1)의 외부에는 공급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와 수납 유닛(100)의 내면 사이의 빈 공간은 가급적 줄이는 것이 좋다. 상기 수납 유닛(100)은, 이처럼 수납 유닛(100)의 내면과 전극 조립체(1)의 외면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 이러한 공간으로 전해액이 공급되는 것을 막거나 줄일 수 있다.3 and 4, the insertion unit 30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In order to estimate the electrolyte wettability through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00,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00 must be suppli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1, that is, between the positive plate and the separator or between the negative plate and the separator , And is not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void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00 as much as possible. The accommodating unit 100 can fill the voi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or reducing the suppl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space.

특히, 상기 삽입 유닛(300)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전극 조립체(1)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여러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전극 조립체(1)에 대해서도 젖음성 측정의 정확도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차 전지에 대한 젖음성이 측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ser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so as to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to suit the electrode assembly 1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of wettability can be ensured even for electrode assemblies 1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wettability of various secondary batteries can be measured.

한편,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삽입 유닛(300)이 수납 유닛(100)과 전극 조립체(1)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할 뿐, 둘 이상의 삽입 유닛(300)이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삽입 유닛(300)이 전극 조립체(1)의 4개의 측면 외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3 and 4, one insertion unit 300 is illustrated as being inserted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300) may be inserted. For example, the four insertion units 300 may be configured to be respectively inserted outside the four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삽입 유닛(300)이 전극 조립체(1)의 측면에만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 유닛(300)은 전극 조립체(1)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3 and 4, the insertion unit 300 is shown as being inserted on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but the insertion unit 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극 조립체(1)와 수납 유닛(100) 사이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삽입 유닛(300)을 이용하는 구성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전극 조립체(1)와 수납 유닛(100) 사이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수납 유닛(100)이 내부 공간의 크기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유닛(100)은,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극 조립체(1)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a configuration using the insertion unit 300 is described to reduce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the storage unit 100 in the above embodiment, In order to reduce the space, the accommodat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 or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sizes and shap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Still preferably,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timer unit.

상기 타이머 유닛은,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 유닛은, 측량 유닛(200)에 의해 수납 유닛(100)으로 전해액이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전해액 공급이 중단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e timer unit measures time. For example, the timer unit can measure the time from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00 by the measurement unit 200 to when the suppl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stopped.

상기 타이머 유닛은, 시간 측정에 대한 개시 시점이나 중단 시점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 유닛은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눌려지면 시간 측정이 개시되고 다시 스위치가 눌려지면 시간 측정이 중단될 수 있다.The timer unit may be activated by the user at a start time or an end time point of time measurement. For example, the timer unit may include a switch so that when the switch is depressed by the user, the time measurement is started and the time measurement can be stopped if the switch is pressed again.

또는 상기 타이머 유닛은, 시간 측정에 대한 개시 시점이나 중단 시점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량 유닛(200)에 하단 개폐 부재가 구비된 경우, 상기 타이머 유닛은 하단 개폐 부재가 개방된 시점을 시간 측정에 대한 개시 시점으로 보고 시간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유닛은 측량 유닛(200)에서 더 이상 전해액 공급량이 변화되지 않는 시점을 시간 측정에 대한 종료 시점으로 보고 시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imer unit can determine the start time or the stop time point for the time measurement by itself. For example, when the lower unit is provided in the measurement unit 200, the timer unit can start the time measurement by reporting the time when the lower openable and closable member is opened to the start time for the time measurement. Further, the timer unit can terminate the time measurement by report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no longer changes in the measurement unit 200 as the end time point for the time measurement.

또한 상기 타이머 유닛은, 이와 같이 측정된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측량 유닛(200)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유닛이 전해액 공급에 대한 시작 시점부터 중단 시점까지의 시간(전해액 공급 시간)이 30시간으로 측정한 경우, 이러한 시간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측정된 30시간이 전해액 젖음이 완료되기에 필요한 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timer unit may also provide the measured time information to a user or provide it 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measurement unit 200. For example, when the timer unit measures the time (electrolyte supply time) from the start time to the stop time for the electrolyte supply to 30 hours, this ti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n, the user can predict the 30 hours measured in this way as the time necessary for completing the electrolyte wetting.

또한, 사용자는 이와 같이 타이머 유닛에 의해 측정된 시간 정보와 측량 유닛(200)에 의해 측정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전해액의 젖음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 유닛에 의해 측정된 전해액 공급 시간이 30시간(hr)으로 측정되고 측량 유닛(200)에 의해 계측된 전해액 공급량이 30ml인 경우, 전해액 젖음 속도는 1 ml/hr로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alculate the wetting speed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using the ti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mer unit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00 in this manner. For example, when the electrolyte supply time measured by the timer unit is 30 hours (hr) and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00 is 30 ml, the electrolyte wetting speed can be estimated at 1 ml / hr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젖음성 측정 장치는, 속도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peed calculation unit.

상기 속도 계산 유닛은, 전해액 젖음 속도, 즉 시간당 전극 조립체(1)로 젖어드는 전해액 양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속도 계산 유닛은, 측량 유닛(200)에 의한 공급량 계측 정보와 타이머 유닛에 의한 시간 측정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량 유닛(200)이 전해액 공급량을 30ml로 계측하고 타이머 유닛이 전해액 공급시간을 30시간으로 측정한 경우, 이와 같은 정보들은 각각 측량 유닛(200) 및 타이머 유닛으로부터 속도 계산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속도 계산 유닛은 이와 같이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해액 젖음 속도를 1 ml/hr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해액의 평균 젖음 속도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측량 유닛(200)에 의한 계측 정보와 타이머 유닛에 의한 측정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고 계산할 필요가 없게 된다.
The speed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electrolyte wetting speed, that is, the amount of electrolytic solution wetted by the electrode assembly 1 per hour. To this end, the speed calculation unit can use the supply amount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timer unit. 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unit 200 measures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t 30 ml and the timer unit measures the electrolyte supply time at 30 hours, su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timer unit to the speed calculation unit, respectively . Then, based on the information thus transmitted, the speed calculating unit can calculate the electrolyte wetting speed at 1 ml / h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verage wetting speed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can be calculat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the user does not have to check and calculat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timer un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전극 조립체
100: 수납 유닛
101: 유입구
110: 본체부
120: 덮개부
130: 실링 부재
140: 체결 부재
200: 측량 유닛
210: 상단 개폐 부재
300: 삽입 유닛
1: electrode assembly
100: storage unit
101: inlet
110:
120:
130: sealing member
140: fastening member
200: Measurement unit
210: upper opening / closing member
300: insertion unit

Claims (14)

전해액에 의한 이차 전지의 젖음성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전극 조립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수납 유닛; 및
상기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전해액을 수용하고 상기 수납 유닛으로 전해액을 공급하며, 상기 수용된 전해액 중 감소한 전해액을 측량하여 상기 수납 유닛으로 공급된 전해액의 양을 계측하는 측량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tt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by an electrolytic solution,
A housing unit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housed and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flow at least is formed;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inlet side to receive an electrolyte solution and supply th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housing unit, measure a reduced electrolyte solution in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measur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to the housing unit,
Wherein the wett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유닛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전해액이 유입되어 수용되고, 수용된 전해액이 하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 유닛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unit has an opening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lytic solution flows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ng unit through the lower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유닛은, 상기 하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하단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lower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 closing the lower ope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유닛은, 상기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단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ing unit has a top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 closing the top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유닛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un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sca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단이 개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unit has a main body portion with an open top and a lid portion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seal the main body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의 결합 부분에 O-링 형태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ccommodating unit has an O-ring-shaped sealing member at an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li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lid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클램프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implemented as a cl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의 내면과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unit insert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내부 공간의 크기 변화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un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of the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imer unit for measuring a ti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유닛에 의한 공급량 계측 정보와 상기 타이머 유닛에 의한 시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해액 젖음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음성 측정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peed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the electrolyte wetting speed using the supply amount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timer unit.
KR1020130119775A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KR101750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775A KR101750328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775A KR101750328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355A KR20150041355A (en) 2015-04-16
KR101750328B1 true KR101750328B1 (en) 2017-06-23

Family

ID=5303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775A KR101750328B1 (en) 2013-10-08 2013-10-08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3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46A1 (en) * 2016-03-30 2017-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EP3361548B1 (en) * 2016-03-30 2020-07-29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330A (en) * 1999-09-24 2001-04-06 Kurita Water Ind Ltd Measuring pipe for measuring injection quantity of liquid
JP2011171159A (en) * 2010-02-19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Electrolyte solution in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330A (en) * 1999-09-24 2001-04-06 Kurita Water Ind Ltd Measuring pipe for measuring injection quantity of liquid
JP2011171159A (en) * 2010-02-19 2011-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Electrolyte solution inj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355A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1765B2 (en) Battery cell refillable with electrolyte, battery pack, electrolyte refilling system for battery pack, and electrolyte refilling method for battery pack
WO2021077565A1 (en) Lithium-ion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utomobile
KR101253671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327777B1 (en) Battery Module
KR101004400B1 (en) Internal pressure Measuring Appliance for Secondary Battery
US10211447B2 (en) Battery including gas discharging member and electrolyte injection member
US8752573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ith filling func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filling device used therefor
KR101508400B1 (en) Secondary Battery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olyte
KR20060113815A (en) Secondary battery
KR101192083B1 (en) Rechargeable Battery
JP5371826B2 (en)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CN214254576U (en) End cover assembly, battery monomer,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KR101930086B1 (en) Method of Manufactoring Secondary Battery
WO2021098760A1 (en)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utomobile
KR20160045468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EP4277013A1 (en)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 device
KR101750328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etting of secondary battery
JP5636330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539788B1 (en) Battery case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CN207977380U (en) Pure electric vehicle passenger car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EP4290660A1 (en)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KR20170041967A (en) Battery Cell Having Elastic Members
WO2012140716A1 (en) Electrolyte introduction device
KR20140049737A (en) Wrapp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KR20210155240A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