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174B1 -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174B1
KR101750174B1 KR1020150146855A KR20150146855A KR101750174B1 KR 101750174 B1 KR101750174 B1 KR 101750174B1 KR 1020150146855 A KR1020150146855 A KR 1020150146855A KR 20150146855 A KR20150146855 A KR 20150146855A KR 101750174 B1 KR101750174 B1 KR 10175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housing
particulate matter
fil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6866A (en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우창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174B1/en
Publication of KR2017004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반복되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 전극을 멀티화하여 장치의 크기 대비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repeatedly formed,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000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 기체와 먼지와 같은 입자상 물질을 정화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purifier for purifying particulate matter such as harmful gas and dust introduced from inside or outside of a vehicle.

최근, 각종 오염 물질로 인해 대기 환경이 극심하게 악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있어서도 배기 기체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ir pollution has severely worsened the air environment. Even in vehicles running on roads, pollutants such as exhaust gases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thereby posing a threat to the health of drivers and passengers.

이에 따라, 차량의 실내 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거의 모든 차량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Accordingly,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in a more comfortable state is essentially installed in almost every vehicle.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캐빈필터 주위, 운적석의 컵 홀더 주위, 트렁크 주위에 설치되는데, 컵 홀더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에 비해 캐빈필터 주위 또는 트렁크 주위에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는 상대적으로 처리용량이 큰 공기정화장치가 사용된다. The air purifier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abin filter, around the cup holder and around the trunk. The air purifier formed around the cabin filter or around the trunk, as compared with the air purifier formed around the cup holder, This large air cleaning device is used.

일반적으로 처리용량이 커지면 공기정화장치의 크기도 커지는데, 한정된 차량 공간 내에서 작은 크기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Generally, the larger the processing capacity, the larger the size of the air purifier.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to a small size within a limited vehicle space.

등록특허 10-530973호Patent No. 10-53097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을 멀티화하여 장치의 크기 대비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the capability of purifying the size of an apparatus by multi-dimensioning the electrodes.

또한, 하전부를 차량의 공조 덕트 중간에 형성하여 하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the size of the apparatus by reducing the charging efficiency by forming the charging unit in the middle of the air duct of the vehic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자상 물질 및 유해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정화된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하전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제 1 전극과 복수의 제 2 전극이 상기 하전된 입자상 물질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집진극;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해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gas are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purified gas flows; A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generate ions for charging the particulate matter; A dust collecting electrod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repeat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filtering the harmful ga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공조 덕트 중간에 형성되며,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하전부; 상기 하전된 입자상 물질 및 유해 기체가 상기 공조 덕트를 거쳐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정화된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제 1 전극과 복수의 제 2 전극이 상기 하전된 입자상 물질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집진극;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해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charging unit that is disposed in the air duct of a vehicle and generates ions for charging particulate matter; An inlet through which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gas are introduc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urified gas flows out; A dust collecting electrod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repeat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filtering the harmful gas.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 각각은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preferably plate-shap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은 각각 연결부에 수직으로 분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formed to be vertically bran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여기서, 상기 필터,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은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Here, the filter,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removable from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 섬유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lter is preferably an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여기서, 상기 필터는 내부에 상기 집진극을 수용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is formed in the filter to receiv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rein.

여기서, 상기 하전부는 극세사 방전부와 접지극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harge unit may include a micro-discharge unit and an earth electro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입자성 물질과 유해 기체를 동시에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ticulate matter and the harmful gas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or from outside the vehicle can be purified simultaneously.

또한, 집진극을 구성하는 전극을 멀티화하여 장치 크기 대비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electrode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multiplexed to improve the purification ability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apparatus.

또한, 하전부를 차량의 공조 덕트 중간에 형성하여 하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크기를 더욱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part can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ir duct of the vehicle to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and reduce the size of the device more compactly.

또한, 집진극에 의해 입자상 물질들이 제거되므로 필터의 수명이 늘어난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rticulate matter is removed by the dust collecting pole, the life of the filter is also increased.

또한, 집진극을 구성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각각 탈부착할 수 있어서 세정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can be reused for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f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ccording to an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하우징(100), 하전부(200), 집진극(300) 및 필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a load unit 200, a dust collector 300, and a filter 400.

하우징(10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역할을 하고, 내부에 하전부(200), 집진극(300) 및 필터(400)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따라서,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원통형상의 하우징(100)을 도시하고 있다. The housing 100 serves as a main frame of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charging unit 200,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and the filter 400. Thus, it may be cylindrical in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For example, it may be cylindrical or rectangular. FIG. 2 shows a cylindrical housing 100.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단인 유입구(110)를 통해서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입자상 물질 및 유해 기체가 유입되고, 후술할 하전부(200), 집진극(300) 및 필터(400)를 거쳐 정화된 기체가 하우징(100)의 개방된 타단 또는 타단부에 형성된 유출구(120)를 통해 유출될 수가 있다.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gas introduced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opened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and the charge unit 200, the dust collector 300, and the filter 400 The purified ga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formed at the other end or the open end of the housing 100.

이때, 유입구(110) 부근에 팬(미도시)을 설치하여 입자상 물질 및 유해 기체를 포함하는 물질이 원활하게 하우징(100)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유출구(120) 부근에 팬(500)을 설치하여 정화된 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a fan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110 to allow the material including the particulate matter and the harmful gas to smoothly flow into the housing 100, The fan 500 can be installed to smoothly discharge the purified gas to the outside.

하전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입자상 물질과 유해 기체 중에서 입자상 물질이 극성을 가지도록 하전시킨다. 유동 방향에 따라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집진극(300)을 향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The charging unit 200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harges the particulate matter flowing from the inlet port of the housing 100 and the harmful gas into polarity.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moves along the flow direction towar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하전부(200)는 극세사 방전부(210) 및 접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극세사 방전부(210)는 양(+) 이온 및/또는 음(-) 이온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이온들에 의해 하전부(200)를 지나가는 입자상 물질들은 양(+) 전하 또는 음(-) 전하로 하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극세사 방전부(210)가 양(+)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음(-) 이온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양(+) 이온과 음(-) 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harging unit 200 may include a microdischarge discharging unit 210 and a grounding unit 220. The microdischarge discharging unit 210 generates positive and / or negative ions, The particulate matter passing through the charge unit 200 by these ions can be charged with positive (+) charge or negative (-) charge. In FIG. 1, the micro-discharge unit 210 generates positive (+) ions, which can generate negative ions and simultaneously generate positive and negative 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can be constituted.

극세사 방전부(210)는 탄소 섬유 또는 써스(SUS) 재질로 이루어진 극세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고농도의 이온이 발생할 수 있고 오존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microfiber discharge unit 210 may be formed of a microfiber made of carbon fiber or SUS. The microfluidic discharge unit 210 has a merit that high concentration of ions can be generated and ozone is not generated.

집진극(30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양(+) 양 또는 음(-) 전하로 하전된 입자상 물질을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전극(310, 320)으로 유도하여 집진시킨다. 예를 들면, 극세사 방전부(210)를 통해 양(+) 전하로 대전된 입자상 물질은 음(-)의 전극으로 유도하고, 음(-) 전하로 대전된 입자상 물질은 양(+)의 전극으로 유도하여 집진시킬 수가 있다.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generates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so that the particulate matter charged with a positive or negative charge And is then led to electrodes 310 and 320 having polarity and collected. For example, the particulate matter charged with the positive charge is induc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hrough the micro-discharge unit 210, and the particulate matter charged with the negative charge is induced to the positive electrode So that dust can be collected.

본 발명에서 집진극(3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제 1 전극(310)과 복수의 제 2 전극(320)이 하전된 입자상 물질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20)은 서로 다른 극성을 띄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제 1 전극이 양(+)의 극성을 가진다면 제 2 전극은 음(-)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1,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31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320 are formed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300 are repeatedly arranged in parallel with a traveling path of charged particulate matter There is a number. Here,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have different polarities. For example, if the first electrode has a positive polarity, the second electrode has a negative polarity. do.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제 1 전극(310)과 제 2 전극(320)을 서로 반복되도록 멀티화하여 집진 면적을 넓힐 수 있어서 더 많은 양의 하전된 입자상 물질을 집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극성이 다른 두 전극(310, 320) 사이의 전기력은 전압에 비례하고 두 전극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는데, 두 전극(310, 320) 사이에 일정 전위차가 가해졌을 때, 본 발명에서는 두 전극(310, 32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어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can be multiplexed so as to be repeatedly arranged, thereby widening the dust collecting area, thereby collecting a larger amount of charged particulate matter. The electric for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310 and 3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s proportional to the voltage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When a certain potential difference is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310 and 320, (310, 320) can be narrow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3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전극(310)과 복수의 제 2 전극(320)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제 1 전극(310)을 구성하는 각 전극의 모양은 판 형상이고 각 전극은 연결부(312)에 수직으로 분기되도록 하여 복수의 제 1 전극(310)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복수의 제 2 전극(320)도 제 1 전극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고, 이때 연결부(312, 322)로부터 분기된 각 전극(310, 320)이 서로 교차되도록 도 3과 같이 배치하면 공간상에 멀티화된 전극(310, 320)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전극의 교체 또는 세정을 위해 개별 전극을 각각 탈부착할 필요가 없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전극(310, 320)을 한번에 탈부착시킬 수가 있다. FIG. 3 show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31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320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Each of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31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each electrode is vertically bran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12 to form a plurality of the first electrodes 310 integrally.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3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electrode. In this case, if the electrodes 310 and 320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s 312 and 322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So that the electrodes 310 and 320 can be formed.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attach and detach individual electrodes for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electrodes 310 and 320 can be detachably attached at a time.

필터(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유해 기체를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탄 섬유 필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입자상 물질은 집진극(300)을 통해 집집되고, 유해 기체는 활성탄 섬유 필터에 흡수됨으로써 활성탄 섬유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정화된 기체가 하우징(100)의 유출구(120)를 통해서 유출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집진극(300)에 입자성 물질을 집진시킬 수가 있어서 필터(400)의 교체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The filter 400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filters the harmful g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rticulate matte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is collected throug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and the harmful gas is absorbed by the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so that the finally purified gas passes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100 ). ≪ / RTI >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te matter can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so that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filter 400 can be prolonged.

필터(400)는 내부에 집진극(300)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가 있는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전부(200)를 향하는 면에는 입자성 물질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반대쪽 일면은 폐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터(4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교체가 가능하다.The filt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for receiv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therein. As shown in FIG. 1, the particulate material may pass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lter 400 facing the charging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4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be replaceable.

지금부터는 상술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for a vehicl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입자성 물질 및 유해 기체는 하우징(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The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gas introduced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housing 100.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입자성 물질은 하전부(200)를 통과하며 하전부(200)에서 방출되는 이온에 의해 양(+)의 전하 또는 음(-)의 전하로 하전될 수 있다. The particulate mat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let 110 passes through the charge unit 200 and is positively charged or negatively charged by the ions emitted from the charge unit 200. [ . ≪ / RTI >

유해 기체와 하전된 입자성 물질은 집진극(300)을 통과하게 되는데, 유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전극(310, 320)에 의해 반대의 극성을 띄는 전극(310, 320)으로 하전된 입자성 물질은 유도되어 집진시킬 수가 있다. The harmful gas and charged particulate matter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and are charged by electrodes 310 and 320 having opposite polarities by a plurality of electrodes 310 and 32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Particulate matter can be induced and collected.

마지막으로, 유해 기체는 집진극(300)을 둘러싸는 필터(400)의 벽면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수되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정화된 기체가 하우징(100)의 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가 있다. Finally, the harmful gas is absorbed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filter 400 surround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so that the finally purified gas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0 of the housing 100 There is a numb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본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focu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전부(200)는 차량의 공조 덕트(600)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하전부(200)의 구성과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덕트(600)의 경로를 따라 입자성 물질과 유해 기체가 이동할 때, 하전부(200)를 지나면서 입자성 물질은 양(+)의 전하 또는 (-)의 전하로 하전될 수 있다. 하전된 입자성 물질과 유해 기체는 덕트(600)를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며 덕트(600)의 경로 끝단에 형성되는 하우징(100), 집진극(300), 및 필터(400)로 구성되는 장치에 의해 정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집진극(300) 및 필터(400)로 이루어지는 덕트(600) 끝단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하전부(200)의 구성만 빠지고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다. 4, the load part 200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600 of the vehicl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2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when the particulate matter and the harmful gas move along the path of the duct 600, the particulate matter can be charged with a positive charge or a negative charge through the charge unit 200.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the harmful gas move along the duct 600 and are collected in the apparatus composed of the housing 100, the dust collector 300 and the filter 400 formed at the end of the path of the duct 600 A pur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structure of the end of the duct 600 including the housing 100,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0 and the filter 40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unit 20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unit 200 in the above embodiment .

본 실시예에서는 하전부(200)가 차량용 공조 덕트(600) 중간에 형성되기 때문에 하전부(200)로부터 덕트(600) 끝단으로 이동하는 사이 이온에 의해 입자성 물질이 하전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덕트(600) 끝단에 형성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정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전부(200)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Since the charging unit 20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6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me for charging the particulate matter by the ions moving from the charging unit 200 to the end of the duct 600 may be long Therefore,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apparatus including the housing 100 formed at the end of the duct 600 and performing the purifying operation can be constructed more compactly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unit 200 can be omitted as compared with the above- hav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하우징 110: 유입구
120: 유출구 200: 하전부
210: 극세사 방전부 220: 접지부
300: 집진극 310: 제 1 전극
320: 제 2 전극 400: 필터
500: 팬 600: 덕트
100: housing 110: inlet
120: Outlet 200:
210: microfiber discharge unit 220: ground unit
300: dust collecting electrode 310: first electrode
320: second electrode 400: filter
500: fan 600: duct

Claims (8)

삭제delete 차량의 공조 덕트 중간에 형성되며,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하전부;
상기 하전된 입자상 물질 및 유해 기체가 상기 공조 덕트를 거쳐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정화된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덕트의 단부에 상기 하전부와 분리되어 차량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제 1 전극과 복수의 제 2 전극이 상기 하전된 입자상 물질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집진극;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해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전부에서 발생한 이온은 상기 공조 덕트를 따라 상기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하전 시간을 확보하며 상기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은 각각 판 형상의 연결부에 수직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판 형상의 전극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 및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은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A charging unit which is formed in the air duct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ions for charging the particulate matter;
A housing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harmful gas are introduc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urified gas flows out and separated from the charging unit at an end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A dust collecting electro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repeat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raveling path of the charged particulate matter; And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filtering the harmful gas,
Ions generated in the charging unit secure a charging time while moving to the housing along the air conditioning duct, charge the particulate matter,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plate-shaped electrodes that are vertically branched to a plate-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integrally form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tegrally formed ar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 섬유 필터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is an activated carbon fiber fil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내부에 상기 집진극을 수용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has a hollow inside to accommodate the dust collecting p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는 극세사 방전부와 접지극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rging unit includes a micro discharge unit and an earth electrode.
KR1020150146855A 2015-10-21 2015-10-2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KR101750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55A KR101750174B1 (en) 2015-10-21 2015-10-2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55A KR101750174B1 (en) 2015-10-21 2015-10-2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66A KR20170046866A (en) 2017-05-04
KR101750174B1 true KR101750174B1 (en) 2017-06-23

Family

ID=5874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55A KR101750174B1 (en) 2015-10-21 2015-10-21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17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336A (en) * 1999-06-28 2001-01-16 Denso Corp Air cleaner
KR100505276B1 (en)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Cleaner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336A (en) * 1999-06-28 2001-01-16 Denso Corp Air cleaner
KR100505276B1 (en)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Cleaner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66A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96B1 (en) Vehicl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ducing harmful Gas and particles
KR100749772B1 (en) Air purifier
KR10206597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yclone structure
JP4687595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8608838B2 (en) Tubing air purification system
US8268058B2 (en) High-performance labyrinth type air treatment apparatus
CN102600974A (en) Pipe type air purifying system
WO2013065908A1 (en) Induction voltage electrical precipitator having honeycomb electric charge part
KR10183360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666460B1 (en) Microscopic dust filtering apparatus for vehicle
PH12014000396B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KR20170051893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20160101407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CN106999948B (en) Method, filter module and air cleaning device
KR102219778B1 (en) Self-clean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using thereof
KR20180026127A (en) Window type air purifier using hair filter
KR101750174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KR20160101408A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1166688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exhaust gas
KR101697042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of vehicle
KR101342101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489622B1 (en) Cyclone dust collector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was adopted
KR101648117B1 (en) Composite dust collector
KR20210004118A (en) Portable air cleaner
KR20160089101A (en) Dual channel electric precip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