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77B1 -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77B1
KR101749677B1 KR1020150105643A KR20150105643A KR101749677B1 KR 101749677 B1 KR101749677 B1 KR 101749677B1 KR 1020150105643 A KR1020150105643 A KR 1020150105643A KR 20150105643 A KR20150105643 A KR 20150105643A KR 101749677 B1 KR101749677 B1 KR 10174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ccess
signal
access point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951A (ko
Inventor
김춘규
류구현
우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0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07
    • G07C9/00103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출입 판단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USER DEVICE, SERVER,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GATE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출입관리시스템이란, 기존의 출입허가 수단이었던 열쇠, 비밀번호 등을 바이오 정보인 지문 또는 RF 카드(card) 방식으로 대체하여 시스템 상의 편의성 및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킨 시스템을 말한다. 사용자가 지문 또는 RFID 카드 방식의 출입수단을 통해 출입을 하면, 서버는 사용자 인증 및 출입 기록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웹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활용 및 변화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출입관리시스템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77552호에는 RFID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RFID 카드를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RFID 카드를 분실한 경우, 보안에 매우 취약해 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와 같은 공간에 산업스파이가 존재하는 경우, 매우 중요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을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의 실외 및 실내의 진출입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접근 시, 보안성 있는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진출입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서버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동선을 기반으로 진출입을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없이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동선만으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안전한 시스템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출입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출입 판단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하고,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실외 및 실내의 진출입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접근 시, 보안성 있는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진출입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서버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동선을 기반으로 진출입을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없이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동선만으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안전한 시스템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 사용자 단말(120) 및 출입 판단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 사용자 단말(120) 및 출입 판단 서버(130)는 출입 관리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출입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 및 출입 판단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저전력 블루투스 송출장비를 통해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Wi-Fi 장비를 통해 Wi-Fi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진출입을 판단하기 위해 출입구의 부근 및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111) 및 실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112)는 수신 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도록 일정 거리를 확보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는 개인 단말에 부착된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상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과의 접근이 용이한 장소라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경로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구를 통해 진입함에 따라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구를 통해 퇴출함에 따라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개인 단말에 접근함에 따라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실내에 진입함에 따라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하여 인(In)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인(In)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사내 인트라넷 접근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에 대한 수행이 허용되거나, 또는, 비업무에 해당하는 외부 일정 사이트 제한 또는 카메라 앱의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20)이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아웃(Out)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아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사내 인트라넷 접근 제한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의 수행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이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더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제 1 신호, 제 2 신호, 제 4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20)이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개인 단말 근처를 지나갈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의사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120)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고,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컴퓨팅 장치가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2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5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를 인(In) 또는 아웃(Out)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내 인트라넷 접근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에 대한 수행을 허용하거나, 또는, 비업무에 해당하는 외부 일정 사이트 제한 또는 카메라 앱의 실행을 제한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아웃(Out)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아웃으로 판단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내 인트라넷 접근 제한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판단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판단 서버(130)가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부(210) 및 전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경로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220)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에서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전송부(220)는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인(In)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인(In)으로 판단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사내 인트라넷 접근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에 대한 수행이 허용되거나, 또는, 비업무에 해당하는 외부 일정 사이트 제한 또는 카메라 앱의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210)에서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전송부(220)는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아웃(Out)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아웃으로 판단된 경우, 사내 인트라넷 접근 제한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의 수행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에서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송부(220)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10)에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210)에서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더 수신한 경우, 전송부(220)는 제 1 신호, 제 2 신호, 제 4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수신부(310), 출입 여부 판단부(320). 사용 가능 판단부(330) 및 접근 통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출입 여부 판단부(32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인(In) 또는 아웃(Out)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여부 판단부(32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입 여부 판단부(32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아웃(Out)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 가능 판단부(3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사용 가능 판단부(3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경우, 사용 가능 판단부(330)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 가능 판단부(330)는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이 허용된다는 것은 개인 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즉시 실행시킬 수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화면을 실행시키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을 분실한 경우, 이를 습득한 자가 개인 단말까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원 발명이 이용될 수 있다.
접근 통제부(340)는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을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여부 판단부(320)가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한경우, 접근 통제부(340)는 사내 인트라넷 접근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에 대한 수행을 허용하거나, 또는, 비업무에 해당하는 외부 일정 사이트 제한 또는 카메라 앱의 실행을 제한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입 여부 판단부(320)가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아웃으로 판단한 경우, 접근 통제부(340)는 사내 인트라넷 접근 제한과 같이 사용자 단말(120)의 일부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수행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에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판단 서버(130)에 의해 수행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을 아웃(Out)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네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500)는 사용자(500)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에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500)가 제 1 출입구를 통해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제 1 출입구의 실외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511)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출입구의 실내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512)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이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500)가 제 1 출입구를 통해 들어왔음을 판단할 수 있다.
실내로 진입한 사용자(500)가 본인의 사무실로 이동하여 본인의 책상에 위치한 노트북에 접근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본인의 사무실에 설치된 제 6 액세스 포인트(513)로부터 제 6 신호를 수신하고, 본인의 노트북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514)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이 제 6 신호 및 제 3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500)가 노트북에 접근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500)가 본인의 책상에 위치한 노트북에 접근한 경우, 출입 판단 서버(130)은 사용자(500)가 노트북에 인가된 사용자로 간주하여 별도의 보안 수단(예를 들어, 비밀번호 입력) 없이 해당 노트북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500)가 노트북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잠시 자리를 비워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출입 관리 서비스 앱이 노트북으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 제 3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500)가 노트북이 위치한 곳으로부터 벗어났음을 판단하여 출입 판단 서버(130)로 노트북 잠금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잠금 신호에 기초하여 노트북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500)가 노트북이 위치한 곳에서 벗어나, 제 2 출입구를 통해 진출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제 2 출입구의 실내 부근에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515)로부터 제 4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출입구의 실외 부근에 설치된 제 5 액세스 포인트(516)로부터 제 5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가 제 4 신호 및 제 5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면, 출입 판단 서버(130)는 사용자(500)가 제 2 출입구를 벗어났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앱에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수신한 복수의 신호를 기록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s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500)가 제 1 출입구를 진입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앱은 제 1 액세스 포인트(511)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512)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500)가 제 1 출입구를 통해 실내에 진입하였음(520)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500)가 본인의 책상에 위치한 노트북에 접근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앱은 제 1 액세스 포인트(511), 제 2 액세스 포인트(512), 제 6 액세스 포인트(513) 및 제 3 액세스 포인트(514)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신호, 제 2 신호, 제 6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500)가 노트북에 접근하였음(530)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500)가 본인의 책상에 위치한 노트북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앱은 노트북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514)로부터 수신한 제 3 신호를 삭제하여,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6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500)가 노트북으로부터 이석하였음(540)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500)가 제 2 출입구를 통해 실내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앱은 제 6 액세스 포인트(513)로부터 수신한 제 6 신호를 삭제하고, 제 4 액세스 포인트(515) 및 제 5 액세스 포인트(516)로부터 수신한 제 4 신호 및 제 5 신호를 추가로 기록하고, 사용자(500)가 제 2 출입구를 통해 밖으로 나갔음(550)을 기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이 인(In)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이 통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이 아웃(Out)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의 출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이 통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신호, 제 2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상 제 3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신호, 제 2 신호, 제 4 신호 및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입 판단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출입 판단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출입 판단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111: 출입구 부근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
112: 실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
120: 사용자 단말
130: 출입 판단 서버
210: 수신부
220: 전송부
310: 수신부
320: 출입 여부 판단부
330: 사용 가능 판단부
340: 접근 통제부

Claims (19)

  1. 출입 판단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되,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되고,
    상기 개인 단말에 부착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된 개인 단말에서는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화면이 실행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이 인(In)으로 판단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이 인(In)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이 허용 또는 제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이 아웃(Out)으로 판단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이 아웃(Out)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실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4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신호, 상기 제 2 신호, 상기 제 4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삭제
  10.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출입 판단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출입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 가능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가능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개인 단말에 부착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된 개인 단말에서는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화면이 실행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출입 여부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을 인(In)으로 판단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및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출입 여부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을 아웃(Out)으로 판단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 가능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신호, 상기 출입구의 부근에 설치된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제 2 신호, 댁내 설치된 제 4 액세스 포인트의 제 4 신호 및 상기 개인 단말에 부착된 제 3 액세스 포인트의 제 3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 가능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수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 접근 통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출입 판단 서버.
  18. 출입 판단 서버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고,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신호에 대한 전송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가 더 판단되고,
    상기 개인 단말에 부착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출입 판단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개인 단말에 대한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이 허용됨으로 판단된 개인 단말에서는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nt 있는 인증화면이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삭제
KR1020150105643A 2015-07-27 2015-07-27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43A KR101749677B1 (ko) 2015-07-27 2015-07-27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43A KR101749677B1 (ko) 2015-07-27 2015-07-27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51A KR20170012951A (ko) 2017-02-06
KR101749677B1 true KR101749677B1 (ko) 2017-06-21

Family

ID=5810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43A KR101749677B1 (ko) 2015-07-27 2015-07-27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63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386733B2 (en) 2017-09-05 2022-07-12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84B1 (ko) * 2018-01-11 2019-10-01 이성균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233A (ja) * 2012-03-27 2013-10-07 Zenrin Datacom Co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方法、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9520B1 (ko) * 2011-12-08 2013-11-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무선 인증을 통한 스마트기기의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방법
JP5392845B2 (ja) * 2007-07-31 2014-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端末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探索方法
KR101491706B1 (ko) * 2014-09-15 2015-02-11 박준희 앱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2845B2 (ja) * 2007-07-31 2014-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端末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探索方法
KR101329520B1 (ko) * 2011-12-08 2013-11-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무선 인증을 통한 스마트기기의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방법
JP2013204233A (ja) * 2012-03-27 2013-10-07 Zenrin Datacom Co Ltd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方法、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91706B1 (ko) * 2014-09-15 2015-02-11 박준희 앱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63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386733B2 (en) 2017-09-05 2022-07-12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3187B1 (ko) * 2017-09-05 2022-12-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651638B2 (en) 2017-09-05 2023-05-16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51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765B2 (en) Personal device network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CN107005442B (zh) 用于远程接入的方法和装置
US9767630B1 (en) Multi-network entry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9549329B2 (en) Remotely configurable mobil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US10028139B2 (en) Leveraging mobile devices to enforce restricted area security
US9148823B2 (en) Ensuring quality of service for privat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KR102185365B1 (ko) 동일한 네트워크 상의 복수개의 ap 장치 중 하나의 ap 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0654B1 (ko)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47233A1 (en) Data management with a networked mobile device
US20190147674A1 (en) Digital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954763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redential including multiple access privileges
KR20160047500A (ko) 출입문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소유자의 액세스 포인트
US9426120B1 (en) Location and time based mobile app policies
CN104255064B (zh) 将接入信息从实体接入控制系统发送到用户终端
US8902839B2 (en) Service/mobility domain with handover for privat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US969965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henticating and controlling access over customer data
KR101491706B1 (ko) 앱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US9756173B2 (en) Leveraging mobile devices to enforce restricted area security
US20200008257A1 (en) Dual mode transmission in a controlled environment
KR101402109B1 (ko) 사설망 접근 관리 장치 및 방법
US9749864B2 (en) Controlling mobile device access with a paired device
US20160277448A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for communication terminals,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1749677B1 (ko)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출입 판단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7786486A (zh) 操作系统的激活方法及装置
CN107396361B (zh) 一种用于对用户设备进行无线连接预授权的方法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