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30B1 -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30B1
KR101749630B1 KR1020160135927A KR20160135927A KR101749630B1 KR 101749630 B1 KR101749630 B1 KR 101749630B1 KR 1020160135927 A KR1020160135927 A KR 1020160135927A KR 20160135927 A KR20160135927 A KR 20160135927A KR 101749630 B1 KR101749630 B1 KR 101749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mmissioning
unit
display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은 전체 공사 완료 이전 단계에서 시운전 단위별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Hand Over 시기를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Construction Completion and Commission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공사 완료 이전 단계에서 시운전 단위별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Hand Over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컴퓨터로 구현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화학공장의 공사는 공사 구간을 4~10개 정도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하고, 시운전(Precommissioning 및 Commissioning)은 10~20개 정도의 시운전 단위와 50~60개 정도의 시운전 부단위로 구분하여 수행한 후 시운전 단위/시운전 부단위로 사업주에게 인도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체 공사 구간에 대하여 구역별로 동시 다발적으로 공사를 수행하여 전체 공사를 완료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시운전 단위가 2개 이상의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 구역간 경계 부분에서 시운전 단위별 업무수행에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체 공사가 완료된 후에서야 시운전 단위별 시운전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공사 개시후 사업주에게 인도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전체 공사 완료 이전 단계에서 시운전 단위별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Hand Over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이 컴퓨터로 구현된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Hand Over 관리 단계 및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제1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들, 시운전 부단위들, 진행 단계들, 수행 부서들, 각종 공사 진척률, 각종 시운전 진척률, 테스트 항목들 및 점검 대상들을 포함하는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10);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대응 시운전 부단위들, 대응 진행 단계들, 대응 수행 부서들, 대응 테스트 항목들 및 대응 점검 대상들을 차례로 그룹핑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S30);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S40);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 중에서 후행 업무에 속하는 어느 한 테스트 항목에 대응 선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한 테스트 항목을 그룹핑하는 단계(S50);
상기 각종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60);
전체 공사 진척률이 기준치(x)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90);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 후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항목이 준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00);
상기 각 후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10); 및
상기 각종 시운전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출력된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90) 및 상기 단계(S110)에서는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읽어들임으로써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록된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60)는 각종 배관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80)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사실을 입력 또는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0)의 상기 기본 데이터는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별로 하자 발생 정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된 펀치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상기 펀치 리스트에 하자의 등급을 표시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단계(S13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해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를 포함하는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40)에서 당해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상기 펀치 리스트에서 하자의 등급을 수정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는,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정보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읽어들이고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60)는,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총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1),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2),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3),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164),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165),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변경하는 단계(S166),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변경하는 단계(S167),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시운전 진척률을 표시하는 단계(S168), 시운전 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69),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70),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고 이와 함께 테스트 항목별 예상 작업 완료일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S171), 테스트 항목별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S172), 시운전 단위별 작업 완료 여부를 표시하고 미완료 작업을 출력하는 단계(S173), 배관 관련 테스트 항목들의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S17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서버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은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Hand Over 관리 기능
1) 프로젝트 멤버의 경험과 역량이 매우 다양한데, 이에 관계없이 어떤 단계 (Construction, Precommissioning 및 Commissioning 단계)에 어느 시운전 단위 (예를 들어, Cooling Water Unit)내에 어느 수행 부서(예를 들어, 배관, 제어, 전기, 기계, 장치, 시운전 등)가 어떤 활동(즉, 테스트 항목)을 수행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체계적인 Hand Over를 수행할 수 있다.
2) Hand Over에 대한 사업주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시나리오별로 관리범위를 정립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3) 프로젝트별로 소모되는 사업, 품질,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의 맨아워(Man Hour)를 기존 대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4) Hand Over에 대한 개념 정립을 통하여 시공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Hand Over를 위하여 시운전 단위별로 펀치(Punch)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6) 사업주의 다양하고 엄격한 요구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기능
1) 사업주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시나리오별로 시운전 스케쥴을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2) 다수의 관리 시트에서 시운전 단위별 총 작업량 및 시운전 진척률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경고 신호(Alarm)가 뜨도록 함으로써 시운전 멤버뿐만 아니라 공사의 구역 기준이 아닌 시운전 단위 기준에 익숙하지 않은 공사 감독(Construction Manager) 및 공사 매니저(Construction Superintendent)가, 시운전 단위별 수행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지연되는 활동에 맨파워를 집중적으로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기한 내에 해당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Hand Over 관리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시운전 단위 스케줄 관리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운전 단위 스케줄 관리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운전 단위"는 예비 시운전(Pre-commissioning) 및/또는 시운전(Commissioning)이 이루어지는 설비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운전 부단위"는 상기 시운전 단위에 포함된 보다 세분화된 설비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진행 단계"는 공사 단계, 예비 시운전 단계 및 시운전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행 부서"는 특정 테스트 항목을 수행하는 부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사 진척률"은 전체 공사 진척률 및 개별 공사 진척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운전 진척률"은 시운전 부단위별 예비 시운전 진척률, 시운전 부단위별 시운전 진척률, 시운전 단위별 예비 시운전 진척률 및 시운전 단위별 시운전 진척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테스트 항목"은 예비 시운전 또는 시운전시에 평가되는 테스트 항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점검 대상"은 예비 시운전 또는 시운전시에 테스트되는 개개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Hand Over 관리 단계 및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Hand Over 관리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Hand Over 관리 단계는 하기 단계들을 하기 순서대로 포함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하기 순서와 다른 순서로 포함한다.
1-1. 기본 데이터 입력 단계(S10)
상기 단계(S10)는 제1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들, 시운전 부단위들, 진행 단계들, 수행 부서들, 각종 공사 진척률, 각종 시운전 진척률, 테스트 항목들 및 점검 대상들을 포함하는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예를 들어,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시운전 단위들, 상기 시운전 부단위들, 상기 테스트 항목들 및 상기 점검 대상들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에틸렌 공장의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시운전 단위들 및 이에 대응하는 시운전 부단위들의 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운전 단위 시운전 부단위
Water System Industrial Water
Fire Water
Air System Plant Air
Steam Medium Pressure Steam
High Pressure Steam
Cracking Heater Main Equipment
Process Line
Steam & Blowdown Line
Utility Line
Forced Draft Fan
Depropanizer Depropanizer
Methylacetylene-propadiene(MAPD) Converter MAPD Converter
C3 Tower C3 Tower
C3 Refrigeration Compressor C3 Refrigeration Compressor
Debutanizer Debutanizer
C4+ Treatment C4+ Treatment
상기 테스트 항목들의 예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테스트 항목
Pressure Test
Loop Test
Motor Solo Run Test
Final Alignment
Discipline Hand Over Check
Function Test
RFP Check(Ready For Pre-commissioning)
RFC Check(Ready For Commissioning)
MC(Mechanical Completion) Check
Flushing
Inertization
Preliminary Check
1-2. 시운전 단위별 그룹핑 단계(S20)
상기 단계(S20)는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대응 시운전 부단위들, 대응 진행 단계들, 대응 수행 부서들, 대응 테스트 항목들 및 대응 점검 대상들을 차례로 그룹핑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대응 시운전 부단위들, 대응 진행 단계들, 대응 수행 부서들, 대응 테스트 항목들 및 대응 점검 대상들을 차례로 그룹핑하는 예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시운전 단위 시운전 부단위 진행 단계 수행 부서 테스트 항목 점검 대상
Water System Industrial Water 공사 단계 배관 Pressure Test Piping
전기 Megger Test/ Continuity Test Cable/ Motor
제어 Continuity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Alignment Pump / Compressor
장치 Vessel Internal Installation Reactor / Tower
예비 시운전 단계 시운전 Flushing / Blowing / Chemical Cleaning / Preliminary Leak Piping / Vessel
전기 Motor Solo Run Motor
제어 Loop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Mechnical Running Test Pump / Compressor
장치 Catalyst Loading / Box-up Reactor / Tower
시운전 단계 시운전 System Drying out / Purge / Operational Leak Test Piping / Vessel
제어 Function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Mechnical Running Test Pump / Compressor
장치 Refractory Drying out / Regeration Reactor / Tower
Fire Water 공사 단계 배관 Pressure Test Pressure Test Package
전기 Megger Test / Continuity Test Cable / Motor
제어 Continuity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Alignment Pump / Compressor
장치 Vessel Internal Installation Vessel
예비 시운전 단계 시운전 Flushing / Blowing / Chemical Cleaning / Preliminary Leak Piping / Vessel
전기 Motor Solo Run Motor
제어 Loop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Mechnical Running Test Pump
장치 Box-up Vessel
시운전 단계 시운전 System Service Test Vessel
제어 Function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Load Test Pump
시운전 단위 시운전 부단위 진행 단계 수행 부서 테스트 항목 점검 대상
Air System Plant Air 공사 단계 배관 Pressure Test Piping
전기 Megger Test / Continuity Test Cable / Motor
제어 Continuity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Alignment Compressor
장치 Vessel Internal Installation Vessel
예비 시운전 단계 시운전 Flushing / Blowing / Preliminary Leak Piping / Vessel
전기 Motor Solo Run Motor
제어 Loop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Mechnical Running Test Compressor
장치 Dessicant Loading / Box-up Vessel
시운전 단계 시운전 System Service Test Vessel
제어 Function Test Transmmitter / Control Valve
기계 Load Test Compressor
1-3. 체크시트 /테스트 리포트 생성 단계(S30)
상기 단계(S30)는 상기 단계(S2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체크시트의 예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01548886-pat00001
상기 테스트 리포트의 예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01548886-pat00002
1-4. 체크시트 /테스트 리포트 출력 단계(S40)
상기 단계(S40)는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계(S40)는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프린터로 인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각 수행 부서의 담당자는 상기 출력된 체크시트 및/또는 테스트 리포트에 기재된 테스트 항목들을 실행한 후, 합격 판정을 받은 테스트 항목들을 체크한다.
1-5. 선행 업무와 후행 업무 그룹핑 단계(S50)
상기 단계(S50)는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 중에서 후행 업무에 속하는 어느 한 테스트 항목에 대응 선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한 테스트 항목을 그룹핑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50)에서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 중에서 후행 업무에 속하는 어느 한 테스트 항목에 대응 선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한 테스트 항목을 그룹핑하는 예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선행 업무 해당 테스트 항목 후행 업무 해당 테스트 항목
Flushing MRT(Mechanical Running Test)
Loop Test
Moto Solo Run
1-6. 각종 공사 진척률 업데이트 / 모니터링 단계(S60)
상기 단계(S60)는 상기 단계(S10)에서 입력한 기본 데이터 중 각종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하고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각종 공사 진척률을 서버(도 4의 210)가 지속적으로 집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60)는, 예를 들어, 각종 배관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종 배관 공사 진척률은 예비 시운전 및 시운전을 수행하는 시점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운전 부단위의 배관 공사 진척률이 100%가 되어야만, 당해 시운전 부단위의 예비 시운전 및 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시운전 단위의 배관 공사 진척률이 100%가 되어야만, 당해 시운전 단위의 예비 시운전 및 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1-7. 전체 공사 진척률의 기준치(x)에 도달 여부 판단 단계(S70)
상기 단계(S70)는 상기 단계(S60)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모니터링된 전체 공사 진척률이 기준치(x)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즉, 체크)하는 단계이다.
전체 공사 진척률이 기준치(x)에 미달한 경우에는 기준치(x)에 도달할 때가지 반복해서 체크한다.
전체 공사 진척률이 기준치(x)에 도달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S80)를 수행한다.
상기 기준치(x)는 60~80%(예를 들어, 70%)일 수 있다.
1-8.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여부 판단 단계(S80)
상기 단계(S80)는 상기 단계(S10)에서 입력한 기본 데이터 중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하고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진척률이 100%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다르게는, 상기 단계(S80)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사실을 입력하거나, 또는 제3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사실을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말기는 스캐너일 수 있다.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진척률이 100%에 미달한 경우에는 100%에 도달할 때가지 반복해서 체크한다.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진척률이 100%에 도달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S90)를 수행한다.
1-9. 선행 업무 실행 완료 인식/표시 단계(S90)
상기 단계(S90)는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40)에서 출력된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 4 및 표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식별코드(예를 들어, 바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90)에서는, 상기 각 체크시트 또는 상기 테스트 리포트에 포함된 모든 테스트 항목들이 테스트를 통과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읽어들임으로써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록된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크시트 또는 상기 테스트 리포트의 모든 항목이 "OK"로 표시될 경우, 각 수행 부서의 담당자가 직접 현장 등에 설치되어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캐너에 상기 식별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상기 각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스캐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90)에서는 상기 각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한 경우에는 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여 관련자가 볼 수 있게 한다.
1-10. 후행 업무 준비 여부 판단 단계(S100)
상기 단계(S100)는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 후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항목이 준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100)에서는 상기 단계(S90)에 의해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모든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 후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항목이 준비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한다. 다만,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실행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 후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항목이 준비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한 다음, 모든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해서 체크한다.
선행 업무 후행 업무
해당 테스트 항목 실행 여부 해당 테스트 항목 준비 여부
Flushing Completed MRT(Mechanical Running Test) Ready for Commissioning
Loop Test Completed
Moto Solo Run Completed
선행 업무 후행 업무
해당 테스트 항목 실행 여부 해당 테스트 항목 준비 여부
Flushing Not Completed MRT(Mechanical Running Test) Not Ready for Commissioning
Loop Test Completed
Moto Solo Run Completed
1-11. 후행 업무 실행 완료 인식/표시 단계(S110)
상기 단계(S110)는 상기 각 후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110)는 상기 단계(S9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1-12. 각종 시운전 진척률 업데이트 /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
상기 단계(S120)는 상기 단계(S90) 및 상기 단계(S110)에서 인식한, 실행이 완료된 테스트 항목들을 집계하고 가중 평균하여, 상기 각종 시운전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각 테스트 항목별 가중 평균치는 각 테스트 항목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산정된다.
1-13. 펀치 리스트 등급 표시 단계(S130)
상기 단계(S130)는 펀치 리스트에 하자의 등급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단계(S10)의 상기 기본 데이터는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별로 하자 발생 정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된 펀치 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 리스트에는 하자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Punch A, Punch B, Punch C 및 Punch E 등급으로 체크될 수 있다.
Punch Catergoty는 Punch 유형을 구분하는 것으로써 다음과 같다.
Punch A: 공사 완료 또는 Pressure Test 완료 전에 제거(Clear)해야 함.
Punch B: 예비시운전 (Precommissioning) 또는 기계적 완공 (Mechanical Completion) 전에 제거해야 함.
Punch C: 시운전 (Commissioning) 또는 RFSU (원료도입 전단계, Ready For Start-UP) 전에 제거해야 함.
Punch E: Minor Punch로써 사업주와 협의를 하여 공장운전 등 추후에 제거해도 되는 예외적인 것임.
1-14. Hand Over 가능 여부 판단 단계(S140)
상기 단계(S140)는 상기 단계(S13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해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를 포함하는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속하는 모든 시운전 부단위들에 대한 펀치 리스트들에 포함된 모든 항목들이 "N"의 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각 시운전 단위를 사업주에게 Hand Over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시운전 부단위들에 대한 펀치 리스트들에 포함된 어느 한 항목이라도 "N"의 등급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각 시운전 단위를 사업주에게 Hand Over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1-15. 펀치 리스트 등급 수정 단계(S150)
상기 단계(S150)는, 상기 단계(S140)에서 당해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펀치 리스트에서 하자의 등급을 수정하는 단계이다. 물론, 당해 수행 부서가 상기 펀치 리스트의 항목들 중 하자가 있는 항목에 대하여 현장에서 하자를 보수한 다음, 그 결과를 서버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단계(S150)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시운전 단위 스케줄 관리 단계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운전 단위 스케줄 관리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는,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정보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읽어들이고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중 시운전 단위 스케줄 관리 단계에 포함된 단계(S160)는 하기 단계들을 임의의 순서대로 포함한다.
2-1. 총 작업량 표시 단계(S161)
상기 단계(S161)는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총 작업량(work volume)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총 작업량"이란 모든 시운전 부단위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Pressure Test, Flushing / Blowing, Loop Test, Fuction Test, Motor Solo Run, Mechanical Running Test 등)에 대하여 각 테스트 항목별 점검 대상(Transmitter, Control Valve, Motor, Pump)의 개수를 합산하여 얻은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oop Test 대상인 Control Valve의 개수 900개 + Function Test 대상인 Control Valve의 개수 900개+ Motor Solo Run 대상인 Motor의 개수 1,200개 + MRT의 대상인 Pump의 개수 1,200개를 합산하면 총 작업량이 4,200개 이상이 된다.
2-2.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 표시 단계(S162)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을 더하면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이 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이란 개별 시운전 단위에 속하는 모든 시운전 부단위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Pressure Test, Flushing / Blowing, Loop Test, Fuction Test, Motor Solo Run, Mechanical Running Test 등)에 대하여 각 테스트 항목별 점검 대상(Tagged Item으로서 각종 Package, Transmitter, Control Valve, Motor, Pump)의 개수를 합산하여 얻은 값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162)에서는 테스트 항목 및 작업량에 따라서 가중치(Weight Factor)가 부여된 진척률이 표시된다.
먼저, 테스트 항목에 따라서 가중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항목(예를 들면, Loop Test, Motor Solo Run)의 가중치는 그 테스트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서 경험적으로 부여되어 시운전 진척률(Commissioning Progress, %)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가중치의 합은 1이며, 예를 들어, Flushing/Blowing은 가중치가 0.2이고, Loop Test는 가중치가 0.1이다. 즉, 시운전 준비단계에서는 Flushing/Blowing이 중요도가 높은데 이는 경험적인 자료이다.
다음으로, 작업량에 따라서 가중치를 부여한다:
Transmitter, Control Valve, Motor, Pump 등 점검 대상의 총 개수, 즉 작업량에 따라서 가중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모든 시운전 단위에 대한 총 작업량이 24,000개이고, Loop Test의 작업량이 8,000개 라고 하면, Loop Test의 가중치는 8,000/24,000 = 0.33이 된다.
2-3.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 표시 단계(S163)
전술한 바와 같이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을 더하면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이 된다. 이를 상기 표 1의 Steam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시운전 단위는 Steam이고, 시운전 부단위는 Medium Pressure Steam과 High Pressure Steam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작업량은 다음과 같다.
시운전 단위별 Steam Blowing의 작업량은 30개이고,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은 Medium Pressure Steam의 10개와 High Pressure Steam의 20개이다.
2-4.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 작성/표시 단계(S164)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줄의 총합이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줄이 된다.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될 수 있다:
(1) 시운전 부단위 Sequence
(2) 업무 선후행 관계
(3) Work Volume 산출
(4) 기간 (Duration) 산출
(5) 선행 공종과 링크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의 작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운전 부단위 Sequence
- 시운전이 구분한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작업의 우선순위를 반영한 Sequence로서 프로젝트 계약서에 명기된 주요 Milestone을 반영한다.
- EPC 스케쥴러가 작성한 설계, 구매 및 공사의 일정을 표현한 Baseline 스케쥴을 반영하여 작성한다.
- 다만,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전후 시운전 부단위 사이는 FS-14일로 설정하고 이는 시운전 부단위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FS-14일의 의미는 선행 시운전 부단위별 업무가 종료(Finish)되면 후행 시운전 부단위별 업무는 14일 후에 시작(Start)한다는 의미이다.
(2) 업무 선후행 관계
- 시운전 부단위 내의 공사 및 시운전 업무에 대한 선후행 관계를 다음과 같이 논리적으로 정립한다.
즉, 배관업무는 Welding → Pressure Test → Flushing/Blowing → Reinstatement 순서로 진행된다.
- 장치의 Box-up이 끝나고 배관의 Reinstatement가 끝나면 Preliminary Leak Test를 수행할 수 있다.
- 또한, 제어의 Loop Test는 Reinstatement가 끝나야 시작할 수 있다.
- 전기의 Motor Solo Run는 Loop test가 끝나야 시작할 수 있다.
- 회전기기의 Mechamical Running Test는 반드시 Motor Solo Run이 끝나야 시작할 수 있다.
(3) 작업량 (Work Volume) 산출
- 시운전 부단위를 구분한 Marked-up P&ID를 이용하여 시운전 부단위 내의 공사 및 시운전 업무에 대한 물량을 집계한다.
(4) 업무에 대한 기간 (Duration) 산출
- 시운전 부단위 내의 업무별로 적절한 규모의 인력을 투입하여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을 산출한다. 이는 공사의 생산성과는 차이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 시운전 부단위 내의 선행 공종과 링크
- Area 기준의 공사업무와 시운전 단위 기준의 시운전 스케쥴은 Level이 다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링크하기는 곤란하다.
- 다만, 개개의 공사 업무와 Precommissioning 업무를 가능한 범위에서 링크한다.
- 예를 들어, 배관공사의 Pressure Test와 시운전의 Flushing/Blowing을 FS (Finish to Start) 관계 등으로 설정한다. 즉, Precommissioning 바로 전 공사 업무 만을 연결한다.
상기 단계(S164)는 각 데스트 항목에 대하여 시작일만 결정하면 나머지 작업 스케쥴이 자동적으로 작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시운전 부단위 내에 Blowing& Flushing Start Date를 입력하면 상기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내에 구현된 Hard Logic 및 Soft Logic에 의하여 선후행 업무 들의 스케쥴이 자동적으로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lushing & Blowing Start Date가 2016년 11월 20일에 시작되고 작업기간이 6일인 경우 종료일은 11월 25일이다. 선행 업무인 Pressure Test는 이것보다 7일 전에 끝내야 하는 Hard Logic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Blowing& Flushing 종료일로부터 7일 후에 후행 업무인 Reinstatement가 끝나야 하는 Soft Logic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운전 부단위 내의 모든 업무들이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Logic에 의해 자동적으로 스케쥴이 작성될 수 있다.
2-5.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 작성/표시 단계(S165)
전술한 바와 같이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줄의 총합이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줄이 된다. 이를 상기 표 1의 Steam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시운전 단위는 Steam이고, 시운전 부단위는 Medium Pressure Steam과 High Pressure Steam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작업 스케쥴은 다음과 같다. 즉, 시운전 단위별 Steam Blowing에 대한 작업 스케쥴은 작업량 30개를 1일당 2개씩 수행할 수 있으면 15일이 된다. 또한,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은 Medium Pressure Steam의 10개에 5일 및 High Pressure Steam의 20개에 10일이다.
2-6.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 변경 단계(S166)
상기 단계(S166)는 상황 변경에 의해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이 변경된 경우 이를 서버상에서 변경하는 단계이다.
시운전 단위별 스케쥴 변경은 두가지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상술한 "2-4.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 작성/표시 단계(S164)"의 초기 스케쥴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초기 스케쥴 작성은 "Original Schedule"란에 Flushing/Blowing Start Date를 입력할 수 있고, 스케쥴 변경은 "Revised Schedule"란에 Flushing/Blowing Start Date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운전 단위별로 작업량이 집계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하기의 "2-7.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 변경 단계(S167)"에서 작성한 몇 개의 시운전 부단위별 스케쥴을 합하여 시운전 단위별 스케쥴을 작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의 Steam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시운전 단위는 Steam이고, 시운전 부단위는 Medium Pressure Steam과 High Pressure Steam으로 구분된다.
2-7.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 변경 단계(S167)
상기 단계(S167)는 상황 변경에 의해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이 변경된 경우 이를 서버상에서 변경하는 단계이다.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 변경은 상술한 "2-4.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 작성/표시 단계(S164)"의 초기 스케쥴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초기 스케쥴 작성은 "Original Schedule" 란에 Flushing/Blowing Start Date를 입력할 수 있고, 스케쥴 변경은 "Revised Schedule" 란에 Flushing/Blowing Start Date를 입력할 수 있다.
2-8. 전체 시운전 진척률 표시 단계(S168)
상기 단계(S168)는 전체 시운전 진척률을 서버에 연결된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2-9. 시운전 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 판단/표시 단계(S169)
상기 단계(S169)는 시운전 단위별로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시운전 단위별로 스케쥴 대비 1개월 미만 지연되면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1개월 이상 지연되면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운전 부단위인 Cooling Water 내의 업무별 총 작업량, 작업실적 및 진척률을 표시하고, 작업이 지연될 경우 노란색 또는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공사 업무는 지역(Area)을 기준으로 수행하고, 시운전 업무는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수행되기 때문에 공사 담당자들이 시운전 업무를 파악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또한, 시운전 업무는 설계에서 작성하는 P&ID(Piping & Instrument Diagram)를 기준으로 업무가 계획되기 때문에 공사 담당자들을 더욱 더 시운전 업무를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사업주는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Hand Over를 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공사를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끝내고 시운전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럴 경우, 상기 단계(S169)는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업무의 지연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공사 마무리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2-10.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 판단/표시 단계(S170)
상기 단계(S170)는 시운전 부단위별로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시운전 부단위별로 스케쥴 대비 1개월 미만 지연되면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1개월 이상 지연되면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2-11. 전체 시운전 작업 진행 상황 표시 및 테스트 항목별 예상 작업 완료일 산정/표시 단계(S171)
상기 단계(S171)는 전체 시운전 단위별 및 테스트 항목별 진행 상황(예를 들어, 테스트 항목별 계획 진척률과 실제 진척률, 총 작업량, 누적 계획 작업량, 누적 완료 작업량, 잔여 작업량, 계획 작업 완료일, 실제 작업 완료일)을 표시하고, 계획 대비 실적에 따른 생산성을 활용하여 예상 작업 완료일을 산정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작업 지연을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이다.
2-12. 테스트 항목별 작업 진행 상황 표시 단계(S172)
상기 단계(S172)는 시운전 단위나 시운전 부단위 기준이 아니라 테스트 항목별로 계획 대비 실적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단계(S172)는 테스트 항목별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172)로 인하여 테스트 항목별로 작업의 진척률을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공사 공종별로 업무진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항목별로 최근 8주간의 생산성을 활용하여 공사업무를 독려할 수 있고, 예상완료일을 예측하여 프로젝트 전반적인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2-13. 시운전 단위별 작업 완료 여부 표시 및 미완료 작업 출력 단계(S173)
상기 단계(S173)는 시운전 단위별 및 테스트 항목별로 작업 스케쥴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함에 있어서 "완료 작업"의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잔여 작업"은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잔여 작업만을 추려내 관련 수행 부서 및 협력 업체와 협의하여 작업을 마무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73)는 프로젝트(즉,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의 종료 단계에 마무리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계이다.
공사 업무는 지역(Area)을 기준으로 수행하지만, 사업주는 시운전 단위 또는 부단위별로 Hand Over를 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공사를 시운전 단위 또는 부단위별로 끝내고 시운전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럴 경우, 상기 단계(S173)는 시운전 단위 또는 시운전 부단위 내의 각 업무별로 업무의 지연상황을 파악함으로써, 공사 마무리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S173)로 인하여 시운전 부단위별로 지연되는 업무에 대한 지연 관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14. 배관 관련 테스트 항목들의 작업 진행 상황 표시 단계(S174)
상기 단계(S174)는 화학공장 공사에서 핵심적인 요소인 배관 관련 업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S174)에서는 시운전의 후행 업무(예를 들어, Flushing/Blowing)와 선행업무(예를 들어, Hydrotest, Welding Dia Inch 및 Spool Piece)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배관 관련 작업이 완료가 되어야 후행 업무인 시운전, 전기, 제어, 기계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련 배관 업무 사이의 경계 업무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단계(S174)는 공사에서 활용하는 배관 관리 프로그램인 FMCS(Field Material Control System)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시운전 부단위별 Pressure Test, Welding Diainch 및 Spool Piece Number를 자동적으로 링크하여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로부터 배관 자료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단계(S174)로 인하여 시운전 부단위인 Cooling Water에 배관업무의 연관관계 및 잔여작업을 Tracking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200)은 서버(210), 모니터(220), 단말기(230) 및 프린터(240)를 포함한다.
서버(210)는 모니터(220), 단말기(230) 및 프린터(240)와 연계하여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 및 상기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220)는 서버(2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230)는 서버(21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230)는 제1 단말기(231), 제2 단말기(232) 및 제3 단말기(2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31)는 키보드이고, 제2 단말기(232)와 제3 단말기(233)는 스캐너일 수 있다.
프린터(240)는 서버(2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 210: 서버
220: 모니터 230: 단말기
240: 프린터

Claims (9)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Hand Over 관리 단계 및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제1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들, 시운전 부단위들, 진행 단계들, 수행 부서들, 각종 공사 진척률, 각종 시운전 진척률, 테스트 항목들 및 점검 대상들을 포함하는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10);
    상기 각 시운전 단위에 대응 시운전 부단위들, 대응 진행 단계들, 대응 수행 부서들, 대응 테스트 항목들 및 대응 점검 대상들을 차례로 그룹핑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하여,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S30);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S40);
    상기 그룹핑된 테스트 항목들 중에서 후행 업무에 속하는 어느 한 테스트 항목에 대응 선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한 테스트 항목을 그룹핑하는 단계(S50);
    상기 각종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60);
    전체 공사 진척률이 기준치(x)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
    상기 단계(S70)에서 상기 전체 공사 진척률이 상기 기준치(x)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
    상기 단계(S80)에서 상기 각 시운전 단위별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90);
    상기 선행 업무에 속하는 테스트 항목들의 실행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 후행 업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항목이 준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00);
    상기 각 후행 업무에 속하는 각각의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10); 및
    상기 각종 시운전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고,
    상기 시운전 단위 스케쥴 관리 단계는,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에서 기록된 정보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읽어들이고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160)는,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총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1), 시운전 단위별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2),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량을 표시하는 단계(S163),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164),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단계(S165), 시운전 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변경하는 단계(S166),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스케쥴을 변경하는 단계(S167),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시운전 진척률을 표시하는 단계(S168), 시운전 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69), 시운전 부단위별 작업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170), 전체 시운전 단위들의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고 이와 함께 테스트 항목별 예상 작업 완료일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S171), 테스트 항목별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S172), 시운전 단위별 작업 완료 여부를 표시하고 미완료 작업을 출력하는 단계(S173), 배관 관련 테스트 항목들의 작업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S174)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체크시트 및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S90) 및 상기 단계(S110)에서는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읽어들임으로써 상기 체크시트 및 상기 테스트 리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록된 테스트 항목의 실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0)는 각종 배관 공사 진척률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80)는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제3 단말기를 통해 시운전 단위별 공사 완료 사실을 입력 또는 인식함으로써 수행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의 상기 기본 데이터는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별로 하자 발생 정도를 체크하도록 구성된 펀치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상기 펀치 리스트에 하자의 등급을 표시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단계(S130)에서 얻은 정보에 의해 상기 각 시운전 부단위를 포함하는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40)에서 당해 시운전 단위의 Hand Over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Hand Over 관리 단계는, 상기 펀치 리스트에서 하자의 등급을 수정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서버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시스템.
KR1020160135927A 2016-10-19 2016-10-19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49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27A KR101749630B1 (ko) 2016-10-19 2016-10-19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27A KR101749630B1 (ko) 2016-10-19 2016-10-19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15A Division KR101866458B1 (ko) 2017-04-27 2017-04-27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630B1 true KR101749630B1 (ko) 2017-06-21

Family

ID=592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27A KR101749630B1 (ko) 2016-10-19 2016-10-19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75B1 (ko) * 2019-08-12 2020-02-26 강신영 Mc 현황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39B1 (ko) * 2013-09-03 2015-03-06 손혁진 웹 기반 해양플랜트 검사 공정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39B1 (ko) * 2013-09-03 2015-03-06 손혁진 웹 기반 해양플랜트 검사 공정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75B1 (ko) * 2019-08-12 2020-02-26 강신영 Mc 현황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An overview of the recent advances in delay-time-based maintenance modelling
US8423397B2 (en)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Vasili et al. Maintenance optimization models: a review and analysis
JP2006277153A (ja) バグ管理システム
Ratnayake Challenges in inspection planning for maintenance of static mechanical equipment on ageing oil and gas production plants: The state of the art
JP4078671B2 (ja) プラント保全管理方法
Mahmoudi et al. A delay time model with multiple defect types and multiple inspection methods
Clarke et al. Lean maintenance–A risk-based approach
KR101866458B1 (ko)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49630B1 (ko) 공사 마무리 및 시운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achman et al. Implementation of lean knowledge work in oil and gas industry-A case study from a Risk-Based Inspection project
Barabady Improvement of system availability using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analysis
JP5330095B2 (ja) プラント保全装置およびプラント保全方法
Yu et al. Task analysis for industrial work process from aspects of human reliability and system safety
Hegde Improve Warranty Failures i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via Design for Reliability
Kuboń et al. Reliability of technical systems and the methodology for calculating MTBF using Flexsim computer simulation
Dobra et al. Correlation between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 an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at the semi-automatic assembly lines
Barabady et al. A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production plant performance using production assurance programs
Lannoy et al. Expertise, safety, reliability, and decision making: practical industrial experience
KR102081975B1 (ko) Mc 현황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30259892A1 (en) Digital platform based multifaceted risk assessment for extension of turbomachinery service intervals
Shaik et al. Evaluating reliability of diesel generator peakers using Six Sigma methodologies
US20220308561A1 (en) Analysis apparatus, analysi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lottner Life Extension of SIEMENS Industrial-Sized Gas Turbines
Harefa et al. Improvement Of Electric Motor Inspection Process In Service Repair Workshop: With Lean Consumption Map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