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03B1 -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03B1
KR101749603B1 KR1020150109902A KR20150109902A KR101749603B1 KR 101749603 B1 KR101749603 B1 KR 101749603B1 KR 1020150109902 A KR1020150109902 A KR 1020150109902A KR 20150109902 A KR20150109902 A KR 20150109902A KR 101749603 B1 KR101749603 B1 KR 10174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hoto
storage unit
management
phot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606A (ko
Inventor
백경호
오정주
Original Assignee
백경호
오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호, 오정주 filed Critical 백경호
Priority to KR102015010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 사진 정보 저장부;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과 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 및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 관리를 위한 계층적 구조 및 표준화된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이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사용자(회원)이 사진을 분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진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검색하거나 이를 근거로 여러 가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 및 확장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INTEGRATED PHOTO MANAGEMENT SYSTEM USING PHOTO INFORMATION AND MEMBER INFORMATION, METHOD OF PHOTO MANAGEMENT AND METHOD OF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준 분류방식에 따라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사진을 분류하고,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생성, 성장, 확장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관계망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기능이 있는 스마트 폰 등이 널리 보급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사진이 촬영되고 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사진은 개인의 SD 카드, HDD, SSD 등의 저장소에 저장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회관계망 서비스(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사이트에 전송되어게시되거나 공유되기도 하고, 저장 전용 클라우드 등의 저장공간에 전송되어 저장되어 필요한 경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 구글플러스(google +) 등의 SNS에 사진을 전송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진은 통상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나 소식 등의 부가적인 정보로서 활용되고, 사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즉 시간이나 장소 등의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사진의 검색 등에 사용된다. 또한, 별도의 태깅 등을 통하여 분류하거나, 이벤트별로 앨범을 임의로 생성하여 정리하기도 하며, 1차적인 조건 예를 들면, 앨범이나, 시간 장소 등의 조건에 따라 공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SNS 사이트의 경우 표준화된 분류방식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임의적으로 카테고리를 정하여 분류하거나 앨범을 생성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불편이 뒤따른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 마다 개별적으로 정한 분류기준에 따라 사진이 저장되므로, 이들 사진들의 관리 정보를 통합적으로 가공, 활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진에 대한 정보가 단순히 시간, 장소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인물정보 등에 국한되기 때문에 사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부족하여 사진에 등장한 인물관계나 권한관계 등에 따라 사진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엔 드라이브(N drive), 다음 클라우드(Cloud), 원드라이드(Onedrive), 아이클라우드(iCloud) 와 같은 클라우드 형태의 저장소의 경우, 업로드된 사진들을 앨범이나 폴더 등을 임의적으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사진에 대한 표준 분류방식이 없기 때문에, 다수의이용자에 적용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분류표준의 부재로 사진의 공유나 정보가공 등에 문제가 있고, 나아가 다양하고 복합적인 조건에 따라 사진을 분류하여 검색하거나 공유할 수 없다. 즉, 시간별, 공간별 등의 단편적인 조건에 따른 분류 및 이에 따른 공유설정, 권한설정 등은 가능하나, 이외에 인물이나 그룹, 이벤트 등의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조건지워진 검색이나 이에 따른 공유나 권한 부여 등은 불편과 제한이 따른다.
나아가, 이들 SNS 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사진 그 자체의 보관, 검색 등이 주 목적이어서, 사진에 나타난 인물 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확장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사진 정보와 이로부터 추출되는 인물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진에 나타난 인물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2838호(2014.06.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6272호(2014.06.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7994호(2014.06.2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에 산재하는 다수 사진을 표준화된 계층적 구조 및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를 연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정리된 사진 정보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진 공유, 권한부여, 회원가입유도 등의 방식으로 사회관계망 형성에 이용할 수 있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사진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원의 사회관계망을 형성, 확장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회원의 사진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저장되는 사진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진,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 저장부 및 사진 정보 저장부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사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보관 정보가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와 상기 사진 보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보완되는 정보보완 단계를 포함하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사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보관 정보가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단계;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와 상기 사진 보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보완되는 정보보완 단계; 및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회원관계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포털 사이트나 클라우드 저장소, 사회관계망 서비스(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저장된 사진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진 관리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진 관리를 위한 계층적 구조 및 표준화된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이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사용자(회원)이 사진을 분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진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사진, 특히 인물이 등장하는 인물 사진의 경우 사진 정보에서 해당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정보, 해당 사진의 이벤트에 관련된 주변인물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 등을 별도의 회원 정보로 가공하여 관리함으로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검색하거나 이를 근거로 여러 가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사진관리 프로그램에서 시간, 공간, 인물 등 단순히 조건에 따라 검색되는 사진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진에 대한 각종 관리정보와 그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인물사이의 관계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정의되는 다양한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체계적으로 정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 및 확장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진에 등장한 인물에 대하여 본 시스템에 가입하도록 유도하거나, 사진 게시, 열람, 관리 등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사진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시키거나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순히 사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회원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팅된 마케팅 정보 또는 회원의 사회적 활동을 계량하여 각 개인에 대한 신용도 정보의 일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카테고리에 따른 사진의 분류 및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연계한 각종 가공정보를 다른 사진관리 프로그램이나, SNS 에 적용하여 사진의 체계적 관리에 이용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들에서 사진 정보(210), 회원 정보(22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진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100)와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저장되는 사진 정보 저장부(200), 그리고 상기 사진 저장부 및 사진 정보 저장부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진 저장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저장부(100)는 회원의 하나 이상의 사진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인스타그램 같은 SNS 사이트 또는 각종 포털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인터넷망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에 의하여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와 회원의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다.
회원이 자신의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촬영하면, 미리 자동 업로드 설정을 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별도의 조작없이 해당 사진파일이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업로드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회원의 별도의 업로드를 위한 조작을 통하여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사진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사진파일과 함께 일반적인 사진메타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촬영자가 별도로 지정하거나 입력하지 않아도 사진파일명, 파일용량, 파일형식, 조리개나 셔터스피드 ISO 값 등의 촬영환경값과 촬영일시 등이 함께 저장되고, 스마트폰이나 GPS 기능이 있는 카메라로 촬영한 경우 촬영장소(위치)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나아가, 상기 사진 저장부(100)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메모기능, 태깅기능 등을 부여하는 경우, 회원은 그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내용 역시 사진파일과 함께 저장된다.
다만, 사진 저장부(100) 자체는 사진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가지므로 회원을 포함하는 인물에 대한 정보, 회원관계에 대한 정보, 상기 사진 속성정보 외의 다양한 사진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진 정보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는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시스템의 회원(시스템의 사용자)이 자신의 사진이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된 후에, 상기 사진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즉, 사진파일 자체는 여러 다양한 SNS 사이트나 클라우드와 같은 복수의 사진 저장부(100)에 산재되어 저장될 수 있지만, 각 사진에 대한 후술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통합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정보는 대별하면,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들에서 사진 정보(210), 회원 정보(22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진 정보(210)는 사진속성정보 및 사진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진속성정보는 회원 정보나 사진의 관리를 위하여 회원이 임의적으로 기재하는 정보가 아니라, 사진 자체에 대한 정보로서 사진파일의 메타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사진속성정보는 카메라(스마트폰)에 대한 정보, 사진파일명, 파일용량, 파일형식, 해상도, 또는 셔터스피드, 조리개값, 플래쉬 사용여부, ISO 등과 같은 촬영환경값, 촬영일시, 촬영장소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 중에서 카메라에 따라 일부 데이터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영장소에 대한 정보는 회원이 직접 촬영장소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통상 GPS 기능이 있는 카메라에서 특정하는 좌표값 등을 토대로 입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카메라에서 GPS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진 속성정보는 회원이 직접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입력할 수도 있으나, 회원이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된 사진메타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진 정보(210)는 사진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진 관리 정보는 상기 사진속성정보와 달리 회원이 직접 사진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권한이나 공유범위를 정의하는 정보이다. 다만, 사진 관리 정보 중에서도 일부는 사진파일의 메타정보 또는 상기 사진속성정보에서 추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 기본 관리 정보, 사진공유정보, 사진 보관 정보, 사진부가정보, 사진표시기준정보, 기타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사진 기본 관리 정보는 카테고리, 그룹, 이벤트, 이름(인물정보)에 대한 정보, 즉 분류체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테고리-그룹-이벤트-이름의 계층적 분류체계 및 최상위 분류기준인 카테고리는 본 시스템에서 메뉴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카테고리를 메뉴로서 표시할 것인지, 숨길 것인지를 포함하여 메뉴의 배치나 형식, UI(User Interface) 등은 회원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회원이 필요에 따라 카테고리명을 변경함으로 메뉴명을 변경하거나 카테고리를 추가함으로 메뉴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그룹-이벤트-이름으로 이어지는 계층적 분류체계 및 카테고리의 메뉴는 모든 사용자에게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체계와 메뉴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테고리 메뉴는 예를 들면, '나(본인)', '가족', '학교', '직장', '종교', '단체', '동호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존의 SNS나 사진 저장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사진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정해진 분류체계 없이 사용자 각자가 임의적으로 앨범 등을 생성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간 사진 분류의 통일성이나 일관성, 체계성이 없게 된다. 따라서, 여러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 간의 관계를 추출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2차적인 정보로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사람에게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 분류체계와 대분류기준(본 발명에서는 '카테고리'라 명명)의 메뉴를 정하고, 회원들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분류기준에 따라 사진을 분류 저장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그룹'은 상기 '카테고리'의 하부 분류기준으로서, 사용자가 부여한 그룹명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가족'카테고리의 하위 분류로서 설정되는 '가족사진'그룹, '직장'카테고리 하부에 설정되는'업무기록'그룹, '종교' 카테고리 하위의 'OO 교회'그룹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그룹'의 하부 분류기준으로 사진을 촬영한 이벤트명을 사용자가 정하여 기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족사진'그룹 하위의 '유럽여행'이벤트, 'OO교회'하위의 '수련회'이벤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름'또는 '인물정보'는 '이벤트'단계까지 분류된 각각의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진에는 등장하지 않더라고 이벤트에 관련된 인물에 대한 이름 등 인물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하는 분류체계이다. 이러한 인물정보를 활용하여 본 시스템에서는 회원인물 중심의 '회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 생성시키는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공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진 공유정보는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구분'정보는 카테고리, 그룹, 이벤트, 이름 중에서 어떠한 범위에서 다른 회원과 사진을 공유할 것인지를 입력하여 결정하는 것이고, '공유대상'은 '나(본인)'만 사진을 볼 것인지 회원 중 어떠한 회원에게 사진 공유를 허용할 것이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공유방식'은 사진을 공유하는 회원에게 어떠한 범위의 권한을 주면서 공유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메뉴이다. 예를 들어, '공유방식'으로 'owner', 'admin', 'user'.'none' 등으로 구분하여 사진의 열람, 타인에게의 추가적인 공유, 사진의 삭제, 변형, 이동, 복사 등의 권한을 회원마다 차별적으로 갖도록 회원이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 보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보관 정보는 사진이 저장된 사이트 즉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대한 정보', 상기 사진 저장부의 계정정보와 같은 '사용자정보', 사진 저장부에 사용자가 사진을 분류하여 놓은 '앨범명(폴더명) 정보',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의 '파일명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진 보관 정보는 회원이 입력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진 저장부(100)와 사진 정보 저장부(200)를 연동시켜 획득하는 것이 편리하고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부가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부가정보는 회원이 입력하는 사진에 대한 제반 부가정보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이벤트명과 관련된 '일시', '장소', '메모'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들 사진부가정보는 회원이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이미 사진 저장부(100)에 입력된 것을 추출하여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표시기준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표시기준정보는 하나 이상, 통상적으로는 복수개의 여러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된 여러 사진이 사진 정보 저장부(200) 상에서 어떠한 순서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지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인스타그램, N클라우드 등에 흩어져서 개별적인 앨범명이나 분류기준에 따라 저장된 여러 사진에 대한 정보를 사진 정보 저장부에서 취합하여 이들 사진을 어떠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어떠한 형태(파일이름, 썸네일 형태 등)로 표시할 지를 결정하는 기준이다.
또한,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기타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타정보는 그룹내 인물들 간의 관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인물의 이름 외에 인물들 간의 관계 예를 들면,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아내, 남편, 아들, 딸, 선배, 후배, 동기, 친구 등의 인물 상호간의 관계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적 관리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사진 정보 저장부(200)는 상술한 사진 정보(210)외에 회원 정보(2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정보는 회원특정정보와 인물관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특정정보는 상기 사진의 회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성명, ID, 연락처, 이메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인물관계정보는 상기 회원의 타 회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관계회원에 대한 정보, 소속그룹정보, 소속그룹에서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회원은 이러한 회원 정보(220)를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진 관리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진 정보(210), 특히 사진 관리 정보에 이미 회원에 대한 정보가 있으므로 이를 회원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 회원 정보(220)가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재구성은 상기 사전 정보 저장부(200) 또는 후술하는 사진 정보 처리부(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존의 사진저장관리 시스템과는 달리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1차적인 사진 정보 외에, 추가적인 사진 관리 정보와 회원인물을 중심으로 한 회원 정보가 구비되므로, 이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 확충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회원 정보(220)에 따라 회원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회원 간의 관계가 규명되므로, 이를 토대로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이 인물별로 맞춤형 마케팅 정보, 또는 사회적 활동이나 회원 간의 관계나 소속그룹 등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하는 신용도 정보 등을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은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장치(300)를 통하여 회원은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사진 정보(210) 또는 회원 정보(220)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이나 사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공유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들 단말장치의 예로는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별도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사진 저장부(100), 사진 정보 저장부(200), 단말 장치(300) 외에 선택적으로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가공하는 사진 정보 처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 정보 처리부(4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자적 구성요소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부속하여 함께 설치되거나 또는 회원의 단말기(300)에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어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진 정보 처리부(400)는 회원의 요청이나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진 정보(210)와 회원 정보(220)가 연계된 각종 가공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회원의 요청에 따라 이를 제공하거나,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각종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사진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경우, 일자별, 장소별, 앨범별 등 1 차적인 기준에 따라 회원에게 사진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시스템에 저장된 사진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된 다양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연계하여 회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검색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경우, 해당 시스템에 저장된 사진만을 대상으로 하여 회원이 미리 만들어 놓은 'OO회사 업무'앨범에 속하는 사진만을 검색할 수 있지만, 본 시스템의 경우, 회원의 사진이 저장된 복수의 모든 사진 저장부의 사진을 대상으로 하여 'OO회사 업무'에 속하면서, '회사 내 담당자' 및 '업무와 관련된 협력업체 직원' 및 '특정날짜' 등의 중복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진을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에서는 세부적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앨범을 미리 만들어 놓지 않더라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고 입체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진을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시스템의 경우, 회원이 가입하여 사용하는 모든 사진 저장부의 사진을 대상으로 한 통합적 검색 및 가공이 가능하므로, 개별 사진 저장부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시스템과는 그 활용성 면에서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사진을 회원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진이 저장된 사진 저장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한다. 즉, 각 카테고리별, 그룹별, 이벤트별, 인물별 사진이 회원이 사용한 여러 사진 저장부(100) 중에서 어떠한 저장부에 분포하여 저장되어 있는지, 또한, 어떠한 사진이 여러 저장부에 중복하여 저장되어 있는지 등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테고리별, 그룹별, 이벤트별, 인물별로 특정 사진 저장부에 사진을 나누어서 저장하거나, 또는 여러 사진 저장부(100)에 산재하여 중복되어 저장된 사진을 일괄적으로 정리하여 중복 저장 상태를 해제하는 작용을 상기 사진 정보 처리부(40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사진 정보 처리부(400)에서는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가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및 회원에 대한 정보 또는, 이로부터 파생되는 회원간의 관계정보, 소비행태 정보, 선호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면 이러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회원이나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속한 그룹의 명성. 회원이 맺고 있는 인물들의 신뢰도, 회원의 사회활동 등을 측정하여 이를 금융거래에 필요한 신용도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이는 핀테크(financial technology, fintech)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진 정보 처리부(400)는 회원이 네트워크상에서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하거나, 확장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시스템의 회원 정보(220) 특히, 상기 인물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자신과 관계된 인물에 대한 회원관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만약 상기 관계된 인물이 본 시스템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관계된 인물에 대하여 본 시스템 가입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서,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시키거나, 새로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원 자신과 관계된 인물에 대하여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거나, 사진 관리 또는 그룹이나 이벤트 메뉴에 속한 사진에 대한 관리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기 사진 공유정보의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의 정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진 정보 처리부(400)는 카테고리, 그룹, 이벤트, 이름 중에서 어떠한 범위에서 다른 회원과 사진을 공유할 것인지, '나(본인)'만 사진을 볼 것인지 회원 중 어떠한 회원에게만 사진 공유를 허용할 것이지, 사진을 공유하는 회원에게 어떠한 범위의 권한을 주면서 공유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데이터는 다른 사진관리 프로그램이나, SNS 에 적용되어 사진의 체계적 관리에 이용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앞으로 설명하는 사진 관리 방법 및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이미 설명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은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110),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사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120), 상기 사진 저장부에서 사진 보관 정보가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단계(단계 S130), 그리고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와 상기 사진 보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보완되는 정보보완 단계(단계 S140)를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은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110)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는 사진 저장부(100)와 연결된 단말기(300)를 통하여 회원이 업로드 하는 사진이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된다. 여기서 사진 저장부(100)는 SNS 사이트, 또는 각종 포털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예시할 수 있다. 회원이 자신의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촬영하면, 미리 자동 업로드 설정을 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별도의 조작없이 해당 사진파일이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업로드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회원의 별도의 업로드를 위한 조작을 통하여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사진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사진파일과 함께, 사진에 대한 메타정보가 함께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단계에서 사진 속성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사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120)를 포함한다.
전 단계에서 회원이 자신의 사진을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저장한 후에, 상기 사진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즉, 사진파일 자체는 여러 다양한 SNS 사이트나 클라우드와 같은 사진 저장부(100)에 산재되어 저장될 수 있지만, 각 사진에 대한 각종 정보는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통합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상기 사진 저장부(100)에 사진이 저장되면, 사진이 등록되었음을 회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회원에게 고지하고, 상기 사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회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또는 사진 정보 처리부(400)의 프로그램에서 데스크탑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서 알림창을 활성화하거나 푸시메시지를 전송하여 회원에게 통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원의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고, 상기 사진 저장부(100)의 계정과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가 연동되도록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진 정보(210), 회원 정보(220)이다.
상기 사진 정보(210)는 상기 사진속성정보 및 사진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관리 정보는 사진 기본 관리 정보, 사진공유정보, 사진 보관 정보, 사진 부가 정보, 사진 표시 기준 정보, 기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진 기본 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원이 표준화된 카테고리 중에서 상기 사진이 저장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사진 관리 정보는 상기 사진속성정보와 달리 회원이 직접 사진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권한이나 공유범위를 정의하는 정보이다. 다만, 사진 관리 정보 중에서도 일부는 사진파일의 메타정보 또는 상기 사진속성정보에서 추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회원 정보(220)는 회원특정정보와 인물관계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물관계정보는 상기 회원의 타 회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관계회원에 대한 정보, 소속그룹정보, 소속그룹에서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원 정보가 상기 사진 관리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회원은 회원 정보(220)를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진 관리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진 정보(210), 특히 사진 관리 정보에 이미 회원에 대한 정보가 있으므로 이를 회원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 회원 정보(220)가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재구성은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 또는 사진 정보 처리부(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포털 사이트나 클라우드 저장소, 사회관계망 서비스에 저장된 사진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진 관리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진 관리를 위한 계층적 구조 및 표준화된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이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사용자(회원)이 사진을 분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진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은 상기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보관 정보가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단계(단계 S130)를 포함한다.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는 사진 저장부(1100)에 저장된 카메라(스마트폰)에 대한 정보, 사진파일명, 파일용량, 파일형식, 해상도, 또는 셔터스피드, 조리개값, 플래쉬 사용여부, ISO 등과 같은 촬영환경값, 촬영일시, 촬영장소 등의 사진 메타정보나 회원이 입력한 메모나 태깅정보 등을 추출한다.
그 다음,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와 상기 사진 보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보완되는 정보보완 단계(단계 S14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30에서 추출된 사진 저장부(100)의 정보와 단계 S120에서 입력받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의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보완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진 파일 자체는 여러 사진 저장부(100)에 나누어져 질서없이 저장되어 있더라고, 모든 사진에 대한 각종 정보는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에 통합적으로 저장 관리되고, 또한, 사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진과 연관된 회원에 대한 정보도 보유하게 되므로, 이를 사진 검색이나 사회적 관계망 형성 등의 작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단계들을 수행한 후에 선택적으로 다음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원의 검색요청이 있으면,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검색결과정보를 제공하는 사진검색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각 회원의 사진 공유범위 및 권한 등에 따라 특정한 조건에 따른 검색요청이 있으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사진을 상기 사진 정보 저장부(200)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색하여 그에 대한 검색결과를 회원에게 알려주게 된다. 각 사진 저장부에서 세부적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앨범을 미리 만들어 놓지 않더라도, 본 단계에서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필요에 따른 다양하고 입체적인 조건을 만족시킨 사진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사진은 몇 장이고, 그 파일이름은 어떻게 되고, 그에 관계된 인물들은 누구이며, 어떠한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등의 검색결과가 일목요연하게 회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는 상기 검색결과정보에 따른 사진이 상기 사진 저장부로부터 상기 회원에게 제공되는 사진조회 단계(단계 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50를 통하여 검색된 사진을 회원의 요청에 따라, 각 사진 저장부(100)에서 불려들여 실제 사진을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회원은 각 사진 저장부 역할을 하는 SNS 사이트나 클라우드를 방문하지 않고도 관련 사진을 통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단계들을 수행한 후에 상기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가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및 회원에 대한 정보 또한, 이로부터 파생되는 회원간의 관계정보, 소비행태 정보, 선호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면 이러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회원이나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속한 그룹의 명성. 회원이 맺고 있는 인물들의 신뢰도, 회원의 사회활동 등을 측정하여 이를 금융거래에 필요한 신용도정보로 제공할 수 있고, 이는 핀테크(financial technology, fintech)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도 4에의 방법에 따라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의 단계를 수행한다.
즉,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210),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사진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단계 S220), 상기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 보관 정보가 사진 정보 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단계(단계 S230) 및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와 상기 사진 보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 정보 및 회원 정보가 보완되는 정보보완 단계(단계 S240)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회원관계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단계 S250)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자료로서, 사진 정보와 더불어 회원의 이름, 연락처(이메일, 전화번호), 비밀번호, 생일, 성별, 연결된 사람, 소속된 그룹, 관리자, 회장, 가장 등 소속된 그룹에서의 역할 등을 회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회원의 사진이 저장된 복수의 모든 사진 저장부의 사진을 대상으로 하여 'OO 회사 업무'에 속하면서, '회사 내 담당자' 및 '업무와 관련된 협력업체 직원' 및 '특정날짜' 등의 중복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진을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법에 따르면 세부적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앨범을 미리 만들어 놓지 않더라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가 연계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기본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을 통하여 설명한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회원관계정보에 기반하여 회원간의 사회관계망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위한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시스템의 회원 정보(220) 특히, 상기 인물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자신과 관계된 인물에 대한 회원관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만약 상기 관계된 인물이 본 시스템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관계된 인물에 대하여 본 시스템 가입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가입을 유도하거나 추천하는 등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서,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시키거나, 새로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원 자신과 관계된 인물에 대하여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거나, 사진 관리 또는 그룹이나 이벤트 메뉴에 속한 사진에 대한 관리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기 사진 공유정보의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의 정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사진 정보 처리부(400)는 카테고리, 그룹, 이벤트, 이름 중에서 어떠한 범위에서 다른 회원과 사진을 공유할 것인지, '나(본인)'만 사진을 볼 것인지 회원 중 어떠한 회원에게만 사진 공유를 허용할 것이지, 사진을 공유하는 회원에게 어떠한 범위의 권한을 주면서 공유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방법의 사진의 관리 방법이나 사회적관계망 형성방법을 다른 사진관리 프로그램이나, SNS 에 적용하여 사진의 체계적 관리에 이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진 저장부 200 : 사진 정보 저장부
210 : 사진 정보 220 : 회원 정보
300 : 단말장치 400 : 사진 정보 처리부

Claims (20)

  1.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이
    회원의 사진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진저장부와,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사진정보저장부, 및 상기 사진,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저장부 및 사진정보저장부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가공하는 사진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가 상기 사진의 회원을 특정하기 위한 회원특정정보 및 상기 회원의 타 회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원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정보는 사진속성정보 및 사진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관리정보는 사진기본관리정보와 사진공유정보 및 사진보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기본관리정보는 카테고리-그룹-이벤트-이름(인물정보)의 계층적 분류체계를 갖는 표준화된 분류체계 및 카테고리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공유정보는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보관정보는 상기 사진 저장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진 저장부의 계정정보와 같은 사용자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사용자가 사진을 분류하여 놓은 앨범명(폴더명) 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의 파일명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관리정보가 사진부가정보, 사진표시기준정보, 기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계정보가 관계회원에 대한 정보, 소속그룹정보, 소속그룹에서의 역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와 회원정보가 연계된 사진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사진이 저장된 사진저장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회원의 요청에 따라 사진저장부에 저장된 사진에 대한 정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와 회원정보가 연계된 회원관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회원관계정보에 기반하여 회원 간의 사회관계망 형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사회관계망 형성을 위한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회원관계정보에 기반하여 회원 간의 사진 공유 정보를 회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권한을 회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14. 회원의 사진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진저장부와,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사진정보저장부, 및 상기 사진과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저장부 및 사진정보저장부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관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가 사진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사진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보관정보가 사진정보처리부에 의해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와 상기 사진보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를 보완하는 정보보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사진의 회원을 특정하기 위한 회원특정정보 및 상기 회원의 타 회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원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정보는 사진속성정보 및 사진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관리정보는 사진기본관리정보와 사진공유정보 및 사진보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기본관리정보는 카테고리-그룹-이벤트-이름(인물정보)의 계층적 분류체계를 갖는 표준화된 분류체계 및 카테고리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공유정보는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보관정보는 상기 사진 저장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진 저장부의 계정정보와 같은 사용자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사용자가 사진을 분류하여 놓은 앨범명(폴더명) 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의 파일명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의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사진저장부의 사진정보와 회원정보가 연계된 검색결과정보가 상기 사진정보처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사진검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정보에 따른 사진이 상기 사진정보처리부에 의해 상기 사진저장부로부터 상기 회원에게 제공되는 사진조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와 회원정보가 연계된 가공 정보를 회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관리 방법.
  18. 회원의 사진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진저장부와,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사진정보저장부, 및 상기 사진과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저장부 및 사진정보저장부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관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 의해 회원의 사진이 하나 이상의 사진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가 사진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사진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진에 대한 사진보관정보가 사진정보처리부에 의해 추출되는 단계;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와 상기 사진보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진정보 및 회원정보를 보완하는 정보보완 단계; 및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사진정보와 회원정보가 연계된 회원관계 정보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사진의 회원을 특정하기 위한 회원특정정보 및 상기 회원의 타 회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원관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정보는 사진속성정보 및 사진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관리정보는 사진기본관리정보와 사진공유정보 및 사진보관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기본관리정보는 카테고리-그룹-이벤트-이름(인물정보)의 계층적 분류체계를 갖는 표준화된 분류체계 및 카테고리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공유정보는 공유구분, 공유대상, 공유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보관정보는 상기 사진 저장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진 저장부의 계정정보와 같은 사용자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사용자가 사진을 분류하여 놓은 앨범명(폴더명) 정보와, 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의 파일명 및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정보와 회원정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정보처리부가 상기 회원관계정보에 기반하여 회원간의 사회관계망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위한 정보를 회원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20. 삭제
KR1020150109902A 2015-08-04 2015-08-04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KR10174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02A KR101749603B1 (ko) 2015-08-04 2015-08-04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02A KR101749603B1 (ko) 2015-08-04 2015-08-04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06A KR20170016606A (ko) 2017-02-14
KR101749603B1 true KR101749603B1 (ko) 2017-06-21

Family

ID=5812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02A KR101749603B1 (ko) 2015-08-04 2015-08-04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5298B (zh) * 2019-01-28 2021-01-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人物关系网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38B1 (ko) 2012-11-16 2015-03-04 네이버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앨범 단위의 사진 공유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77994A (ko) 2012-12-13 2014-06-25 박정란 사진 기반 소셜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20140072838A (ko) 2014-03-14 2014-06-13 (주)카카오 사진 공유를 추천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사진 공유 인터페이스 영역을 표시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06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654B2 (en) Context-based file selection
US10331757B2 (en) Organizing network-stored content items into shared groups
US9338242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US10409850B2 (en) Preconfigured media file uploading and sharing
US9531823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feedback data
US8341219B1 (en) Sharing data based on tagging
US20180365489A1 (en) Automatically organizing images
US20150186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Ranking of Search Results
US9030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documents
US2010012185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lbuming content
US20120324002A1 (en) Media Sharing
US9521211B2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US20100070875A1 (en) Interactive profile presentation
US9405964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image content analysis
WO2015107640A1 (ja) アルバム作成プログラム、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アルバム作成装置
JP2020115294A (ja) 画像候補決定装置,画像候補決定方法,ならびに画像候補決定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1497938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앨범 단위의 사진 공유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242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content items to store and present locally on a user device
US10977677B2 (en) Contact importer
JP2015141530A (ja) 情報処理装置、スコア算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101519421B1 (ko)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시스템
WO2014073171A1 (ja) 公開承認依頼方法、公開承認依頼システムおよび公開承認依頼サーバ
KR102231562B1 (ko)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모임 이벤트를 생성하고 공유하고 배포하기 위한 모임 정보 생성 서버의 운영방법
KR101749603B1 (ko) 사진 정보와 회원 정보를 이용한 통합적 사진 정보 관리 시스템, 사진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회관계망 서비스 방법
JP4542013B2 (ja) 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およびプリント注文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