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994B1 -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94B1
KR101748994B1 KR1020160052393A KR20160052393A KR101748994B1 KR 101748994 B1 KR101748994 B1 KR 101748994B1 KR 1020160052393 A KR1020160052393 A KR 1020160052393A KR 20160052393 A KR20160052393 A KR 20160052393A KR 101748994 B1 KR101748994 B1 KR 10174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s
access category
access
queue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김남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5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5Individual queue per QOS, rate or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 H04L47/627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based on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 H04L47/628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based on packet size, e.g. shortest packet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3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망 내 패킷 전송 방법은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METHOD OF TRANSMITTING QoS PACKETS IN WIRELESS BACKHAUL NETWORK,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필요한 매체 접근 제어 계층과 물리 계층의 동작 방식을 서술한 표준이다. 802.11은 기본적으로 광범위한 동작 방식을 서술하고 있으며 이후 제정된 많은 전송 규격들은 802.11에 바탕을 두고 있다. 802.11의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서는 서비스 품질(QoS)의 종류에 따라 전송하여야 할 패킷을 분류하고 이들의 경쟁 윈도우의 크기를 달리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고 있다.
802.11 매체 접근 방식으로 접근 후 오직 하나의 패킷만 전송한다면 매체 접근 제어 계층의 처리량은 매우 낮아진다. 이는 매체 접근을 위한 경쟁 윈도우의 크기와 각 프레임 사이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이에, 802.11 표준에서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PA(packet aggregation)과 BA(block acknowledgement) 기능을 제공한다. PA는 두 간계에서 가능하다. MSDU(MAC service data unit)를 직접 한 A-MSDU(aggregated MSDU)를 통해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 데이터가 전달되기 전 한번 집적된다.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직접 한 A-MPDU(aggregated MPDU)를 통해 매체 접근 제어 계층에서 나온 데이터를 집적한다. 이렇게 직접된 패킷들은 전송 후 ACK(acknowledgement)를 받을 때 역시 BA를 통해 받게 된다. 802.11에서는 A-MSDU를 하나의 비트로 표현된 비트맵 ACK 패킷을 주고 받음으로써 A-MSDU의 전송 성공 유무를 알린다.
기존 802.11 표준에서는 PA를 수행하는데 일정 제약이 존재한다. PA에 이용되는 모든 패킷의 QoS 범주는 같아야 한다. 즉 같은 종류의 패킷만 집적이 될 수 있고 이렇게 직접된 패킷은 정의된 경쟁 윈도우와 AIFSN, TXOP에 따라 매체 접근 권한을 받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A-MSDU의 길이에 관한 제약과 가능한 MSDU의 개수의 제약이 존재한다. A-MPDU의 길이에 관한 제약과 가능한 MPDU의 개수에 관한 제약도 존재한다.
실시예들은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고려하여 무선 백홀망 내에서 서로 상이한 종류의 QoS 패킷들을 한번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망 내 패킷 전송 방법은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부터 순서대로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이미 할당된 패킷의 수와 TXOP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된 패킷들을 집합하는(aggregation) 단계와, 집합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를 제외한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백홀망 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은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하는 컨트롤러와, 정렬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부터 순서대로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이미 할당된 패킷의 수와 TXOP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된 패킷들을 집합(aggregation)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를 제외한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의 일 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10)은 중앙 기지국(100) 및 서브 기지국(2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3GPP2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중앙 기지국(100)과 서브 기지국(200)은 이동국(mobile station), 고정국(fixed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중앙 기지국(100)과 서브 기지국(200)은 무선 백홀망에서 802.11 전송 규격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기지국(100)은 802.11 전송 규격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QoS를 요구하는 패킷과 여러 종류의 사용자의 패킷을 서브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패킷들은 QoS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접근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접근 범주들은 QoS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다.
표 1에서와 같이 복수의 범주들은 Background, Best effort, Video, 및 Voice구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은 QoS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QoS 파라미터는 CW(Contention Window) 파라미터, AIFSN(Arbitration Interframe Space Number) 파라미터, TXOP(Transmit Opportunity)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W 파라미터는 최대 CW 파라미터와 최소 CW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TXOP 파라미터는 최대 TXOP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16041142193-pat00001
Background 패킷은 Background 접근 범주로 구분되고, Best effort 패킷은 Best effort 접근 범주로 구분되고, Video 패킷은 Video 접근 범주로 구분되고, Voice 패킷은 Voice 접근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접근 범주들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될 확률이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는 Voice 접근 범주, Video 접근 범주, Best effort 접근 범주, Background 접근 범주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oice 패킷, Video 패킷, Best effort 패킷, Background 패킷 순서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큐(Queue, 또는 대기 행렬)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은 대응하는 큐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패킷은 해당하는(또는 구분되는) 접근 범주의 큐에 쌓여 대기할 수 있다. 또한, 패킷은 전송되어 큐에서 제거될 수도 있다. 이에, 각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의 개수는 파악될 수 있다.
중앙 기지국(100)이 한번의 채널 접근에서 특정 QoS의 패킷만을 전송해야 한다면, 복수의 접근 범주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 상황에 따라 물리적 자원 이용에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ce 패킷들이 Voice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1)에 대기하고, Video 패킷들이 Video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2)에 대기하고, Best effort 패킷들이 Best effort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3)에 대기하고, Background 패킷들이 Background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4)에 대기할 수 있다. 중앙 기지국(100)이 Voice 패킷만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3개의 Voice 패킷만이 서브 기지국(200)으로 전송된다.
중앙 기지국(100)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은 12개로, 중앙 기지국(100)은 규격의 전송 길이를 맞추기 위해 9개의 빈 패킷에는 제로 패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기지국(100)은 현재 점유한 채널 총 사용 시간인 TXOP 만큼 긴 시간을 점유할 수 없어 시간 자원 이용에도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즉, 중앙 기지국(100)이 전송 하려는 특정 QoS의 패킷이 한번에 전송 가능한 패킷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중앙 기지국(100)의 전송 효율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중앙 기지국(100)은 802.11 n 및 ac 전송 규격 내 PA(packet aggregation)과 BA(block acknowledgement)에서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QoS 패킷을 한번에 서브 기지국(200)으로 전송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기지국(100)은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고려하여 각 큐(Q-1~Q-4)에 대기하는 패킷들을 한번에 효율적으로 서브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기지국(100)은 한번의 채널 접속 성공으로 채널 점유 가능 시간인 TXOP 긴 시간 동안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기지국(100)은 제로 패딩 수행을 줄일 수 있다.
서브 기지국(200)은 중앙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예를 들어 QoS 패킷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T)), 무선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AT),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SS)),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WTRU)), 이동 노드, 또는 모바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의 일 예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의 다른 예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중앙 기지국(100)은 컨트롤러(110) 및 MIMO 안테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중앙 기지국(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Q-1~Q-4)의 상태를 확인하고, 큐(Q-1~Q-4)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 큐(Q-1~Q-4)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1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 예를 들어 Voice 접근 범주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는 매체 접근 계층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10)는 매체 접근 계층으로부터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Voice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1)에 이미 할당된 패킷의 수와 TXOP에 기초하여 큐(Q-1)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110)는 큐(Q-1)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부터 순서대로 큐(Q-2~Q-4)에 대기하는 패킷을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1)에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0)는 Video 접근 범주, Best effort 접근 범주, 및 Background 접근 범주 순서로 큐(Q-2~Q-4)에 대기하는 패킷을 큐(Q-1)에 정렬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큐에 정렬된 패킷을 집합(aggregation)하고, 집합된 패킷을 MIMO 안테나(130)를 통해 서브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MIMO 안테나(130)는 패턴 특성 및 편파 특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안테나들(또는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10)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큐(Q-1~Q-4)와는 상이한 전송 큐에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Q-1~Q-4)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쌓을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10)는 전송 큐를 Voice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Q-1)로 가상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10)는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 예를 들어 Voice 접근 범주를 최초 전송할 접근 범주로 선택할 수 있다(S710). 또한, 최초 전송할 접근 범주는 매체 접근 계층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매체 접근 계층으로부터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선택된 접근 범주의 큐에 대기하는 패킷 수가 전송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 수를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720).
Figure 112016041142193-pat00002
는 TXOP 또는 전송 가능한 패킷 수의 최대값일 수 있다.
Figure 112016041142193-pat00003
는 현재 전송 큐에 쌓인 패킷 수일 수 있다.
Figure 112016041142193-pat00004
는 현재 선택된 접근 범주의 큐에 쌓인 패킷 수일 수 있다. 최초 전송할 접근 범주로 Voice 접근 범주가 선택될 때, 전송 큐는 Voice 접근 범주의 큐(Q-1)일 수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접근 범주가 Voice 접근 범주라 할 때, 큐(Q-1)에 쌓인 Voice 패킷은 6개이고,
Figure 112016041142193-pat00005
는 12라고 가정하는 경우, Voice 패킷이 한번에 전송 가능한 패킷 수보다 적으므로, 컨트롤러(110)는 전송 큐에 다른 접근 범주의 패킷을 더 실을 수 있다(S730, S740).
컨트롤러(110)는 선택된 접근 범주의 패킷을 전송 큐에 쌓고(S730),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를 선택할 수 있다(S740). 이후, 컨트롤러(110)는 단계 S720 내지 S74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전송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 수를 만족하는 경우, 컨트롤러(110)는 선택된 접근 범주의 큐에 대기하는 패킷들 중에서 추가 가능한 패킷을 전송 큐에 최대치만큼 쌓은 후, 남은 패킷을 그대로 선택된 접근 범주의 큐 큐에 대기시킬 수 있다(S750).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브 기지국(200)은 중앙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집합된 패킷을 수신하고, QoS control field 값을 이용하여 집합된 패킷에 포함된 패킷들을 전송되기 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무선 백홀망 내 패킷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나머지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부터 순서대로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이미 할당된 패킷의 수와 TXOP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된 패킷들을 집합하는(aggregation) 단계; 및
    집합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를 제외한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7. 무선 백홀망 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각각에 대응하는 큐에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선택된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전송되어야 할 패킷을 정렬하는 컨트롤러; 및
    정렬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를 포함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를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에 기초하여 나머지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부터 순서대로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이미 할당된 패킷의 수와 TXOP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가능한 패킷의 수를 결정하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는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근 범주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접근 범주인 기지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정렬된 패킷들을 집합하는(aggregation) 기지국.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에 대응하는 큐에 상기 선택된 접근 범주를 제외한 나머지 접근 범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큐에 대기하는 패킷을 정렬하는 기지국.
KR1020160052393A 2016-04-28 2016-04-28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74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93A KR101748994B1 (ko) 2016-04-28 2016-04-28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93A KR101748994B1 (ko) 2016-04-28 2016-04-28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994B1 true KR101748994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93A KR101748994B1 (ko) 2016-04-28 2016-04-28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9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214B1 (ko) 사이드링크 데이터 복제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388094B2 (en)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UL MU-MIMO) transmission request method in UL MU-MIMO communication
JP6257759B2 (ja) マルチキャリア環境内における無線リンク性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7177259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US11146314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for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UL MU-MIMO) communication
US2020028088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du formatting according to sdu segmentation
WO2018082595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基站
WO2021035231A2 (en) Uplink-re-transmission with compact memory usage
KR101748994B1 (ko) 무선 백홀망 내 QoS 패킷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WO2019238014A1 (zh) 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TWI751899B (zh) 用於處理實體上鏈路控制通道碰撞的裝置
CN108667578A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KR101512731B1 (ko)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WO2021152369A1 (en) Dynamic uplink end-to-end data transfer scheme with optimized memory path
CN111357223B (zh) 一种通信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080140A1 (en) Terminal,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24001843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通信装置
US1196868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1152368A1 (en) Adaptable grant prediction for enhanced packet data transmission
CN11735495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896431A (zh) 处理块确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