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46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46B1
KR101748846B1 KR1020100132151A KR20100132151A KR101748846B1 KR 101748846 B1 KR101748846 B1 KR 101748846B1 KR 1020100132151 A KR1020100132151 A KR 1020100132151A KR 20100132151 A KR20100132151 A KR 20100132151A KR 101748846 B1 KR101748846 B1 KR 10174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connector
mounting hous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0722A (en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46B1/en
Publication of KR2012007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관을 장착하우징(10)이 형성하는데, 상기 장착하우징(10)에는 전후로 관통하여 유니트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트안착부(14)는 격벽(15)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유니트안착부(14)에는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설치된다.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는 외관을 유니트하우징(22)이 형성하고 내부의 터미널안착부(24)에 터미널이 안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선단은 상기 유니트안착부(14)에서 돌출되는데, 상대 커넥터(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해 리어홀더(30)가 사용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홀더(30)를 분리하면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상기 장착하우징(10)에서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종 조립라인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선별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The outer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mounting housing 10, and a unit seating portion 14 is formed in the mounting housing 10 so as to pass therethrough. A plurality of unit seating portions 14 are defined by barrier ribs 15 and each unit seating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 unit connector unit 20.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nit housing 22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terminal is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inside. The tip of the unit housing 22 protrudes from the unit seating portion 14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ounter connector 40. The rear holder 30 is used to prevent the unit connector unit 20 from being pushed back to the mounting housing 10 and to support the terminal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 The rear holder 30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When the rear holder 30 is detached, the unit connector unit 2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of the final assembly line can be improved, and the unit connector unit 20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are reduced.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0001]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이 구비된 단위유니트가 다수개 구비되어 단위유니트 별로 리워크가 가능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unit units having at least one terminal therein.

커넥터는 주로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서로 결합되는 각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형태를 기준으로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로 구별된다.The connector mainly perform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wire, and is constructed by providing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nside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terminal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respectively,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Such a connector is distinguished from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based on the shape of a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housing.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일대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이나, 하나의 커넥터에 다수개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숫커넥터에 다수개의 암커넥터가 각각 별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반대로 하나의 암커넥터에 다수개의 숫커넥터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connectors may be coupled one to the other, or a plurality of connectors may be coupled to one connector. For example,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may be used separately from one male connector. Of course, conversely,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female connector.

하지만, 이와 같이 다수개의 커넥터를 하나의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조립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최종 조립라인에서 다수개의 커넥터를 하나의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는 경우에 최종 조립라인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coupled to one mating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who performs the assembling work is greatly reduc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connected to one mating connector in the final assembly line, the operability of the final assembly line is poor.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터미널측에서만 교체요인이 발생해도 전체 커넥터를 분해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일부의 터미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tegrat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into one is adopted.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inconvenient to disassemble the entire connector even if a replacement factor occurs only at one terminal side. If necessary, some terminals may not be used.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such a ca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단위커넥터유니트를 장착하여 하나의 커넥터조립체를 만들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gle connector assembly by mounting several unit connector uni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커넥터유니트를 개별적으로 분리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ly manage unit connector uni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해서 유니트안착부가 형성되는 장착하우징과, 상기 장착하우징의 유니트안착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유니트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 터미널안착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선단이 상기 장착하우징의 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단위유니트커넥터와, 상기 장착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단위유니트커넥터가 장착하우징 내에 안착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하우징의 유니트안착부는 장착하우징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이 입구부이고, 장착하우징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이 출구부이며, 상기 출구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입구부의 횡단면적보다 작아 상기 단위유니트커넥터의 유니트하우징이 출구부측에 걸어져 설치되고,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상기 유니트안착부에 안착되는 단위유니트커넥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레버가 걸어지는 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레버의 걸이턱이 걸이채널의 일단부에 걸어지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입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다수개가 돌출되어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 내부로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하우징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a mounting housing having a unit seating portion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thereof back and forth, and a shape insertable into the unit seating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A unit unit connector including a unit housing having a terminal mounted on a terminal sea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unit housing forward and rearward and having a tip protruding outward through an outlet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And a rear holder for supporting the unit unit connector so that the unit unit connector is seated in the mounting housing. The unit seating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h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as an inlet portion,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ion is the lateral And the unit housing connector is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unit unit connector, and the mounting housing is provided with a hooking channel on which hooking lev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nit unit connector to be mounted on the unit mounting portion are hooked, And a plurality of hooks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of the unit housing, wherein the hook body is hooked to one end of the hook channel, the rear holder extending across the mouth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A supporting arm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nd a hook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lder body and is hooked to the mounting housing.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선단부쪽의 횡단면적은 후단부쪽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에 유니트하우징의 후단부쪽이 걸어진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nit housing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unit housing is hooked to the outlet portion.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외면 중앙에서 선단을 향해 삽입가이드슬릿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안내한다.An insertion guide slit is formed toward the distal end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to guide the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상기 리어홀더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룬다.
The rear holder is a pair of two.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에서는 단위커넥터유니트를 장착하우징에 장착하여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므로 단위커넥터유니트의 삽입갯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커넥터조립체의 호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it connector unit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using to configure the connector assembly, the number of insertion of the unit connector unit can be variously adjusted,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connector assemb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최종 조립라인에 단위커넥터유니트를 장착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투입할 수 있어 최종 조립라인에서의 조립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it connector uni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using in the final assembly line, the assembling work in the final assembly lin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본 발명에서는 리어홀더를 분리하면 단위커넥터유니트를 장착하우징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단위커넥터유니트의 개별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it connector un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using by detaching the rear holder, individual unit maintenance of the unit connector unit become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하우징의 구성을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커넥터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unting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unit connector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upled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의 외관을 장착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장착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장착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장착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 유니트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트안착부(14)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후단쪽이 입구부(14')가 되고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선단쪽이 출구부(14")가 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부(14')의 횡단면적이 상기 출구부(14")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유니트장착부(14)의 내부로 입구부(14')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유니트안착부(14)로 삽입되고 출구부(14")를 통해서는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선단부만이 통과하여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유니트안착부(14) 내에 특정한 위치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mounting housing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housing 10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housing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the in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0, a unit seating portion 14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housing 10 back and forth.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seat 10 serves as an inlet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serves as an outlet portion 14'. In the unit seating portion 14,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ion 1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ion 14 ". This is because the unit connector unit 20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unit mounting portion 14 through the inlet portion 14 'into the unit mounting portion 14 and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inserted into the unit mounting portion 14 through the outlet portion 14' Only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passes so that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hook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unit mounting portion 14. [

상기 유니트안착부(14)는 상기 장착하우징(10) 내부에서 각각 격벽(15)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격벽(15)에 의해 각각 구획된 상기 유니트안착부(14)에는 각각 하나 씩의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격벽(15)이 상기 장착하우징(10)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단차(15')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15')사이로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유니트하우징(22) 양단이 안내되어 삽입된다.The unit seating portions 14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15 in the mounting housing 10, respectively. One unit connector unit 20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unit seating part 14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15. A step 15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5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10 so that both ends of the unit housing 22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are guid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15' .

상기 유니트안착부(14)와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외면쪽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유니트안착부(14)의 입구부(14')측에서 출구부(14")쪽으로 길게 걸이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6)은 각각의 유니트안착부(14)의 전후 방향 양단에 해당되는 장착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6)은 상기 유니트안착부(14) 내부와 장착하우징(10)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장착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걸이채널(16)이 반드시 장착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장착하우징(20)의 유니트안착부(14) 내면에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ooking channel 16 is extended from the inlet portion 14 'side of the unit seating portion 14 toward the outlet portion 14' 'so as to communicate the unit seating portion 14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e hooking channel 1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10 corresponding to bo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espective unit seating portions 14. The hooking channels 16 are formed on the unit seating portions 14 The hooking channel 16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housing 10 but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housing 10 through the mounting housing 10. [ Or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seating portion 14 of the housing 20.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양측 외면에는 결합레버(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17)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전후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결합레버(17)는 'T'자 형상으로 상기 장착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17)의 선단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40)의 결합돌기(44)와 결합되는 결합턱(1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17)의 후단에는 손잡이(1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housing 10, a coupling lever 17 is formed. The engaging lever 17 extends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e coupling lever 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housing 10 in a 'T' shape. An engaging protrusion 17 ',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44 of the mating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truded and formed inside the tip of the engaging lever 17.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lever 17, a handle 18 is formed to protrude.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외면 양측 중 후단쪽에는 홀더걸이턱(1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더걸이턱(19)은 장착하우징(10)의 양측 외면 후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총 4개가 장착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걸이턱(19)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30)를 장착하우징(10)에 장착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장착하우징(10)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holder hooking protrusion 19 protrudes from a rear end of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e holder hooking jaws 19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outer edge of the outer side of the mounting housing 10, respectively. That is, a total of fou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e holder holding jaw 19 serves to prevent the unit connector unit 20 described below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of the mounting housing 10 by mounting the rear holder 30 described below to the mounting housing 10 do.

단위커넥터유니트(20)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유니트안착부(14)에 장착되는 것이다.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외관을 유니트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은 상기 장착하우징(10) 내부에 대부분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이므로 유니트안착부(1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은 선단쪽의 횡단면적이 후단쪽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유니트하우징(22)이 장착하우징(10)의 출구부(14")를 통해 장착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면서도 장착하우징(10)의 외부로 출구부(14")를 통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mounted to the unit mounting portion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 The unit housing (2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The unit housing 22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Since the unit housing 22 is most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using 10, the unit housing 2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nit seating portion 14.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ormed in a flat hexahedron shape. The unit housing 22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at the tip end side is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at the rear end side. This allows the unit housing 22 to protrude out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rough the outlet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but also through the outlet 14" In order to avoid such problems.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4)는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표면의 중간부분에서 선단까지 길게 삽입가이드슬릿(2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슬릿(26)은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서로 대응되는 양쪽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슬릿(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40)의 내부에 형성된 대응되는 가이드리브(도시되지 않음)가 안내되어 위치된다.The terminal housing part 22 is formed with a terminal seating part 24 to which a terminal (not shown) is inserte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unit housing 22. [ The insertion guide slit 26 is formed to be long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unit housing 22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to the tip thereof. The insertion guide slits 26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unit housing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insertion guide slit 26 is guided by a corresponding guide rib (not shown) formed inside the mating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양측 외면에는 걸이레버(28)가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28)는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상대적으로 선단쪽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레버(28)의 후단 외면에는 걸이턱(2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9)은 상기 장착하우징(10)의 걸이채널(16) 끝부분에 걸어져 유니트하우징(22)이 유니트안착부(14)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29)에는 유니트하우징(22)의 선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안내경사면(29')이 형성되어 있다.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unit housing 22, the hooking levers 28 are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The hooking lever 28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tip end side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unit housing 22,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 hooking protrusion (29)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hooking lever (28). The hooking jaw 29 is hooked to the end portion of the hooking channel 16 of the mounting housing 10 to prevent the unit housing 22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unit seating portion 14. [ A guide slope 29 'is formed at the hooking jaw 29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end of the unit housing 22.

리어홀더(30)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후단에 걸어져 상기 유니트하우징(22) 자체와 유니트하우징(22)의 터미널안착부(24) 내부에 있는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2개가 별개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리어홀더(30)의 일측 단부에서만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The rear holder 30 is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to support a terminal inside the terminal housing 22 of the unit housing 22 and the unit housing 22 itself. Two of the rear holders 30 are made separately. However, the rear holder 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holder 30 only at one end thereof.

상기 리어홀더(30)에는 홀더몸체(32)가 길게 바아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홀더몸체(32)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입구부(14')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홀더몸체(32)의 일면에는 다수개의 지지아암(33)이 정해진 간격을 가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아암(33)은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터미널안착부(24) 내부로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아암(33)은 홀더몸체(32)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형성되지 않고 일측단부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지지아암(33)이 치우치는 방향은 상기 터미널안착부(24)의 중앙쪽이다.The rear holder 30 includes a holder body 32 having a long bar shape. The holder body 32 is positioned across the inlet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to prevent the unit housing 22 from being pushed. A plurality of support arms 33 protrude from the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32 with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upport arm 33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to support the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arm 33 is no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holder body 32 but is biased toward one side e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arm (33) is displaced is the center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상기 홀더몸체(32)의 양단에는 홀더몸체(3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걸이편(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4)에는 걸이공(36)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홀더걸이턱(19)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편(34)은 상기 리어홀더(30)은 장착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t both ends of the holder body 32, a hooking piece 34 is formed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32. A hooking hole 36 is formed in the hooking piece 34 so that the holder hooking jaw 19 of the attaching housing 10 is hooked. The hooking piece 34 serves to mount the rear holder 30 on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40)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대 커넥터(40)의 외관을 상대 하우징(42)이 형성하는데, 상기 상대 하우징(42)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결합레버(17)가 걸어지는 결합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상대 하우징(42)의 후단으로는 상대 터미널(46)이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은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대 터미널(46)의 선단부는 상기 상대 하우징(4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터미널안착부(24) 내부로 삽입되어 단위커넥터유니트(20) 내부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tructure of the mating connector 40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mating housing 4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40 and coupling protrusions 44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mating housing 42 so that the mating lever 17 of the mounting housing 10 is hooked . A counterpart terminal 46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mating housing 42, and the protruded portion is a portion mounted on the board. The front end of the mating terminal 46 is positioned inside the mating housing 42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to be coupled with a terminal inside the unit connector unit 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입구부(14')를 통해 각각의 유니트안착부(14)에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장착시킨다.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는 선단부가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출구부(14")를 통해 일부 돌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mounted to each unit seating portion 14 through the inlet portion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e tip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partially protruded through the outlet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상기 유니트안착부(14)에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레버(28)는 상기 유니트안착부(14)의 입구부(14')을 통과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걸이턱(29)이 상기 걸이채널(16)을 만나게 되면 복원되어 상기 걸이턱(29)이 걸이채널(16)의 일측 끝부분에 걸어지게 된다.The hooking lever 28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ion 14 'of the unit seating portion 14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unit connector unit 20 into the unit seating portion 14, The hook 29 is restored when the hook 29 reaches the hooking channel 16 so that the hooking hook 29 is hooked to one end of the hooking channel 16. [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유니트안착부(14)에 각각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삽입한 후에는 리어홀더(30)를 장착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한다. 즉, 상기 리어홀더(30)의 지지아암(33)이 각각의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터미널안착부(24)로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게 하고, 상기 걸이편(34)의 걸이공(36)에 상기 장착하우징(10)의 홀더걸이턱(19)이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fter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unit mounting portions 14 in this manner, the rear holder 30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That is, the support arm 33 of the rear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of each unit connector unit 20 to support the terminal, and the hooking hole 36 of the hooking piece 34 The holder hooks 19 of the mounting housing 10 are hooked.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어홀더(30)의 홀더몸체(32)는 단위커넥터유니트(20)가 장착하우징(1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걸이레버(28)와 함께 이중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홀더(30)의 지지아암(33)은 상기 유니트하우징(22)의 터미널안착부(24) 내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터미널안착부(24)내부에서 터미널은 별도의 랜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있다.The holder body 32 of the rear holder 30 is doubly supported together with the hooking lever 28 so that the unit connector unit 20 does not come out of the mounting housing 10 at random. The support arm 33 of the rear holder 30 supports a terminal that is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4 of the unit housing 22. Of course, within the terminal seating 24, the terminal is also supported by a separate lance (not shown).

상기 장착하우징(10)의 유니트안착부(14)에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안착시키고 리어홀더(30)를 장착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시킨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어홀더(30)가 장착된 후방으로 와이어가 연장되지만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A state in which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seated in the unit seating portion 14 of the mounting housing 10 and the rear holder 30 is mounted in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10 is shown in FIG. Of course, the wire is extended to the rear where the rear holder 30 is mounted, but it is not show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도 1의 상태로 조립되어 최종 조립라인에 제공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의 유니트하우징(22)의 선단부가 상대 커넥터(40)의 내부로 삽입되어 터미널(46)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조립체와 상대 커넥터(40) 사이의 결합은 상기 결합레버(17)의 결합턱(17')이 상기 상대 하우징(42)의 결합돌기(44)에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the state of FIG. 1 and provided in a final assembly line. 5, the tip end of the unit housing 22 of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ting connector 40, and the terminal 46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mating connector 40 is achieved by coup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7 'of the coupling lever 17 to the coupling protrusion 44 of the mating housing 42.

한편,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에 대한 유지보수는 손상된 것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가 상대 커넥터(4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단위커넥터유니트(20)만을 장착하우징(10)에서 분리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tenance for the unit connector unit 20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for damaged parts.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40, only the unit connector unit 20 requiring maintenance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using 10.

이를 위해서 상기 리어홀더(30)를 상기 장착하우징(10)에서 분리한다. 상기 리어홀더(30)가 분리되고 나면 상기 단위커넥터유니트(20)는 걸이레버(28)의 걸이턱(29)이 걸이채널(16)에 걸어진 것에 의해 장착하우징(10) 내에 유지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rear holder 3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housing 10. When the rear holder 30 is detached, the unit connector unit 20 is held in the mounting housing 10 by hooking the hook 29 of the hook lever 28 to the hook channel 16. [

따라서, 상기 걸이레버(28)의 선단을 잡고 걸이레버(28)가 유니트하우징(22)의 외면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하여 걸이턱(29)이 걸이채널(16)에서 빠지게 하면 단위커넥터유니트(20)를 장착하우징(10)에서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 hooking lever 29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22 so that the hooking jaw 29 is pulled out of the hooking channel 16,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using 1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상기 장착하우징(10)을 상대 커넥터(4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레버(17)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결합레버(17)와 같은 구성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lever 17 for coupling the mounting housing 10 to the mating connector 40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not the same as the coupling lever 17, Can be used.

10: 장착하우징 12: 하우징몸체
14: 유니트안착부 14': 입구부
14": 출구부 15: 격벽
15': 단차 16: 걸이채널
17: 결합레버 17': 결합턱
18: 손잡이 19: 홀더걸이턱
20: 단위유니트커넥터 22: 유니트하우징
24: 터미널안착부 26: 삽입가이드슬릿
28: 걸이레버 29: 걸이턱
29': 안내경사면 30: 리어홀더
32: 홀더몸체 33: 지지아암
34: 걸이편 36: 걸이공
40: 상대 커넥터 42: 상대 하우징
44: 결합돌기 46: 터미널
10: mounting housing 12: housing body
14: a unit seating part 14 ': an inlet part
14 ": outlet portion 15: partition wall
15 ': step 16: hook channel
17: engaging lever 17 ': engaging jaw
18: Handle 19: Holder hook jaw
20: Unit unit connector 22: Unit housing
24: terminal seating portion 26: insertion guide slit
28: Hanger lever 29: Hanger jaw
29 ': Guide slope 30: Rear holder
32: holder body 33: support arm
34: Hanger 36: Hanger
40: Relative connector 42: Relative housing
44: engaging projection 46: terminal

Claims (7)

내부를 전후로 관통해서 유니트안착부가 형성되는 장착하우징과,
상기 장착하우징의 유니트안착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유니트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 터미널안착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선단이 상기 장착하우징의 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단위유니트커넥터와,
상기 장착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단위유니트커넥터가 장착하우징 내에 안착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하우징의 유니트안착부는 장착하우징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이 입구부이고, 장착하우징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이 출구부이며, 상기 출구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입구부의 횡단면적보다 작아 상기 단위유니트커넥터의 유니트하우징이 출구부측에 걸어져 설치되고,
상기 장착하우징에는 상기 유니트안착부에 안착되는 단위유니트커넥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이레버가 걸어지는 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레버의 걸이턱이 걸이채널의 일단부에 걸어지고,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장착하우징의 입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다수개가 돌출되어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 내부로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홀더몸체의 양단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하우징에 걸어지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A mounting housing through which the unit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a unit housing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unit seating portion of the mounting housing, wherein a terminal is installed in a terminal seating portion formed to pass through the unit housing forward and backward, A unit connector,
And a rear holder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to support the unit unit connector so as to be seated in the mounting housing,
Where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ar end of the mounting housing is an inlet portion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front end of the mounting housing is an outlet portion and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ion is small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let portion, The unit housing of the first unit is mounted on the outlet side,
Wherein the mounting housing has a hook channel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unit unit connector that is seated in the unit mounting portion, the hooking hook being hooked to one end of the hooking channel,
The rear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extending across an inlet of the mounting housing, a support arm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of the unit housing to support the terminal, And a hook that is formed orthogonally to the mounting housing and is hooked to the mounting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선단부쪽의 횡단면적은 후단부쪽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출구부에 유니트하우징의 후단부쪽이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of the unit housing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of the unit housing, and the rear end of the unit housing is hooked to the outl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외면 중앙에서 선단을 향해 삽입가이드슬릿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5.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4, wherein an insertion guide sl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housing toward the tip to guide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6.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rear holder is a pair of two.
KR1020100132151A 2010-12-22 2010-12-22 Connector assembly KR101748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1A KR101748846B1 (en) 2010-12-22 2010-12-22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1A KR101748846B1 (en) 2010-12-22 2010-12-22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22A KR20120070722A (en) 2012-07-02
KR101748846B1 true KR101748846B1 (en) 2017-06-20

Family

ID=4670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151A KR101748846B1 (en) 2010-12-22 2010-12-22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204B1 (en) * 2013-09-02 2019-09-2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A connector assembly
KR101648720B1 (en) * 2014-12-30 2016-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alf fitting detection apparatus of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446B2 (en) * 1992-07-15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ic hoist
KR200427966Y1 (en) * 2006-06-16 2006-10-04 쉥 밍 엘렉트로닉스(동구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Assembly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446B2 (en) * 1992-07-15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ic hoist
KR200427966Y1 (en) * 2006-06-16 2006-10-04 쉥 밍 엘렉트로닉스(동구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Assembly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22A (en)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724836B2 (en) connector
JP4550470B2 (en) connector
US20080227331A1 (en)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mechanism having slide clip member
KR101337546B1 (en) Connector terminal
CN110739573B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748846B1 (en) Connector assembly
KR101578125B1 (en) connector
KR200470914Y1 (en) Connector
KR20090044365A (en) Connector
US9793639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multiple flexible terminal retaining beams
KR20110109444A (en) Connector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KR20180087849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enhanced terminal retaining beam
JP5272934B2 (en) connector
JP2000243502A (en) Joint connector
JP4816539B2 (en) connector
KR200476338Y1 (en) Connector
KR101315018B1 (en)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1076153B1 (en) Connector having an interlocking system
JPH1140256A (en) Connector-fitting structure
KR101452458B1 (en) Connector having interlock function
JP4792205B2 (en) connector
WO2022255060A1 (en) Joint terminal
JP5691899B2 (en) Relay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