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16B1 -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16B1
KR101748816B1 KR1020150191216A KR20150191216A KR101748816B1 KR 101748816 B1 KR101748816 B1 KR 101748816B1 KR 1020150191216 A KR1020150191216 A KR 1020150191216A KR 20150191216 A KR20150191216 A KR 20150191216A KR 101748816 B1 KR101748816 B1 KR 10174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control signal
control unit
control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혁
조중재
반종희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9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18Applications of computers to steam boil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8Adaptations for flue gas purification in steam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69Flexible bus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3Measuring NOx content in flue g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센서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10)와,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저장하고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판단단계(S20)와, 판단단계(S20)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3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는지 보일러 제어장치로부터 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4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가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제어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NOx emission reduction method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보일러에서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를 저감시키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물 또는 열매를 가열해서 대기압을 넘는 증기 또는 온수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하며, 가정용 보일러에서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거나 씻을 수 있도록 사용되고 산업용 보일러는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온수를 이용하여 산업현장에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화석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보일러의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에는 산소를 포함한 다량의 질소로 이루어져 있고, 화석연료가 고온에서 연소할 때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가 화합하여 처음에는 일산화질소가 형성된 후 대기 중에서 산화되어 이산화질소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인체에 유해하나 고농도 아래에서는 폐기종,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고 오존층을 파괴하거나 산성비를 만들게 되므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이 기준치 이하로 관리되도록 규제하고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0-0061156호는 배기가스 측정센서 및 이를 이용한 연료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센서는 지지공이 형성된 센서 지지판, 지지공에 삽입되되, 일정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기공 세라믹, 센서 지지판의 양측단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원형 전극판 및 원형 전극판의 양측에 일단이 절연보울트로 조임연결되고, 타단은 변압기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터미널 단자에 연결되는 리드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료량 제어장치는 연료가 저장된 오일탱크, 오일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플로우미터 내에 내장된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유입된 후, 보일러에 의해 연소배출되는 연료 배기가스의 성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배기가스 측정센서, 배기가스 측정센서 측정 부위의 온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용 온도센서 및 배기가스 성분신호 및 온도신호로부터 온도보상된 배기가스의 성분량을 산출하는 배기가스 계측기, 산출된 배기가스 성분량에 근거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어댑터 내의 스테핑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측정센서 및 이를 이용한 연료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보일러와 전원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하여 장치가 오작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기준치 이하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0-00611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부족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일러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배출되는 경우 보일러의 제어장치를 통해 연료분사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 생성을 저감시키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일러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때 노이즈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신된 제어 신호를 피드백 받아 노이즈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은 보일러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센서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10)와,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저장하고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판단단계(S20)와, 판단단계(S20)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3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는지 보일러 제어장치로부터 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4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가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제어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의 통신부는 보일러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의 통신부는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의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캔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부족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의하면 보일러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배출되는 경우 보일러의 제어장치를 통해 연료분사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 생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의하면 보일러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때 노이즈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신된 제어 신호를 피드백 받아 노이즈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가 보일러의 배기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의 통신부가 보일러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보일러에서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를 저감시키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가 보일러의 배기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100)는 연소 후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90) 내부에 형성되어 질소산화물을 측정하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준치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며 보일러 제어장치(10)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로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일러의 구조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관(20)과,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기(40)와, 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박스(60)와, 공기 공급박스에 산소가 포함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80) 및 송풍관(81)과, 연료가 분사되면 스파크를 발생시켜 불꽃을 형성시키는 착화기(30)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고 일방향으로 연소시키는 버너(50)와, 버너(50)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하는 열교환기(70)와,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기관(90)과,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일러 제어장치(10)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부(110)는 질소산화물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일러의 배기관(90) 내부에 삽입된 후 배기관(9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는 배기관(9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노출되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내열성이 강해야 하며, 전기 화학식 원리를 이용하여 일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의 농도 값을 각각 측정하여 질소산화물의 농도 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캔통신 모듈(121)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부(1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0)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보일러 제어장치(10)를 통해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전송되는 질소산화물 데이터를 배출 기준치와 실시간 비교하여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10)에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어신호를 받은 보일러 제어장치(10)는 제어신호를 통해 보일러에 형성된 연료분사기(40)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통신부(130)는 보일러 제어장치(10)와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부(130)는 보일러의 제어장치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신부(130)는 제어신호를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송신한 후 보일러 제어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피드백 받아 노이즈가 형성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수신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하게 되며, 이와 관련된 사항은 도 3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부(1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하여 센서부(110)와 전압분배기(142)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141)와, 컨버터(141)에서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제어부(120)와 통신부(130)에 서로 다른 직류전압으로 분배하여 노이즈 발생을 줄이는 전압분배기(1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부(140)에 형성된 컨버터(141)는 보일러와 전원을 공유하여 전력부족 현상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20V의 교류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직류전원으로 변경하여 센서부(110)와 전압분배기(142)로 공급하게 된다.
전압분배기(142)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변경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공급시키는 레귤레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컨버터(141)에서 공급된 직류전원을 통신부(130)와 제어부(120)의 사양에 맞는 전압으로 변경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압분배기(142)에서 제어부(120)와 통신부(130)로 공급되는 전압은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제어부(120)와 통신부(130)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내부 전원에 의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100)의 통신부(130)가 보일러 제어장치(10)와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위한 측정 장치의 통신부(130)는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도 2의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송신하고 보일러 제어장치(10)는 제어신호를 통해 도 2의 연료분사기(40)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도 2의 연료분사기(40)는 액추에이터로 형성되어 있고, 액추에이터의 모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하여 통신부(130)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부(130)가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때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을 응용하여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인 DATA_1을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송신하고, 보일러 제어장치(10)는 제어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을 경우 ACK와 함께 수신 받은 DATA_1을 함께 통신부(130)로 송신한다.
여기서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은 상호 접수하는 신호를 개별 확인해 가면서 제어를 진행해가는 것으로, 정보교환용 부호중 수신데이터가 옳다는 것을 송신측에 응답하기 위한 전송제어 부호인 ACK(acknowledge)와 수신된 데이터를 함께 송신측으로 보내 정상적으로 수신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또한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인 DATA_2를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송신하게 되는데 보일러 제어장치(10)에서 응답이 없을 경우 수신 받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다시 DATA_2를 송신하고, 보일러 제어장치(10)가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을 경우 ACK와 함께 수신 받은 DATA_2를 통신부(13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인 DATA_n을 보일러 제어장치(10)에서로 송신한 후 보일러 제어장치(10)가 ACK와 수신 받은 DATA_n을 통신부(130)로 다시 송신하게 된다.
이때 통신부(130)는 보일러 제어장치(10)로부터 수신된 DATA_n이 전송한 데이터와 다를 경우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ACK와 함께 DATA_n을 보일러 제어장치(10)로 전송하여 DATA_n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노이즈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은 보일러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센서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10)와,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저장하고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판단단계(S20)와, 판단단계(S20)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3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는지 보일러 제어장치로부터 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40)와,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가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제어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단계(S10)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보일러에서 연소된 후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형성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센서부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한 후 수치화하여 제어부로 전송되게 되며 전송되는 데이터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캔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하게 된다.
판단단계(S20)는 제어부가 센서부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농도 수치를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제어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며, 측정된 질소산화물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송신단계(S30)는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이 형성되어 있어 무선으로 보일러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수신단계(S40)는 통신부가 송신단계(S30)에서 보일러 제어장치로 송신된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보일러 제어장치가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와 함께 ACK를 통신부로 다시 송신하고 통신부는 수신한 ACK와 제어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피드백 받아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또는 노이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신단계(S30)와 수신단계(S40)에서 통신부는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되며, 노이즈 신호가 발생한 경우 통신부는 ACK와 원래 송신한 제어신호를 보일러 제어장치로 송신하여 제어신호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제어단계(S50)는 보일러의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줄이기 위한 단계로, 송신단계(S30)와 수신단계(S40)를 거쳐 통신부가 송신한 제어신호를 보일러 제어장치가 올바르게 수신하면 보일러 제어장치는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줄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부족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일러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배출되는 경우 보일러의 제어장치를 통해 연료분사를 조절하여 질소산화물 생성이 저감되고, 보일러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때 노이즈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송신된 제어 신호를 피드백 받아 노이즈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보일러 제어장치 20 : 연료관
30 : 착화기 40 : 연료분사기
50 : 버너 60 : 공기박스
70 : 열교환기 80 : 송풍기
81 : 송풍관 90 : 배기관
100 : 측정 장치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21 : 캔통신 모듈
130 : 통신부 140 : 전원부
141 : 컨버터 142 : 전압분배기
S10 : 측정단계 S20 : 판단단계
S30 : 송신단계 S40 : 수신단계
S50 : 제어단계

Claims (4)

  1. 보일러의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센서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S10)와;
    상기 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판단단계(S20)와;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통신부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30)와;
    상기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는지 보일러 제어장치로부터 피드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40)와;
    상기 송신단계(S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일러 제어장치가 연료의 분사각도 또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저감시키는 제어단계(S50);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컨버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컨버터를 통해 공급된 직류전원을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전압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압분배기로부터 변환된 서로 다른 전압을 각각 공급받아 동작하여 간섭이 발생하는 현상을 줄여 노이즈를 방지하며,
    상기 통신부는 3-way 응답확인방식(handshake)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장치로 제어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보일러 제어장치가 ACK(acknowledge)신호와 함께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여 올바른 제어신호가 상기 보일러 제어장치에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일러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가 송신한 제어신호와 다를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일러 제어장치에 ACK(acknowledge)신호와 함께 제어신호를 재송신 함으로써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보일러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캔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KR1020150191216A 2015-12-31 2015-12-31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KR10174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16A KR101748816B1 (ko) 2015-12-31 2015-12-31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216A KR101748816B1 (ko) 2015-12-31 2015-12-31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16B1 true KR101748816B1 (ko) 2017-06-19

Family

ID=5927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216A KR101748816B1 (ko) 2015-12-31 2015-12-31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835B1 (ko) * 2022-03-23 2022-06-29 주식회사 에이치디에너지 Lpg 기반 에너지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399A (ja) * 2012-11-02 2015-12-21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399A (ja) * 2012-11-02 2015-12-21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ガスタービン燃焼器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835B1 (ko) * 2022-03-23 2022-06-29 주식회사 에이치디에너지 Lpg 기반 에너지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759B2 (en) Assured compliance mode of operating a combustion system
KR101748818B1 (ko)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측정 장치
KR100784948B1 (ko) 수소버너 및 그 화염감지방법
KR101748816B1 (ko) 보일러용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방법
KR20130065629A (ko) 산소센서를 가진 물가열 시스템
CN105318350A (zh) 锅炉和用于控制来自锅炉的NOx排放的方法
US9851317B2 (en) Device for ascertaining a measure of a caloric value of a gas
CN103148504A (zh) 自适应经济燃烧控制系统
CN108431501B (zh) 可测量燃气使用量的燃烧装置及燃气使用量测量方法
JP201518521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3814253B (zh) 热力二次燃烧设备以及用于其运行的方法
KR101782893B1 (ko) 보일러의 멀티 온도조절기 자동 설정방법
CN109630297A (zh) 混合动力车用天然气发动机的氧传感器控制策略
CN101943396A (zh) 煤粉锅炉的燃烧控制方法和燃烧控制系统
EP2971964A1 (en) Burner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6020792A (ja) ボイラ装置
JP2016008803A (ja) ボイラ装置
KR20180000162A (ko) 전기 가열형 온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ES2898383T3 (es) Procedimiento para regular la relación de aire de combustión en el quemador de un calentador
KR102403218B1 (ko) 가스기기의 이상상태 감지방법 및 물 가열기
CN103443546B (zh) 用于燃气用具或锅炉的改进的控制方法
CN113767252A (zh) 用于监控燃烧器和/或燃烧器的燃烧行为的方法以及燃烧器装置
CN101394060A (zh) 燃烧驱动全气相碘激光燃烧室的点火控制装置及控制方法
JP6537987B2 (ja) 燃焼制御システム、及び燃焼制御方法
JP6413415B2 (ja) ボイ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