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693B1 -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693B1
KR101748693B1 KR1020160135943A KR20160135943A KR101748693B1 KR 101748693 B1 KR101748693 B1 KR 101748693B1 KR 1020160135943 A KR1020160135943 A KR 1020160135943A KR 20160135943 A KR20160135943 A KR 20160135943A KR 101748693 B1 KR101748693 B1 KR 10174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nsor
pattern
vibration patter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철
Original Assignee
모루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루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루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693B1/ko
Priority to PCT/KR2017/008946 priority patent/WO2018074721A1/ko
Priority to DE112017000603.1T priority patent/DE112017000603T5/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2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2015/086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particular means being integrated into a MEMS accelerometer structure for providing particular additional functionalities to those of a spring mass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을 포함한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진동센서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MEMS 타입 초소형 센서로 구성하고,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 사이에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기존 유선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유선 케이블 설치가 어려운 형상의 구조물이나 회전체와 같은 운동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 각각에 따른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측정하고 있는 대상의 진동패턴이 정상적인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진동의 발생원을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및 누적평균 패턴을 컨텍스트로 구성하여 현재는 정상상태이나 향후 확률적으로 작동이상 가능성이 있는 부품을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WIRELESS VIBRATION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을 포함한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진동센서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MEMS 타입 초소형 센서로 구성하고,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 사이에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기존 유선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유선 케이블 설치가 어려운 형상의 구조물이나 회전체와 같은 운동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 각각에 따른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측정하고 있는 대상의 진동패턴이 정상적인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진동의 발생원을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및 누적평균 패턴을 컨텍스트로 구성하여 현재는 정상상태이나 향후 확률적으로 작동이상 가능성이 있는 부품을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진동센서를 이용한 진동계측시스템은 자동차 연구개발, 항공기 구조분석, 기계 구조물의 연구개발 또는 펌프나 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운동체의 상태 모니터링에 널리 사용된다.
종래에는 유선 진동 계측 시스템이 이용되었는데 진동센서, 데이터 획득장비 및 분석 장비 간에 모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서, 위험지역이나 계측이 용이하지 않은 시설물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정밀계측이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의 유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원자력 발전소 특성상 펌프와 모터 등의 측정물과 데이터 분석 장비간에는 수 km 거리의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차량 주행시험시 차량에 30~40개의 진동센서를 부착하면서 케이블을 연결하고 시험 후에는 다시 케이블을 철거해야 되는 문제점과 같이 유선 시스템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또한, 시스템을 이루는 센서나 장비 등이 수입 제품이고 기계적 변환 시스템을 이용하여서 초기 설치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높아 시스템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 주로 사용되는 가속도 센서인 압전형 가속도 센서(piezoelectric type)는 기계적 변환 시스템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고가이고 무선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시스템은 진동을 감지 및 취합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많고, 패턴을 분석한다거나 특이 진동이 일어나는 발생원을 분석하는 것 등의 분석 기법까지는 채용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진동센서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로서 반도체 제작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초소형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고, 진동센서와 분석 수단 간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 수단은 패턴 분석과 위험신호 확률분석까지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안출하였다.
선행문헌을 검토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5694호에는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계측 방법 및 그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에는 '구조물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분석하는 모니터링 장치로 제공하는 무선 계측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의 진동, 습도, 온도, 소음 및 포토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습도, 온도, 소음 및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의 각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동적 데이터의 획득 및 처리, 저장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조물의 계측상황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연동된 무선 모뎀을 포함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각 센서의 동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모듈, 제어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계측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검토해보면, 각종 센서들과 제어모듈 및 통신모듈을 하나의 장치에 일체화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나, 센싱된 값의 패턴을 분석하는데까지는 이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4138호에는 '무선통신기술을 응용한 지능형 센서와 이를 이용한 진동 측정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을 살펴보면, '기계설비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지능형센서(S)는, 피특정면에 밀착되어 각종 설비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부(10)와, 취득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A/D변환후 실시간으로 FFT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0)와, 상기 신호처리부(20)로부터 처리된 신호는 무선모듈을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30)와, 피특정면에 밀착되는 센싱부(10)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부(40)와, 상기한 구성으로 된 센서(S)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송,수신부(30)는 블루투스모듈이며, 개인용휴대단말기와 개인용컴퓨터, 노트북컴퓨터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불루투스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송신측 블루투스모듈에서 송신되는 진동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술을 응용한 지능형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검토해보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채용했다는 점에서 본 출원발명과 일부 유사하나, 진동패턴을 분석하는 것 및 진동패턴을 이용하여 특이 신호를 검출하는 것 까지는 이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5694호(2009.06.2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4138호(2005.10.19. 공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진동센서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로서 초소형 MEMS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고, 진동센서와 분석 수단 사이에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 수단은 진동패턴 분석을 통해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진동의 발생원을 분석할 수 있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나아가서, 진동패턴 분석을 통해 현재는 정상상태이나 향후 확률적으로 작동이상 가능성이 있는 부품을 판단할 수 있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대상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으로서,
진동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진동 및 진동패턴을 포함하는 센싱값을 검출한 후에 진동분석수단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진동분석수단은 상기 센싱값을 이용하여,
- 시간 및 주파수 대역에서 센싱값을 신호처리하여 분석하고,
- 진동패턴을 분석한 후에,
진동 발생원과 진동패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분석수단은,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별 정상적인 진동패턴을 이용하여, 진동패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는, MEMS 타입 반도체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분석수단은,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및 누적평균 패턴을 컨텍스트로 구성하여 원하는 시간 단위로 컨텍스트의 동일성 여부를 검증한 후 컨텍스트의 변화양상을 파악한 후에 향후 측정대상의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분석수단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 주파수 범위, 샘플링 방법 및 분석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진동센서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MEMS 타입 초소형 센서로 구성하고,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 사이에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기존 유선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유선 케이블 설치가 어려운 형상의 구조물이나 회전체와 같은 운동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 각각에 따른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측정하고 있는 대상의 진동패턴이 정상적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및 누적평균 패턴을 컨텍스트로 구성하여 확률적으로 위험신호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은 N개의 진동센서(100) 및 진동분석수단(200)을 포함한다.(N은 자연수)
진동센서(100)는 구조물 또는 운동체에 부착되어 가속도, 온도 및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진동센서'는 진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센서들, 상기 센서들의 구동수단 및 상기 센서들의 통신수단을 모두 갖추고 있는 단일 디바이스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힌다.
각 진동센서(100)는 IP 기반으로 RF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IP로 식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센서노드로서 고유 식별자를 갖도록 하여 센서네트워크 프로토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진동센서(100)의 주요 구성으로는, 하우징, 드라이브 보드, 센싱부 및 송신부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배터리가 포함되어 전력공급을 수행한다.
하우징은 피측정물에 진동센서를 밀착부착하도록 형성되는데, 마운팅 스터드 또는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고정 밀착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진동 측정범위 내에서 공진을 회피하도록 피측정물과의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드라이브 보드를 보호하고 센싱부에 정확히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형상으로 구성한다.
드라이브 보드는 PCB 기판으로서, 센싱부,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 및 진동분석수단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송신부가 위치된다.
센싱부는 A/D 변환모듈, 노이즈제거모듈, ANTI-ALIASING 모듈, 각종 센서들 및 진동패턴 측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A/D 변환모듈은 진동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이즈 제거모듈은 아날로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티-알리아싱 모듈은 주파수 분석을 위해 알리아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들로는 가속도, 온도 및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및 각도에 따른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로서, 반도체 제작공정을 이용하여 초소형으로 제작된 MEMS 가속도 센서를 채용한다.
MEMS 가속도 센서는 일괄 공정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초소형 타입의 반도체이기 때문에 저가격과 저전력의 장점을 갖는다. 온도센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끔 반도체 타입의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진동패턴 측정수단은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값들을 일정 시간 간격 및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할하여 시간 대역 진동패턴과 주파수 대역 진동패턴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부는 센싱부의 신호를 진동분석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센싱부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검출값을 취합하여 진동분석수단(200)에 전송하되, 진동분석수단(200)의 설정에 따라 순서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기본적으로는 IP 기반의 RF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분석수단(200)은 N개의 진동센서(100)를 위치별로 인지 및 설정하고, 각 센서들의 신호들을 취합하여 지능적으로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하게 센서설정부, 신호처리부, 신호분석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센서설정부는 진동센서의 신호를 받기 위하여 진동센서와의 신호 채널을 설정한다. 또한, 각 진동센서들이 센싱값을 순서에 맞게 전송하도록 하거나 실시간으로 바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어떤 진동센서는 센싱값을 보내지 않게 하고 다른 진동센서는 센싱값을 보내는 것과 같은 선별적 수신 설정도 가능하다. 또한, 각 진동센서들의 주파수 범위, 샘플링 방법 및 분석 시간 대역도 설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모든 진동센서들의 센싱값을 처리한다. 주파수 도메인 분석을 위해서 FFT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10개의 진동센서가 실시간으로 센싱값을 전송했을 경우에, 시간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별로 10개의 센싱값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이 신호를 나타내거나 하는 분석을 수행한다.
특히, 센싱부에서 전달된 센싱값 중에서 진동패턴에 대해서는, 각각의 시간 간격 및 주파수 간격에서 진동패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진동패턴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주목할 수 있을 정도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동일성 여부는 평균적인 의미가 아니라 최소 범위 이내에서의 신호 파형의 반복적인 동일을 의미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누적된 평균치에서 허용 범위보다 넘어서는 신호 패턴을 동일하지 않다고 규정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신호처리부의 분석만으로도 특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생원을 발견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기본적으로는 진동센서에서 전송된 센싱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맞춤형 분석을 위해서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에 따른 각각의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신호분석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진동 측정 대상 맞춤형 분석을 수행하고 문제부품 발견과 부품 교체 권고 등의 가이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분석부가 필요한 이유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측정대상의 구조 및 측정대상에 속해있는 부품들의 기능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터 등과 같은 운동 부품이 존재하는 측정대상에서는 모터가 존재하는 부위는 다른 측정부위보다 진동이 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특이 신호를 낼 가능성이 높고 모터가 진동 발생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 후에 모터가 장착된 부위의 진동패턴을 면밀히 살피지 않게 되면 모터의 노후에 따른 이상 진동이나 다른 부위의 진동이 모터의 진동 때문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아낼 수가 없게 된다.
신호분석부는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 수명 및 계절에 따른 각각의 정상적인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측정되고 있는 진동패턴의 이상 여부를 분석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다른 종류의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 상판, 하판, 엔진 수명 및 겨울에 따른 정상적인 진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현재 측정하고 있는 자동차, 엔진, 상판, 하판의 진동패턴을 이용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수명 및 계절에 따른 진동패턴 은 기본적인 진동패턴에서 허용 범위 내에 있는 진동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측정 시작 후 일정 시간 측정된 진동패턴의 평균치를 정상 패턴이라고 규정하고 분석할 수도 있다.
신호분석부는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및 누적평균 패턴을 컨텍스트로 구성하여 현재는 정상상태이나 향후 확률적으로 작동이상 가능성이 있는 부품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측정대상 진동패턴, 부품 진동패턴, 측정위치 진동패턴, 부품수명 진동패턴, 계절 진동패턴, 누적평균 진동패턴)을 하나의 컨텍스트로 취급하되, 계층적 시간 컨텍스트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예를 들어, 1주일을 요일로 7등분하고, 하루 24시간을 4등분 하여 6시간씩 시간을 수치화한 후, 다시 매시간을 10분 단위로 전처리하여 계층적 트리 구조를 갖는 시간 컨텍스트로 변환한다. 그렇게 되면 1주일을 총 1,008개(1×7×4×6×6)의 시간 가지 수로 인덱싱이 가능하다. 인덱싱 후에는 컨텍스트의 일치 여부를 '주', '일', '시간' , '분' 단위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컨텍스트 패턴의 변화 양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래프 처리하여 보면 향후의 작동이상 가능성이 높은 시기 또는 부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컨텍스트로 전처리할 대, 각 패턴 요소에 가중치를 산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품수명에는 가중치를 2를 곱하고 나머지는 가중치를 1을 곱한다거나 또는 부품수명에는 가중치 2, 누적평균에는 가중치 1.5를 곱하고 나머지는 가중치 1을 곱하거나 하는 식으로도 컨텍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일 예로서, 10시간 간격의 패턴을 10분 단위로 측정한 상하한의 패턴 범위에 기초하여 ANTI-유사도를 판정한 결과이다. ANTI-유사도를 판정한 후에는 각 ANTI-유사도를 더하거나 ANTI-유사도에 가중치를 곱한 후 더하거나 해서 총 ANTI-유사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 전체적으로 최초 측정 10분 동안 ±1 dB 정도의 진동값을 갖는다고 볼 때 10시간 후에 측정할 때의 10분 동안 ±1.2 dB 정도의 진동값을 갖게 되므로 0.4 정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ANTI-유사도는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실험을 100시간 정도 측정한다고 했을 때 변화양상을 그래프화할 수 있게 되고 향후의 작동이상 가능성인 ±5 dB 까지의 예상 시기가 나올 수 있게 된다.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계절 누적평균
구체적 예 차량 엔진 상판 10년 겨울 10분
패턴범위 ±1 ±2 ±3 ±5 ±2.2 ±2.5
패턴범위
(10시간후)
±1.2 ±2.1 ±2.9 ±5 ±2.15 ±2.6
ANTI-유사도 0.4 0.2 0.2 0 0.1 0.2
상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및 도 2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진동센서
200: 진동분석수단

Claims (5)

  1. 측정대상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진동센서; 및 진동분석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으로서,
    진동센서는,
    MEMS 타입 반도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진동 및 진동패턴을 포함하는 센싱값을 검출한 후에 진동분석수단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진동분석수단은,
    상기 진동센서의 동작 주파수 범위, 샘플링 방법 및 분석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시간 및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센싱값을 신호처리한 신호값을 이용하여 진동패턴을 분석한 후에 진동 발생원과 진동패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되,
    - 측정대상, 부품, 측정위치, 부품수명 및 계절 각각의 정상적인 진동패턴을 이용하여, 진동패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법과,
    - 측정대상 진동패턴, 부품 진동패턴, 측정위치 진동패턴, 부품수명 진동패턴, 계절 진동패턴, 누적평균 진동패턴을 한 단위의 컨텍스트로 처리하되, 상기 컨텍스트를 계층적 시간 컨텍스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상기 계층적 시간 컨텍스트를 원하는 시간 단위로 동일성을 검증하되, 각 진동패턴의 시간 단위별 ANTI-유사도를 판정하고 각 진동패턴에 가중치를 설정하여 시간 단위별 ANTI-유사도 및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계산함으로써 동일성을 검증한 후에, 상기 동일성을 이용하여 컨텍스트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측정대상의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35943A 2016-10-19 2016-10-19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KR10174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43A KR101748693B1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PCT/KR2017/008946 WO2018074721A1 (ko) 2016-10-19 2017-08-17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DE112017000603.1T DE112017000603T5 (de) 2016-10-19 2017-08-17 Drahtloses Vibrationsmes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43A KR101748693B1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693B1 true KR101748693B1 (ko) 2017-06-19

Family

ID=5927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43A KR101748693B1 (ko) 2016-10-19 2016-10-19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8693B1 (ko)
DE (1) DE112017000603T5 (ko)
WO (1) WO20180747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94A (ko) 2019-12-27 2021-07-07 아셋케어 주식회사 무선 진동 센서의 배터리 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315A (ko) 2020-08-28 2022-03-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모아레를 이용한 진동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572A (zh) * 2019-04-12 2019-07-05 中国大唐集团新能源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振动加速度的检测仪
US11668680B2 (en) 2021-01-06 2023-06-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late bending wave direction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681B2 (ja) * 1995-12-27 2000-08-07 株式会社光研 多点同時計測システム
JP3568939B2 (ja) * 2002-05-24 2004-09-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回転機械の軸振動解析による状態診断方法及び装置
JP5651998B2 (ja) * 2010-05-25 2015-01-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パターンライブラリを用いた異常診断方法および異常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38B1 (ko) 2003-05-23 2005-10-27 (주)나다에스앤브이 무선통신기술을 응용한 지능형 센서와 이를 이용한 진동 측정방법
KR20090065694A (ko) 2007-12-18 2009-06-23 정용호 구조물의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계측 방법 및 그 장치
WO2014043391A1 (en) * 2012-09-12 2014-03-20 Finley Lee Ledbetter System and method for vibration analysis
KR101630308B1 (ko) * 2013-12-31 2016-06-14 가람전자(주)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681B2 (ja) * 1995-12-27 2000-08-07 株式会社光研 多点同時計測システム
JP3568939B2 (ja) * 2002-05-24 2004-09-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回転機械の軸振動解析による状態診断方法及び装置
JP5651998B2 (ja) * 2010-05-25 2015-01-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パターンライブラリを用いた異常診断方法および異常診断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94A (ko) 2019-12-27 2021-07-07 아셋케어 주식회사 무선 진동 센서의 배터리 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315A (ko) 2020-08-28 2022-03-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모아레를 이용한 진동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721A1 (ko) 2018-04-26
DE112017000603T5 (de)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693B1 (ko) 무선 진동 계측 시스템
US9389215B2 (en) Multi-modal fluid condition sensor platform and system thereof
US7725269B2 (en) Sensor infrastructure
JP6888083B2 (ja) 軸受の検出装置及び方法
US9453854B2 (en) Vibration sensor
EP15484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status of mechanical equipment and abnormality diagnosing device
US10618532B2 (en) Train couple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140266065A1 (en) Multi-modal fluid condition sensor platform and system thereof
US11608230B2 (en) Conveyor idler monitor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20120082304A (ko) 소음 및 진동 측정 시스템, 이를 위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JP2007241583A (ja) 力学量測定装置及び方法
KR20120135663A (ko)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풍향 풍속 계측시스템
US8844341B2 (en) Data collector for an internal engine component
CN108444592A (zh) 无线振动监测与诊断系统
EP24545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thin structure
KR100524138B1 (ko) 무선통신기술을 응용한 지능형 센서와 이를 이용한 진동 측정방법
CN215811620U (zh) 一种多通道轴承状态远程监测装置
CN110631687A (zh) 无线振动采集器
CN116292132B (zh) 一种风力发电机组螺栓松动监测装置及方法
CN112629736B (zh) 一种基于微纳米传感器的螺栓连接结构状态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4353927B (zh) 无线式振动探头
US11619209B2 (en) Inspection method for wind turbine blade of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CN212585759U (zh) 一种大型设备监测系统
CN218847399U (zh) 一种电力变压器振动检测装置
CN113126181B (zh) 一种大气电场探测多旋翼无人机及其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