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81B1 -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81B1
KR101748581B1 KR1020160115677A KR20160115677A KR101748581B1 KR 101748581 B1 KR101748581 B1 KR 101748581B1 KR 1020160115677 A KR1020160115677 A KR 1020160115677A KR 20160115677 A KR20160115677 A KR 20160115677A KR 101748581 B1 KR101748581 B1 KR 10174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heat dissipating
heat
fixing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진
최정규
권우섭
김건영
Original Assignee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2Foil-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작업으로 용이하게 스택방열핀을 가공하여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스택방열핀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루고, 상기 스택방열핀을 상호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판 형태를 이룬 방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방열부 일측 끝단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가 일체를 이루게 프레스 작업에 의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스 작업에 의해 방열부, 연결부, 고정부가 일체를 이루게 스택방열핀이 가공되는 가공단계(S10)와; 상기 가공단계에 의해 가공된 각각의 스택방열핀의 연결부가 상호 연속으로 연결하여 스택방열핀을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으로 조립하는 조립단계(S20)와; 상기 조립단계에 의해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Heat units Assembly}
본 발명은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스 작업으로 용이하게 스택방열핀을 가공하여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스택방열핀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루고, 상기 스택방열핀을 상호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통신 장치나 반도체, 신 성장/친환경 분야(LED 조명 및 태양광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품의 고장과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며, 방열 및 쿨링을 할수록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 방열이 잘 이루어진 장치들은 성능과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불필요한 원가 상승을 막을 수 있으며, 전기 비용 및 교체 비용 등 부가적인 비용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이들 장치에는 적절한 방열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프로세서용 반도체칩에는 단품으로는 히트싱크, 히트파이프, 방열핀, 냉각팬 등의 방열수단이 사용되며, 최근 각광받는 LED조명장치에도 방열 장치로 상기의 단품 및 모듈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단품 중 종래의 방열핀은 주로 열원(반도체칩, LED소자 등)에 장착되는 히트 블럭이나 히트파이프에 연결하여 방열 역할을 주도하였으나, 금형 공정상의 문제로 핀을 하나씩 조각으로 밖에 만들 수 없어 핀을 조립 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아서 전반적으로 체결강도가 약하고 핀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며, 조립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공개특허 제2009-105782호(2009.10.07)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금형을 통해 알루미늄 판재로부터 개별 핀들을 구성하는 부분을 다수의 방열 핀으로 한 금형에서 체결하는 적층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현재 상기의 공개특허 외에도 여러 나라에서 적층 기술이 활용화 되고 있으나, 아직 적층기술은 체결 방법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체결을 통한 제품의 성능, 원자재 절감, 불량률 감소 및 재작업 효율성에 대한 체결 기술이 아직 진보되지 않고 있는 단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된 방열핀을 서로 연결되지 않은 개별적인 방열핀 유닛과 구별하기 위하여 '스택핀(stacked fin)'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공개특허에 따른 방열핀유닛(10)과 이를 이용한 스택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각 방열핀유닛(10)은 기저판과 기저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판(30)을 구비하고, 각 측면판(30)은 상부로 돌출된 결합부재(40)를 구비한다.
또한 기저판은 하부로부터 결합부재(40)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열핀유닛(10)을 일체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개의 방열핀유닛(10',10'')을 적층한 후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방열핀유닛(10')의 결합돌기(45')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방열핀유닛(10')의 결합홀로 삽입되면서 제2 방열핀유닛(10'')의 결합돌기(45'')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절곡된다.
이어서 벤딩기구(55)가 하강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45')의 단부를 눌러서 내측으로 완전히 절곡시키면 제1 및 제2 방열핀유닛(10',10'')의 조립이 완성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개수의 방열핀유닛이 서로 연결된 스택핀이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결합돌기(45')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공정과 벤딩기구(55)를 이용하여 결합돌기(45')의 단부를 완전히 절곡시키는 공정이 분리되어 진행되므로 금형 장치에 별도의 벤딩기구(55)를 만들어야 하고 이원적인 공정으로 인해 타발 및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결합돌기(45')가 내측으로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점을 감안하여 알루미늄 자재를 재단할 때 벤딩부위 구현을 위하여 길이방향의 자재사용이 발생하며, 재단 후 남은 면적은 로스(loss)로 처리되므로 자재의 로스율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돌기(45')가 스택핀의 내부로 절곡되므로 절곡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조립을 해체하여 재조립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절곡된 결합돌기(45')를 다시 펴고 굽히는 과정에서 결합돌기(45')가 절단되어 재조립이 불가능한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027375호(2011.03.30)방열핀유닛과 이를 이용한 스택핀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공개특허 및 등록특허는 수직으로만 적재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다양한 형태의 방열구조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판 만이 직접적인 접촉을 이룸으로 탁월한 방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스 작업으로 용이하게 스택방열핀을 가공하여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스택방열핀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루고, 상기 스택방열핀을 상호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에 있어서, 판 형태를 이룬 방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방열부 일측 끝단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가 일체를 이루게 프레스 작업에 의해 구비되어,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을 이루며, 스택방열핀의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루며, 스택방열핀을 상호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가 라운드를 이루게 구비되며, 다수의 방열공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방열부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 내측으로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게 연결편 외측에 연결돌부가 돌출되어 하부로 절곡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방열부 일측 하부에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절곡된 고정편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에 고정공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방열부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의 외측 끝단이 경사면 또는 일자면을 이루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 조립방법에 있어서, 프레스 작업에 의해 방열부, 연결부, 고정부가 일체를 이루게 스택방열핀이 가공되는 가공단계(S10)와; 상기 가공단계에 의해 가공된 각각의 스택방열핀의 연결부가 상호 연속으로 연결하여 스택방열핀을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으로 조립하는 조립단계(S20)와; 상기 조립단계에 의해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은 프레스 작업으로 용이하게 스택방열핀을 가공하여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이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택방열핀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룰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택방열핀을 간편하게 연결부만 상호 조립함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이 용이하며,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스택방열핀이 방열부재와 직접접촉을 이룸으로 방열부재의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조립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택핀에 사용되는 방열핀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택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택방열핀이 띠 형태를 이루게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의 스택방열핀이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스택방열핀이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이 조립되는 조립순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다양한 띠 형태로 방열유닛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택방열핀이 띠 형태를 이루게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스택방열핀이 원형 띠 형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스택방열핀이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100)은 판 형태를 이룬 방열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120)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140)와, 상기 방열부(120) 일측 끝단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60)가 일체를 이루게 프레스 작업에 의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방열부(1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가 라운드를 이루게 구비되며, 다수의 방열공(12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공(122)은 여러형태로 구비될수 있으며, 그 한 예로 물결모양의 장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부(120) 하부에는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에 끼워지는 고정돌부(124)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40)는 방열부(120)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142)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142) 내측으로 결합공(144)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44)에 대응되게 연결편(142) 외측에 연결돌부(146)가 돌출되어 하부로 절곡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140)는 방열부(120)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142)의 외측 끝단이 경사면(148)을 이루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148)은 방열부 끝단 일측으로 좁고 타측으로 넓게 경사를 이룸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경사면(148)에 연결돌부(14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0)는 방열부 일측 하부에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절곡된 고정편(162)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162)에 고정공(16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스택방열핀(100)을 조립하는 조립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에 의해 조립된다.
우선, 프레스 작업에 의해 방열부(120), 연결부(140), 고정부(160)가 일체를 이루게 스택방열핀(100)이 가공되는 가공단계(S10)를 이룬다.
즉, 스택방열핀(100)이 프레스에 의해 한번 또는 두번으로 방열부(120), 연결부(140), 고정부(160)가 절단 및 절곡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가공단계(S10)에 의해 가공된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의 연결부(140)가 상호 연속으로 연결하여 스택방열핀(100)을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으로 조립하는 조립단계(S20)를 이룬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방열핀(100) 각각의 연결부(140)의 고정돌부(146)가 각각의 스택방열핀(100) 연결부(140)의 결합공(144)에 끼워져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140)의 연결편(142) 끝단이 경사면(148)을 이룸으로 연결편(142) 끝단의 경사면(148)을 따라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이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게 연결 결합된다.
그러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띠 형태를 이루게 스택방열핀(100)이 상호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단계(S20)에 의해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40)를 이룬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방열핀(100)을 원형의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 상부에 안착하고, 상기 방열유닛 상부로 고정부재(104)가 안착 방열부재(102)와 상호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스택방열핀(100)에 의해 원형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은 고정부재(104)의 누름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스택방열핀(100)에 구비된 고정부(160)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스택방열핀(100)을 방열부재(102)에 고정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스택방열핀(100)을 이용한 방열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택방열핀(100)에 구비된 고정돌부(124)가 방열부재(102)에 끼워짐으로 더욱더 견고하게 스택방열핀(100)을 이용한 방열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돌부(124)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절곡되어 방열부재(104)와 상호 면접촉을 이루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은 프레스 작업으로 용이하게 스택방열핀을 가공하여 스택방열핀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스택방열핀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원자재 절감을 이룰수 있다.
또한, 스택방열핀을 간편하게 연결부만 상호 조립함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고정이 용이하며,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스택방열핀이 방열부재와 직접접촉을 이룸으로 방열부재의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다양한 띠 형태로 방열유닛이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1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3 내지 도 7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스택방열핀(100)의 구성 및 조립방법이 동일함으로 이에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스택방열핀(100)의 연결편(142) 끝단이 경사면(148)을 이루고, 다른 스택방열핀(100)의 연결편(142) 끝단이 일자면(148-1)을 이루게 구비된다.
즉, 연결편(142) 끝단이 일자면(148-1)를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하면 스택방열핀(100)이 일렬로 정렬되고, 경사면(148)을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더 연결하면 라운드를 이루며 스택방열핀(100)이 방향을 전환하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삼각과 같은 띠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열유닛을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스택방열핀 120: 방열부
122: 방열공 124: 고정돌부
140: 연결부 142: 연결편
144: 연결공 146: 연결돌부
148: 경사면 148-1: 일자면
160: 고정부 162: 고정공

Claims (6)

  1. 판 형태를 이룬 방열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120) 일측 끝단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140)와, 상기 방열부(120) 일측 끝단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60)가 일체를 이루게 프레스 작업에 의해 구비되는 스택방열핀(100)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12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가 라운드를 이루게 구비되며, 다수의 방열공(122)이 구비되고, 상기 방열공(122)은 물결모양의 장공으로 구비되며,
    상기 방열부(120) 하부에는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에 끼워지는 고정돌부(124)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40)는 방열부(120)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142)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142) 내측으로 결합공(144)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44)에 대응되게 연결편(142) 외측에 연결돌부(146)가 돌출되어 하부로 절곡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40)는 방열부(120) 일측 상부에 전면으로 절곡된 연결편(142)의 외측 끝단이 경사면(148) 또는 일자면(148-1)을 이루게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148) 또는 일자면(148-1)에 연결돌부(14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60)는 방열부 일측 하부에 전면 또는 후면으로 절곡된 고정편(162)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162)에 고정공(164)이 구비되되,
    스택방열핀(100)이 프레스에 의해 한번 또는 두번으로 방열부(120), 연결부(140), 고정부(160)가 절단 및 절곡을 이루고, 가공된 각각의 스택방열핀(100) 각각의 연결부(140)의 고정돌부(146)가 각각의 스택방열핀(100) 연결부(140)의 결합공(144)에 끼워져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이 상호 연결하면,
    연결편(142) 끝단이 일자면(148-1)를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하면 스택방열핀(100)이 일렬로 정렬되고, 경사면(148)을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더 연결하면 라운드를 이루며 스택방열핀(100)이 방향을 전환하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하여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삼각형 띠 형태의 방열유닛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방열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프레스 작업에 의해 방열부(120), 연결부(140), 고정부(160)가 일체를 이루게 스택방열핀(100)이 가공되는 가공단계(S10)와, 상기 가공단계(S10)에 의해 가공된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의 연결부(140)가 상호 연속으로 연결하여 스택방열핀(100)을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으로 조립하는 조립단계(S20)와, 상기 조립단계(S20)에 의해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에 고정하는 고정단계(S40)를 이루는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S10)는, 스택방열핀(100)이 프레스에 의해 한번 또는 두번으로 방열부(120), 연결부(140), 고정부(160)가 절단 및 절곡 하나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단계(S20)는, 스택방열핀(100) 각각의 연결부(140)의 고정돌부(146)가 각각의 스택방열핀(100) 연결부(140)의 결합공(144)에 끼워져 각각의 스택방열핀(100)이 상호 연결되며,
    일부 스택방열핀(100)의 연결편(142) 끝단이 경사면(148)을 이루고, 다른 스택방열핀(100)의 연결편(142) 끝단이 일자면(148-1)을 이루게 구비되어,
    연결편(142) 끝단이 일자면(148-1)를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하면 스택방열핀(100)이 일렬로 정렬되고, 경사면(148)을 이룬 스택방열핀(100)을 더 연결하면 라운드를 이루며 스택방열핀(100)이 방향을 전환하여 스택방열핀(1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삼각 띠 형태의 방열유닛을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단계(S40)는, 스택방열핀(100)을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삼각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을 방열을 이루고자 하는 방열부재(102) 상부에 안착하고, 상기 방열유닛 상부로 고정부재(104)가 안착 방열부재(102)와 상호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스택방열핀(100)에 의해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삼각 띠 형태를 이룬 방열유닛은 고정부재(104)의 누름에 의해 고정되며,
    스택방열핀(100)에 구비된 고정부(160) 중 선택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스택방열핀(100)을 방열부재(102)에 고정할 수 있고, 스택방열핀(100)에 구비된 고정돌부(124)가 방열부재(102)에 끼워짐으로 더욱더 견고하게 스택방열핀(100)을 이용한 방열유닛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KR1020160115677A 2016-09-08 2016-09-08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KR10174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77A KR101748581B1 (ko) 2016-09-08 2016-09-08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77A KR101748581B1 (ko) 2016-09-08 2016-09-08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581B1 true KR101748581B1 (ko) 2017-06-21

Family

ID=5928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77A KR101748581B1 (ko) 2016-09-08 2016-09-08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34B1 (ko) 2012-11-23 2013-09-05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조명용 방열장치
KR101468849B1 (ko) * 2014-09-26 2014-12-11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등 탈 부착형 이중 방열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434B1 (ko) 2012-11-23 2013-09-05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조명용 방열장치
KR101468849B1 (ko) * 2014-09-26 2014-12-11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등 탈 부착형 이중 방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841B2 (en) Lamp assembly
US8230902B2 (en) Heat-dissipating element and heat sink having the same
US6958915B2 (en) Heat dissipat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US8164236B2 (en) Lamp assembly
US20060245165A1 (en) Elastic secure device of a heat radiation module
CN102439714A (zh) 用于突起型集成电路封装件的散热板
CN209992798U (zh) 一种dmd散热结构及投影仪
CN101128102B (zh) 散热装置及其散热器
KR20130111035A (ko) 진동세관형 히트파이프 방열핀을 접착한 히트싱크
KR101002989B1 (ko) 방열성을 향상시킨 전기, 전자 제품용 히트싱크
KR101237280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열 전도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48581B1 (ko) 스택방열핀 및 스택방열핀을 이용한 방열유닛 조립방법
TW201414022A (zh) 強化led封裝之方法與裝置
KR101600828B1 (ko) 발광다이오드 모듈용 히트싱크
KR101032498B1 (ko) 냉각장치
JP201319180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1503B1 (ko) 히트싱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60467A1 (en) Heat sink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20090255649A1 (en) Radiating fin
KR101027375B1 (ko) 방열핀유닛과 이를 이용한 스택핀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101780624B1 (ko) 방열핀 융착형 히트싱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87755B1 (ko) 히트싱크
KR200459985Y1 (ko) 방열판
KR101251886B1 (ko) 적층형 방열기 및 그 제조 방법
CN210112492U (zh) 一种空调器及应用于智能功率模块的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