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99B1 -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99B1
KR101748299B1 KR1020170015210A KR20170015210A KR101748299B1 KR 101748299 B1 KR101748299 B1 KR 101748299B1 KR 1020170015210 A KR1020170015210 A KR 1020170015210A KR 20170015210 A KR20170015210 A KR 20170015210A KR 101748299 B1 KR101748299 B1 KR 10174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information
sensor
integrated remot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성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넷킹콜
주식회사 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넷킹콜, 주식회사 탑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넷킹콜
Priority to KR102017001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 있는 화장실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많은 화장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IoT-Based Integrated Remote Restrooms Management System, IoT-Based Integrated Remote Management Server, and IoT-Based Integrated Remote Restroom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원격지에 있는 화장실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변에는, 건물, 건설 현장, 지하철 역, 버스 정류장, 공원 등에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화장실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화장실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관리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많은 관리 인력과 시간에도 불구하고,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화장실들을 관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많은 화장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많은 화장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이 현 위치에 가깝게 위치한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진행 방향에 위치한 화장실의 이용 가능 상태를 미리 알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이 주변에 있는 화장실을 미리 예약하여 대기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제1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제1 사물인터넷 서버; 제1 화장실과 다른 화장실인 제2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센서들;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제2 사물인터넷 서버; 및 제1 사물인터넷 서버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제1 사물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1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사물인터넷 서버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제2 사물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2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통합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를 미리 축적된 비정상 상황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제1 화장실 제1 화장실 내 특정 칸, 제2 화장실, 또는 제2 화장실 내 특정 칸의 상황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화장실 위치 정보를 토대로 요청 지점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장실을 파악하고, 파악된 화장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검색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파악된 화장실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화장실 위치 정보를 토대로 요청 지점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장실 내 특정 칸을 예약하기 위한 화장실 예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예약 처리 시, 특정 칸의 출입과 인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예약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예약된 화장실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는,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를 다수 개의 블록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되, 전송 순서를 셔플링(Shuffling)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접속 승인 정보와 함께,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는,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를 다수 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셔플링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셔플링 처리 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수신하여,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수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원래의 전체 데이터인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를 복원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센서 신호 또는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명령 신호를 전송할 때, 둘 이상의 블록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되, 전송 순서를 셔플링(Shuffling)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센서 신호 또는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은 둘 이상의 블록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전송 규칙에 따라 수신된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제어 정보 또는 명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에서 정하여 다른 장치들로 제공하는 전송 규칙 정보는 일정 시간 이후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제1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에 대한 정보와, 제1 센서들과 통신하는 제1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정보와, 제2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센서들에 대한 정보와, 제2 센서들과 통신하는 제2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1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1 센서들과 통신하거나,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2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2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제1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 중 하나의 제1 센서가 제1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센서들과 통신 가능한 제1 사물인터넷 서버가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사물인터넷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합 원격 관리 서버가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제1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많은 화장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용자들이 현 위치에 가깝게 위치한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진행 방향에 위치한 화장실의 이용 가능 상태를 미리 알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용자들이 주변에 있는 화장실을 미리 예약하여 대기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를 위한 화장실 내 IoT 센서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비정상 상황 판단 및 조치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비정상 상황에 대하여 축적된 비정상 상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화장실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센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이하 "IoT"라 함)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를 위한 화장실 내 IoT 센서들(110a, 110b)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의 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110a, 110b)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 각각을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의 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들(110a, 110b)과,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에 대응되며,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의 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들(110a, 110b)과 통신하는 둘 이상의 IoT 서버들(120a, 120b)과, 둘 이상의 IoT 서버들(120a, 120b)과의 통신을 통해,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의 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들(110a, 110b)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둘 이상의 화장실(100a, 100b)의 내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들(110a, 110b)로 센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와,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는 관리자 단말(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IoT 센서들(110a, 110b)은 화장실들(100a, 100b) 내부 또는 외부의 각종 사물들(예: 벽, 천장, 문, 변기, 급수 탱크, 오수 탱크, 세면대, 화장지 비치 대 등)에 설치 또는 부착되는 단말로서, IoT 단말들이라고도 하며, 아래에서는, 간단하게 센서들이라고도 기재한다.
아래에서는, 지리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제1 화장실(100a)와 제2 화장실(100b)를 예로 든다.
제1 화장실(100a)의 각종 사물들에 다수의 제1 센서들(110a)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IoT 서버(120a)는 제1 화장실(100a)에 대응되는 서버로서,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 정보를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로부터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제1 IoT 서버(120a)로부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제1 IoT 서버(120a)로 전송하거나 제1 관련 명령 신호를 관리자 단말(1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화장실(100a)과 다른 화장실인 제2 화장실(100b)의 각종 사물들에 다수의 제2 센서들(110b)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IoT 서버(120b)는 제2 화장실(100b)에 대응되는 서버로서,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정보를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로부터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제2 IoT 서버(120b)로부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제2 IoT 서버(120b)로 전송하거나 제2 관련 명령 신호를 관리자 단말(1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화장실(100a), 제2 화장실(100b) 등에서 감지되는 제1 센싱 정보, 제2 센싱 정보 등은, 개인 정보, 생체 정보 등과 같이 개인 정보 보호 규정 또는 법규 등에 따라 관리되어야 하는 정보일 수 있기 때문에,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 규정 또는 법규를 만족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140) 등의 단말은,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Virtual Private Network)를 통해, 제1 IoT 서버(120a), 제2 IoT 서버(120b), 또는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에 접속 가능할 수 있다.
보안 향상을 위해,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에는,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SSL (Secure Socket Layer), 방화벽, IPS (Intrusion Protection System),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등의 각종 보안 기술 및 보안 장비 등이 적용될 수 있을 수 있다.
제1 화장실(100a)에 설치된 제1 센서들(110a)은 소정의 위치(예: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 화장실 내 각 칸의 입구 또는 내부 등)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장실(100b)에 설치된 제2 센서들(110b)은 소정의 위치(예: 화장실 입구, 화장실 내, 화장실 내 각 칸의 입구 또는 내부 등)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암호화 등의 각종 보안 기법을 통해 무단 사용이 불가하도록 데이터 처리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화장실(100a), 제2 화장실(100b) 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들의 설치 위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화장실 내부 전 공간에 대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센서(210)가 천장 또는 벽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실 내부의 각 남자 소변기의 사용 여부 도는 동작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20)가 남자 소변기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실 내부의 세면대 사용 여부 도는 세면대 동작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30)가 세면대 또는 그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장실 다수의 칸 각각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다수의 센서들(240, 250, 260, 270, 28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칸의 사용 여부 또는 도어 잠김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문 개폐 센서(240)가 각 칸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각 칸의 사용 여부 또는 각 칸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의 센서(250)가 각 칸의 천장 또는 벽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변기(Toilet)의 사용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70)가 변기 커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변기의 급수 탱크(수조) 등의 동작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60)가 변기 수조에 설치될 수 있다.
변기 내 화장지의 상태 또는 잔여 량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화장지 센서(280)가 화장지 비치 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비정상 상황 판단 및 조치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비정상 상황에 대하여 축적된 비정상 상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의 비정상 상황 판단 모듈은, 제1 화장실(100a)에 설치될 제1 센서들(110a)에서 전송된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화장실(100b)에 설치될 제2 센서들(110b)에서 전송된 제2 센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300)에 미리 축적된 비정상 상황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제1 화장실(100a), 제1 화장실(100a) 내 특정 칸, 제2 화장실(100b), 또는 제2 화장실(100b) 내 특정 칸의 상황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기반하여 비정상 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특성상 영상 정보의 내용은 거의 변화가 없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런 특징을 이용하여 영상의 내용이 일정량 이상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140)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통보해준다.
관리자는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여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 상황의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변화량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각 화장실(원격지) 특성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화 감지 항목은, 영상 내 색의 변화, 영상 내 움직임 증가 또는 감소량 등일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다양한 영상 변화 감지 항목과 다른 각종 센서들의 센싱 정보 사이의 연관관계에 따라 비정상 상황에 대한 보다 정밀한 예측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외부의 영상을 통해 화장실 출구 측의 움직임이 30분 이상 변화가 없으면서 화장실 내부에서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화장실 내의 화장지 센서(280)로부터 화장지 부족과 관련된 센싱 정보가 확인되면, 화장지 부족 상황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140)로 화장지 보충 명령에 관한 관련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또는 관련자는 해당 화장실 내 특정 칸으로 직접 출동하여, 화장실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해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내 이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250 또는 270)와 문 개폐 센서(240)가 일정 횟수 이상 동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장실 내 화장지가 곧 부족해질 수 있다고 예측하여, 즉, 화장지 센서(280)로부터 화장지 부족과 관련된 센싱 정보가 곧 출력될 것으로 예측하여, 관리자 또는 관련자가 화장지를 보충하는 등의 사전 조치를 해줄 수 있도록, 관련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각종 센서들간의 연관 관계의 유기적 변화에 따른 통계치가 축적되면, 화장실 관리자는 대부분의 상황을 예상하여 관리 동선을 결정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지역(화장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화장실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서비스로서, 화장실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 단말(500)로부터 화장실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화장실 위치 정보를 토대로 요청 지점에서 일정 거리(예: 100m) 이내에 위치한 화장실(A, B, C)을 파악하고, 파악된 화장실(A, B, C)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파악된 화장실(A, B, C)에 대한 정보는, 화장실 위치, 화장실 내 시설, 화장실까지의 거리, 경로 및 이동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예를 참조하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검색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00m 이내의 화장실 검색을 수행한 결과, 3개의 화장실(A, B, C)가 검색된 경우,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3개의 화장실(A, B, C)까지의 거리(33m, 55m, 60m)를 파악하여, 100m 이내에 3개의 화장실이 존재한다는 정보와, 각 화장실까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검색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파악된 화장실(A, B, C)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자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파악된 화장실(A, B, C)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우회경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장실 위치, 화장실 시설 등의 화장실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500)이 접속하여 화장실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 결과를 볼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서비스로서,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 단말(500)로부터 화장실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화장실 위치 정보를 토대로 요청 지점에서 일정 거리(예: 100m) 이내에 위치한 화장실(A, B, C) 내 특정 칸을 예약하기 위한 화장실 예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예약 처리 시, 특정 칸의 출입과 인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일 예로, 비밀 번호, 생체 인식 정보 및 인증 단말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예약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예약된 화장실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자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예를 참조하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예약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00m 이내의 화장실 검색을 수행한 결과, 3개의 화장실(A, B, C)가 검색된 경우,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3개의 화장실(A, B, C)까지의 거리(33m, 55m, 60m)를 파악하여, 100m 이내에 3개의 화장실(A, B, C)이 존재한다는 정보와, 3개의 화장실(A, B, C) 각각의 공실 정보와, 각 화장실까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예약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파악된 화장실(A, B, C)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이용자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에서 파악된 화장실(A, B, C)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우회경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6의 예시에 따르면,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A가 최단 거리에 있지만, 공실이 1개도 없는 관계로, 다른 화장실들(B, C)에 대한 공실 상황 및 거리를 파악해 본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B에는 5개의 공실이 있고, 화장실 C에는 3개의 공실이 있다는 것을 파악한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B가 이용자의 현 위치에서 55m 정도 떨어져 있고, 화장실 C가 이용자의 현 위치에서 60m 정도 떨어져 있다는 것을 파악한다.
따라서,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B를 예약할 화장실로 추천해줄 수 있다.
만약, 장애물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실질적인 이동 경로를 재산출하여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의 현 위치에서 화장실 B까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장애물이 있기 때문에, 장애물을 우회하는 73m 정도의 우회경로를 이동경로로서 파악한다.
이에 따라,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이용자가 화장실 B까지 이동하는 실질적인 거리를 73m로 파악하고, 이용자가 화장실 C까지 이동하는 실질적인 거리를 60m로 파악한다.
이에 따라,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C를 예약할 화장실로 최종 추천해줄 수 있다.
이용자는 화장실 예약 요청에 따른 결과 화면을 보고, 화장실 C 내 공실 중 특정 칸을 예약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특정 칸 출입을 위한 인증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설정된 인증 정보를 저장해두고, 일 예로, 특정 칸의 도어 락 등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출입 승인 처리를 해줄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일 예로, 비밀 번호, 생체 인식 정보 및 인증 단말 정보(예: NFC 관련 등)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장실 위치, 화장실 시설 등의 화장실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화장실 공실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화장실 공실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하는 프로세스와, 이용자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500)이 접속하여 화장실 예약을 요청하고 예약 결과를 볼 수 있는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장실 검색 및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건설 현장과 관련한 화장실의 경우, 건설 현장의 상황에 따라 수시로 화장실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폐쇄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화장실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GPS를 통한 현장 위치(현 위치)에서 주위 화장실까지의 접근 경로를 실질적 이동 경로에 근거한 거리를 이용하여 공실 여부(화장실에서의 다수 칸 중 비어 있는 칸)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경우 전방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화장실 공실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휴게소의 화장실의 대기 상태를 확인하여 도착 후 접근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고속도로의 화장실은 전방에 있는 화장실들에 대해서만 예측을 하며 후방 화장실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 다른 예로, 주변 화장실 예약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장실 예약 서비스를 스마트폰 모바일 엡을 통해 서비스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화장실을 예약할 수 있다.
장애인용 다목실, 영유아전용 1실 2변기 실, 귀저귀 교환실 등 특정기능을 가진 칸에 한해서만 예약을 허용하는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예약 설정 시 출입 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화장실 내 특정칸 예약 시 해당 칸의 출입은 비밀번호 설정, 생체인식 정보 혹은 휴대폰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혹은 울트라 소닉 (Ultra Sonic) 기능을 이용 하여 예약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출입을 허용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화장실에 물리적으로 접근하여 확인 점검한 사항 및 통계치 예측 참고 자료 들에 대하여 현장에서 원격 통합 관리 서버(130)에 즉각 등록 하여 실시간으로 예측 시스템이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와 관련하여, 센싱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IoT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는,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다수 개의 블록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되, 전송 순서를 셔플링(Shuffling)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군가가, 전송되는 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셔플링 처리 되어 실제로 전송되는 다수의 블록들(BLOCK #1, BLOCK #2, … , BLOCK #n)을 단순히 순서대로 합치더라도, 실제의 센싱 정보를 알아낼 수는 없다.
여기서, 각 블록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 즉, 모든 블록들(BLOCK #1, BLOCK #2, … , BLOCK #n)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크기가 다를 수 있다.
IoT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가 X 데이터, Y 데이터, Z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IoT 단말에 해당하는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710).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접속 승인 정보와 함께, 블록 개수(n개),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 중 하나 이상 등을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는,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를 전송 규칙에서의 블록 개수 및 블록 크기에 따라 n(n은 2이상 자연수)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전송 규칙에서의 전송 순서에 따라, 분할된 n개의 블록들 각각의 전송 순서를 셔플링 처리한다(S720).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는, 셔플링 처리 된 n개의 블록들(BLOCK #1, BLOCK #2, … , BLOCK #n)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셔플링 처리 된 n개의 블록들(BLOCK #1, BLOCK #2, … , BLOCK #n)을 수신하여, 미리 정해져 제한적으로 공유되어 있는 전송 규칙에 따라 수신된 n개의 블록들(BLOCK #1, BLOCK #2, … , BLOCK #n)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원래의 전체 데이터를 복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X 데이터, Y 데이터 및 Z 데이터는, 원래의 데이터에서는 X 데이터, Y 데이터 및 Z 데이터의 순서로 포함되어 있지만, 전송 시에는 Y 데이터(BLOCK #1), X 데이터(BLOCK #2) 및 Z 데이터(BLOCK #n)의 순서로 전송된다.
한편,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전송 규칙 유효 시간을 더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는 전송 규칙 유효 시간 동안, 제1 센싱 정보 또는 제2 센싱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전송 규칙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새로운 전송 규칙을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는, 새로운 전송 규칙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를 다시 분할 처리 및 셔플링 처리하여 처음부터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송 규칙 정보는 일정 시간(전송 규칙 유효 시간) 이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센서 신호 또는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명령 신호를 전송할 때, 둘 이상의 블록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되, 전송 순서를 셔플링(Shuffling)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센서 신호 또는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제1 센서(110a) 또는 제2 센서(110b) 또는 관리자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140)은 둘 이상의 블록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전송 규칙에 따라 수신된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제어 정보 또는 명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에서 정하여 다른 장치들(센서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전송 규칙 정보는 일정 시간 이후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는 정보 관리부(810), 제어부(820) 및 통신부(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810)는, 제1 화장실(100a)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110a)에 대한 정보와, 제1 센서들(110a)과 통신하는 제1 IoT 서버(120a)에 대한 정보와, 제2 화장실(100b)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센서들(110b)에 대한 정보와, 제2 센서들(110b)과 통신하는 제2 IoT 서버(120b)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830)는,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1 IoT 서버(120a)를 통해 제1 센서들(110a)과 통신하거나,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제2 센서들(110b)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2 IoT 서버(120b)를 통해 제2 센서들(110b)과 통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은, 제1 화장실(100a)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110a) 중 하나의 제1 센서가 제1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10)와, 제1 센서들(110a)과 통신 가능한 제1 IoT 서버(120a)가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S920)와, 제1 IoT 서버(120a)와 통신 가능한 통합 원격 관리 서버(130)가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제1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9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많은 화장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용자들이 현 위치에 가깝게 위치한 화장실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진행 방향에 위치한 화장실의 이용 가능 상태를 미리 알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용자들이 주변에 있는 화장실을 미리 예약하여 대기 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해주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제1 사물인터넷 서버;
    상기 제1 화장실과 다른 화장실인 제2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센서들;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제2 사물인터넷 서버; 및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센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1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거나 제2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통합 원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은 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화장실로서, 상기 제1 화장실은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 화장실이고, 상기 제2 화장실은 상기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후방에 위치한 후방 화장실이고,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센싱 정보와, 상기 제2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센싱 정보와,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후방 화장실들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전방 화장실들만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공실 상태 정보, 대기 상태 정보 및 도착 후 접근 가능 예측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더 제공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를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다수 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셔플링 처리하여 전송하고,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셔플링 처리 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수신하여, 상기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원래의 전체 데이터인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복원하여 확인하여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의 관리에 이용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 또는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Virtual Private Network)를 통해 단말이 접속 가능한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들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들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싱 정보 또는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미리 축적된 비정상 상황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화장실, 상기 제1 화장실 내 특정 칸, 상기 제2 화장실, 또는 상기 제2 화장실 내 특정 칸의 상황이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센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화장실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화장실 위치 정보를 토대로 요청 지점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화장실 내 특정 칸을 예약하기 위한 화장실 예약 처리를 수행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장실 예약 처리 시, 상기 특정 칸의 출입과 관련된 인증 정보를 설정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비밀 번호, 생체 인식 정보 및 인증 단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화장실 예약 요청을 입력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예약된 화장실의 위치까지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다른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접속 승인 정보와 함께, 상기 전송 규칙 정보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규칙 정보는 일정 시간 이후 변경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15. 제1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1 센서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센서들과 통신하는 제1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정보와, 제2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센서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 센서들과 통신하는 제2 사물인터넷 서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1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상기 제1 센서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센서들과 통신하거나,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2 센싱 정보가 수신되거나 상기 제2 센서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은 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화장실로서, 상기 제1 화장실은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 화장실이고, 상기 제2 화장실은 상기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후방에 위치한 후방 화장실이고,
    상기 제어부는,
    화장실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센싱 정보와, 상기 제2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센싱 정보와,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후방 화장실들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전방 화장실들만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공실 상태 정보, 대기 상태 정보 및 도착 후 접근 가능 예측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더 제공하고,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를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가 분할되고 셔플링 처리 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수신하면, 셔플링 처리 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원래의 전체 데이터인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복원하여 확인하여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의 관리에 이용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16. 제1 화장실에 설치된 제1 센서가 제1 센싱 정보를 전송하고, 제2 화장실에 설치된 제2 센서가 제2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센서와 통신 가능한 제1 사물인터넷 서버가 상기 제1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2 센서와 통신 가능한 제2 사물인터넷 서버가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 및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합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센서 제어 신호 또는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센서 제어 신호 또는 관련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은 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화장실로서, 상기 제1 화장실은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 화장실이고, 상기 제2 화장실은 상기 고속도로 이용 고객의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속도로 상에서 후방에 위치한 후방 화장실이고,
    화장실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1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센싱 정보와, 상기 제2 화장실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2 사물인터넷 서버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 센싱 정보와,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후방 화장실들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장실을 포함하는 상기 고속도로 상의 전방 화장실들만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파악된 전방 화장실들 각각에 대한 공실 상태 정보, 대기 상태 정보 및 도착 후 접근 가능 예측 시간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더 제공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블록 개수, 블록 크기 및 전송 순서를 포함하는 전송 규칙 정보를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다수 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셔플링 처리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통합 원격 관리 서버는,
    셔플링 처리 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수신하여, 상기 전송 규칙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다수 개의 블록들을 재정렬 및 조합하여 원래의 전체 데이터인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를 복원하여 확인하여 상기 제1 화장실 및 상기 제2 화장실의 관리에 이용하는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KR1020170015210A 2017-02-02 2017-02-02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KR10174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210A KR101748299B1 (ko) 2017-02-02 2017-02-02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210A KR101748299B1 (ko) 2017-02-02 2017-02-02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299B1 true KR101748299B1 (ko) 2017-06-19

Family

ID=5927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210A KR101748299B1 (ko) 2017-02-02 2017-02-02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2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70A (ko) * 2018-01-15 2019-08-12 한국과학기술원 분산 IoT 환경을 위한 공간-응집 서비스 검색 및 동적 서비스 이양
KR20200107047A (ko) * 2019-03-06 2020-09-16 정훈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EP3859616A1 (en) * 2020-01-30 2021-08-04 Pressalit A/S Changing or bathroom facilities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KR20210106680A (ko) * 2020-02-21 2021-08-31 (주) 경성테크놀러지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KR102559969B1 (ko)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그레이스케일 사용자 위치 기반 화장실 이용 및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021A (ja) * 2007-09-13 2009-04-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トイレ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4214594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トイレシステム
JP2015045674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暗号化システム、暗号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021A (ja) * 2007-09-13 2009-04-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トイレ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4214594A (ja) *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トイレシステム
JP2015045674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暗号化システム、暗号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070A (ko) * 2018-01-15 2019-08-12 한국과학기술원 분산 IoT 환경을 위한 공간-응집 서비스 검색 및 동적 서비스 이양
KR102184286B1 (ko) 2018-01-15 2020-11-30 한국과학기술원 분산 IoT 환경을 위한 공간-응집 서비스 검색 및 동적 서비스 이양
KR20200107047A (ko) * 2019-03-06 2020-09-16 정훈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KR102270857B1 (ko) * 2019-03-06 2021-07-15 정훈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EP3859616A1 (en) * 2020-01-30 2021-08-04 Pressalit A/S Changing or bathroom facilities for disabled and elderly people
KR20210106680A (ko) * 2020-02-21 2021-08-31 (주) 경성테크놀러지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KR102332667B1 (ko) * 2020-02-21 2021-11-30 (주) 경성테크놀러지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KR102559969B1 (ko) 2023-04-11 2023-07-26 주식회사 그레이스케일 사용자 위치 기반 화장실 이용 및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99B1 (ko)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시스템, IoT 기반 통합 원격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통합 원격 화장실 관리 방법
JP6728390B2 (ja) モバイル訪問者管理
KR101886854B1 (ko) 숙박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238684B2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radio and facial recognition
KR101995873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20170004958A (ko) 주거 시스템
JP2021107108A (ja) 入退室制御装置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2010000024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N110914875B (zh) 基于位置的行为监测
JP5991798B2 (ja) 集合住宅の管理装置
KR20190023222A (ko) 사물 인터넷 기반 통합 공공 화장실 통합 관리 시스템
JP638912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1383375A (zh) 酒店客房的电力控制方法及电力控制系统、酒店管理系统
JP5804082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1908523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EP3669558B1 (en) Method to notify a host the current position of a visitor
US10832508B2 (en) Intent driven building occupant path and system interaction optimization
US11877096B2 (en) Integrate body cameras with hotel key box
EP3669528B1 (en) Configuration of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sharing
EP3669334A1 (en) Method to create a building path for building occupants based on historic information
WO2023218531A1 (ja) 入場許否判定システム、入場許否判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入場許否判定方法
KR102270857B1 (ko) 공중 화장실 안내시스템
KR20220075151A (ko) 무선 제어 기능을 가진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