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00B1 - Flange for coupling pipe - Google Patents

Flange for coupl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00B1
KR101748200B1 KR1020100126038A KR20100126038A KR101748200B1 KR 101748200 B1 KR101748200 B1 KR 101748200B1 KR 1020100126038 A KR1020100126038 A KR 1020100126038A KR 20100126038 A KR20100126038 A KR 20100126038A KR 101748200 B1 KR101748200 B1 KR 101748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bead
point portion
bea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4824A (en
Inventor
한중만
박상규
정동미
한영흠
김두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200B1/en
Publication of KR2012006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6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의 비드와 플랜지의 비드 안착부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축 방향 고정력을 극대화시킨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가 개시된다.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는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에 있어서, 삽입공의 적어도 일 측 둘레에 형성되어 파이프에 형성된 비드가 압착 고정되기 위한 비드 안착부를 포함하며, 비드와 비드 안착부의 접촉면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에 파이프를 코킹 후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축방향 고정력이 증대되며, 파이프가 플랜지의 삽입공에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A flange for pipe connection wherein a contact area between a bead of a pipe and a bead seat of a flange is increased to maximize an axial clamping force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The flange for pipe fitting is a flange for a pipe fitting formed with an insert hole for inserting a pipe. The flange includes a bead seat formed a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insert hole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ead formed on the pipe, The contact surfaces are forme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refore, the axial fixing force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increases after the pipe is caulked to the flange, and the phenomenon that the pipe is rotated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flange is prevented.

Description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FLANGE FOR COUPLING PIPE}[0001] FLANGE FOR COUPLING PIPE [0002]

본 발명은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냉매 파이프 등에 결합되어 연결부위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nge for pipe coupling which is joined to a refrigerant pipe or the like us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increase a coupling force between connection portions.

일반적으로,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 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의 구성요소 사이에는 유체가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냉매파이프가 연결되고, 이러한 구성요소와 냉매파이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매파이프의 단부에 플랜지가 체결된다.Generally, a refrigerant pipe is connected between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constituting a refrigerant cyc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fluid can flow continuously. In orde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refrigerant pipe A flange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refrigerant pipe.

도 1은 종래의 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플랜지에 파이프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ange,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upled to a conventional flang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200)에는 상하 양면을 관통하도록 삽입공(210)이 형성되고, 삽입공(210)에 파이프(29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파이프(290)는 플랜지(200)의 삽입공(210)에 삽입된 후 파이프(290)에 형성된 비드(250)가 플랜지(200)의 일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랜지(200)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가압하는 코킹(Caulking) 작업을 거침으로써, 파이프(290)가 플랜지(200)에 결합된다.1 to 3, the conventional pipe fitting flange 200 is formed with insertion holes 210 so as to pass through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pipe 29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10 . In this case, the pipe 29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0 of the flange 200, and the bead 250 formed on the pipe 290 is placed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200, The pipe 290 is joined to the flange 200 by a caulking operation for press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ipe 290. [

또한, 삽입공(210)의 내주면에는 요철부(220)가 형성되어, 파이프(290)를 삽입공(210)에 삽입시킨 후에 파이프(290)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확관하여 파이프(290)의 외주면이 요철부(220)에 압착됨으로써 파이프(290)의 축방향 회전이 방지된다.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2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10 so that the pipe 290 is inser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ipe 290 after the pipe 29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0, The pipe 29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axial direction by being pressed on the concave / convex portion 220.

아울러, 미설명된 부호 240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의 피결합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결합공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40 denotes an engaging hole for engaging with a member to be engaged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하지만,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200)는 파이프(290)의 비드(250)와 플랜지(200) 간의 안착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파이프(290)와 플랜지(200) 간의 축 방향 고정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ipe fitting flange 200 has a flat mounting surface between the bead 250 and the flange 200 of the pipe 290, the axial fixing force between the pipe 290 and the flange 200 There is a low problem.

또한,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200)는 통상 플라스틱 사출 성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플랜지(200)에 파이프(290)를 코킹한 후 플랜지(200)와 파이프(290) 간의 미세 유격으로 인한 치수 오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미세 오차는 유로 내에서 파이프(290) 단부의 형성 위치를 변경시켜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conventional pipe fitting flange 200 is generally made of a plastic injection molding material, the pipe 290 is caulked to the flange 200 and the dimension due to the micro clearance between the flange 200 and the pipe 290 And such a minute error may be a factor for changing the forming position of the end of the pipe 290 in the flow path, thereby hindering the flow of the fluid.

이와 더불어,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20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파이프(290)의 가압력에 의해 요철부(220)가 뭉개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이프(290)가 플랜지(200)의 삽입공(210) 내에서 회전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pipe fitting flange 200 is made of a plastic injection molding material,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20 can be crush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ipe 290, In the insertion hole 210 of the insertion hole 210. [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의 비드와 플랜지의 비드 안착부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축 방향 고정력을 극대화시킨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nge for pipe connection that maximizes the axial fixing force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ead of the pipe and the bead seat of the flange.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는 파이프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에 있어서, 삽입공의 적어도 일 측 둘레에 형성되어 파이프에 형성된 비드가 압착 고정되기 위한 비드 안착부를 포함하며, 비드와 비드 안착부의 접촉면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pe fitting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fitting flange is provided with an insert hole for inserting a pipe therein. The flange includes a bead seat formed a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insert hol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bead seat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이 경우, 비드 안착부는 비드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고점부 및 고점부로부터 유선형으로 굴곡 연장되어 고점부에 비해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저점부로 구성되고, 고점부와 저점부는 연속적인 폐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bead sea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high-point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ead and a low-point portion that is bent in a streamline form from the high-point portion and has a lower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an the high- Thereby forming a closed curved surface.

이 경우, 고점부 및 저점부는 각각 두 개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wo high and low point por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to form symmetry.

또한, 비드 안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d seat portion has at least one step.

또한,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제1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또한, 단차부에 제2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는 비드와 비드 안착부 간의 접촉면이 굴곡 형상을 가져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플랜지에 파이프를 코킹 후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축방향 고정력이 증대된다.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ead and the bead seating part is increased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ead and the bead se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al fixing force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increases after caulking the pipe to the flange.

또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가 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굴곡면이 파이프의 축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저항기능을 하여, 파이프가 플랜지의 삽입공에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is fixed to the fl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bent surface functions as a resistance for preventing the axial rotation of the pipe, thereby preventing the pipe from rotating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flange.

이에 따라,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사이클의 냉매 파이프에 적용에 있어, 파이프와 피결합부재 간의 결합 시 파이프의 단부 위치를 설계대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밀한 제어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의도대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when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nt cycl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coupled to the refrigerant pipe,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pip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sign upon coupling between the pipe and the member to be engaged. It becomes possible to design.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에 파이프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변형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서 고점부 및 저점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7에서 고점부 및 저점부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pe coupling flang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upled to a conventional pipe coupling flang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nge for pipe fitting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6,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6,
Fig. 10 shows a modification of the high and low point portions in Fig. 7,
Fig. 11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igh and low point portions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ipe coupling flan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nge for pip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100)에는 삽입공(10)이 형성된다. 삽입공(10)은 파이프(90)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플랜지(100)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플랜지(100)의 양면은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pipe fitting flan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hole 10 is formed. The insertion hole 10 is for inserting the pipe 90, and is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s of the flange 100.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flange 100 refe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파이프(90)는 차량 공조장치의 냉매 사이클을 이루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등의 피결합부재에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90)는 전술한 피결합부재와 연결되어 그 내부에 유체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것으로 단부 주위에 플랜지(100)가 결합되며, 플랜지(100)는 파이프(90)와 피결합부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실링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플랜지(100)에는 피결합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결합공(40)이 형성된다.The pipe 90 may be a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a member to be engaged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constituting a refrigerant cycl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 pipe 90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member to be coupled so that the fluid flows continuously into the flange 100, and the flange 1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pe 90. The flange 100 is connected between the pipe 90 and the member to be engaged Improves the bonding force, and improves the seal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flange 10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40 for coupling with the member to be engaged.

또한, 파이프(90)의 외주면에는 비드(50)가 형성되며, 플랜지(100)에는 비드(50)가 압착 고정되기 위한 비드 안착부(20)가 형성된다. 비드 안착부(20)는 삽입공(10)의 둘레에 형성되며, 삽입공(10)의 양측 중 일 측에 형성되거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드 안착부(20)가 삽입공(10)의 일 측 즉, 플랜지(100)의 일면에만 형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 bead 5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90 and a bead seat 2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ead 50 is formed on the flange 100. The bead seating portion 20 i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10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10.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bead seat 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0, that is, only on one side of the flange 100 will be described.

특히,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접촉면은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접촉면은 평면이 아닌 유선형의 굴곡면을 이룬다. Particularly,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are formed to be bent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That i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forms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not a flat surface.

따라서,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며, 결국 파이프(90)와 플랜지(100) 간의 파이프(90)의 축방향 고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90)가 플랜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굴곡면이 파이프(90)의 축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저항기능을 하여, 파이프(90)가 플랜지(100)의 삽입공(10)에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Thu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is increased, so that the axial fixing force of the pipe 90 between the pipe 90 and the flange 100 is improved. The bent surface serves to resist axial rotation of the pipe 90 in a state where the pipe 90 is fixed to the flang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100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in the insertion hole 10 of the base plate 100.

이와 같이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접촉면이 유선형의 굴곡면을 이룸으로써, 평면 형상으로 접촉하는 구조 또는 요철 형상으로 접촉하는 구조에 비해 큰 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 예와 같은 굴곡면 접촉 구조는 평면 접촉 구조에 비해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파이프의 축방향 고정력이 증대되며, 요철면 접촉 구조에 비해 코킹 작업 시 비드 안착부의 변형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form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which is advantageous compared to a structure that makes contact in a planar shape or a structure that makes contact with the bead seat 20 in a concavo-convex shape. That is, the curved surface contac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creased contact area as compared with the planar contact structure, increasing the axial fixation force of the pipe,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bead seating portion during the caulking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e uneven surface contact structure.

전술한 굴곡면 접촉 구조의 작용 효과는 플랜지(100)가 합성수지 소재의 사출 성형물일 경우 더욱 명확해진다. 결국,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100)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 소재로 적용될 경우에도, 결합력이 상승되고 비드 안착부의 변형이 방지됨에 따라 코킹 작업 후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유격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며 파이프가 플랜지로부터 회전되지 않는다.The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curved surface contact structure becomes more apparent when the flange 100 is an injection-molded articl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a result, even when the pipe fitting flan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as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material, the engagement force is increased and deformation of the bead seat portion is prevented, so that occurrence of clearance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after the caulking oper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It is not rotated from the flange.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사이클의 냉매 파이프에 적용되는 플랜지와 파이프 간의 결합 구조에 있어,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결합력 강화는 큰 이점을 갖는다. 즉, 파이프와 피결합부재 간의 결합 시 파이프의 단부 위치를 설계대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밀한 제어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의도대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lange and the pipe, which is applied to the refrigerant pipe of the refrigerant cycle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e strengthening of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pipe and the flange has a great advantag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pipe at the time of coupling between the pipe and the member to be coupled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by this precise control,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flow of the fluid intentionally.

이 경우, 비드 안착부(20)는 고점부(21) 및 저점부(22)로 구성되고, 고점부(21)와 저점부(22)는 연속적인 폐곡면을 이룬다. In this case, the bead seat portion 20 is composed of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nd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form a continuous closed curved surface.

고점부(21)는 비드(50)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저점부(22)는 고점부(21)로부터 유선형으로 굴곡 연장되어 고점부(21)에 비해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다. 결국, 고점부(21) 및 저점부(22)로 구성되는 비드 안착부(20)는 유선형으로 굴곡 형성된 물결 형상을 가지며, 플랜지(10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비드 안착부(20)는 플랜지(100)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high point portion 21 is formed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ead 50. The low point portion 22 has a streamlined bend from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has a lower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than the high point portion 21. As a result, the bead seating portion 20 composed of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has a wavy shape that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100. The bead seat 2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flange 100.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굴곡 접촉 구조는 비드 안착부(20)가 비드(50)와 접촉되는 대응면을 굴곡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굴곡 접촉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즉, 비드 안착부(2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플랜지(1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별도로 제작되어 플랜지(100)와 결합되는 실링 부재의 형태인 것도 가능한 것이다.The bending contact structure of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achieved by forming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ead seat 20 in contact with the bead 50 in a bent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hat various methods capable of achieving other flexible contact structures can be applied. That is, the bead seat 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ange 100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t may be in the form of a sealing member form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flange 100.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 예에서는 비드 안착부(20)가 굴곡면을 이루어 플랜지(100)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all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d seat 2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tegrally with the flange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6 and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안착부(20)는 단차부(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차부(23)가 하나 구비되어 일단 절곡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단차부(23)는 복수개 구비되어 다단으로 절곡된 구조도 채택 가능하다. 6 and 7, the bead seat 20 preferably includes a step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ingle step 23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once, but a plurality of steps 23 may be provided and a multi-stepped structure may be adopted.

단차부(23)는 플랜지(1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면 및 수직면으로부터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차면을 형성한다. 단차부(23)는 비드(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삽입공(10)의 둘레에 플랜지(100)의 일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된다.The step portion 23 forms one stepped surface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bent perpendicularly from one surface of the flange 100 and a horizontal surface bent horizontally from the vertical surface again. The step portion 2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ead 50 and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flange 100 around the insertion hole 10. [

이 경우, 전술한 고점부(21) 및 저점부(22)는 단차부(23)의 수평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90)가 삽입공(10)에 삽입될 시 비드(50)의 저면은 비드 안착부(20)의 고점부(21) 및 저점부(22)에 접촉 지지되며, 비드(50)의 측면은 단차부(23)의 수직면에 접촉 지지된다.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high point portion 21 and low point portion 22 are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 When the pipe 9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d 5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of the bead seat portion 20, Th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is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vertical surface.

따라서, 파이프(90)는 플랜지(100)에 견고히 안착되며 둘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Thus, the pipe 90 is firmly seated on the flange 100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wo is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랜지(100)에 파이프(90)를 결합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for coupling the pipe 90 to the flange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비드(50)가 형성된 파이프(90) 및 비드 안착부(20)가 형성된 플랜지(100)를 준비한다. 이 경우, 비드 안착부(20)는 고점부(21) 및 저점부(22)를 갖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irst, a pipe 90 having beads 50 and a flange 100 having a bead seat 20 are prepared. In this case, the bead seat portion 20 has a curved shape having a high point portion 21 and a low point portion 22.

이후에, 파이프(90)를 삽입공(10)에 삽입한다. 이 경우, 비드(50)는 단차부(23) 및 비드 안착부(20)에 안착된다.Thereafter, the pipe 9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0. In this case, the bead 50 is seated on the step portion 23 and the bead seat 20.

다음으로, 플랜지(100)를 기준으로 비드(50)가 위치된 측과 이에 대향되는 측 중 어느 일 측을 가압하여 파이프(90)가 플랜지(1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가압 과정에서, 비드(50)가 비드 안착부(20)에 접촉되어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의 접촉면이 굴곡면을 이룬다.Next, the pipe 90 is fixed to the flange 100 by pressing either the side where the bead 50 is positioned or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bead 5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lange 100. The bead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ead seat 20 so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20 forms a curved surface.

도 8은 도 6의 변형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6;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0)의 내주면에는 제1요철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요철부(15)는 삽입공(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 부위와 요입 부위가 반복되면서 삽입공(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요철부(15)는 삽입공(10)의 내측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the first concave-convex part 15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0.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5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10 while repeating protruding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0 inward.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5 is formed to extend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10, but it may be partially formed.

이와 같이 삽입공(10)의 내주면에 제1요철부(15)가 형성됨으로써, 파이프(90)가 삽입공(10)에 삽입 후 파이프(90)가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감소된다. 결국, 제1요철부(15)는 파이프(90)와 플랜지(100)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조수단으로 작용한다.Since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0, the phenomenon that the pipe 90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after insertion of the pipe 90 into the insertion hole 10 is reduced. As a result, the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5 serves as an auxiliary means for enhanc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ipe 90 and the flange 100.

한편, 제1요철부(15)는 요철 부위가 톱니 형상으로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 단면을 가진 각진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거나 포물선 형상의 유선형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15 may be formed of an angular uneven surface having a polygonal section such as a triangular shape or a square shape with a concavo-convex portion having a sawtooth shape, or a parabolic concave /

도 9는 도 6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FIG. 6;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23)에는 제2요철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2요철부(16)가 단차부(23)의 수직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제2요철부(16)는 단차부(23)의 수직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단차부(23)의 수평면 전체에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요철부(16)는 단차부(23)의 수직면 및 수평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the step 23 may be formed with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6. In Fig. 9, the second uneven portion 16 is partially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However,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6 may be formed on the entire vertic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or may be formed on the entire horizont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or partially. In addition,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16 may be formed on both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이와 같이 단차부(23)에 제2요철부(16)가 형성됨으로써, 파이프(90)가 삽입공(10)에 삽입 후 파이프(90)가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감소된다. 결국, 제2요철부(16)는 파이프(90)와 플랜지(100)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조수단으로 작용한다.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16 is formed in the step portion 23, whereby the phenomenon that the pipe 90 is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after insertion of the pipe 90 into the insertion hole 10 is reduced. As a result,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16 serves as an auxiliary means for enhanc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ipe 90 and the flange 100.

한편, 제2요철부(16)는 요철 부위가 톱니 형상으로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 단면을 가진 각진 요철면으로 이루어지거나 포물선 형상의 유선형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16 may be formed of an angular uneven surface having a polygonal section such as a triangular, square, or the like, or a parabolic-shaped streamlined uneven surface.

또한, 고점부(21) 및 저점부(22)는 각각 두 개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of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re form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so as to be symmetrical.

고점부(21) 및 저점부(22)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비드(50)와 비드 안착부(20) 간의 접촉면의 굴곡이 늘어나며, 이에 따라 접촉 면적도 증대된다. 하지만, 고점부(21) 및 저점부(22)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굴곡 형상이 마치 요철의 형상과 유사해 지기 때문에 플랜지(100)에 파이프(90)를 코킹 후 가압력에 의해 굴곡면이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As the number of the high point portions 21 and the low point portions 22 increases, the curvature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bead 50 and the bead seat portion 2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However, when the number of the high point portions 21 and the low point portions 22 is excessively large, the bending shape becomes similar to the shape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so that the pipe 90 is pressed against the flange 100 by the pressing force after caulking, A crumbling phenomenon may occur.

따라서, 고점부(21) 및 저점부(22)의 개수는 파이프(90)와 플랜지(100) 간의 축방향 결합력을 충분히 증대시키면서 비드 안착부(2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점부(21) 및 저점부(22)가 각각 180°간격으로 형성되면, 파이프(90)와 플랜지(100) 간의 축방향 결합력을 충분히 증대시키면서 비드 안착부(2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최적의 설계가 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the high point portions 21 and the low point portions 22 is to be adop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axial fitting force between the pipe 90 and the flange 100 is sufficiently increased while deformation of the bead seat portion 20 does not occur desirable. When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re formed at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the axial fit force between the pipe 90 and the flange 100 is sufficiently increased, Can be designed.

도 10은 도 7에서 고점부 및 저점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7에서 고점부 및 저점부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high and low point portions in FIG. 7, and FIG. 11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high and low point portions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고점부(21) 및 저점부(22)는 각각 단일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고점부(21) 및 저점부(22)는 각각 4개가 구비되고 각각 90°간격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each of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may be provided in a single unit. Also, as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provide four high and low point portions 21 and 22, respectively, and they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또한,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100)는 금속 재질인 파이프(90)보다 강도가 약한 수지 재질로 성형된다.Further, the pipe fitting flange 10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having a strength lower than that of the pipe 90 made of a metal.

아울러, 고점부(21) 및 저점부(22)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비드(50)와 면접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re formed in a gentle curved shap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ead 50.

따라서, 금속 재질의 파이프(90)의 비드(50)를 수지 재질의 비드 안착부(20)에 압착할 때, 비드 안착부(20)의 고점부(21) 및 저점부(22)가 뭉개지는 현상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the bead 50 of the metal pipe 90 is pressed onto the resin bead seat 20, the peak 21 and the low point 22 of the bead seat 20 are crushed The phenomenon is prevent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ipe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삽입공 20 : 비드 안착부
21 : 고점부 22 : 저점부
40 : 결합공 50 : 비드
90 : 파이프 15 : 제1요철부
16 : 제2요철부 23 : 단차부
100 : 플랜지
10: insertion hole 20: bead seat portion
21: high point portion 22: low point portion
40: bonding hole 50: bead
90: pipe 15: first concave /
16: second concave / convex portion 23: stepped portion
100: Flange

Claims (6)

파이프(9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0)이 형성된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100)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0)의 적어도 일 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90)에 형성된 비드(50)가 압착 고정되기 위한 비드 안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비드(50)와 상기 비드 안착부(20)의 접촉면은 상기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호 면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드 안착부(20)는: 상기 비드(50)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고점부(21); 및 상기 고점부(21)로부터 유선형으로 굴곡 연장되어 상기 고점부(21)에 비해 상기 파이프(90)의 길이 방향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저점부(2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점부(21)와 상기 저점부(22)는 연속적인 폐곡면을 이루며,
상기 파이프(90)에 형성되는 비드(50)는 플랜지의 삽입공(10)에 형성된 비드 안착부(20)와 대응되도록 높이차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A pipe coupling flange (100) having an insertion hole (10) for insertion of a pipe (90)
And a bead seat (20) formed a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ead (50) formed on the pipe (90), wherein the bead (50) (20) are forme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ead seat (20) includes: a high point portion (21) formed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ead (50); And a low point portion 22 extending in a streamline shape from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having a lower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90 than the high point portion 21, The low point portion 22 forms a continuous closed curved surface,
Wherein the bead (50) formed on the pipe (90) is bent to have a height differen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ad seat (20) formed on the insert hole (10) of the flan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점부(21) 및 상기 저점부(22)는 각각 두 개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re each formed at an interval of 180 degrees so as to be symmetric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드 안착부(20)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d seat (20) has at least one step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100)는 금속 재질인 상기 파이프(90)보다 강도가 약한 수지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pe fitting flange (10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having a strength lower than that of the pipe (90) made of a metal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점부(21) 및 상기 저점부(22)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비드(50)와 면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gh point portion (21) and the low point portion (22) are in a gentle curved shap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ead (50).
KR1020100126038A 2010-12-10 2010-12-10 Flange for coupling pipe KR101748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38A KR101748200B1 (en) 2010-12-10 2010-12-10 Flange for coupl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38A KR101748200B1 (en) 2010-12-10 2010-12-10 Flange for coupl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24A KR20120064824A (en) 2012-06-20
KR101748200B1 true KR101748200B1 (en) 2017-06-16

Family

ID=4668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038A KR101748200B1 (en) 2010-12-10 2010-12-10 Flange for coupl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2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58B1 (en) * 2017-07-10 2022-03-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Joint flange for pi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268A (en) * 1999-10-22 2001-05-11 Aisin Takaoka Ltd Pipe joining structure
JP2001132877A (en) * 1999-11-04 2001-05-18 Japan Climate Systems Corp Piping joi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268A (en) * 1999-10-22 2001-05-11 Aisin Takaoka Ltd Pipe joining structure
JP2001132877A (en) * 1999-11-04 2001-05-18 Japan Climate Systems Corp Piping joi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24A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265B2 (en) Interior trim fastener
US9050690B2 (en) Component connection and/or method for connecting components
JP4885474B2 (en) fastener
US929692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adhesive connection between at least two components, in particular vehicle body components, by use of positive-fit elements
CN101839380B (en) Pipe connection joint
US9611913B2 (en) Dust cover assembly
JP6214335B2 (en) Hole plug
US20070236008A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CN109041576A (en) Two pieces plug-in type connector for connection component
KR200486373Y1 (en) Bolt cap for fixing panel
US20160102925A1 (en) Radiator tank fastening system
CN108397605A (en) Holding element for pipeline
CN111425511B (en) Device for a captured fastener assembly with an expanding grommet
US6779802B2 (en) Appliance with seal between two housing shells
KR101748200B1 (en) Flange for coupling pipe
US9593892B2 (en) Heat exchanger and retention element
CN106159455B (en) Buckle for fixing plastic component on reflecting plate and reflecting plate
JP332891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CN102192346A (en) Venting valve
CN207875789U (en) Body structure, the blanking cover for opening
WO2011115906A1 (en) Press-on fastening clip
US11608893B2 (en) Light weight hole plug
CN107763215A (en) Sealing system and the valve for being provided with sealing system
CN110573753B (en) Connecting clamp
JPH0488286A (en) Hose coup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