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171B1 -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171B1
KR101748171B1 KR1020170029910A KR20170029910A KR101748171B1 KR 101748171 B1 KR101748171 B1 KR 101748171B1 KR 1020170029910 A KR1020170029910 A KR 1020170029910A KR 20170029910 A KR20170029910 A KR 20170029910A KR 101748171 B1 KR101748171 B1 KR 10174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wder
housing
wing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언규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주식회사 경일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주식회사 경일그린텍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7002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71B1/ko
Priority to PCT/KR2018/002714 priority patent/WO20181644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02S40/12Means for removing sn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고,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부재가 구비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집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모바일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유닛을 구성함으로서, 실외에 설치, 즉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본 충전장치를 별도의 설치 없이 이동시키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가 간편한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MOVABL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고,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부재가 구비되어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집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모바일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유닛을 구성함으로서, 실외에 설치, 즉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본 충전장치를 별도의 설치 없이 이동시키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가 간편한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의 발달과 함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와 함께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원, 관공서 또는 역사 등에는 시민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69356호 『전자기기용 배터리 충전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전자기기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충전스테이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충전스테이지의 상, 하부측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조명수단을 가진 광고부들과, 상기 충전스테이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기기 또는 배터리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충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16815호 『모바일기기 충전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충전 관리함과, 연결된 각 모바일기기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유닛과, 상기 충전 관리함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유닛과,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과, 상기 센서 유닛에 의해 동작 상태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동작 상태 변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 감시와 제어 기능이 있어 안전한 보안이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8445호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적어도 2개 이상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이동 가능한 충전단자를 통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며, 현재의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구비되며, 열원으로 향 수용액을 증발시켜 향을 공기중에 발산시키는 열 발생기를 포함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건물 내의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부, 즉 공원이나 행사장 등의 장소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며, 소비전력에 따른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208호 『핸드폰 충전용 휴대용 소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의 태양전지모듈이 수십 개의 Unit에서 10개 내외의 Unit으로 줄인 것으로 예를 들면 소형태양전지로 구성할 경우 Unit 1개당 0.5볼트에 해당된다면 목표전압을 6볼트로 설정할 경우 12개의 Unit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해 외부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바퀴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구비된 집광유닛 및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집광유닛을 통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이동식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바퀴부재에 의해 이동이 편리하고, 상기 집광유닛에 집광부재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며,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이동식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집광유닛의 헤드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기둥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이동식 충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는
바퀴부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둥부재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에 복수개로 결합되는 날개부재 및 상기 각각의 날개부재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모으는 집광판을 구비한 집광부재를 포함하는 집광유닛;
상기 하우징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유닛으로 모인 전기를 보관하는 축전지와, 상기 하우징의 기둥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에 모인 전기를 공급받아 모바일기기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단자부재로 이루어지는 충전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는
바퀴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집광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여, 집광유닛을 통해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발생하고, 충전유닛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외부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야외, 행사장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바퀴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이동이 편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집광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기둥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집광유닛에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여 겨울철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이 눈이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됨에 따라 집광판이 눈에 의해 가려져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배출수단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집광유닛(20) 및 충전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본체(11)와, 이 본체(11)에 결합되는 기둥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1)는 도면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을 뿐,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하부에는 받침부재(15)가 더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바퀴부재(113)가 구비되어 설치 및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1)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부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기둥부재(13)의 상부 단부에 집광유닛(20)이 결합되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기둥부재(13)가 구비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기둥부재(13)는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기둥(133)과 상부기둥(131)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하부기둥(133)이 상기 본체(11)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기둥(133)의 단부에 상부기둥(131)이 구비되며, 상부기둥(131) 단부에 집광유닛(20)이 결합되어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기둥(133)과 상부기둥(131)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기둥(133)과 상부기둥(131)을 연결하는 보강부재(13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보강부재(135)의 하부는 상기 하부기둥(133)에 내삽되고, 상기 보강부재(135)의 상부는 상기 상부기둥(131)에 내삽됨에 따라 하부기둥(133)과 상부기둥(131)의 연결부위의 보강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기둥부재(13)의 형상은 도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또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3)에는 충전유닛(40)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충전유닛(40)은 상기 본체(11)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유닛(20)으로 만들어진 전기를 보관하는 축전지(43)와, 상기 축전지(43)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부재(4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단자부재(41)는 기둥부재(13), 구체적으로는 하부기둥(133)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한번에 많은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11)의 상부면에는 도면부호를 표시하진 않았지만, 별도의 판넬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1)의 외면에는 손잡이부재(11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1)를 이동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기대 서 있는 경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부재(11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본 발명은 이러한 충전유닛(4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태양광을 통하여 태양광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외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기둥부재(13)의 상부에는 집광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집광유닛(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집광유닛(20)은 상기 기둥부재(13)에 결합되는 헤드부재(21)와, 이 헤드부재(21)에 구비되는 집광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헤드부재(21)는 상기 기둥부재(13)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집광유닛(20)이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모을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며, 이 경사는 지면을 기준으로 25도~4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도~35도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앞서, 기둥부재(13)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약 2m 이상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행자가 걷다가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시 상기 헤드부재(21)는 상기 기둥부재(13), 구체적으로는 상부기둥(131)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21)에는 복수개의 날개부재(215)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날개부재(215)와 헤드부재(21)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날개부재(215)가 상기 헤드부재(21)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에 힌지부재(23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날개부재(215)에 힌지부재(235)가 결합되고, 이 힌지부재(235)가 상기 헤드부재(2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날개부재(215)가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도4참고)
또한 상기 날개부재(215)가 상기 헤드부재(21)의 상향방향 또는 하향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어 이동 시 보관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비가 오는 경우 등 태양광을 모으지 않는 경우에도 손쉽게 절첩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하고,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러한 힌지부재(235)와 헤드부재(21)의 결합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재(21)의 상부에는 헤드연결부재(211)가 더 구비되고, 이 헤드연결부재(211)의 상부에 헤드마감부재(213)를 구성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날개부재(215)에는 각각 집광부재(23)가 결합되는데, 상기 집광부재(23)는 태양광을 모아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집광판(23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집광판(231)의 상면에는 투광판(233)이 구비되어 상기 집광판(231)에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조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집광부재(23)의 단부에는 마감프레임(237)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마감프레임(237)은 상기 집광부재(23)의 단부 또는 각 테두리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집광부재(23)가 날개부재(215)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리는 눈 또는 빗물을 자연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수단(30)을 더 구비하여 투광판(233) 상부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배출수단(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마감프레임(237) 또는 날개부재(215) 중 경사각을 기준으로 하부방향의 마감프레임(237) 또는 날개부재(215)에 구비되는 배출홈(31) 및 배출유도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감프레임(237)에 구비되는 배출수단(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배출수단(30)은 배출홈(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배출홈(31)의 형성에 의해 상기 마감프레임(237)과 투광판(233)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눈이 경사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배출될 수 있어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배출홈(31)과 별도로 상기 배출수단(30)은 상기 마감프레임(237)에 형성되어 일면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배출유도부(33)를 더 포함하여, 쌓이는 눈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홈(31)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견고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홈(31)을 복수개로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배출유도부(33)를 구비함으로서 프레임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유도부(33)의 경사각은 대략 20도에서 45도, 바람직하게는 30도 정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충전장치(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치 장소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기둥부재(13)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기둥부재(1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기둥부재(13),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기둥(131)에는 제1 분체(H1)와, 상기 제1 분체(H1)에 삽입되는 제2 분체(H2)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이 더 구비되며, 이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수단의 전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삽부(H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내삽부(H11)에 상기 제2 분체(H2)가 내삽되어 제1 분체(H1)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H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분체(H2)에는 상기 내측돌기(H1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H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분체(H1)와 제2 분체(H2)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H)이 구비되는 바, 이 길이조절수단(H)은 제1 분체(H1)에 구비되는 통과공(H40)과,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 분체(H2)에는 이동공(H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며, 이 수직부(H33)에서 다시 경사부(H3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경사부(H31)와 수직부(H33)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번 구비됨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이동공(H30)은 공의 형상 또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체(H1)에는 통과공(H4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통과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상기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져 그 형상이 'H'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H30)에 단부가 체결되는 이동부재(H5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이동부재(H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다른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부재(H55)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H5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볼베어링(H51)은 상기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 내에서 움직일 때 보다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삽입부(H533)가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볼베어링삽입부(H533)는 상기 볼베어링(H51)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이 볼베어링삽입부(H533) 내에서 상기 볼베어링(H5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됨으로서 이동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재(H53)의 반대쪽 단부에는 핸들결합부(H5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핸들결합부(H531)에 상기 핸들부재(H55)가 결합되어 하나의 이동부재(H5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결합부(H531)와 핸들부재(H55)에 구비되는 바디삽입부(H551)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에 의해 핸들부재(H55)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결합부(H531)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하기에 이동부재(H5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제1 분체(H1)로부터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그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H50)는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체결되는 바,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경사부(H31)(우측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H31))에 의해 제2 분체(H2)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재(H50)가 가로공(H41)의 좌측에 위치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바로 이동을 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앞서 움직인 경사부(H31)를 따라 다시 이동하여 제2 분체(H2)가 원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공(H4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제1 세로공(H4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에 의해 좀 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후 다시 상기 이동부재(H5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이동공(H30)의 다음 경사부(H31)에 초입에 위치하며, 이동부재(H50)를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번째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여 제2 분체(H2)는 다시한번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H50)는 상기 이동공(H30)의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통과공(H40)의 제1 및 제2 세로공(H4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제2 분체(H2)를 제1 분체(H1)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상기 제2 분체(H2)를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방식과 반대로 이동부재(H50)를 움직임으로서 해결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길이가 조정된 제2 분체(H2)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부재(H55)에 고정플랜지(H553)를 구비하고 상기 통과공(H40)에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을 구비함으로서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부재(H55)의 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플랜지(H553)는 상기 바디부재(H53)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H46)은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 양 단부에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홈 또는 공 형상의 것으로 이 반원의 형상의 직경은 상기 핸들부재(H55)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바, 핸들부재(H55)를 살짝 풀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의 내측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상기 제1 분체(H1)의 외면과 떨어진 형상을 이루어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가로공(H41)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H55)를 조이게 되며, 이렇게 조이면 핸들부재(H55)가 자연스럽게 통과공(H40)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통과공(H40)에 구비되는 고정홈(H46)에 삽입됨으로서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을 구비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고정홈(H46)에 체결되면 이 제1 마그넷(H555)과 제2 마그넷(H557)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핸들부재(H5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하 및 좌우로 이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이동식 충전장치 10 : 하우징
11 : 본체 111 : 손잡이부재
113 : 바퀴부재 13 : 기둥부재
131 : 상부기둥 133 : 하부기둥
135 : 보강부재 15 : 받침부재
20 : 집광유닛 21 : 헤드부재
211 : 헤드연결부재 213 : 헤드마감부재
215 : 날개부재 23 : 집광부재
231 : 집광판 233 : 투광판
235 : 힌지부재 237 : 마감프레임
30 : 배출수단 31 : 배출홈
33 : 배출유도부 40 : 충전유닛
41 : 단자부재 43 : 축전지

Claims (4)

  1. 바퀴부재(113)가 구비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체결되는 기둥부재(13)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재(13)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부재(21)와, 상기 헤드부재(21)에 복수개로 결합되는 날개부재(215) 및 상기 각각의 날개부재(215)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모으는 집광판(231)을 구비한 집광부재(23)를 포함하는 집광유닛(20);
    상기 하우징(10)의 본체(11)에 구비되어 상기 집광유닛(20)으로 모인 전기를 보관하는 축전지(43)와,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재(13)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43)에 모인 전기를 공급받아 모바일기기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단자부재(41)로 이루어지는 충전유닛(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의 날개부재(215)에는 상기 집광유닛(20)에 쌓이는 눈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홈(31)과, 상기 복수개의 배출홈(31) 사이에 구비되되 20도~45도로 경사진 배출유도부(33)로 이루어지는 배출수단(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재(215)와 헤드부재(21)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부재(235)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재(215)가 상기 헤드부재(21)의 상향방향 또는 하향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재(13)로부터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13)에는 제1 분체(H1)와, 상기 제1 분체(H1)에 삽입되는 제2 분체(H2)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H)은
    제1 분체(H1)에 구비되는 통과공(H40)과,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과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및 다른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핸들부재(H55)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부재(H55)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고, 상기 통과공(H40)에는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이 더 구비되되,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충전장치.
KR1020170029910A 2017-03-09 2017-03-09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KR10174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10A KR101748171B1 (ko) 2017-03-09 2017-03-09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PCT/KR2018/002714 WO2018164484A1 (ko) 2017-03-09 2018-03-07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10A KR101748171B1 (ko) 2017-03-09 2017-03-09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71B1 true KR101748171B1 (ko) 2017-06-27

Family

ID=595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910A KR101748171B1 (ko) 2017-03-09 2017-03-09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171B1 (ko)
WO (1) WO20181644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21A (ko) * 2018-06-19 2019-12-30 곽정환 발전장치
KR20220060821A (ko) 2020-11-05 2022-05-12 유한회사 세레스 IoT 기반 다목적 이동식 하이브리드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30056290A (ko) 2021-10-20 2023-04-27 유한회사 세레스 트레일러 타입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55B1 (ko) 2016-05-03 2016-12-01 주식회사 준마 휴대용 태양광 충전 및 전원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4806A (ko) * 2010-06-09 2011-12-15 김수로 태양전지가 구비된 파라솔
KR20120003498U (ko) * 2010-11-11 2012-05-21 문현성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충전 양산
KR101468672B1 (ko) * 2013-07-17 2014-12-08 김인호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한 파라솔
US9289039B2 (en) * 2014-01-06 2016-03-22 Zon Sunshades with solar power supplies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s
KR101507023B1 (ko) * 2014-04-16 2015-03-31 (주)거산 자체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파라솔 타입 친환경 벤치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55B1 (ko) 2016-05-03 2016-12-01 주식회사 준마 휴대용 태양광 충전 및 전원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21A (ko) * 2018-06-19 2019-12-30 곽정환 발전장치
KR102221205B1 (ko) 2018-06-19 2021-03-03 곽정환 발전장치
KR20220060821A (ko) 2020-11-05 2022-05-12 유한회사 세레스 IoT 기반 다목적 이동식 하이브리드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30056290A (ko) 2021-10-20 2023-04-27 유한회사 세레스 트레일러 타입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4484A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71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식 충전장치
US11971153B2 (en) Battery storage vault and utility pole system
CA2706779C (en) Autonomous, modular power gener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110042B1 (ko) 분해 조립식 태양광 및 풍력 발전장치
US11121561B2 (en) Utility pole battery storage system
AU2018250363A1 (en) Solar panel housing for a parking meter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20150124090A1 (en) Systems and Method for Using Capacitors in Security Devices
CN106655455A (zh) 一种景观雨棚以及移动充电系统
CN113958905B (zh) 一种风光互补的多功能杆
Goud et al. Internet of Things-based infrastructure for the accelerate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N101964605A (zh) 一种太阳能野外应急电源
CN103840499A (zh) 一种多功能充电站
CN106671801A (zh) 一种可移动的新能源汽车计时充电桩
KR101300763B1 (ko) 길이 가변형 태양광 발전 창호
CN206498242U (zh) 一种景观雨棚以及移动充电系统
CN102163857A (zh) 集成式智能化太阳能发电储能装置
CN213138540U (zh) 一种智能充电桩用错峰充电装置
CN204517750U (zh) 室内安全太阳能应急电源
CN211654182U (zh) 一种跨步电压安全宣讲装置
CN201749643U (zh) 风光互补太阳伞led灯箱景观灯
JP2005129800A (ja) 発電システム
CN112857646A (zh) 一种无线监测道岔阻力的装置
CN107199900B (zh) 一种防风型智能充电桩
CN113393659A (zh) 一种无线太阳能低功耗倾角仪系统
CN201599709U (zh) 可对外充电型太阳能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