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89B1 -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89B1
KR101747089B1 KR1020140123559A KR20140123559A KR101747089B1 KR 101747089 B1 KR101747089 B1 KR 101747089B1 KR 1020140123559 A KR1020140123559 A KR 1020140123559A KR 20140123559 A KR20140123559 A KR 20140123559A KR 101747089 B1 KR101747089 B1 KR 10174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der
tension
screen hold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317A (ko
Inventor
윤주석
김기선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주)옴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주)옴니원 filed Critical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2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스크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과 결합되는 스크린 홀더; 상기 스크린 홀더의 타측과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홀더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감싸고 배출되어, 상기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ROJECTION USING HOLOGRAPHY}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설치가 용이하고 균등한 텐션이 유지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er)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광고 장치 또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 방식은 영상을 출력해야 하는 불투명 스크린 영역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LCD, LED, 프로젝터, 아날로그 필름, 홀로그램 필름 등의 다양한 영상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된 유리에 반사시켜, 영상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허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투사 장치는 스크린의 장착이 어렵고, 스크린의 설치 시에 스크린의 불균일한 텐셔닝 및 스크린 상에 주름이 생김으로써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 홀더와 다수의 장력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린을 편평하게 유지함으로써, 스크린 상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공중에 투영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매체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원의 투영에 따른 거리 및 설치에 제한이 없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스크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과 결합되는 스크린 홀더; 및 상기 스크린 홀더의 타측과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홀더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감싸고 배출되어, 상기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은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끝단에 코튼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코튼 테이프는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봉을 감싸고, 상기 지지부재까지 연장되어 스테이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투명한 연질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소재로 이루어지며 롤링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포일(Foil)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반사면과 45°의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배치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물려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장치; 및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감쇠기(Fa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을 스크린 홀더의 일측 개구부를 통과시켜 상기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둘러싼 다음 상기 개구부로 배출하여, 상기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는 형태로,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홀더에 연결된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프로젝터를 동작시켜 빛을 방출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빛을 반사면을 이용하여 반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이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끝단에 코튼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코튼 테이프가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봉을 감싸고, 상기 지지부재까지 연장되어 스테이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투명한 연질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롤링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과 상기 반사면이 45°의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배치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물려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크린 홀더와 다수의 장력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린을 편평하게 유지함으로써, 스크린 상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공중에 투영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매체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원의 투영에 따른 거리 및 설치에 제한이 없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더의 연결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장치는 프로젝터(110), 반사면(120), 그리고 스크린(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10)는 영사장치로, 슬라이드, 투명지 위의 사진, 그림, 문자 등을 렌즈를 통해서 스크린 위에 확대 투영하여 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보여 줄 수 있는 광학장치이다.
반사면(120)은 거울, 반사 유리 등의 반사면으로 이루어져,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스크린(130)은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투사되어, 스크린(130)의 후방(140)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130)의 앞면은 빛을 반사하도록 배치되어 스크린에서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가상의 영상이 생성됨으로써, 가상의 영상은 관람자 등에게 스크린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110)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프로젝터(1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어, 대략 45°각도로 설치된 스크린(130)에 투영될 수 있다. 이때, 투영된 영상은 허공에 떠 있는 것 같은 홀로그램 영상이 무대의 후방(140)에 나타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영된 홀로그램 영상 앞에서 공연자 혹은 발표자는 홀로그램 영상과 상호작용하며 공연을 하거나 발표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자 또는 발표자가 투사되는 영상의 뒤에 위치하는 것은 발표자가 스크린의 정면에 서게 되는 시스템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공연자 또는 발표자가 투사되는 영상을 가로질러 걸어갈 때 투사 영상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영상을 인지하는 영상 관찰자가, 그 영상을 2차원 영상이 아니라 깊이를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지하게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는 프로젝터, 반사면, 스크린(210), 지지부재(220), 지지봉(230), 스크린 홀더(240), 그리고 장력 조절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슬라이드, 투명지 위의 사진, 그림, 문자 등을 렌즈를 통해서 스크린 위에 확대 투영하는 영사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는 직접 스크린(210)에 영상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사면은 거울, 반사 유리 등의 반사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스크린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면은 프로젝터과 인접한 거리에 배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면은 설치 장소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210)은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투사되어, 스크린(210)의 후방에 허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210)은 투명한 연질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소재로 이루어져, 스크린의 설치 전, 후에 롤링되어 보관 가능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 중에 스크린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10)은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린(210)의 앞면에 부분 반사성 코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210)은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스크린의 끝단에 코튼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코튼 테이프는 그 소재에 제한은 없지만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며, 스크린(210)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 또한, 코튼 테이프는 스크린에 부착되어 지지봉까지 충분히 감쌀 수 있고, 지지부재까지 연장되어 스테이플에 의해 지지부재와 코튼 테이프가 스크린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플을 대신하여 별도의 결합장치 및 고정장치, 또는 나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지지부재와 코튼 테이프를 스크린에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스크린(210)은 반사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되, 대략 45°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이때, 스크린은 바닥과 대략 45°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사진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영상을 인지하는 영상 관찰자가 영상을 2차원 영상이 아니라 깊이를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스크린(2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크린(210)을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20)는 스크린(210)의 상단과 하단인 양 끝단에 부착되어 스크린(210)을 편평하게 유지시키고, 스크린 홀더(240) 및 장력 조절장치(250)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봉(230)은 길이가 긴 원기둥 형태의 봉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스틸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230)은 스크린 홀더(240)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되며, 스크린 홀더(240)의 개구부(241)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크린(210)은 스크린 홀더(240)의 개구부(241)를 통과하여 스크린 홀더(240)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감싼 다음, 다시 개구부(241)로 배출되고, 스크린(210)에 장력이 작용하여 스크린(210)이 팽팽해질 경우, 스크린(210)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220)가 개구부(241)에 걸림으로써 스크린 홀더(24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 홀더(240)는 일측에 개구부(241)가 형성되어 스크린(2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21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스크린 홀더(2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린(210)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 끝단에 지지부재(220)와 스크린 홀더(2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력 조절장치(250)는 스크린 홀더(2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스크린(21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 조절장치(250)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장치와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 조절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랩 조절장치는 스크린(210)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등한 텐션이 걸릴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210) 상에 투사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스크린(210) 상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홀더(240)는 스크린(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장력 조절장치(250)는 스크린 홀더(2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스크린(210)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 또는 배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일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광원은 스크린의 후방(또는 스크린 상단의 스크린 홀더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광원의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감쇠기(Fader)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은 관객이 인지하는 우유빛 색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의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사 스크린을 때리는 방식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스테이지 조명의 균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는 스크린(310), 스크린 홀더(320), 미세 조절장치(330), 그리고 스트랩 조절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310)은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반사면에 반사되고, 반사된 빛이 투사됨으로써, 스크린(310)의 후방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310)의 앞면에는 부분 반사성 코팅이 될 수 있다.
스크린 홀더(320)는 스크린(310)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스크린(310)의 형태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스크린(310)을 장력 조절장치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장력 조절장치는 스크린 홀더(320)와 연결되어 스크린(31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 조절장치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장치(340)와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 조절장치(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계속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더의 연결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홀더(440)의 일측은 스크린(410)과 연결되고, 스크린 홀더(440)의 타측은 장력 조절장치(460)과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스크린 홀더(440)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부에는 지지봉(4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410)은 스크린 홀더(440)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내부 공간부에 있는 지지봉(430)을 감싼 다음, 다시 개구부로 배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410)에 장력이 작용하여 스크린(410)이 팽팽해질 경우, 스크린(410)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420)가 개구부에 걸림으로써 스크린 홀더(44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스크린(410)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크린(410)은 스크린 홀더(440)에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홀더(440)의 타측은 결합부재(450)에 의해 장력 조절장치(46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450)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ㄷ'자 형상을 이루며 스크린 홀더(440)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스크린 홀더(440)와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 장치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450)는 장력 조절장치(460)와 결합되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홀더(440)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제1 부재(441)와 제2 부재(44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부재(441)와 제2 부재(442)가 맞물려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441)와 제2 부재(442)는 내부 공간부와 일측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력 조절장치는 스크린 홀더(520)와 연결되어 스크린(51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 조절장치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장치(570)와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 조절장치(54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 조절장치(570)는 일측이 스트랩 홀더(560)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고리(55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고리(550)은 그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S'자 형태의 고리로 형성되어,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팽팽해짐으로써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체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 조절장치(570) 각각은 스크린(510)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등한 텐션이 걸릴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510) 상에 투사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스크린(510) 상의 주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조절장치(530)는 연결고리(550)에 의해 스트랩 조절장치(5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계속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 조절장치(630)의 일측은 결합부재(620)에 의해 스크린 홀더(610)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연결고리에 의해 스트랩 조절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620)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ㄷ'자 형상을 이루며 스크린 홀더(610)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620)는 스크린 홀더(610)와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 장치 또는 나사(6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620)는 미세 조절장치(630)와 결합되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조절장치(630)는 스트랩 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의 조절 후,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 해당 미세 조절장치(630)에 구성된 나사(631)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을 편평하게 유지하고, 스크린 상의 주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등한 텐션이 걸릴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미세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주름이 없이 팽팽해질 때까지 각각에 대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높은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는 프로젝터, 반사면, 스크린, 지지부재, 지지봉, 스크린 홀더, 그리고 장력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스크린을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을 스크린 홀더의 일측 개구부를 통과시켜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둘러싼 다음 개구부로 배출하여,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는 형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크린 홀더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어 지지봉이 배치되되, 지지봉이 개구부를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린 홀더는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장력 조절장치는 스크린 홀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스크린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홀더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물려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을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스크린이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끝단에 코튼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코튼 테이프가 스크린에 부착되어 지지봉을 감싸고, 지지부재까지 연장되어 스테이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은 투명한 연질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소재로 이루어져, 스크린의 설치 전, 후에 롤링되어 보관 가능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 중에 스크린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은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린의 앞면에 부분 반사성 코팅이 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스크린 홀더에 연결된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단계와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랩 조절장치 각각은 스크린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등한 텐션이 걸릴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 상에 투사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스크린 상의 주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조절장치는 스트랩 조절장치에 의한 장력의 조절 후,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 해당 미세 조절장치에 구성된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을 편평하게 유지하고, 스크린 상의 주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프로젝터를 동작시켜 빛을 방출시킬 수 있다.
단계(740)에서,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면을 이용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단계(750)에서,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투사되어, 스크린의 후방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과 반사면은 대략 45°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스크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과 결합되는 스크린 홀더; 및
    상기 스크린 홀더의 타측과 연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홀더의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감싸고 배출되어, 상기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크린에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팽팽해지는 경우 상기 스크린 홀더의 상기 개구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장치; 및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미세 조절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 조절 장치는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지고,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형태를 컨트롤 하며, 상기 장력 조절장치와 결합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배치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지 않으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물려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공간부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와 고정 장치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스트랩 조절 장치는
    일측이 스트랩 홀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 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팽팽해짐으로써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랩 홀더와 상기 연결 고리의 해체가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을 스크린 홀더의 일측 개구부를 통과시켜 상기 스크린 홀더 내부에 있는 지지봉을 둘러싼 다음 상기 개구부로 배출하여, 상기 스크린의 끝단에 구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는 형태로,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홀더에 연결된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프로젝터를 동작시켜 빛을 방출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빛을 반사면을 이용하여 반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빛이 투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 영상이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에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팽팽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스크린 홀더의 상기 개구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스크린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장력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이 편평해지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단계; 및
    나사를 회전시켜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지고,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형태를 컨트롤 하며, 상기 장력 조절장치와 결합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이 배치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지 않으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맞물려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공간부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스크린 홀더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와 고정 장치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이 주름이 없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스트랩을 당겨 일정한 간격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스트랩 조절 장치는
    일측이 스트랩 홀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 고리에 연결되어, 상기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팽팽해짐으로써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장력 조절장치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랩 홀더와 상기 연결 고리의 해체가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23559A 2014-09-17 2014-09-17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KR10174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59A KR101747089B1 (ko) 2014-09-17 2014-09-17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59A KR101747089B1 (ko) 2014-09-17 2014-09-17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609A Division KR102233432B1 (ko) 2016-01-12 2016-01-12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317A KR20160033317A (ko) 2016-03-28
KR101747089B1 true KR101747089B1 (ko) 2017-06-28

Family

ID=5700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59A KR101747089B1 (ko) 2014-09-17 2014-09-17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317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7838B (zh) 投影裝置
JP2930219B2 (ja) ステージの背景で動く映像を表示する装置
US79720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peckle in display of images
EA201170187A1 (ru)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ереноса натураль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WO2007052005A1 (en)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GB2437928A (en) Projection apparatus
KR101747089B1 (ko)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US7360928B2 (en) Tilting device
KR20160033082A (ko)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한 영상 투사 장치 및 방법
US81136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 of an image artifact
RU1016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иллюзии глубины сцены
US7259919B2 (en) Thin-profile projection system
JP2008026628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100771134B1 (ko) 광학 프로젝터의 컬러 휠 홀더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컬러 휠 홀더 결합방법
TW200602782A (en) Projector display and shading-sheet therein
Tu et al. 31.2: Speckle Contrast Reduction with a Small‐Vibrated Reflective Intermediate Screen for a MEMS Scanning Laser Projector
JP2005283827A (ja) 空間光変調装置
JP2010186119A (ja)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ター本体、及びプロジェクター台座ユニット
JP2006010954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20060085722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6010953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