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74B1 -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74B1
KR101747074B1 KR1020160046200A KR20160046200A KR101747074B1 KR 101747074 B1 KR101747074 B1 KR 101747074B1 KR 1020160046200 A KR1020160046200 A KR 1020160046200A KR 20160046200 A KR20160046200 A KR 20160046200A KR 101747074 B1 KR101747074 B1 KR 10174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isk
factor
unit
statist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설
김현주
신진동
김미선
원진영
윤경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4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장치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통계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상기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안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안전 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METHOD FOR SAFETY DIAGNOSIS,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지수를 활용하여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화, 산업화 및 고령화 등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 및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해 새로운 유형의 위해가 발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규모 감염병 및 가축전염병이 국가간에 확산되고 있으며, 재난 및 안전 취약자의 극복 역량 저하로 새로운 사회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대형 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등, 막대한 국가적 손실을 입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사고 발생으로 인한 오명을 얻는 등 국가 이미지가 추락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매년 대형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였으며, 다리 붕괴, 건물 붕괴, 도로 붕괴, 열차 사고, 지하철 사고, 항공기 사고 및 화재 등의 대형 안전사고가 모든 생활공간에서 발생하여 국민의 불신이 가중되고 있다. OECD 국가 중에서 어린이 교통사고 1위, 자살 사망률 10년 연속 1위 및 산재 사망률 1위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통계지표가 국가의 대외 신뢰도 저하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는 그 자체로도 엄청난 인명 손실과 재산상 손실을 초래하며, 직접적인 손실에만 머무르지 않고 생산차질 등으로 인한 보이지 않는 재산상, 시간상의 막대한 간접적 손실을 동반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안전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지역별 또는 분야별 안전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수단이 부족한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가의 안전과 관련된 통계자료는 안전사고 분야별로 산재되어, 이를 취합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수집된 통계 및 지표들의 분석을 통해 안전수준 및 안전의식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 또는 분야별 취약부분을 진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산재되어 있는 통계자료를 취합와 함께, 일부 분야별로 공표되고 있는 지표들을 조사하고 이들 외에도 활용 가능한 새로운 통계자료를 발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수집된 통계 및 지표들의 분석을 통해 안전수준 및 안전의식을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표준 지표를 산출하는 기술과 이러한 표준 지표를 활용하여 지역 간 안전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표준 지표를 활용하여 지역별 또는 분야별 안전 취약점을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도 필요하다.
최근, 지역 안전도를 평가하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선행문헌을 통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5890호는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별로 수집되는 각종 재난자료를 지아이에스 정보와 함께 연동시킴으로써, 지역별 안전도 평가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효용성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지자체별 재난발생 위험과 피해규모, 피해 저감능력의 파악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며, 지역별 지아이에스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지자체 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재난계획 수립을 강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0067841호는 지역 기반의 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범지역 거주자 및 사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 혹은 처음 방문하는 지역에 대해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현재 위치한 주변 지역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위험도 및 주의사항, 안전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단말로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함으로써 범죄 및 사건, 사고 발생률 감소, 지역 거주자들과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지역 기반의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기반의 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위치 및 지역 정보와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시스템, 관제서버, 각종 사건, 사고, 범죄 데이터 저장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주변 지역 혹은 사용자가 선택한 주변 지역의 위험도 및 주의사항, 안전도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범죄 및 사건, 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들은 재난 관련 안전사고에 대한 수치 정보를 단순 활용하여 지역별 안전도를 평가하는데 그치고 있어, 특정 지역에 대한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정 지역의 취약점에 대한 진단 기술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의 경우, 산출된 안전도의 객관성이 담보되지 않아, 지역별 안전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러한 안전도를 활용하는 것은 부적합하고, 지역별 취약분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안전 개선에 유의미한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수준 및 안전의식을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안전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5890호 한국공개특허 제10-00678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수준 및 안전의식을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안전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객관성이 담보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지역별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여, 해당 지역이 최적화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 진단 방법은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상기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상기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결과 인자(factor),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 및 가중치를 기초로, 위해 지수, 위해 가중 지수 및 위해 경감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위해 지수에 상기 위해 가중 지수를 가산하고 상기 위해 경감 지수를 감산하여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거나, 또는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으로 하락하는 위해 분야를 상기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와의 비교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인자를 기초로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여, 상기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요소에 대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의 개선을 위한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상기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상기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 진단 장치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한다. 여기에서, 안전 진단 장치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통계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상기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안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안전 진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는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상기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결과 인자(factor),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는 상기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 및 가중치를 기초로, 위해 지수, 위해 가중 지수 및 위해 경감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위해 지수에 상기 위해 가중 지수를 가산하고 상기 위해 경감 지수를 감산하여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거나, 또는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으로 하락하는 위해 분야를 상기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와의 비교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인자를 기초로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여, 상기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요소에 대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 안전 개선 전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개선 전략부는 상기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의 개선을 위한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상기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상기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시뮬레이션 진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여기에서,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상기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에서, 안전수준 및 안전의식을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안전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객관성이 담보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지역별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고,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최적화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안전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취약 요소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취약 지역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 진단 시스템(100)은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안전 진단 장치(11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는 각종 위해 사고에 관한 통계 정보 및 지역별 안전을 관리하는 국가 기관(예 : 국가 재난 안전 기관, 국민 안전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는 특정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동작하며, CPU, 하드디스크 및 램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진단 장치(110)는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120)는 지역안전진단시스템 DB 및 지아이에스 D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는 단일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데스크톱에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가 함께 포함되어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진단 장치(110) 및 데이터 베이스(120)는 상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안전 진단 장치(110)는 안전 진단에 필요한 통계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120)에 요청하고, 데이터 베이스(120)는 해당 요청에 대응한 통계 자료를 안전 진단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장치(110) 및 안전 진단 장치(110)에서 수행되는 안전 진단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안전 진단 장치(11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진단 장치(110)는 통계 정보 수집부(210), 안전 지수 산출부(220), 안전 진단부(230), 안전 개선 전략부(240), 시뮬레이션 진행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에서, 위해 사건은 위험 또는 재해와 관련된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재 사건, 교통 사고, 자연재해, 범죄 사건, 안전사고, 의료 사고, 산업 재해 등 위험 또는 재해 등 위험 또는 재해와 관련된 각종 사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해 사건은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험 또는 재해와 관련된 사건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위해 사건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병은 감염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안전 지수 산출에 필요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해당 요청에 대응한 통계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는 수량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량적 정보는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 그 자체,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를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표준화한 수치 및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를 근사화한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건수가 1,283,243건인 경우, 화재 발생건수에 대한 수량적 정보는 위해 사건의 발생건수 그 자체(1,283,243), 1만명 당 위해 사건 발생 건수(1,283,243건/(해당 지역 인구수)*(10,000)) 또는 위해 사건의 건수의 근사치(예 : 1,283,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계 정보의 수량적 정보는 안전 지수의 산출 속도 및 편의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위해 사건을 각종 수치 정보로 표현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수량적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는 위해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인자는 위해 사건과 연관된 통계 인자(항목)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인자는 위해 사건에 대한 피해 결과 및 위해 사건에 대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을 참조하여 위해 인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은 분야별 위해 인자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총 206개의 위해 인자는 위해 분야 및 지역 특성 분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위해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감염병으로 구성되고, 지역 특성 분야는 인구, 행정, 경제, 산업, 복지 및 토지 이용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206개의 위해 인자는 모두 특정 위해 사건에 대한 피해 결과 및 위해 사건에 대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통계 항목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자연 재해에 해당하는 위해 분야의 위해 인자는 자연재해 발생 건수, 자연재해 사망자수, 자연재해 피해자수, 유지면적, 방수시설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재에 해당하는 위해 분야의 위해 인자는 화재 발생건수, 화재 사망자수, 산림면적, 화재구조실적,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자살에 해당하는 위해 분야의 위해 인자는 자살 사망자수,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인지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해분야 위해인자
자연재해(27) 자연재해 발생건수
자연재해 사망자수
자연재해 피해자수
자연재해 피해액
하천연장
하천면적
제방면적
구거면적
유지면적
임야면적
방재지구 면적
하수도 설치율
하수관거 보급률
하수관거 준설률
하수처리장 시설용량
저수지 저수용량
방수시설 면적
배수시설 면적
방조설비 면적
사방설비 면적
사망설비 개소
산사태취약지역 면적
산사태 발생면적
자연재해 발생건수(10년평균)
자연재해 사망자수(10년평균)
자연재해 피해자수(10년평균)
자연재해 피해액(10년평균)
화재(20) 화재 발생건수
화재 사망자수
화재 피해자수
화재 피해액
산불발생건수
산불피해면적
야간산불건수
야간산불면적
방화성 산불건수
방화지구 면적
건축용지 면적
산림면적
무허가 건물수
위험물 제조소수
화재구조실적
화재피해 경감액
가스공급설비 면적
열공급설비 면적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 면적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교통(19) 교통사고 발생건수
교통사고 사망자수
교통사고 부상자수
노인교통사고 사망자수
노인교통사고 부상자수
보행사상자수
자동차등록대수
도로연장
도로면적
교통안전지수
교통문화지수
운전시 안전벨트 착용률
어린이교통사고 사망자수
어린이교통사고 부상자수
음주교통사고 발생건수
무면허교통사고 발생건수
보행우선구역 지정면적
보행자전용?우선도로 면적
보행자전용?우선도로 연장
범죄(7) 강력범죄 발생건수
타살 사망자수
성폭력 발생건수
소년범죄 발생건수
가로등수
아동안전지킴이집수
빈집수
안전사고(10) 추락 사망자수
안전사고 사망자수
산업재해 사망자수
붕괴사고건수
산업재해 재해자수
산업재해 사망만인율
익사자수
산업재해 재해율
수영장수
연간 낙상경험률
자살(4) 자살 사망자수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인지율 월간음주율
감염병(25) 감염병 사망자수
감염병 발생건수
식중독 발생건수
식중독 발생자수
상수도보급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화학물질 배출량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대기오염도
황사 발생현황
오존경보 발생횟수
폐기물 매립시설수
폐기물 소각시설수
폐기물 발생량
폐기물 처리시설수
소음진동 배출시설수
분뇨처리시설수
상수도 미급수지역 주민수
주요예방접종을 한 주민수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수
식품제조가공업체 위반건수
수질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수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수
폐수배출시설 점검 위반율
대기배출시설 점검 위반율
지역
특성
인구
(25)
주민등록인구수
주민등록인구수(14세이하)
주민등록인구수(60세이상)
주민등록인구(여자)
주민등록인구(청소년)
고령인구수
초등학생수
유치원생수
혼인귀화자수
장애인수
외국인수
독거노인수
소년소녀가장수
인구밀도
주간인구지수
야간인구수
1인가구수
총 전입자수
시군구내 전입자수
시도간 전입자수
순이동자수
이혼건수
시도내-시군구간 전입자수
질병이환 및 사망외인으로 인한 사망자수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행정
(11)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공무원수
구조된 사람수
소방공무원수
경찰수
경찰관서수
구조구급대원수 자원봉사자 등록률
공공질서 및 안전예산 비율
재난안전네트워크 구축여부
경제(4) 실업률 지역별 부도업체수 재산세 지방소득세
산업
(15)
총 사업 종사자수
건설업 종사자수
제조업 종사자수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수
건설업 업체수
음식점 및 주점업 업체수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수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업체수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업체수
하수폐기물처리 및 환경복원업 업체수
제조업 업체수
주점업 업체수
다중이용업소수


복지
(28)
의료인력수
의사수
사회복지사수
의료기관수
병원수
병상수
특수의료장비현황
재난심리지원 전문요원수
재난심리지원센터 현황
건강보험급여실적
건강검진 2차검진율
건강보험급여실적(외래)
건강보험급여실적(입원)
건강보험급여실적(약국)
기초수급자수
기초수급자수(65세이상)
의료보장 적용인구
의료보장 사업장수
의료보장 공, 교 사업장수
의료보장 공, 교 가입자수
의료보험료 수납액
의료급여 1종세대수
의료급여 2종세대수
의료급여 1종인구수
의료급여 2종인구수
의료보장 근로자 사업장수
의료보장 근로자 가입자수
양호한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토지
이용
(11)
시가화율
주거지역 면적
일반주거지역 면적
상업지역 면적
공업지역 면적
도시지역 면적
행정구역 면적
공공문화체육시설수
초등학교수
중학교수
고등학교수
한편, 상기 표 1에 나타난 각종 분야 및 위해 인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안전 지수의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위해 인자는 위해 인자 상호 간의 상관 관계 분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서 위해 결과 인자(factor)를 선별하고,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 수집부(210)에 의하여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결과 인자(factor)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결과 인자는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재해 분야에 대한 위해 결과 인자는 자연재해 발생건수, 자연재해 사망자수, 자연재해 피해자수 및 자연재해 피해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재 분야에 대한 위해 결과 인자는 화재 발생건수, 화재 사망자수, 화재 피해자수, 화재 피해액 및 산불발생건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자살 분야에 대한 위해 결과 인자는 자살 사망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복수의 위해 결과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의 합산을 통해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위해 결과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의 합산을 통해 산출된 안전 지수는 높은 값을 가질수록 해당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복수의 위해 결과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합산하고, 기정의된 상수 값에 합산 값을 감산하여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복수의 위해 결과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합산하고, 합산 값의 역수를 안전 지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산출된 안전 지수는 높은 값을 가질수록 해당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지수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범위(예 : 0 내지 100)를 가지는 수치 또는 단계적 등급(예 : 1 내지 5 등급) 등, 기정의된 관계식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이며, 위해 결과 인자를 기초로 산출된 수치가 특정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지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지수 산출 방법은 위해 결과 인자를 기초로 안전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지역 단위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을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하, 지역별 및 분야별 안전수준 또는 의식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안전 지수의 산출 기술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 장치(110)는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위해 영향 인자를 기초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수는 위해 결과뿐만 아니라, 위해 결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등이 함께 고려되어 산출됨으로써, 단순히 통계 시점의 안전 수준 또는 의식을 나타내는데 그치지 않고, 잠재적 위험 수준 또는 의식이 반영된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서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영향 인자는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에서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를 증감시킬 수 있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 분야에서의 위해 영향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재난 약자수, 기초 수급자수, 의료보장사업장수, 자동차등록대수, 의료기관수, 인구밀도 및 구조구급대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살 분야에서의 위해 영향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자살 사망자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기초수급자수 및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통해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독립 변수를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계적 상관성 분석은 위해 결과 인자와 높은 인과관계를 가지는 위해 인자를 위해 영향 인자로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복수의 위해 인자들을 독립 변수로 설정한 후,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통해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독립 변수(위해 인자)를 위해 영향 인자로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의 확률은 통계적 상관성 분석에서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인과관계가 없을 확률을 의미한다. 즉,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유의 확률(위해 결과 인자와의 인과관계가 없을 확률)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값(예 : 0.05 이하)을 가지는 독립 변수(위해 인자)를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할 수 있다. 유의 확률이 낮은 값을 가진다는 것은 인과관계가 있을 확률이 높다고 해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위해 인자를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하는 경우, 위해 영향 인자는 95% 이상의 확률로 위해 결과 인자와 인과관계가 인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영향 인자를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위해 가중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위해 영향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 분야에서의 위해 가중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재난 약자수, 기초 수급자수, 의료보장사업장수 및 자동차등록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살 분야에서의 위해 가중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자살 사망자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및 기초수급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해 경감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위해 영향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 분야에서의 위해 경감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기관수, 인구밀도 및 구조구급대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살 분야에서의 위해 경감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자살 사망자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해 가중 인자는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에서 재난약자수 및 기초수급자수 등과 같이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등의 항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위해 경감 인자는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에서 의료기관수 및 구조구급대원수 등과 같이 위해 결과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를 감소시키거나, 위해 사건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등의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위해 인자들 중 위해 결과 인자를 선별하고, 위해 결과 인자와 높은 인과 관계를 가지는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하여, 이를 기초로 안전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산출된 안전 지수는 단순히 통계 시점의 안전 수준 또는 의식을 나타내는데 그치지 않고, 잠재적 위험 수준 또는 의식이 반영된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별된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영향 인자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위해 분야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위해 경감 인자
화재 화재 사망자수
화재 발생건수
재난약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업체수 병상수, 재정자주도, 도시지역면적
교통
사고
교통사고 사망자수
(고속도로사망자 제외)
재난약자수, 기초수급자수, 의료보장사업장수, 자동차등록대수 의료기관수, 인구밀도, 구조구급대원수
범죄 5대 강력범죄 발생건수 총전입자수, 인구밀도, 기초수급자수, 제조업 업체수, 음식점 및 주점업 업체수 경찰 사업체수
안전
사고
안전사고 발생건수 하천면적, 산림면적, 재난약자수, 시군구외 전입자수, 건설업 종사자수, 제조업 종사자수 의료보험료 수납액
자살 자살 사망자수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기초수급자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수
감염병 감염병 사망자수 건강보험급여실적, 고령인구수, 기초수급자수, 도시지역면적 의료기관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표 2에 나타난 각 위해 영향 인자는 각 위해 분야에 대한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변수로 하는 통계적 상관성 분석 결과, 0.05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위해 인자를 선별한 것으로, 표 2에 나타나는 위해 분야 별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영향 인자를 활용하여 분야별 안전 지수를 산출한다면 보다 객관성이 보장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영향 인자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위해 결과 인자와의 상관도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 및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기 설정된 비율로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는 안전 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각 위해 인자들의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수치로서,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위해 결과 인자와의 통계적 상관성 분석 결과를 기초로 배분될 수 있으며,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의 총합과 동일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독립변수 표준화 계수
(β)
β 절대값 절대값 배분 가중치 유의확률
고령인구수 0.422 0.422 0.180 0.180 0.000
혼인귀화자수 0.167 0.167 0.071 0.071 0.000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0.255 0.255 0.109 0.109 0.000
기초 수급자수 0.151 0.151 0.064 0.064 0.000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수
-0.178 0.178 0.076 0.076 0.000
합계 0.817 1.173 0.500 0.500
표 3은 자살 분야에 대한 위해 영향 인자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표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자살 분야의 위해 가중 인자는 고령인구수, 혼인귀화자수, 음식점 및 주점업 종사자수 및 기초수급자수를 포함하며, 위해 경감 인자는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종사자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표준화 계수(β)는 통계적 상관도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수치로, 각 위해 영향 인자가 위해 결과 인자(자살 사망자수)에 주는 영향력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며, 각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β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배분될 수 있다. 이 때,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는 위해 영향 인자의 가중치의 총합(0.500)과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자살 분야 이외의 위해 분야에서도 상술한 예시와 동일한 원리로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영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산출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위해 지수를 산출하고, 위해 가중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위해 가중 지수를 산출하며, 위해 경감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위해 경감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1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2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3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4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5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6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위해 지수에 위해 가중 지수를 가산하고, 위해 경감 지수를 감산하여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안전 지수는 높은 값을 가질수록 해당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7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기정의된 상수 값(예 : 100)에서, 위해 지수에 위해 가중 지수를 가산하고 위해 경감 지수를 감산한 값을 감산하여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6215659-pat00008
본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안전 지수는 높은 값을 가질수록 해당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안전 의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지수는 산출 방식에 따라 상이한 형식을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위해 지수, 위해 가중 지수 및 위해 경감 지수와 각각의 가중치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안전 수준 또는 의식을 나타내는 수치를 산출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을 포함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위해 분야는 용어 및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교통 분야은 도로 교통, 항공 교통, 선박 교통 등의 세부 분야로 한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복수의 위해 분야가 하나의 분야로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계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지역 단위마다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층 구조는 도, 특별시, 광역시 등의 제1 계층과, 제1 계층의 하위 클래스인 시군구 등의 제2 계층과, 제2 계층의 하위 클래스인 읍면동 등의 제3 계층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 분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각 계층 단위로 안전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기설정된 임계 범위에 따라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등급 간 비율은 전국 계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지역 단위별 분야별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1~5등급(10:25:30:25:10)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지역 및 위해 분야별로 안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하기 표 4를 참조하면,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분야 마다 각 시 단위(특별시, 광역시, 특별 자치시)로 안전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1 내지 5 범위를 가지는 안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시도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1 서울특별시 1 1 2 4 4 3 2
2 부산광역시 3 2 4 4 3 5 4
3 대구광역시 4 4 2 3 2 4 4
4 인천광역시 3 2 3 2 3 4 3
5 광주광역시 2 3 5 5 4 2 3
6 대전광역시 2 3 4 3 2 3 2
7 울산광역시 4 4 3 2 5 2 1
8 세종특별자치시 5 5 1 1 1 1 5
안전 진단부(230)는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한다. 여기에서,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위해 분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취약 인자는 특정 지역에 대한 위해 인자 중 안전 지수의 경감 원인이 되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표 4을 참조하면, 서울특별시의 안전 취약 분야는 범죄 분야 및 안전사고 분야가 해당될 수 있으며, 부산광역시의 안전 취약 분야는 자연재해 분야, 범죄 분야, 자살 분야 및 감염병 분야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지역의 화재 분야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인 화재발생건수 및 화재 피해자수와, 위해 경감 인자인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및 화재구조실적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안전 취약 인자는 각각 시도 및 전국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지역 단위는 계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지역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계층 구조는 도, 특별시 및 광역시와 도, 특별시 및 광역시의 하위 클래스인 시군구와, 시군구의 하위 클래스인 읍면동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위해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감염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해 분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취약 분야는 기설정된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거나, 또는 가장 낮은 안전 지수(또는 안전 등급)을 가지는 위해 분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5을 참조하면, 안전 취약 분야가 기설정된 임계치(예 : 안전 등급 4등급 이하)와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경우, 충청북도의 안전 취약 분야는 자연재해 분야 및 범죄 분야가 해당될 수 있으며, 강원도의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분야, 범죄 분야, 안전사고 분야 및 자살 분야가 해당될 수 있다.
시도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1 경기도 1 1 3 3 1 1 1
2 강원도 4 3 3 4 4 5 3
3 충청북도 2 2 4 4 2 3 3
4 충청남도 4 4 3 3 3 4 3
5 전라북도 3 4 1 2 3 3 4
6 전라남도 5 5 5 1 4 4 5
7 경상북도 3 3 2 2 3 3 4
8 경상남도 3 2 4 3 2 2 2
9 제주특별자치도 2 3 2 5 5 2 2
한편,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안전 취약 요소의 결정을 위한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거나, 또는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으로 하락하는 위해 분야를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위해 분야의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예 : 3년)동안 지속적으로 제1 임계치(예 : 4등급) 이하의 하위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가 모두 취약하여 전반적인 안전환경이 취약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위해 분야의 안전 지수가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예 : 등급 2단계)으로 하락하는 경우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일시적으로 위해 지수가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점검, 단속과 같은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안전 개선 전략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의 범죄 분야에 대한 안전 지수가 3년동안 지속적으로 4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서울특별시의 범죄 분야는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서울특별시의 범죄 분야는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위해 경감 인자 모두 전반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산광역시의 자살 분야의 안전 지수가 1년사이에 2등급에서 4등급으로 등급이 2단계 하락하는 경우 부산광역시의 자살 분야는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산광역시의 자살 분야는 일시적으로 위해 지수가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와의 비교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역의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다른 복수 지역의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의 수량적 통계 정보와 비교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예 : 복수 지역의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가중 인자의 경우는 높은 쪽이 취약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위해 경감 인자의 경우는 낮은 쪽이 취약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진단부(230)는 서울특별시의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18,567건이고, 자동차 등록대수가 8,512,329대이며, 교통경찰관 수가 54,302명일 경우에, 타 지역의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10,000건 미만이고, 자동차 등록대수가 1,000,000대 미만이며, 교통 경찰관 수가 100,000명 이상이면, 서울특별시의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타 지역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보다 많으므로 안전 취약 인자로 도출할 수 있고, 서울 특별시의 자동차 등록대수가 타 지역의 자동차 등록대수보다 많으므로 안전 취약 인자로 도출할 수 있으며, 서울 특별시의 교통경찰관 수가 타 지역의 교통경찰관 수보다 적으므로 안전 취약 인자로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진단부(230)는 해당 지역의 위해 결과 인자인 화재발생건수 및 화재 피해자수가 시도 및 전국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많으므로 해당 지역 화재 분야의 안전 취약 인자로 도출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 진단부(230)는 해당 지역의 위해 경감 인자인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및 화재구조실적이 시도 및 전국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적으므로 해당 지역 화재 분야의 안전 취약 인자로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도출된 안전 취약 인자를 기초로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진단은 특정 지역 내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의 위치 분포를 분석하는 진단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안전 진단부(230)는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내에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함으로써, 안전 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는 시흥시를 대상으로 공간 진단을 수행한 참고도로서, 도 6a를 참조하면, 빨간 세모 표시(610)는 산불 발생 지점을 나타내고, 노란 점 표시(620)는 화재 발생 지점을 나타낸다. 제 1지역(630)은 화재 발생이 밀집된 지역으로서 화재 취약 지역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2 지역(640)은 산불 발생이 밀집된 지역으로 산불 취약 지역에 해당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지역에 대해 공간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취약 지역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여,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진단부(230)는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분포를 분석하여,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가중 시설은 위해 가중 인자와 연관된 시설물로서, 위험물 제조소, 화학 발전소 및 공사장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위해 경감 시설은 위해 경감 인자와 연관된 시설물로서, 의료기관, 병원, 경찰서 및 소방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흥시에 공간 진단을 수행한 참고도인 도 6a와 시흥시 지도 데이터상에 위해 경감 시설을 표시한 도 6b를 참고하면, 표시된 위해 경감 시설은 소방서(650), 의료기관(660), 경찰서(670) 및 행정기관(680)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안전 진단부(230)는 도 6a에서 제1 지역(630) 및 제 2지역(640)을 화재가 밀집된 안전 취약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확인하면 제1 지역(630) 및 제2 지역(640)은 위해 경감 시설인 의료기관 및 소방서가 다른 구역에 비해 많긴 하지만, 위해 결과 인자를 대응할 정도에 미치지 못하므로 안전 취약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도출된 안전 취약 요소에 대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안전 취약 요소는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감염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분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전 취약 인자는 화재 발생 건수, 화재 피해자수, 교육받은 주민수, 화재 구조 실적 등 안전 지수를 낮추는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위해 경감 인자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전 개선 전략은 안전 취약 요소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는 자연재해 분야, 화재 분야, 범죄 분야가 해당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대한 화재 분야의 안전 취약 인자는 화재발생건수, 화재 피해자수,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 비율 및 화재구조실적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안전 취약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화재예방교육을 실시하는 전략 및 화재구조실적을 올리기 위한 소방시설 구축 전략 등의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의 개선을 위한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위해 사건의 사전 방지 및 위해 사건의 발생 시 대응 등 위해 취약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는 안전 개선 사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6를 참조하면,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은 화재 분야에서 화재대응활동 및 시설물관리로 소방용수시설 및 유지관리, 소방활동 지원 및 소방시설 구축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산불예방 및 대응으로 산불방지정책 수립, 산불방지시스템 구축 및 산불위험요인 제거사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방정책으로 소방협의회 운영, 소방서와 협조체계 강화 및 119희망의 집 설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은 교통 분야에서 교통안전정책으로 교통안전관리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사고모니터링 및 사고대응체계 강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로 개선 및 관리로 포장도로 유지보수사업, 위험도로 구조개선사업, 도로표지판 정비사업 및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설물 개선 및 관리로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사업, 지하차도 및 고가도로 유지관리 사업 및 불량맨홀 정비사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야 중분류 소분류
화재 화재대응활동 및 시설물 관리 소방용수시설 및 유지관리, 농촌형 소화전 관리, 소방활동 지원, 비상소화전 설치 및 보수, 소방시설 구축, 진화차량 소화약제 구입 등
산불 예방 및 대응 산불방지정책 수립, 산불방지시스템 구축, 개인산불 진화장비 구입 및 관리, 산불위험요인 제거사업, 산불예방홍보, 산불예방 및 진화활동 지원, 산불 취약지 감시원 운영, 산불감시원 위치관제시스템 구축 등
화재예방 및 취약요인 관리 경로당 가스차단기 설치지원, 취약계층 노후LP가스시설 개선지원사업 등
소방정책 소방협의회 운영, 소방서와 협조체계 강화, 의용소방대 지원, 119희망의집 설치 등
교통 교통안전정책 교통안전관리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사고모니터링 및 사고대응체계 강화 등
도로 개선 및 관리 포장도로 유지보수사업, 위험도로 구조개선사업, 도로표지판 정비사업, (농어촌)도로 확ㆍ포장 사업, (농어촌)도로 유지관리 사업,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등
시설물 개선 및 관리 교통안전시설물 설치사업, 지하차도 및 고가도로 유지관리 사업, 불량맨홀 정비사업 등
보행자 및 자전거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사업, 시가지 보행환경 조성사업,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보수, 자전거 교통안전 교육,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교통약자 보호장구 보급사업 등
자연재해 자연재해 예방 및 대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수해 상습지 개선사업,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 재해예방시설물 유지관리, 재해 예ㆍ경보시설 유지관리, 재난취약계층 안전복지서비스사업, 중점관리대상시설 정밀안전점검, 빗물관리시설 시범설치 등
재해정보시스템 구축 산림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재난방재시스템 구축사업 등
비상지원 재난종합상황실 운영, 지역단위 재난현장출동지원 등
재해복구 호우하천피해복수사업, 호우소규모시설피해복구, 침수지역 긴급복구 등 재난응급복구활동, 풍수해보험제도 운영 등
범죄 안전인프라 구축 및 관리 가로등(보안등, 경관조명) 설치 및 유지관리, 방범용 CCTV설치 및 운영, 어린이보호구역 CCTV 설치사업, 농어촌 빈집정비사업, 방범시설 운영지원, 범죄피해자지원센터 운영 등
지역안전 커뮤니티 활동지원 아동여성보호 지역연대 운영, 범죄 없는 지역 만들기 추진사업, 마을공동체 사업, 치안협의회 운영, 자율방범대 운영, 자치경찰활동지원, 범죄예방활동 지원 등
아동ㆍ청소년 및 학교 폭력 예방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 지원사업, 유해환경관리, 아동안전지도 제작, 등ㆍ하교길 안심서비스 등
성폭력 예방 대응 성폭력 방지사업, 성매매 방지 홍보, 청소년 성문화센터 운영, 여성단체지원 사업 등
안전사고 물놀이 안전제도 및 시설관리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사업 추진, 물놀이장소 안전관리표지판 표준화사업, 물놀이 안전지킴이 운영, 해수욕장 안전유지 및 환경정비사업, 해수욕장 인명구조 관리, 인명구조 장비 지원 및 설치사업 등
추락안전시설 관리 추락방지 시설 설치, 안전펜스(난간)설치, 등산로 정비 등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어린이놀이시설 보수 및 리모델링 사업, 공원 내 어린이놀이시설 정비 등
시설물 안전 관리 위법건축물 이행강제금 부과징수, 경관조명 유지 및 관리, 시설물 정비공사 등
주거환경 개선 도시주거환경개선사업, 저소득가구 집수리 지원사업 등
감염병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신종 전염병 예방 지원 사업, 급성 전염병 관리, 전염병 예방 및 교육, 전염병 관리사업, 전염병 중점관리 체계 구축, 지역주민 건강검진 및 전염병 관리, 전염병 예방 홍보 등
방역 및 예방접종 전염병 예방 방역소독 사업, 취약지역 방역 소독, 주민 자율방역단 지원, 국가 예방접종 실시, 병ㆍ의원 무료 예방 접종사업, 예방접종 보장범위 확대사업, 예방접종 장비 기능 보강 등
인프라 및 인력지원 보건소 차량 및 장비 관리, 공공보건 인력 개발, 보건소 운영 및 현대화 추진, 쾌적한 위생환경 조성, 질병 예방관리 직무능력 향상 등
자살 정신보건사업 자살예방사업, 자살예방센터 운영, 알코올상담센터 운영, 정신요양시설 지원 및 운영, 정신건강관리사업 지원, 취약계층 정신보건센터 운영 등
노인 자살예방 노인 일자리 일거리 사업,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저소득노인 밑반찬 배달 사업,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기 사업, 저소득 노인가구 건강보험료 지원, 노인가장세대 지원사업 치매상담센터 운영 등
청소년 자살예방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 학교폭력 상담사 배치지원,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등
다문화가정 지원 다문화가족 복지지원,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결혼이민자 한국어학습 지원 등
한편, 상기 표 6에 나타난 안전 개선 사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은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하여 안전 개선을 실시한 가상의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특정 지역의 특정 분야에 대한 목표 수치를 수신하고, 목표 수치가 반영된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작업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목표 수량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정된 목표 수량적 정보를 반영하여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고하면,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목표 안전 지수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목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목표 입력 인터페이스는 현재의 안전 지수(710)를 수치(72)로 표시하고 세부 지역별 안전 등급을 지도(730)상에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목표 안전 지수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만약, 범죄 분야에 대하여 목표 안전 지수값(84)를 수신하는 경우,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해당 지역의 범죄 분야 안전 지수가 84가 되도록 가상 시뮬레이션을 하고, 개선된 환경에 대응하여 세부 지역의 안전 등급을 지도(740)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b를 참고하면,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위해 가중 시설 및 위해 경감 시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목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목표 입력 인터페이스는 현재 시점의 위해 가중 시설 또는 위해 경감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해당 지도상에 사용자가 위해 가중 시설 또는 위해 경감 시설을 추가 또는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지도를 통해 현재 CCTV가 부족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해당 위치에 CCTV를 가상으로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변경된 CCTV의 위치 및 설치 개수를 기초로 안전 지수 및 안전 등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계 정보 수집부(210), 안전 지수 산출부(220), 안전 진단부(230), 안전 개선 전략부(240) 및 시뮬레이션 진행부(25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안전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310). 여기에서, 위해 사건은 위험 또는 재해와 관련된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재 사건, 교통 사고, 자연재해, 범죄 사건, 안전사고, 의료 사고, 산업 재해 등 위험 또는 재해 등 위험 또는 재해와 관련된 각종 사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병은 감염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안전 지수 산출에 필요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해당 요청에 대응한 통계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는 수량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량적 정보는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 그 자체,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를 기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표준화한 수치 및 위해 사건의 발생 건수를 근사화한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는 위해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인자는 위해 사건과 연관된 통계 인자(항목)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인자는 위해 사건에 대한 피해 결과 및 위해 사건에 대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인적 요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한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서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를 선별하고,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해 결과 인자는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인자를 의미하고, 위해 가중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인자를 의미하며, 위해 경감 인자는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위해 결과 인자 및 위해 영향 인자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산출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안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안전 진단부(230)는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한다(단계 S330). 여기에서,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위해 분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취약 인자는 특정 지역에 대한 위해 인자 중 안전 지수의 경감 원인이 되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통계 정보 수집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410).
안전 지수 산출부(220)는 통계 정보에 포함된 위해 인자 및 위해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지역 단위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한다(단계 S420).
안전 진단부(230)는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한다(단계 S430).
여기에서,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위해 분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취약 인자는 특정 지역에 대한 위해 인자 중 안전 지수의 경감 원인이 되는 위해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지역 단위는 계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지역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계층 구조는 도, 특별시 및 광역시와 도, 특별시 및 광역시의 하위 클래스인 시군구와, 시군구의 하위 클래스인 읍면동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취약 분야는 기설정된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거나, 또는 가장 낮은 안전 지수(또는 안전 등급)을 가지는 위해 분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거나, 또는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으로 하락하는 위해 분야를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와의 비교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도출된 안전 취약 인자를 기초로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진단은 특정 지역 내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의 위치 분포를 분석하는 진단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안전 진단부(230)는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 내에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함으로써, 안전 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진단부(230)는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여,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도출된 안전 취약 요소에 대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한다(단계 S440). 여기에서 안전 취약 요소는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 취약 분야는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감염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분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전 취약 인자는 화재 발생 건수, 화재 피해자수, 교육받은 주민수, 화재 구조 실적 등 안전 지수를 낮추는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위해 경감 인자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 취약한 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안전 개선 전략은 안전 취약 요소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의 개선을 위한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위해 사건의 사전 방지 및 위해 사건의 발생 시 대응 등 위해 취약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는 안전 개선 사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 개선 전략부(240)는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단계 S450). 여기에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은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하여 안전 개선을 실시한 가상의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특정 지역의 특정 분야에 대한 목표 수치를 수신하고, 목표 수치가 반영된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뮬레이션 진행부(250)는 작업자가 특정 지역에 대한 목표 수량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정된 목표 수량적 정보를 반영하여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진단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안전 진단 시스템
110 : 안전 진단 장치 120 : 데이터 베이스
210 : 통계 정보 수집부 220 : 안전 지수 산출부
230 : 안전 진단부 240 : 안전 개선 전략부
250 : 시뮬레이션 진행부 260 : 제어부
510 : 해당 지역의 분야별 안전 등급 및 위해 인자 구성표
520 : 해당 지역의 화재 분야에서 매우 취약한 위해 인자의 세부구성 표
610 : 산불 발생 위치 620 : 화재 발생 위치
630 : 화재 발생이 밀집된 안전 취약 지역
640 : 산불 발생이 밀집된 안전 취약 지역
650 : 소방서 660 : 의료기관
670 : 경찰서 680 : 행정기관
710 : 현재 안전 지수 720 : 목표 안전 지수
730 : 현재 안전 등급이 표시된 지도
740 : 목표 안전 지수에 맞춰 개선된 안전 등급이 표시된 지도

Claims (16)

  1.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안전 진단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통계 정보 수집부, 안전 지수 산출부 및 안전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통계 정보 수집부가,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가,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상기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결과 인자(factor)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가,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상기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의 증감과 연관된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하되, 상기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독립 변수를 상기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가, 상기 선별된 위해 영향 인자를,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가, 상기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가,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진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지수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제1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거나, 또는 특정 기간에서 제2 임계치 이상으로 하락하는 위해 분야를 상기 안전 취약 분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와의 비교 또는 기설정된 제3 임계치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인자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인자를 기초로 공간 진단을 수행하여,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가, 상기 안전 취약 인자와 연관된 위해 사건의 발생 위치, 위해 가중 시설의 위치 및 위해 경감 시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여, 상기 안전 취약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안전 개선 전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개선 전략부가, 상기 도출된 안전 취약 요소에 대한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개선 전략부가, 상기 안전 취약 요소에 포함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의 개선을 위한 기저장된 안전 개선 사업을 상기 안전 개선 전략으로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시뮬레이션 진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시뮬레이션 진행부가, 상기 안전 취약 지역에 대한 안전 개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방법
  13.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통계 정보 수집부, 안전 지수 산출부 및 안전 진단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의 통계 정보 수집부는,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는,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상기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결과 인자(factor)를 선별하고,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상기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의 증감과 연관된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하되, 상기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독립 변수를 상기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위해 영향 인자를,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되,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안전 진단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는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복수의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위해 분야 중 안전 취약 분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진단 장치.
  16.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요소를 진단하는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안전 진단 방법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안전 진단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안전 진단 장치는 통계 정보 수집부, 안전 지수 산출부 및 안전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통계 정보 수집부에 의해, 복수의 지역 단위에서 발생한 위해 사건과 연관되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위해 사건 발생 결과 및 상기 위해 사건에 의한 인적 피해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위해 결과 인자(factor)를 선별하는 기능;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통계 정보에서, 상기 위해 결과 인자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의 증감과 연관된 위해 영향 인자를 선별하되, 상기 위해 결과 인자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적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유의 확률을 가지는 독립 변수를 상기 위해 영향 인자로 선별하는 기능;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에 의해, 상기 선별된 위해 영향 인자를,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정상관 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가중 인자 및 상기 위해 결과 인자와 부상관 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가지는 위해 경감 인자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기능;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지수 산출부에 의해, 상기 위해 결과 인자, 위해 가중 인자 및 위해 경감 인자 각각에 대한 수량적 통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되, 화재, 교통,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및 질병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위해 분야 각각에 대한 안전 지수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컴퓨팅 장치의 상기 안전 진단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안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지역 단위에 대한 안전 취약 분야 및 안전 취약 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취약 요소를 도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60046200A 2016-04-15 2016-04-15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74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00A KR101747074B1 (ko) 2016-04-15 2016-04-15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00A KR101747074B1 (ko) 2016-04-15 2016-04-15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074B1 true KR101747074B1 (ko) 2017-06-14

Family

ID=5921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00A KR101747074B1 (ko) 2016-04-15 2016-04-15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0095A (zh) * 2018-02-09 2018-06-22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互联网边界安全策略脆弱性确定方法及装置
CN109146154A (zh) * 2018-08-01 2019-01-04 长兴华阁耐物流装备有限公司 基于全生命周期的公共自行车的优化方法
KR101969584B1 (ko) * 2017-12-13 2019-04-16 라구원 미아 방지 시스템
CN110146785A (zh) * 2019-05-22 2019-08-20 南京工程学院 一种含风光电源电网脆弱线路识别方法
KR102527923B1 (ko) *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KR102661762B1 (ko) * 2022-12-23 2024-05-02 국립공원공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공원 관리 시스템
KR102693606B1 (ko) * 2021-08-09 2024-08-13 대한민국 지역 맞춤형 감염병 분석 및 안전 개선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84B1 (ko) * 2017-12-13 2019-04-16 라구원 미아 방지 시스템
CN108200095A (zh) * 2018-02-09 2018-06-22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互联网边界安全策略脆弱性确定方法及装置
CN108200095B (zh) * 2018-02-09 2021-02-23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互联网边界安全策略脆弱性确定方法及装置
CN109146154A (zh) * 2018-08-01 2019-01-04 长兴华阁耐物流装备有限公司 基于全生命周期的公共自行车的优化方法
CN109146154B (zh) * 2018-08-01 2021-12-03 吴天寅 基于全生命周期的公共自行车的优化方法
CN110146785A (zh) * 2019-05-22 2019-08-20 南京工程学院 一种含风光电源电网脆弱线路识别方法
CN110146785B (zh) * 2019-05-22 2021-04-06 南京工程学院 一种含风光电源电网脆弱线路识别方法
KR102693606B1 (ko) * 2021-08-09 2024-08-13 대한민국 지역 맞춤형 감염병 분석 및 안전 개선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7923B1 (ko) * 2022-10-24 2023-05-02 옥해안 해수욕장 위험성 평가방법
KR102661762B1 (ko) * 2022-12-23 2024-05-02 국립공원공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공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074B1 (ko) 안전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Mili et al. Developing a holistic model for earthquake risk assessment and disaster management interventions in urban fabrics
Mishra et al. Current trends in disaster management simulation modelling research
Leitner et al. The impact of hurricanes on crime: A spatio-temporal analysis in the city of Houston, Texas
Soltani et al. Spatial analysis and urban land use planning with emphasis on hospital site selection, case study: Isfahan city
Armenakis et al. Prioritization of disaster risk in a community using GIS
Sampson Environmental justice at school: understanding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our children's health
Tantala et al. Earthquake loss estimation for the New York City metropolitan region
Renne et al. National study on carless and special needs evacuation planning: A literature review
KR101768953B1 (ko) 안전 지수 산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안전 지수 산출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Alyami et al. Disaster preparedness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exploring and evaluating the policy, legislative organisational arrangements particularly during the hajj period
Witter et al.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battlement mesa, Garfield County Colorado
Bhandari et 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in Nepal: Delinea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KR20220165876A (ko) 지역사회재난 안전도 진단방법
Johansson Experience of data collection in support of the assessment of global progress in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A Swedish pilot study
Han et al. How can the urban emergency capability gap be measured? Construction of a standardized indicator system in China
JP2002092264A (ja) 自治体等の防災システム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Amini Hosseini et al. Preparedness and emergency response aspects of Sarpol-e Zahab (Kermanshah), Iran earthquake of November 12, 2017
Morán-Rodríguez et al. A methodology to estimate seismic vulnerability of health facilities. Case study: Mexico City, Mexico
Kubisch et al. Combining a social science approach and GIS-based simulation to analyse evacuation in natural disasters: A case study in the Chilean community of Talcahuano.
Duarte et al. Resilience rating system for buildings against natural hazards
KR102342192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재난 발생 위험도 예측장치 및 방법
Javier et al. Towards a Sustainable City and Community: Examining the practices of Marikina City, Philippines
رحیمی et al. Modeling physical-social resilience in district 1 of Tehr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