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70B1 -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 Google Patents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70B1
KR101747070B1 KR1020170033519A KR20170033519A KR101747070B1 KR 101747070 B1 KR101747070 B1 KR 101747070B1 KR 1020170033519 A KR1020170033519 A KR 1020170033519A KR 20170033519 A KR20170033519 A KR 20170033519A KR 101747070 B1 KR101747070 B1 KR 10174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eight
pressure
cylind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열
Original Assignee
고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열 filed Critical 고영열
Priority to KR102017003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63B2021/008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이용자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왕복하는 운동바(111)와, 일정량의 유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유체실린더(112)와, 상기 운동바(111)와 연동하여 유체실린더(112) 내에서 왕복하고 운동력을 압력으로 변환하여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피스톤(113)으로 이루어지는 운동력전달장치(110)와; 일정량의 기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기체실린더(121)와, 기체실린더(121) 내에서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수용된 기체를 가압하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운동력조절장치(120)와;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제1기체피스톤(122)에 결합하는 압력조절바(131)와, 압력조절바(131)를 상기 기체실린더(121)에 고정하여 무게추의 외부압을 유지하는 고정패널(132)로 이루어지는 압력유지장치(130)와; 유체실린더(112)와 기체실린더(121)의 저부를 연통하고 유체압을 상기 무게추에 전달하는 압력전달관(14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안전하고 실용적인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exercise apparatus having an air pressure weight, comprising a motion bar (111) reciprocating in response to a user's movement force, a fluid cylinder (112) for receiving and sea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And a fluid piston (113) reciprocating in the fluid cylinder (112) in cooperation with the fluid cylinder (111) and converting the motion force into pressure to pressurize the fluid; A gas cylinder 121 for receiving and sea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as,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base pistons 122 and 123 having a pair of mutually spaced apart gas cylinders 121 for pressurizing the accommodated gas A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for generating a kinetic energy;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ase piston 122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and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fixed to the gas cylinder 121 to fix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weight, A pressure holding device 130 comprising a panel 132; And a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which communicates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and transmits the fluid pressure to the weight. Thus, the structure is simplifi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exercise equipment.

Description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0001]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0002]

본 발명은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운동력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운동력전달장치와 공기압을 유지하여 저항 부하를 작용하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운동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중량물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고 실용적인 유체 운동기구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근력을 증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exercise apparatus having an air pressure w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ion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for converting a motion force of a user into hydraulic pressure and a motion force adjusting apparatus having a weight for operating a resistance loa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afe and practical fluid exercise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weight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user.

일반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은 무산소 운동의 대표적인 예로 근육 발달을 통해 강인한 체력을 기르기 위한 근력운동이다.In general, weight training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aerobic exercise, which is muscle strength exercise to develop strong physical strength through muscle development.

웨이트 트레이닝은 흔히 저항성 운동이라고도 한다. 즉, 근육에 부하 또는 저항을 준다는 의미로써, 자기 체중을 이용하거나 혹은 중량물 또는 스프링, 밴드 등을 이용해 근육에 저항 부하를 주어 근력을 강화한다.Weight training is often referred to as resistance exercise. In other words, as a means of giving a load or resistance to the muscles, the muscular strength is strengthened by using a magnetic body weight or by applying a resistance load to the muscles using a heavy material, a spring, or a band.

자기 체중을 이용한 운동에는 예컨대, 스쿼트, 런지, 푸시업 등이 대표적이며 별도의 중량물을 이용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체중만을 부하로 이용하는 근력운동이다.For example, a squat, a lunge, a push-up,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exercises using magnetic body weight, and they are strength exercises using only their own weight as a load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weight.

중량물을 이용한 운동은 덤벨이나 바벨 등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는 프리 웨이트 트레이닝이 있으며 자신의 운동능력에 적합한 중량물을 선택하여 운동 효과를 발휘한다.Exercise using heavy objects has free weight training using simple tools such as dumbbells and barbells, and exercise exercises by choosing a weight suitable for your athletic ability.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문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근력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 예컨대, 웨이트 블록을 탑재하는 웨이트 머신, 스미스 머신, 케이블 머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중량물을 이용하는 프리 웨이트에 비해 부상의 위험이 적어 안전하고 편리하며, 무엇보다 특정 부위의 근육 강화 시 해당 근육군만을 단력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professional weight exercise apparatus can be used to effectively improve muscle strength. For example, a weight machine, a smith machine, a cable machine, or the like for mounting a weight block can be used. It is safe and convenient because there is less risk of injuries compared to free weight using heavy material, and most of all, there is an advantage such that only the muscle group can be cautiously strengthened when strengthening the muscle of a specific region.

웨이트 머신의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 10 - 0757205 호에 공지된 기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of the weight machine, a configuration of a technique known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0757205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프레임과 도르래가 있고 레바로 와이어를 당겨 중량추를 들어 올리는 웨이트머신에 있어서, 레바에 고정된 하중변동기 및 진동기와, 와이어에 연결된 채 중량추에 고정된 하중변동기와, 전선으로 연결된 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변동기는 베어링이 내장된 한 쌍의 수직판과 회전축이 내장된 한 쌍의 수직판과 일체화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과 상부판에 각각 힌지형태로 고정된 스프링과, 베어링과 결합되는 회전축이 내장된 한 쌍의 수직판과 베어링이 내장된 한 쌍의 수직판과 조정중량추와 일체화된 상부판과, 상부판의 하단에 고정되는 감속기와, 감속기와 결합된 회전수가변 모터와, 감속기축에 연결되며 회전반경의 조절이 가능한 크랭크와, 회전축과 결합되는 베어링과 크랭크와 결합되는 베어링이 내장된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weight machine includes a frame and a pulley, and pulls the wire into the lever to lift the weight. The load machine includes a load balancer and a vibrator fixed to the lever, a load balancer fixed to the weigh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wire, Wherein the load fluctuation device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lates having bearings, a pair of vertical plates having integrated rotary shafts, an integrated base plate, a spring fixed to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plate in a hinged shape, A pair of vertical plates in which the rotary shaft is incorporated, a pair of vertical plates in which the bearings are incorporated, an upper plate integrated with the adjusted weight, a speed reducer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A crank that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shaft and has a controllable radius of rotation, a bearing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 connection rod having a bearing coupled with the crank.

상기와 같은 웨이트 머신에 탑재되는 웨이트 블록은 운동강도의 설정 및 조절을 위해 머신에 착탈 및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68301 호에 공지한 운동기기용 웨이트 블록의 구조를 살펴보면, 운동기기의 가이드봉에 끼워져 결합하고, 연결체에 형성된 위치고정봉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설치하며, 웨이트 불록의 상면과 저면 가운데 일부위를 단턱지게 돌출하여 간격유지부를 형성하고, 양측방에는 개구된 형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간격유지부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을 갖는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eight block mounted on the weight machin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chine for setting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For example, a structure of a weight block for a sports machine,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8301, is fitted to a guide rod of an exercise machine and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a position fixing rod formed on a connecting body. A gap hold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n a stepwise manner, a guide groove i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and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gap holding portions.

등록특허 제 10 - 0757205 호 (2007.09.11)Registration No. 10 - 0757205 (September 11, 2007)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68301 호 (2004.11.18)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 - 0368301 (November 11, 2004) 등록특허 제 10 - 0549407 호 (2006.02.08)Registration No. 10-0549407 (2006.02.08) 등록특허 제 10 - 1441803 호 (2014.11.03)Registration No. 10-1441803 (Nov. 31, 2014)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웨이트 머신은 이용자가 레바를 파지하여 당기거나 내림에 따라 레바에 연결된 와이어가 중량추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동에 의해 운동효과를 발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eight machine to which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s such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lever pulls up or down the weight when the user grasps the lever and pulls or pulls down the lever.

아울러, 종래 기술의 웨이트 머신에 사용되는 웨이트 블록(중량추)는 와이어와 연결된 가이드봉에 다수를 적층 결합하여 운동강도를 설정 및 조절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a weight block (weight weight) used in a weight machine of the prior art is provided to set and adjust the exercise intensity by stacking a plurality of weight blocks on a guide rod connected with a wire.

상기와 같은 웨이트 머신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서 넓은 점유 공간을 소요하며, 웨이트 머신 자체의 비용 및 유지 보수에 따른 제반 비용 역시 개인이 부담하기에는 만만치 않은 단점이 있다.Such a weight machine generally has a large size and requires a large occupied space, and the cost of the weight machine itself and the costs associated with maintenance are also inconvenient for an individual to bear.

아울러, 상기와 같은 웨이트 블록은 이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적절한 중량의 블록을 선택하고 운동기기의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다수의 웨이트 블록을 끼워 적층하도록 조립한 후 이용하여야 하므로 초보자의 경우 중량물을 이동 및 조립 시 각종 부상 및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weight block as described above needs to be assembled so as to stack a plurality of weight blocks in a guide rod installed on a frame of the exercise machine by selecting an appropriate weight block according to the user's exercise capacity, And there is a risk of various injuries and accidents during assembly, so care must be taken.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는 사실상 웨이트 머신을 설치, 및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각종 웨이트 머신들을 구비하는 피트니스 센터를 등록하여 전문 트레이너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 실정에 있어 이용자에게 부담이 된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use a weight machine in a general home. Therefore, a fitness center equipped with various weight machines must be registered to be instructed by a professional trainer, which places a burden on the user.

또한, 가정에서도 흔히 이용하는 덤벨이나 바벨, 고무밴드 등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는 프리 웨이트 트레이닝의 경우에는 중량물의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안전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은 있으나 운동량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균일한 저항을 작용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free weight training using a simple tool such as a dumbbell, a barbell, or a rubber band, which is commonly used at home,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is small, light, safe and inexpensive. However, And it is difficult to operat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이용자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왕복하는 운동바(111)와, 일정량의 유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유체실린더(112)와, 상기 운동바(111)와 연동하여 유체실린더(112) 내에서 왕복하고 운동력을 압력으로 변환하여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피스톤(113)으로 이루어지는 운동력전달장치(110)와;A fluid cylinder 112 which receives and circulates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and reciprocates within the fluid cylinder 112 in conjunction with the motion bar 111 and generates a movement force A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comprising a fluid piston (113) for converting the pressure into a pressure to pressurize the fluid;

일정량의 기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기체실린더(121)와, 기체실린더(121) 내에서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수용된 기체를 가압하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운동력조절장치(120)와;A gas cylinder 121 for receiving and sea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as,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base pistons 122 and 123 having a pair of mutually spaced apart gas cylinders 121 for pressurizing the accommodated gas A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for generating a kinetic energy;

상기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제1기체피스톤(122)에 결합하는 압력조절바(131)와, 압력조절바(131)를 상기 기체실린더(121)에 고정하여 무게추의 외부압을 유지하는 고정패널(132)로 이루어지는 압력유지장치(130)와;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ase piston 122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and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fixed to the gas cylinder 121 to maintain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weight A pressure holding device 130 comprising a fixed panel 132;

상기 유체실린더(112)와 기체실린더(121)의 저부를 연통하고 유체압을 상기 무게추에 전달하는 압력전달관(140)을 포함한다.And a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communicating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to transmit the fluid pressure to the weight.

상기 유체실린더(112) 및 기체실린더(121)의 일측에는,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각각 유입구(114) 및 배출구(124)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14)와 배출구(124)를 연결하여 기체실린더(121)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실린더(112)로 월류하는 바이패스부(150)를 구비하고;An inlet 114 and an outlet 124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gas cylinder 121. The inlet 114 and the outlet 1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ypass unit (150) for flow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cylinder (121) to the fluid cylinder (112);

상기 바이패스부(150)에는, 작동볼(151)을 내장하는 밸브블록(152)을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한다.The bypass unit 150 is provided with a valve block 152 containing an operation ball 151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in one direction.

상기 유체실린더(112)에는, 운동바(111)에 의해 유체피스톤(113)에 전달되는 운동력의 소멸 과정에서 유체피스톤(113)의 위치를 복귀하는 복귀수단(115)을 내장하여 구성한다.The fluid cylinder 112 includes a return means 115 for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fluid piston 113 in the course of extinguishing the movement force transmitted to the fluid piston 113 by the motion bar 111. [

따라서, 종래 기술의 웨이트 머신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안전하고 실용적인 유체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and practical fluid exercise apparatus with a simplified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weight machine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운동력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운동력전달장치와 일정 공기압을 유지하여 저항 부하를 작용하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운동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운동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웨이트 머신의 구조를 크게 간소화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weight machine of the prior art by constituting a fluid motion mechanism including a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for converting a user's motion force into hydraulic pressure and a motion force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weight for holding a constant air pressure to act as a resistance load There is an advantage of greatly simplifying.

즉, 유압과 공기압을 이용해 운동력을 전달,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래 웨이트 머신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배제하여 규모 및 무게를 저감하면서 경제적인 웨이트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exercise force is transmitted and adjusted by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ir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weight exercise apparatus while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by eliminating a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a conventional weight machine.

특히, 웨이트 블록과 같은 별도의 중량물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래 웨이트 머신의 기능성에 버금가는 기능성 및 탁월한 작동성을 발휘하고, 안전성 및 사용상 편의성까지 두루 갖추어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웨이트 트레이닝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weight training easily in ordinary households by providing excellent functionality and excellent operability comparable to the functionality of a conventional weight machin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weight such as a weight block, safety and ease of use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타 운동기구와 연동하는 구성 역시 가능하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various kinds of other exercise apparatuses,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thereof is very hig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exercise device incorporating an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a fluid exercise device with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an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5 are operational views of a fluid exercise device including an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a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an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flui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an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lui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luid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the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n example.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는 유압 및 공기압을 이용하여 근육에 균일한 저항 부하를 부여할 수 있도록 운동력전달장치(110)와 운동력조절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웨이트 블록을 탑재하는 복잡한 구조의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운동효과를 발휘하여 이용자의 근력을 증진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The fluid exercise device including the pneumatic weight weight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otion force transmission device 110 and a motion force control device 120 so as to apply a uniform resistive load to the muscle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ir pressure It i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user by exercising the exercise effect safely and effectively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having the complicated structure for mounting the weight block.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운동력전달장치(110)와, 운동력조절장치(120)와, 압력유지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As shown in FIG. 1, the fluid exercise apparatus having the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a motion force adjusting device 120, and a pressure holding device 130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기 운동력전달장치(110)는 이용자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왕복하는 운동바(111)와, 일정량의 유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유체실린더(112)와, 상기 운동바(111)와 연동하여 유체실린더(112) 내에서 왕복하고 운동력을 압력으로 변환하여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피스톤(113)으로 이루어진다.The motion force transmission device 110 includes a motion bar 111 that reciprocates in response to a user's movement force, a fluid cylinder 112 that receives and seals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and a fluid cylinder 112 that interlocks with the motion bar 111 112), and a fluid piston (113) which pressurizes the fluid by converting the kinetic force into pressure.

상기 운동바(111)는 이용자의 운동력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유체피스톤(113)으로 전달한다.The movement bar 111 directly or indirectly acts on the user's movement force and transmits the motion force to the fluid piston 113.

상기 운동바(111)의 단부에는 소정의 브래킷(미부호)을 장착한다. 브래킷에는 이용자의 운동력을 승강하는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풀리 및 와이어, 핸들 등을 연결하거나, 혹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운동기구에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장착,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A predetermined bracket (not shown)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ovement bar 111. A bracket is connected to a pulley, a wire, a handle, or the lik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force of the user in a direction of ascending or descending, or a structure capable of attaching and fitting the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ther exercise device as shown in Fig. 6 do.

상기 유체실린더(112)는 내부 공간에 일정량의 유체를 수용하여 밀폐한다. 내부에는 운동바(111)와 연동하여 상,하 왕복하는 유체피스톤(113)을 구비하여 운동력을 유압으로 변환한다.The fluid cylinder 112 receives and seals a certain amount of fluid in the internal space. And a fluid piston 113 reciprocating upward and downward in cooperation with the motion bar 111 to convert the motion force into hydraulic pressure.

본 발명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실린더(112)의 몸체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내부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한 구성일 뿐 그 재질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ody of the fluid cylinder 11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luid cylinder 112 is easy to grasp the internal structure.

상기 유체실린더(112)의 저부에는 후술하게 될 압력전달관(140)이 구비되어 기체실린더(121)와 연통하도록 구비한다. 압력전달관(140)이 구비된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114)를 형성하여 바이패스부(150)와 연통하도록 구비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fluid cylinder 112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with a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as cylinder 121. An inlet 11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unit 150.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유체실린더(112)에는 운동바(111)에 의해 유체피스톤(113)에 전달되는 운동력의 소멸 과정에서 유체피스톤(113)의 위치를 복귀하는 복귀수단(115)을 내장한다.Meanwhile, the fluid cylinder 112 incorporates return means 115 for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fluid piston 113 in the course of extinguishing the movement force transmitted to the fluid piston 113 by the motion bar 111.

상기 유체실린더(112) 내의 유체는 이용자의 운동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따라서 유체실린더(112), 압력전달관(140), 및 기체실린더(121), 바이패스부(150)를 이동하며, 항상 일정량을 유지한다.The fluid in the fluid cylinder 112 moves in the fluid cylinder 112, 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the gas cylinder 121 and the bypass unit 150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motion force of the user acts, Lt; / RTI >

즉, 이용자의 운동력이 작용하여 상기 유체피스톤(113)이 하강하더라도, 이용자의 운동력이 소멸하면 유압에 의해 유체피스톤(113)이 원위치로 상승하여 복귀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작동 과정에서 일부 불가피한 유압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 혹은 바이패스부(150)로 우회되는 유체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복귀수단(115)을 유체실린더(112) 내의 유체피스톤(113) 하부에 내장함으로써 유체피스톤(113)에 복귀력을 부여한다.That is, even if the fluid piston 113 descends due to the action of the user, the fluid piston 113 ascends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when the user's movement force disappears. However, when some unavoidable hydraulic pressure loss occurs in the repetitive operation, or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fluid bypassed to the bypass portion 150 and the like, the return means 115 may be disposed in the fluid piston 113 So that the fluid piston 113 is given a returning fo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귀수단(115)을 탄성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한바,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means 115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lastic spring, but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thereof can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상기와 같은 운동력전달장치(110)의 일측에는 이용자의 운동력에 대한 저항 부하를 부여하는 운동력조절장치(12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 motion force adjusting device 120 for imparting a resistance load to a motion force of a us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as described above.

상기 운동력조절장치(120)는 일정량의 기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기체실린더(121)와, 기체실린더(121) 내에서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수용된 기체를 가압하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한다.The kinetic energy regulator 120 includes a gas cylinder 121 for receiving and sea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as and a pair of spaced apart gas cylinders 121 for pressurizing the accommodated gas, 122, 123).

상기 기체실린더(121)는 내부 공간에 일정량의 기체, 즉 공기를 수용하여 밀폐한다. 내부에는 운동력전달장치(1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하 왕복하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를 구비하여 기체압을 형성한다.The gas cylinder 121 accommodates and seals a predetermined amount of gas, i.e., air, in the internal space. And a weight which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base pistons 122 and 123 that reciprocate upward an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momentum transmitting device 110 to form a gas pressur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실린더(112)와 마찬가지로 기체실린더(121)의 몸체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내부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한 구성일 뿐 그 재질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gas cylinder 12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the fluid cylinder 112, but the structure of the gas cylinder 121 is easy to grasp the internal structure.

상기 무게추는 종래 기술의 웨이트 머신에 탑재하는 웨이트 블록의 기능을 대체하되, 중량이 아닌 공기압에 의해 목적하는 수준의 저항 부하를 형성한다.The weighing device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weight block mounted on the weight machine of the prior art, but forms the desired level of resistance load by the air pressure, not the weight.

즉, 상기 제1기체피스톤(122)과 제2기체피스톤(123)의 사이 공간에는 공기가 수용된다. 후술하게 될 압력유지장치(130)에 의해 기체실린더(121) 내에 기압이 형성되면 상기 제1,2기체피스톤(122,123) 사이의 공기는 압축된 체적만큼 팽창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무게추를 하강시킨다.That is, air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se piston 122 and the second base piston 123. When air pressure is formed in the gas cylinder 121 by 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to be described later, a force for expanding the ai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as pistons 122 and 123 by a compressed volume acts to lower the weight .

상기 기체실린더(121)의 저부에는 후술하게 될 압력전달관(140)이 구비되어 상기 유체실린더(112)와 연통하도록 구비하며, 압력전달관(140)이 구비된 상부 일측에는 배출구(124)를 형성하여 바이패스부(150)와 연통하도록 구비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A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luid cylinder 112. A discharge port 12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having 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unit 150.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상측에 마련되는 압력유지장치(130)는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제1기체피스톤(122)에 결합하는 압력조절바(131)와, 압력조절바(131)를 상기 기체실린더(121)에 고정하여 무게추의 외부압을 유지하는 고정패널(132)로 이루어진다.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includes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coupled to the first gas piston 122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And a fixing panel 132 for fixing the weight to the gas cylinder 121 to maintain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weight.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의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상기 압력유지장치(130)를 적절히 승강, 고정하여 무게추에 작용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air pressure acting on the weight by appropriately raising and lowering 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in consideration of the exercise capacity of the user.

상기 유체실린더(112)와 기체실린더(121)의 저부를 연통하는 압력전달관(140)은 이용자의 운동력에 의해 상기 운동력전달장치(110)에서 발생하는 유체압을 상기 운동력조절장치(120)의 무게추에 전달하여 저항 부하에 대응한다.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communicating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luid pressure generated in the force transmission device 110 to the force control device 120 It is transmitted to the weight and corresponds to the resistance load.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운동력에 의해 변환되는 유압이 운동력전달장치(110)에 작용 시 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유체실린더(112)의 부피를 기체실린더(121)의 부피보다 작게 설정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전달관(140)에 연통하는 유체실린더(112) 및 기체실린더(121) 저부에 마련된 구멍(미부호)은 기체실린더(121)의 구멍을 더 작게 형성하여 무게추의 승강에 더 큰 힘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파스칼의 원리에 근거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fluid cylinder 112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gas cylinder 121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converted by the user's motive force acts on the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with a greater force than when acting on the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In addition, the fluid cylinder 112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and the hole (not show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are formed to have smaller holes in the gas cylinder 121, So that a pressure due to a large force acts. Since such a configuration is based on Pascal's princip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유체실린더(112) 및 기체실린더(121)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의 지점에 형성하는 유입구(114) 및 배출구(124)에는 바이패스부(150)를 연결하여 기체실린더(121)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실린더(112)로 월류하도록 구성한다.A bypass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inlet 114 and the outlet 124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gas cylinder 121 to be introduced into the gas cylinder 121 To the fluid cylinder (112).

즉, 상기 운동력전달장치(110)를 통해 전달되는 이용자의 운동력이 상기 압력유지장치(130)에 의해 운동력조절장치(120)에 설정된 기체실린더(121)의 압력(저항 부하)보다 큰 압력으로 작용할 경우 유체가 기체실린더(121)로 이동하여 무게추를 상승한다.That is, the user's movement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acts on 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at a pressure greater than the pressure (resistance load) of the gas cylinder 121 set in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The fluid moves to the gas cylinder 121 and rises in weight.

따라서, 상기 무게추의 상승에 의해 기체실린더(121)의 배출구(124)가 개방되면서 유체가 바이패스부(15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어 실린더 내부 압력을 유지한다.Accordingly, the discharge port 124 of the gas cylinder 121 is opened by the rise of the weight, and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unit 150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ylinder.

상기 바이패스부(150)에는, 작동볼(151)을 내장하는 밸브블록(152)을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일 방향, 즉 기체실린더(121)에서 유체실린더(112)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bypass unit 150 is provided with a valve block 152 having an operation ball 151 therein so that the flow of the fluid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only from the gas cylinder 121 to the fluid cylinder 112 .

아울러, 상기 바이패스부(150)에는 소정의 오버플로우탱크(미도시)를 추가 구비하여 유체량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bypass unit 150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overflow tank (not shown) to appropriately adjust the fluid amount.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ate of use of the fluid exercise device having the pneumatic weight weight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소정의 핸들 등을 운동력전달장치(110)에 장착하여 이용하거나, 혹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웨이트 기구에 웨이트 블록을 대신하여 장착해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luid exercise apparatus having the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handle or the like itself is attached to the kinetic energy transmitting device 110 and used, In place of the weight block.

도 4에는 본 발명의 유체 운동기구에 이용자의 운동력을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kinetic energy of the user is applied to the fluid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운동력전달장치(110)의 운동바(111)에 운동력을 작용하여 유체피스톤(113)에 압력을 가하면, 유체피스톤(113)과 함께 유체실린더(112) 내의 유체가 하강한다.That is, when a motion force is applied to the motion bar 111 of the kinetic energy transmitting device 110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luid piston 113, the fluid in the fluid cylinder 112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fluid piston 113.

상기 유체는 유체실린더(112)의 저부를 통해 압력전달관(140)으로 전달되어 운동력조절장치(120)의 기체실린더(121)로 유입된다.The fluid is transferred to the pressure transfer tube 140 through the bottom of the fluid cylinder 112 and into the gas cylinder 121 of the kinetic energy regulator 120.

한편, 상기 기체실린더(121)에 내장된 무게추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 사이의 이격된 공간 내에 일정량의 공기를 수용한 상태이다.Meanwhile, the weight placed inside the gas cylinder 121 accommodates a certain amount of air in the spaces sepa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as pistons 122 and 123.

이때, 이용자는 사전에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상측에 마련된 압력유지장치(130)의 고정패널(132) 및 압력조절바(131)의 위치를 조절하여 기체실린더(121) 내에 본인의 운동능력에 적합한 수준의 기압을 조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2기체피스톤(122,123) 사이의 공기는 압축된 체적만큼 팽창력을 작용하여 무게추를 하향시키는 방향으로 저항 부하를 부여한다.At this time,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nel 132 and the pressure adjusting bar 131 of 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Thereby creating an appropriate level of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ai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as pistons 122 and 123 acts as an expanding force by a compressed volume, thereby imparting a resistance load in a direction to downward the weight.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력전달관(140)을 통해 기체실린더(121)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무게추의 압력에 의해 저항 부하를 받으므로 이용자는 더 강한 운동력을 운동력전달장치(110)에 작용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fluid flowing into the gas cylinder 121 through the pressure transmission pipe 140 is subjected to the resistance load by the pressure of the weight, the user can apply the stronger motion force to the force transfer device 110 Efforts should be made.

또한, 이용자의 운동력이 사전에 압력유지장치(130)를 통해 설정된 공기압보다 일정 수준 이상 더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기체실린더(121)의 일측에 마련된 배출구(124)를 통해 유체를 바이패스부(150)로 우회시킨다.When the motion force of the user acts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of air pressure previously set through the pressure holding device 130,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as cylinder 121, .

상기 바이패스부(150)에 구비되는 밸브블록(152)에는 작동볼(151)이 구비되어 유체가 바이패스부(150)에 유입시에만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유체실린더(112)로 우회시킨다.The valve block 152 of the bypass unit 15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all 151 to bypass the fluid cylinder 112 by opening the passage only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bypass unit 150.

한편, 도 5에는 상기 운동력전달장치(110)에 운동력이 소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5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kinetic energy is extinguished in the kinetic energy transmitting device 110.

상기 바이패스부(150)를 통해 유체는 기체실린더(121)에서 유체실린더(112)로 우회함에 따라 무게추는 하강하고 유체피스톤(113)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만, 작동과정에서 일부 유압이 유실되거나, 혹은 바이패스부(150)에 구비되는 오버플로우탱크(미도시)를 통해 유체량에 변동이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유체실린더(112)에 내장된 복귀수단(115)의 탄성복원에 의해 유체피스톤(113)의 복귀를 보완한다.As the fluid bypasses from the gas cylinder 121 to the fluid cylinder 112 through the bypass unit 150, the weight decreases and the fluid piston 113 rise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some hydraulic pressure is lost during operation or the fluid amount varies through an overflow tank (not shown) provided in the bypass unit 150, The restoring force of the fluid piston 113 is compensated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15.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운동력전달장치(110)와 운동력조절장치(120)를 1:1로 구성하였으나 복수의 운동력조절장치(120)를 병렬로 연결 구성하면 저항 부하를 보다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풀리 수단을 이용해 운동력전달장치(110)에 운동력 전달 방향을 양방향으로 구성하여 운동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 역시 가능할 것이다.Furth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and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are 1: 1. However, when a plurality of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s 120 are connected in parallel, can do.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in a bidirectional direction by using a predetermined pulley means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는 무엇보다 유압 및 공기압을 이용하여 저항 부하를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웨이트 머신에 비해 구조를 크게 간소화하는 이점이 있다.The fluid exercise machine having the pneumatic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structure is greatly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weight machine of the prior art by constituting the fluid exercise machine having the pneumatic weight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operate the resistance load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ir pressure.

특히, 웨이트 블록과 같은 별도의 중량물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래 웨이트 머신의 기능성에 버금가는 기능성 및 탁월한 작동성을 발휘함에 따라,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 안전성 및 사용상 편의성까지 두루 갖춘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weighting function and the excellent operability comparable to the functionality of the conventional weight machine are exhibit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weight such as a weight block, the apparatus is economical and practical, and has safety and ease of use.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 비치하여 손쉽게 웨이트 트레이닝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타 운동기구와 연동하여 다양한 부위에서 운동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구성 역시 가능하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a general household so that weight training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other exercise devices to exercise effects in various areas, It is expected.

110: 운동력전달장치 111: 운동바
112: 유체실린더 113: 유체피스톤
114: 유입구 115: 복귀수단
120: 운동력조절장치 121: 기체실린더
122: 제1기체피스톤 123: 제2기체피스톤
124: 배출구 130: 압력유지장치
131: 압력조절바 132: 고정패널
140: 압력전달관 150: 바이패스부
151: 작동볼 152: 밸브블록
110: Momentum transmission device 111: Exercise bar
112: fluid cylinder 113: fluid piston
114: inlet 115: return means
120: Movement force adjusting device 121: Gas cylinder
122: first base piston 123: second base piston
124: outlet 130: pressure holding device
131: Pressure control bar 132: Fixed panel
140: pressure delivery pipe 150: bypass portion
151: actuating ball 152: valve block

Claims (3)

이용자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왕복하는 운동바(111)와, 일정량의 유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유체실린더(112)와, 상기 운동바(111)와 연동하여 유체실린더(112) 내에서 왕복하고 운동력을 압력으로 변환하여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피스톤(113)으로 이루어지는 운동력전달장치(110)와;
일정량의 기체를 수용하여 밀폐하는 기체실린더(121)와, 기체실린더(121) 내에서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수용된 기체를 가압하는 제1,2기체피스톤(122,123)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운동력조절장치(120)와;
상기 운동력조절장치(120)의 제1기체피스톤(122)에 결합하는 압력조절바(131)와, 압력조절바(131)를 상기 기체실린더(121)에 고정하여 무게추의 외부압을 유지하는 고정패널(132)로 이루어지는 압력유지장치(130)와;
상기 유체실린더(112)와 기체실린더(121)의 저부를 연통하고 유체압을 상기 무게추에 전달하는 압력전달관(14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
A fluid cylinder 112 which receives and circulates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and reciprocates within the fluid cylinder 112 in conjunction with the motion bar 111 and generates a movement force A motion force transmitting device (110) comprising a fluid piston (113) for converting the pressure into a pressure to pressurize the fluid;
A gas cylinder 121 for receiving and seal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as,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base pistons 122 and 123 having a pair of mutually spaced apart gas cylinders 121 for pressurizing the accommodated gas A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for generating a kinetic energy;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ase piston 122 of the kinetic energy adjusting device 120 and a pressure adjusting bar 131 which is fixed to the gas cylinder 121 to maintain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weight A pressure holding device 130 comprising a fixed panel 132;
And a pressure transfer pipe (140) for communicating the fluid cylinder (112) with the bottom of the gas cylinder (121) and transmitting the fluid pressure to the weigh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린더(112) 및 기체실린더(121)의 일측에는,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각각 유입구(114) 및 배출구(124)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14)와 배출구(124)를 연결하여 기체실린더(121)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실린더(112)로 월류하는 바이패스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부(150)에는, 작동볼(151)을 내장하는 밸브블록(152)을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114 and an outlet 124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fluid cylinder 112 and the gas cylinder 121. The inlet 114 and the outlet 1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ypass unit (150) for flow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cylinder (121) to the fluid cylinder (112);
Wherein the bypass unit (150) is provided with a valve block (152) containing an operation ball (151)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in on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실린더(112)에는, 운동바(111)에 의해 유체피스톤(113)에 전달되는 운동력의 소멸 과정에서 유체피스톤(113)의 위치를 복귀하는 복귀수단(115)을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무게추를 구비하는 유체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uid cylinder 112 is provided with return means 115 for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fluid piston 113 in the course of extinguishing the movement force transmitted to the fluid piston 113 by the motion bar 111 And a pneumatic weight weight which is made up of a pneumatic weight.
KR1020170033519A 2017-03-17 2017-03-17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KR101747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19A KR101747070B1 (en) 2017-03-17 2017-03-17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19A KR101747070B1 (en) 2017-03-17 2017-03-17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070B1 true KR101747070B1 (en) 2017-06-14

Family

ID=5921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19A KR101747070B1 (en) 2017-03-17 2017-03-17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7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581B1 (en) * 2018-01-22 2019-06-28 고영열 Muscle fitness device
CN112190439A (en) * 2020-09-23 2021-01-08 南通市第一人民医院 Clinical limb rehabilitation assisting instrument for neurology and use method
KR102401403B1 (en) * 2021-07-16 2022-05-24 곽태영 Weight generating device for muscular exerci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195A (en) 2000-07-27 2002-02-05 Asics Corp Training apparatus for tug of war
KR101109183B1 (en) 2009-09-04 2012-02-15 경일산업(주) Pressure regulator of sports apparatus
KR101286196B1 (en) 2012-02-23 2013-07-24 주식회사 위드헬스 Pneumatic device and weight training machin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195A (en) 2000-07-27 2002-02-05 Asics Corp Training apparatus for tug of war
KR101109183B1 (en) 2009-09-04 2012-02-15 경일산업(주) Pressure regulator of sports apparatus
KR101286196B1 (en) 2012-02-23 2013-07-24 주식회사 위드헬스 Pneumatic device and weight training machine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581B1 (en) * 2018-01-22 2019-06-28 고영열 Muscle fitness device
CN112190439A (en) * 2020-09-23 2021-01-08 南通市第一人民医院 Clinical limb rehabilitation assisting instrument for neurology and use method
KR102401403B1 (en) * 2021-07-16 2022-05-24 곽태영 Weight generating device for muscular exercise
WO2023287028A1 (en) * 2021-07-16 2023-01-19 곽태영 Weight generation device for muscular-strength exerci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5572B2 (en) Exercise device
US6679812B2 (en) Momentum-free running exercise machine for both agonist and antagonist muscle groups using controllably variable bi-directional resistance
US8109864B2 (en) Arm exercising device
US6520891B1 (en) Treadmill with upper body exercise means
KR101747070B1 (en) Fluid exercise device with phneumatic weight
US7214170B2 (en) Vibrationary exercise apparatus
WO1999046011A1 (en) Exercise device
KR100793394B1 (en) Health machine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WO2006013432A1 (en) Reversible resistance assembly for hydraulic exercise apparatus
US6994659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power exercises
US4786051A (en) Exercising apparatus
CN111760250A (en) Multifunctional fitness training stool
US20070203003A1 (en) Self spotting barbell press
US20140249003A1 (en) Water resistance upp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KR20080084523A (en) Reciprocating bellows operated exercise machine
EP0154077B1 (en) New valve module and apparatus therefor
KR101167017B1 (en) Cycle Athletic Apparatus
CN212282667U (en) High-tension training device
KR102344840B1 (en) Horse riding type thigh exercising apparatus
CN212214456U (en) Body-building device
KR101796570B1 (en) Exercise Device using Cylinder
US11324984B2 (en) Resistance band exercise machine
CN218543034U (en) Deep squatting trainer equipped with magnetorheological damper
KR101994581B1 (en) Muscle fitness device
CN214714023U (en) Resistance fitness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