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90B1 -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90B1
KR101746690B1 KR1020150131114A KR20150131114A KR101746690B1 KR 101746690 B1 KR101746690 B1 KR 101746690B1 KR 1020150131114 A KR1020150131114 A KR 1020150131114A KR 20150131114 A KR20150131114 A KR 20150131114A KR 101746690 B1 KR101746690 B1 KR 10174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ertion space
diameter
shock absorber
buf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149A (ko
Inventor
이재영
김기남
김진모
Original Assignee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는,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1방향의 차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확관되는 형태의 삽입안내부가 형성된 제1완충유닛 및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2방향의 차량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부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의 차량 및 상기 제2방향의 차량 사이 간격이 감소될 경우,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을 확관시키는 제2완충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2완충유닛의 제1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보다 후기 삽입영역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완충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Rolling Stock}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2완충유닛의 진행에 따라 직경이 감소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제1완충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차량을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는 완충장치, 전기연결장치, 연결기 헤드, 어댑터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완충장치의 경우, 기관사 및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며, 철도차량의 사고, 급정거에 따른 외력에 의해 각 차량 간의 간격이 감소됨에 따라 차량 간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력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완충장치는, 차량 간의 간격의 감소에 따른 재료의 소성 변형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흡수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완충장치는 재료의 초기 변형에 따른 충격 흡수량에 비해, 후기 변형에 따른 충격흡수량이 적다는 문제가 있어, 안전 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충격 흡수를 수행하고,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는,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1방향의 차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확관되는 형태의 삽입안내부가 형성된 제1완충유닛 및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2방향의 차량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부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의 차량 및 상기 제2방향의 차량 사이 간격이 감소될 경우,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을 확관시키는 제2완충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2완충유닛의 제1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보다 후기 삽입영역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초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는 제1직경부와, 상기 후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1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직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제1직경부 및 상기 제2직경부를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완충유닛의 일단부 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제2방향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완충유닛은,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을 관통하는 안내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링의 강성은 상기 제1완충유닛 및 상기 제2완충유닛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에는, 상기 보강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링은 복수 개의 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링의 외측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완충유닛의 삽입공간은 제2완충유닛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보다 후기 삽입영역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므로, 후기 변형에 따른 충격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완충장치의 전체적인 충격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의 완충장치에 비해 제조비용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완충유닛의 이동에 따라 제1완충유닛이 소성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서로 인접한 차량 사이에 구비되며,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완충장치(100), 전단(Shear-off)볼트장치(200) 및 헤드장치(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완충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충유닛(110) 및 제2완충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완충유닛(110)은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1방향의 차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완충유닛(150)은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2방향의 차량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유닛(110)과 상기 제2완충유닛(150)이 차량에 연결된다는 표현은 차량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물론, 연결기의 타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의 경우, 철도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무관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된 방향이다. 즉 제1방향은 제1완충유닛(110)이 구비된 방향이며, 제2방향은 제2완충유닛(150)이 구비된 방향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 있어, 상기 제1완충유닛(110) 및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일단부라 함은 공통적으로 제1방향 측의 끝단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타단부라 함은 공통적으로 제2방향 측의 끝단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완충유닛(150)의 이동에 따라 제1완충유닛(110)이 소성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완충유닛(110)에는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간(111)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확관되는 형태의 삽입안내부(1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공간(111)은 제2완충유닛(150) 방향으로 개구되며, 타단부는 상기 삽입안내부(112)에 의해 직경이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유닛(150)은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간(1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부(112)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완충유닛(150)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삽입안내부(112)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삽입공간(1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철도차량의 사고 및 급정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제1방향의 차량 및 제2방향의 차량 사이 간격이 감소될 경우, 상기 제2완충유닛(150)은 상기 제1완충유닛(110)을 변형시키며 상기 삽입공간(111)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유닛(150)은 도 4와 같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110)을 확관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완충유닛(110)이 소성 변형되어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완충유닛(110)은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제1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공간(111)의 초기 삽입영역(R1)보다 후기 삽입영역(R2)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초기 변형에 따른 충격 흡수량에 비해, 후기 변형에 따른 충격흡수량이 적다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111)의 직경이 감소되므로, 후기 변형에 따른 충격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삽입영역(R1) 및 후기 삽입영역(R2)은 제1완충유닛(110)의 고정된 특정 지점만을 기준으로 하여 분할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111)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114)은, 상기 초기 삽입영역(R1)에 대응되는 제1직경부(114a)와, 상기 후기 삽입영역(R2)에 대응되며 상기 제1직경부(114a)보다 직경이 작은 제2직경부(114b)와, 상기 제1직경부(114a) 및 상기 제2직경부(114b)를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가이드부(114c)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111)은, 상기 가이드부(114c)를 기준으로 하여 직경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완충유닛(150)이 상기 삽입공간(111) 내에서 이동할 경우, 제2직경부(114b)에 진입하며 충격흡수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가이드부(114c)는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일단부 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일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제1완충유닛(110)에 접촉되며, 경사면(153)이 형성된 확관유도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4c)는 상기 경사면(153)에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관유도부(152)가 상기 가이드부(114c)에 도달했을 때, 상기 가이드부(114c)는 상기 확관유도부(152)의 경사면(153)을 따라 미끄러지며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완충유닛(110)은, 상기 삽입공간(111)을 통해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150)을 관통하는 안내샤프트(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샤프트(140)는 상기 제2완충유닛(150)이 이동 궤도를 이탈함에 따라 원활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완충유닛(15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제1완충유닛(110)의 삽입공간(111)은 제2완충유닛(15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R1)보다 후기 삽입영역(R2)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므로, 후기 변형에 따른 충격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완충장치의 전체적인 충격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114)은 제2방향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완충유닛(15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114)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선형적으로 충격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방향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공간(111) 둘레면(114)의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114)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삽입공간(111)의 둘레면(114) 형상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111)의 직경 변화량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두께에 따라 충격흡수량 역시 다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삽입안내부(112)에 인접하여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강링(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링(130)은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초기 변형 시 요구되는 힘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차량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외력에 대해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타단부가 쉽게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긴급 상황이 아닌 경우 상기 제1완충유닛(110)에 기준 이하의 외력이 인가되는 상황에서 상기 제2완충유닛(150)이 상기 제1완충유닛(110)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링(130)의 강성은 상기 제1완충유닛(110) 및 상기 제2완충유닛(150)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강링(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둘레에는 상기 보강링(130)이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이는 보강링(130)이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둘레면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링(130)은 상기 안착홈(115)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완충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전술한 제5실시예와 같이 보강링(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둘레면에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링(130)은 복수 개의 부재(130a, 130b, 130c)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이 다르다.
상기 보강링(130)이 상기 안착홈(1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보강링(130)의 내경이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외경보다 작을 필요가 있다. 다만, 강성이 높은 보강링(13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안착홈(115)에 밀어 넣어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링(130)을 복수 개의 부재(130a, 130b, 130c)로 분할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링(130)의 외측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132)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링(132)은 상기 보강링(130)의 각 부재(130a, 130b, 130c)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제1완충유닛(110)의 강도를 추가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110: 제1완충유닛
111: 삽입공간 112: 삽입안내부
114: 둘레면 114a: 제1직경부
114b: 제2직경부 114c: 가이드부
115: 안착홈 130: 보강링
132: 고정링 140: 안내샤프트
150: 제2완충유닛 152: 확관유도부
153: 경사면

Claims (13)

  1.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1방향의 차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확관되는 형태의 삽입안내부가 형성된 제1완충유닛;
    철도차량의 서로 인접한 차량 중 제2방향의 차량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삽입공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부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방향의 차량 및 상기 제2방향의 차량 사이 간격이 감소될 경우,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완충유닛을 확관시키는 제2완충유닛; 및
    상기 삽입안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강링;
    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2완충유닛의 제1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초기 삽입영역보다 후기 삽입영역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은,
    상기 제1완충유닛 및 상기 제2완충유닛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완충유닛에 기준 이하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제2완충유닛이 상기 제1완충유닛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완충유닛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제1완충유닛에 기준 초과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는 파단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이 상기 제1완충유닛을 변경시켜 확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초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는 제1직경부와, 상기 후기 삽입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1직경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직경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상기 제1직경부 및 상기 제2직경부를 연속된 면으로 연결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완충유닛의 일단부 둘레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제2방향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둘레면은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유닛은,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완충유닛을 관통하는 안내샤프트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유닛의 둘레에는, 상기 보강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은 복수 개의 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외측을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13.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철도차량용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
KR1020150131114A 2015-09-16 2015-09-16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KR10174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14A KR101746690B1 (ko) 2015-09-16 2015-09-16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14A KR101746690B1 (ko) 2015-09-16 2015-09-16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49A KR20170033149A (ko) 2017-03-24
KR101746690B1 true KR101746690B1 (ko) 2017-06-14

Family

ID=5850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14A KR101746690B1 (ko) 2015-09-16 2015-09-16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48B1 (ko) * 2019-04-15 2020-11-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316A (ja) * 2008-01-31 2009-08-13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筒型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264797U (zh) * 2011-08-25 2012-06-0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扩张式吸能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316A (ja) * 2008-01-31 2009-08-13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筒型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264797U (zh) * 2011-08-25 2012-06-0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扩张式吸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49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8233B (zh) 包括能量耗散装置的连接装置
US9694638B2 (en) Spring rubber seat and strut-type suspension
RU2699201C2 (ru) Буфер
JP6200966B2 (ja) 鉄道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
US9878728B2 (en) Coupler
CN101821526A (zh) 商用车的盘式制动器
KR20100061288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CN109070912B (zh) 牵引和碰撞装置
KR101746690B1 (ko) 철도차량용 완충장치
CN102555962A (zh) 一种汽车前防撞横梁吸能装置
EP3361109B1 (en) Control cable
KR20170037228A (ko) 철도차량용 탄성 조인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연결기
CN107787280B (zh) 用于机动车的变形元件和具有这样的变形元件的机动车
CN104955684A (zh) 安全带固定器
CN111347990B (zh) 碰撞缓冲装置
KR101762733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장치
CN105228887A (zh) 具有紧固构件用嵌件的多腔室型材
JP2006044629A (ja) 車両用バンパビーム構造
ES2925245T3 (es) Tope con caja-guía con empujador revestido por secciones
KR101800338B1 (ko) 철도차량 충격흡수장치
JP2005265157A (ja) 油圧緩衝器のバンプストッパ
US11746848B1 (en) Buffer bracket
KR20190007399A (ko) 철도 차량용 완충장치
CN110116702A (zh) 包括板型负载限制器的安全带
CN105857409B (zh) 底盘及具有该底盘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