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64B1 - 신체운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운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64B1
KR101745864B1 KR1020140148154A KR20140148154A KR101745864B1 KR 101745864 B1 KR101745864 B1 KR 101745864B1 KR 1020140148154 A KR1020140148154 A KR 1020140148154A KR 20140148154 A KR20140148154 A KR 20140148154A KR 101745864 B1 KR101745864 B1 KR 10174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momentum
sensing
attach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882A (ko
Inventor
김충연
홍재수
고철웅
전경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병진운동량을 도출하고, 상기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회전운동량을 도출하는 상기 운동량 도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운동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ODY MOVEMENT}
본 발명은 신체운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이 수행한 신체운동의 양을 확인하고 싶은 욕구 역시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인이나 운동선수의 재활 과정 역시 재활이 필요한 신체 부위의 필요 운동량과 수행된 운동량을 비교하여 재활하는 사람들에게 재활 의욕을 고취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0-011878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유저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유저의 운동량과 기준 운동량을 비교하여 유저의 활동 상태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병진운동량을 도출하고, 상기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회전운동량을 도출하는 상기 운동량 도출부를 포함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신체 관절의 양측에 부착된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를 잇는 관절 세그먼트를 도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는 팔꿈치 근처, 상완, 및 전완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 이외의 신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3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부는,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3 센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제3 센싱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기준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제1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상대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 이외의 신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3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부는,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3 센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제3 센싱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기준회전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회전각도에 대한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상대회전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은 상기 신체의 경부 척추골 영역과 흉부 척추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병진운동량과 상기 회전운동량을 합하여 총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총운동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운동량의 차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 성분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성분 이동속도 각각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상기 병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 각각에 회전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상기 회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관절 주위에 센싱부를 장착하여 신체의 병진운동량과 회전운동량을 측정함으로써 유저의 총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운동량 도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병진운동량 도출 수학식과 회전운동량 도출 수학식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도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제1 센싱부(110), 제2 센싱부(112) 및 운동량 도출부(125)를 포함한다.
제1 센싱부(110)는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한다.
제2 센싱부(112)는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제1 센싱부(110)는 병진운동량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센싱부(112)는 회전운동량을 계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110)는 x축, y축 및 z축에 따른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고, 제2 센싱부(112)는 x축, y축 및 z축에 따른 각속도를 센싱할 수 있는 3축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는 각각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자이로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는 각각 6축 가속도 센서 및 6축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센싱부(110)와 제2 센싱부(112)는 하나의 모듈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 센싱부(110)와 제2 센싱부(112)가 별도의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신체 영역의 병진운동량을 도출하고,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신체 영역의 회전운동량을 도출한다.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로부터 출력된 제1 센싱정보와 제2 센싱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량 도출부(125)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는 팔꿈치(A1) 근처, 상완(A2), 및 전완(A3)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는 오른팔과 왼팔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량 도출부(125)는 오른팔 상지와 왼팔 상지 각각의 병진운동량과 회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센싱부(110)와 제2 센싱부(112)가 팔꿈치(A1) 근처, 상완(A2), 및 전완(A3)에 각각 부착되므로 팔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병진운동량과 회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동량 도출부(125)에 의한 병진운동량 및 회전운동량의 도출 과정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센싱부(110)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 성분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운동량 도출부(125)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성분 이동속도 각각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병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도 2는 운동량 도출부(12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병진운동량 도출 수학식과 회전운동량 도출 수학식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수학식 1은 병진운동량을 도출하기 위한 수학식이고, 수학식 2는 회전운동량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수학식 1에서 vx, vy, vz는 제1 센싱부(110)에서 출력된 제1 센싱정보에 해당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이동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팔 각각의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에 3개의 제1 센싱부(110)가 부착되고, 제1 센싱부(110)가 3축 가속도 센서일 경우, 제1 센싱부(110)는 상완(A2), 전완(A3) 및 손등 각각의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이동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vx, vy, vz는 상완(A2), 전완(A3) 및 손등 중 하나의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이동속도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m은 제1 센싱부(110)가 부착된 신체 부분의 질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 센싱부(110)가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m은 상완(A2), 전완(A3) 또는 손의 질량일 수 있다.
이 때 팔의 각 부분의 질량은 Dempster, W.T., "Space Requirements of the Seated Operator", Wright Patterson, Air Force Basem Ohio, 1995와 같은 논문 등을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T는 제1 센싱부(110)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의 유저(user)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의 병진운동량이 도출되면, 운동량 도출부(125)는 이들 병진운동량을 더함으로써 한쪽 팔의 병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제1 센싱부(110)가 양쪽 팔에 부착될 경우, 운동량 도출부(125)는 양쪽 팔의 병진운동량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양쪽 팔 전체의 병진운동량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싱부(112)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운동량 도출부(125)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 각각에 회전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회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도 2의 수학식 2 에서 ωx, ωy, ωz는 제2 센싱부(112)에서 출력된 제2 센싱정보에 해당되는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각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에 3개의 제2 센싱부(112)가 부착되고, 제2 센싱부(112)가 3축 자이로 센서일 경우, 제2 센싱부(112)는 상완(A2), 전완(A3) 및 손등 각각의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각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ωx, ωy, ωz는 상완(A2), 전완(A3) 및 손등 중 하나의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각속도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에서 I는 제2 센싱부(112)가 부착된 신체 부분의 관성 모멘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2 센싱부(112)가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I는 상완(A2), 전완(A3) 또는 손의 관성 모멘트일 수 있으며, 운동량 도출부(125)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 각각에 회전에너지는 1/2(Iωx 2), 1/2(Iωy 2), 1/2(Iωz 2)이다.
수학식 2에서 T는 제2 센싱부(112)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의 유저(user)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의 회전운동량이 도출되면, 운동량 도출부(125)는 이들 회전운동량을 더함으로써 한쪽 팔의 회전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가 상완(A2), 전완(A3) 및 손등에 각각 부착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상완(A2), 전완(A3) 및 손등 각각의 운동량을 독립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2 센싱부(112)가 양쪽 팔에 부착될 경우, 운동량 도출부(125)는 양쪽 팔의 회전운동량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양쪽 팔 전체의 회전운동량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가 부착된 신체의 병진운동량과 회전운동량이 도출되면, 운동량 도출부(125)는 신체의 병진운동량과 회전운동량을 합함으로써 신체의 총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운동량 도출부(125)는 총운동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운동량의 차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가 다이어트 장치나 재활 장치와 연동될 경우, 유저가 운동을 통하여 상기 차이를 보충해야 할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체 각 부분의 운동량이 독립적으로 계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신체 각 부분의 기준 운동량과 측정된 운동량을 비교하여 신체 부위별 운동량 차이를 보충해야할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량 도출부(12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량 도출부(125)는 신체 관절의 양측에 부착된 제1 센싱부(110) 또는 제2 센싱부(112)를 잇는 관절 세그먼트(segment)를 도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운동량 도출부(125)는 신체의 운동에 따라 관절 세그먼트가 움직이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센싱부(110)의 위치가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센싱부(110)의 위치 계산을 위하여 기준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제1 센싱부(110) 및 제2 센싱부(112)가 부착된 신체 영역 이외의 신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3 센싱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30)는, 제3 센싱부(130)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3 센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3 센싱정보를 통하여 제3 센싱부(130)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기준위치를 도출하고, 제1 센싱정보에 따라 기준위치에 대한 제1 센싱부(110)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상대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3 센싱정보에 해당되는 x축 방향 가속도, y축 방향 가속도 및 z축 방향 가속도를 적분함으로써 제3 센싱부(13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1 센싱정보에 해당되는 x축 방향 가속도, y축 방향 가속도 및 z축 방향 가속도를 적분함으로써 제1 센싱부(11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30)의 위치가 기준위치로 설정될 경우 운동량 도출부(125)는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제1 센싱부(110)의 상대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제1 센싱부(110)의 상대 위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3 센싱부(130)의 위치 좌표에서 제1 센싱부(130)의 위치 좌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3 센싱부(130)의 기준위치에 대한 제1 센싱부(110)의 상대 위치를 바탕으로 도 3의 관절 세그먼트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3 센싱부(130)가 부착된 신체 영역은 신체의 경부 척추골(cervical vertebra) 영역과 흉부 척추골(thoracic vertebra)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30)가 경부 척추골 영역과 흉부 척추골 영역에 부착되는 이유는 경부 척추골 영역과 흉부 척추골 영역이 신체의 중심에 해당되는 신체의 척추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3 센싱부(130)는 가속도 센서뿐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센싱정보는 각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센싱부(130)가 3축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경우, 운동량 도출부(125)는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제3 센싱부(130)의 각속도를 적분하여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2 센싱정보에 따른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제2 센싱부(112)의 각속도를 적분하여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제3 센싱부(130)의 회전각도가 기준회전각도로 설정될 경우 운동량 도출부(125)는 상기 기준회전각도에 대한 제2 센싱부(112)의 상대회전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대회전각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운동량 도출부(125)는 제3 센싱부(130)와 제2 센싱부(112)의 회전각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운동량 도출부(125)는 이와 같은 제2 센싱부(112)의 상대회전각도를 바탕으로 도 3의 관절 세그먼트의 회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운동 측정장치는 재활장치나 게임기 또는 레크레이션 장치 등과 연동가능하며, 연동 과정에서 유저가 신체 각 부위에 필요한 운동량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센싱부(110)
제2 센싱부(112)
운동량 도출부(125)
제3 센싱부(130)
팔꿈치(A1)
상완(A2)
전완(A3)

Claims (9)

  1.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신체 관절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병진운동량을 도출하고 상기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신체 영역의 회전운동량을 도출하여 상기 병진운동량 및 상기 회전운동량을 합하여 총운동량을 산출하며, 상기 총운동량과 기 설정된 기준운동량의 차이를 도출하는 운동량 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병진운동량 및 상기 회전운동량은 상기 신체 영역 각 부분의 질량을 변수로 하여 산출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신체 관절의 양측에 부착된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를 잇는 관절 세그먼트를 도출하여 표시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는 팔꿈치 근처, 상완, 및 전완에 각각 부착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 이외의 신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3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부는,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제3 센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제3 센싱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기준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상기 제1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상대위치를 도출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 이외의 신체 영역에 부착되는 제3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부는,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각속도에 해당되는 제3 센싱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상기 제3 센싱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기준회전각도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회전각도에 대한 상기 제2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의 상대회전각도를 도출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싱부가 부착된 신체 영역은 상기 신체의 경부 척추골 영역과 흉부 척추골 영역을 포함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 성분 이동속도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x축 성분 이동속도, y축 성분 이동속도, 및 z축성분 이동속도 각각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상기 병진운동량을 도출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부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센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동량 도출부는 x축 성분 각속도, y축 성분 각속도, 및 z축 성분 각속도 각각에 회전에너지의 합을 통하여 상기 회전운동량을 도출하는 신체운동 측정장치.
KR1020140148154A 2014-10-29 2014-10-29 신체운동 측정장치 KR10174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54A KR101745864B1 (ko) 2014-10-29 2014-10-29 신체운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154A KR101745864B1 (ko) 2014-10-29 2014-10-29 신체운동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82A KR20160052882A (ko) 2016-05-13
KR101745864B1 true KR101745864B1 (ko) 2017-06-14

Family

ID=5602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154A KR101745864B1 (ko) 2014-10-29 2014-10-29 신체운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666A (ko) 2017-12-08 2019-06-1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관절센서를 이용한 센서 오차 보정장치, 보정방법
KR20220039479A (ko) 2020-09-22 2022-03-29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연속 관절운동범위 측정 및 분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909B (en) * 2016-10-13 2019-01-02 Mclaren Applied Tech Ltd Dexterity assess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666A (ko) 2017-12-08 2019-06-1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관절센서를 이용한 센서 오차 보정장치, 보정방법
KR20220039479A (ko) 2020-09-22 2022-03-29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연속 관절운동범위 측정 및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82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227B1 (ko) 동작 추적 방법.
US8315823B2 (en) Force and/or motion measurement system having inertial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of
US10252106B2 (en) Golf swing analysis apparatus and golf club fitting apparatus
US20150149104A1 (en) Motion Tracking Solutions Using a Self Correcting Three Sensor Architecture
EP1593931A1 (en) Difference correcting method for posture determining instrument and motion measuring instrument
Ding et al. Inertia sensor-based guidance system for upperlimb posture correction
KR20140044755A (ko) 골프스윙 해석장치 및 골프스윙 해석방법
US20130158946A1 (en) Modelling of hand and arm position and orientation
Du et al. An IMU-compensated skeletal tracking system using Kinect for the upper limb
KR101745864B1 (ko) 신체운동 측정장치
JP2016179048A (ja) 関節負荷可視化システム
Chen et al. Development of an upp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using inertial movement units and kinect device
JP2009186244A (ja) 傾斜角度推定システム、相対角度推定システム及び角速度推定システム
US20060134583A1 (en) Simulation and training sphere for receiving persons
TW201024684A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ilt using lowest degrees of freedom of accelerometer
JP2002007030A (ja) 運動検出装置及び操作入力装置
JP5424224B2 (ja) 相対角度推定システム
CN114748306A (zh) 一种外骨骼设备穿戴误差校正方法
Takahashi et al. Head orientation sensing by a wearable device for assisted locomotion
CN108874146B (zh) 一种应用于虚拟现实系统中的运动人体质心位移计算方法
CN106456051A (zh) 一种呼吸监测设备、方法和装置
JP5424226B2 (ja) 傾斜角度推定システム
Liu et al. Physical sensor difference-based method and virtual sensor difference-based method for visual and quantitative estimation of lower limb 3D gait posture using accelerometers and magnetometers
Sauer et al. RSQ Motion-a prototype of the motion analysis system in the joints
JP2006055532A (ja) 動作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