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175B1 -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 Google Patents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175B1
KR101745175B1 KR1020150157889A KR20150157889A KR101745175B1 KR 101745175 B1 KR101745175 B1 KR 101745175B1 KR 1020150157889 A KR1020150157889 A KR 1020150157889A KR 20150157889 A KR20150157889 A KR 20150157889A KR 101745175 B1 KR101745175 B1 KR 101745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s
pedestal
toe
playing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119A (ko
Inventor
김창원
이성남
장진섭
안형진
박철민
안종배
Original Assignee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김창원
이성남
장진섭
안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김창원, 이성남, 장진섭, 안형진 filed Critical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Priority to KR102015015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1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28Board games simulating indoor or outdoor sporting games, e.g. bowling, basketball, boxing, croquet, athletics, jeu de boules, darts, snooker, rodeo
    • A63F3/00031Baseball or cricket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및 윷치기 놀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 윷가락, 배트(Bat), 및 윷가락들이 놓이는 위치를 구획하는 영역구획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대 상에 직립상태로 놓여지는 윷가락들을 배트를 휘둘러서 윷을 치게하는 운동 기능에 더하여 배트에 의한 타격으로 공중으로 날아서 땅에 떨어지는 윷들의 결과에 따라서는 긴장감과 흥미를 주는 민속고유의 윷놀이 게임 놀이를 할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Combine Sport Game Instruments for Yut Playing And Method of Yut Playing}
본 발명은 언제 어디에서 든지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모두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트를 휘둘러서 윷을 치게하는 소프트 볼이나 혹은 자치기와 같은 운동 기능에 더하여 땅에 떨어지는 윷들의 결과에 따라서는 긴장감과 흥미를 주는 민속고유의 윷놀이 게임 기능을 겸하게 한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민속놀이인 윷놀이는 편을 갈른 후, 네개의 윷가락들을 던져서, 바닥에 떨어진 윷가락들이 위치하는 형태에 따라 도,개,걸,윷,모중 어느 하나가 정하여지고, 이 결과에 따라서 말을 이용하여 윷놀이 말판에 도,개,걸,윷,모 중 어느 하나를 놓으면서 해당 개수의 말을 먼저 전부를 다 회수하는 편이 이기도록 하는 것이 윷놀이의 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윷놀이는 명절이 아닌 평상시에는 윷을 이용한 놀이를 쉽게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윷놀이를 활성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윷놀이에 흥미를 주어 활성화를 시도한 것으로 하기 특허문헌에 표시된 '윷놀이용 놀이기구'가 있다.
즉, 선행기술은 표면이 납작한 배면부와 반달형인 둥근 등부로 이루어진 윷에서, 윷의 상,하단에 삽입 형성되어진 힌지축 고정부재에 힌지축을 설치하여서 양단으로 힌지축을 포함하는 네개의 윷을 윷 고정대의 중앙으로 형성된 공간에 등간격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윷에 측방향으로 마찰 힘을 부가하면 회전되어지면서 배면부와 등부가 정면으로 자유롭게 나타나게 하여 일반적으로 놀이하는 윷놀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윷놀이 또한 윷을 일부 변형하여 놀이 방법에 변화를 준 것만이 기존의 윷놀이와 차이가 있을 뿐, 실제로는 기존의 윷놀이와 사실상 차이가 없어서 그다지 윷놀이에 대한 흥미를 불러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운동과 윷놀이를 겸한 변형된 운동(Sports)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특허 번호 10-2013-01070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배트를 휘둘러서 윷을 치게하는 운동 기능에 더하여 배트에 의한 타격으로 공중으로 날아서 땅에 떨어지는 윷들의 결과에 따라서는 긴장감과 흥미를 주는 민속고유의 윷놀이 게임 놀이도 할 수 있게 한 운동겸용 윷치기 놀이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는, 사용자들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며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판과 일체화되어 상방향으로 입설되는 직선 혹은 상방을 향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다수개의 분할체로 형성되어 분리가능하게 다단으로 조립 할 수 있게 한 중공상의 몸통부, 및 이 몸통부 상단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넓은 면을 제공하는 두부(頭部)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윷가락들을 수직상태로 놓여지게 하고자, 상기 받침대의 상면과 상기 윷가락들의 단면(端面)의 어느 쪽에 각각 설치된 철판과 이에 부착되는 자석 혹은 양쪽 모두에 설치된 다른 극성의 자석; 상기 받침대와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어 배트의 타격으로 이동하게 되는 윷가락들을 수용하는 소정 넓이의 제한된 영역을 구획하는, 띠(帶)상의 섬유부재 혹은 플라스틱 부재를 탈착되게 연결하여 사각 혹은 원형의 폐쇄곡선을 이루게 형성한 윷가락 영역구획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윷가락, 및 윷치기용 배트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미려감을 주고자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되거나 혹은 유광물질이 포함 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트를 휘 둘러서 윷들을 칠수 있도록한 것에 의해서는 소프트볼 내지는 자치기와 같은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또한 배트에 의해 공중으로 날아가서 소정영역으로 떨어지게 한 윷가락들에 의해서는 팀원 서로간의 단결력 내지 협동심을 기르면서 긴장감을 유발하는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게임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된 윷가락 받침대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윷가락들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 윷가락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윷가락 받침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도 1 및 도5에 사용되는 말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된 윷가락 받침대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윷가락들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3B는 도 3A 윷가락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들 표시와 같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100)의 구성물을 대별(大別)하면, 받침대(110), 4개가 한조인 윷가락들(130), 배트(Bat)(150), 및 윷가락들이 놓이는 위치를 구획하는 영역구획수단(17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보통의 말판(30a,30b)(도 6A,6B참조)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받침대(110)는, 운동 및 윷게임을 하게 되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게 구성되고, 또한 누구든지 임의 위치로 자유롭게 옮겨서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받침대(110)는 바닥으로부터 쓰러짐이 없는 안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용을 하는 넓은 받침판(111)과, 이 받침판(111)과 일체화되어 상방향으로 입설되면서 직립 형태를 이루거나 혹은 상방을 향해 점차로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중공상의 몸통부(113), 및 이 몸통부(113)의 상부로 개구된 중공부(115)의 내부로 탈착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자석 혹은 철판(117)이 설치되는 넓은 면을 제공하는 두부(頭部)(11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통부(113)의 높낮이는 사용자들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므로, 소비자들은 이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받침대(110)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함이 사용은 물론 운반 및 보관상 편리하다. 또한 받침대(110)는 사용자들에게 호감을 주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게 만들 수 있으며, 날이 흐린날이나 혹은 야간에도 잘 구별이 잘되게 발광 혹은 야광재료를 넣어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4개가 한조를 이루는 윷가락들(130)은 일반적인 윷놀이에 사용하는 윷가락과 같다. 다만 다른것이 있다면, 본 실시예의 윷가락들(130)은 받침대(110)의 두부(119)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한다는 것만이 다르다. 이 때문에 윷가락들(130)의 어느 한쪽 단면(端面) 혹은 양단면 모두에는 두부(119)의 상면에 설치된 자석 혹은 철판(117)에 대응하는 철판 혹은 자석(137)이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두부(119)의 상면에 자석이 설치되면 윷가락(130)의 단면에는 철판(137)이 설치될 수 있고, 반대로 두부(119)의 상면에 철판(117)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윷가락(130)의 단면에는 자석이 매입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두부(119)의 상면 및 윷가락(130)의 단면에 자석 혹은 철판(117, 137)이 설치되는 이유는, 두부(119)의 상면에 윷가락들(130)을 쓰러지지 않게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함이며, 두부(119)의 상면에 윷가락들(130)을 쓰러지지 않게 세워지는 상태로 위치 시키기는 이유는 도1의 표시와 같이, 사용자(1)로 하여금 후술하는 배트(150)를 사용하여 윷가락들의 타격을 쉽게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트(150)에 의한 윷가락들의 윷치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윷가락들(130)은 배트(150)로 타격시 쉽게 파손이나 찌그러짐이 없게 하면서 복원성이 좋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11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친근감 및 호감을 주도록 하고자 다양한 색상을 띄게 만들 수 있으며, 날이 흐린 날이나 혹은 야간에도 구별이 잘되게 발광 혹은 야광재료를 넣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10)위에 놓여지는 윷가락들(130)을 치기위한 배트(Bat)(150)(도1참조)는, 성인, 청소년, 혹은 어린이들 각각에 맞는 길이와 잡기 쉬운 굵기로 탄성과 강도가 좋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배트(150) 역시 상기 받침대(110) 및 윷가락들(130)과 같이 사용자들에게 친근감 및 호감을 주도록 하고자 다양한 색상을 넣어 만들 수 있으며, 날씨가 흐린 날이나 혹은 야간에도 잘 구별이 되게 발광 혹은 야광재료를 넣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영역구획수단(170)은 배트(150)에 의하여 타격되어 공중으로 날려지게 되는 윷가락들(130)의 떨어지게 할 위치를 미리 구획하는 것으로, 이 영역구획수단(170)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운반 이동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바닥에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절곡이 자유 자재로운 밴드형 띠(171)로 원형 혹은 사각형을 이루게 형성된 것이다. 이 때문에 바닥이 편평한 곳 이라면 어디든지 쉽게 펼쳐서 원형 혹은 사각형의 영역구획수단(170)을 이루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영역구획수단(170)역시 사용자들에게 친근감 및 호감을 주도록 하고자 다양한 색상을 띄게 만들 수 있는데, 특히 밴드형 띠(171)에는 평상시는 물론 흐린 날이나 혹은 야간에도 명확한 선 구별이 잘되게 하고자 발광 혹은 야광재료를 넣어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윷가락 받침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받침대(210)는 받침판(211)과 두부(頭部)(219)를 제외한 몸통부(213)만을 일시예의 받침대(110)의 몸통부(113)와는 달리 분리가능한 조립체로 구성한 것이다. 몸통부(213)를 분리가능한 조립체로 구성한 것은, 사용자들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 밖의 받침대(210)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시예의 받침대(110)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6A 및 도6B는 도 1 및 도5에 사용되는 말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말판들(30a,30b)은 기존의 말판과 같은 말판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말의 표시는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과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윷치기 운동과 아울러 윷놀이 게임 방법에 대한 일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윷치기 운동과 윷놀이 게임 방법에 대한 일예를 설명한다.
도1의 경우 윷치기 운동 인원은 각 팀의 인원이 2명 이상이면 되고, 각 팀의 인원이 1명씩이라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팀의 운동 인원이 1명씩 구성된 것으로 하여 윷치기 운동을 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2사람중 누가 먼저 할 것인가가 순서를 정하는데, 순서는 흔히 많이들 하는 가위, 바위,보 혹은 윷가락들을 던져서 정 할 수 있다.
순서가 정하여지면 받침대(110)의 두부(119)위에 윳가락들(130)을 세워진 상태로 위치한다. 두부(119)와 윳가락들(130)의 대향면에는 철판 혹은 자석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윳가락들(130)을 큰 어려움 없이 직립 상태로 위치 시킬수 있다.
아울러 받침대(110)로부터는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영역구획수단(170)을 설치하여 윷가락들(130)이 떨어져야 하는 제한 범위를 미리 획정하는데, 받침대(110)로부터 영역구획수단(170)이 설치되는 위치는 성인 혹은 어린이 마다 달리 되겠지만, 대략 1m 내지 2m 범위 내로 위치하는 것이 운동에 흥미를 갖으면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윷치기 놀이구(100)의 구성물이 위치되면, 순서가 먼저 정하여진 사람이 배트(150)를 잡고 야구 배트를 휘 두르듯이 받침대(110)에 직립 상태로 놓여진 윷가락(130)을 쳐서, 전방에 형성된 영역구획수단(170)의 내부로 들어가서 놓여지게 하면 되는데, 이때 받침대(110)로부터 영역구획수단(170)을 향하여 날아가게 되는 윷가락(130)중 하나라도 영역구획수단(170)의 외부로 이탈되면 윷 놀이에서 말하는 낙(落)으로 되어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어 다른 팀에게 넘겨 주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윷가락들(130)이 모두 영역구획수단(170)의 내부로 놓이게 되면, 이때 놓여지는 윷가락들(130)의 위치 상태에 따라서 말판(30a 혹은 30b)에 말을 놓을수 있게 되는데, 예컨데, 영역구획수단(170)의 내부로 놓이게 되는 윷가락들(130)이 도, 개, 걸, 윷, 및 모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놓이게 되는가의 결과에 따라서 말판(30a 혹은 30b)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말을 놓은 후, 상대에게 배트를 물려 주면 되고, 만약 윷 혹은 모가 나오면 계속할 윷치기 운동을 할수 있다.
배트(150)를 물려 받은 상대 역시 상기와 동일 방법으로 윷가락들(130)을 받침대(110)에 직립 상태로 올려놓고 윷치기를 하여, 낙이면 다시 상대방에게 배트를 물려 주면되고, 이와는 반대로 윷가락들(130)이 모두 영역구획수단(170)의 내부로 놓이게 되면, 이때 놓여지는 윷가락들(130)의 도, 개, 걸, 윷, 및 모 중 어느 하나의 결과에 따라서 말판(30a 혹은 30b)에 말을 놓을수 있고, 혹은 먼저 놓은 상대 편의 말도 잡을수 있게 되는, 윷놀이 게임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명이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2명 혹은 그 이상 이 한조가되는 팀원을 이루어 돌아 가면서 윷치기 운동과 윷놀이를 할 수 있어서, 윷치기라는 정신이 집중되는 운동과 아울러 윷가락들이 놓여지게 되는 결과물에 따라서는 윷놀이라는 게임을 할 수 있어 그 만큼 운동과 윷놀이의 흥미가 배가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겸용 윷치기 놀이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운동겸용 윷치기 놀이구(100)또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는 영역구획수단(170)을 사용하지 않고 윷치기 놀이 및 윷놀이 게임을 한다는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본 실시예는 한팀의 선수(1-1)가 배트(150)를 잡고 받침대(110)위에 세운 윷가락들(130)을 칠때 같은 팀의 선수(1-2)가 받침대(11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다거 공중으로 날라서 오게 되는 윷가락들(130)을 손으로 잡게 하면서 그 결과물에 따라 말판을 두게하는 방법이 상기 일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는 적어도 2명 이상이 한팀을 이루어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각 한팀당 2명이 한 조를 이루어 운동을 한다고 할 경우, 한팀의 두명 선수들(1-1,1-2) 중 먼저 한사람(1-1)이 배트(150)를 잡고 윷가락(130)을 칠때 같은 팀의 다른 사람(1-2)은 미리 윷가락(130)이 날아 올수 있는 전방 위치에 자리를 잡고 위치하여 있다가 윷가락들(130)을 손으로 잡는 결과에 따라서 윷놀이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예컨데, 자기팀의 선수(1-1)가 쳐서 날린 윷가락들(130)을 같은 팀의 선수(1-2)가 모두 잡게 되는 경우, 모두 잡은 팀은 모 혹은 윷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말판(30a 혹은 30b)에 말을 둘 수가 있으며, 모두 잡은 경우에는 다시 한번 윷치기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만약에 손으로 모두 못잡은 윷가락들이 바닥에 떨어지면서 도,개 걸, 윷, 및 모 중 모 혹은 윷이 나오더라도 이를 인정은 하지만 다시는 할 수가 없고, 상대방에게 윷치기 기회를 넘겨 줘야한다. 도, 개, 및 걸 또한 마찬가지이다.
또한 바닥에 떨어지는 윷가락(130)이 등을 보고 위치되는 경우 4개인 경우에는 "모"를 인정하지만, 윷가락 3개 ,2개 혹은 1개가 등이 보이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별도 정해지는 룰에 따라서 할수 도 있겠지만, 본 실시예의 윷놀이 게임에서는 무 실점으로 처리하여, 상대 팀에게 배트를 넘겨주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대 팀이 말판에 말을 둔 상태에서 윷치기를 시작하여 윷가락들(130)을 모두 잡은 상태에서 다시 윷치기를 하는 경우, 잡지 못하여 바닥에 떨어진 윷가락들로부터 예컨대 개로 나오고, 말판에 있는 상대 팀의 말은 걸 위치에 놓여져 있는 경우, 사전에 다잡은 윷가락들로 인하여 말판에 대하여 말을 윷이나 모를 새롭게 두거나 혹은 이어서 둘수가 있으나, 윷가락들(130)을 모두 잡게 되는 경우 도개,걸, 윷, 및 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수 선택권이 부여되어 말판에 있는 상대 말을 잡게할 수 있고, 말을 잡는 경우 다시 윷치기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1에 따른 실시예의 윷치기 놀이와 게임 방법에서 차이가 있으나, 윷치기라는 운동을 하면서 그 결과물에 따라서 윷놀이 게임을 할수 있는 점에서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윷치기 선수
30a,30b : 말판
100 :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110 : 받침대
111 :받침판
113 : 중공상의 몸통부
115 : 중공부
117 : 자석 혹은 철판
119 : 두부(頭部)
130 : 윷가락
137 : 자석 혹은 철판
150 : 배트(Bat)
170 : 영역구획수단
171 : 밴드형 띠

Claims (8)

  1. 사용자들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며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판과 일체화되어 상방향으로 입설되는 직선 혹은 상방을 향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다수개의 분할체로 형성되어 분리가능하게 다단으로 조립 할 수 있게 한 중공상의 몸통부, 및 이 몸통부 상단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넓은 면을 제공하는 두부(頭部)로 이루어진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윷가락들을 수직상태로 놓여지게 하고자, 상기 받침대의 상면과 상기 윷가락들의 단면(端面)의 어느 쪽에 각각 설치된 철판과 이에 부착되는 자석 혹은 양쪽 모두에 설치된 다른 극성의 자석;
    상기 받침대와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어 배트의 타격으로 이동하게 되는 윷가락들을 수용하는 소정 넓이의 제한된 영역을 구획하는, 띠(帶)상의 섬유부재 혹은 플라스틱 부재를 탈착되게 연결하여 사각 혹은 원형의 폐쇄곡선을 이루게 형성한 윷가락 영역구획수단;을 포함하는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윷가락, 및 윷치기용 배트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미려감을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되거나 혹은 유광물질이 포함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7889A 2015-11-11 2015-11-11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KR10174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89A KR101745175B1 (ko) 2015-11-11 2015-11-11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89A KR101745175B1 (ko) 2015-11-11 2015-11-11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19A KR20170055119A (ko) 2017-05-19
KR101745175B1 true KR101745175B1 (ko) 2017-06-20

Family

ID=5904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889A KR101745175B1 (ko) 2015-11-11 2015-11-11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81B1 (ko) * 2021-06-22 2021-11-09 경상남도 (교육청) 스피로 자치기 게임 장치를 이용한 자치기 게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314Y1 (ko) * 1999-08-20 2000-02-15 허봉락 타격 연습용 공 받침대
KR200368668Y1 (ko) * 2004-09-10 2004-11-26 주식회사 포밍 골프게임놀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314Y1 (ko) * 1999-08-20 2000-02-15 허봉락 타격 연습용 공 받침대
KR200368668Y1 (ko) * 2004-09-10 2004-11-26 주식회사 포밍 골프게임놀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81B1 (ko) * 2021-06-22 2021-11-09 경상남도 (교육청) 스피로 자치기 게임 장치를 이용한 자치기 게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19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208B2 (en) Socc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070045964A1 (en) Portable party system and method
Méndez Giménez et al. Using the TGFU tactical hierarchy to enhance student understanding of game play. Expanding the Target Games category
US7717431B2 (en) Table-top football kicking game
US20140239592A1 (en) Alphanumeric Game System And Pieces
ES2358877T3 (es) Juego magnético para simular un deporte en equipo.
Sahay Traditional children’s games of Bihar
KR101745175B1 (ko) 운동 겸용 윷치기 놀이구
Davison Creative physical activities and equipment
Ghosh Traditional sports and games culture around West Bengal
US20110124441A1 (en) Tethered objects and games
Mumford Football: the philosophy behind the game
Stecher Games and Dances: A Selected Collection of Games, Song-games and Dances Suitable for Schools, Playgrounds, Gymnastic Associations, Boys'& Girls' Clubs, Etc
Hodgkinson Game, set and match: secret weapons of the world's top tennis players
US1712781A (en) Game
KR102562069B1 (ko) 피규어 다트
Sutton-Smith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Games
DeKoven Junkyard sports
CN210904898U (zh) 接球器
US2165914A (en) Toy
US3583705A (en) Animal trap game
Horowitz International games: building skills through multicultural play
Elmore A practical hand-book of games
US10722781B1 (en) Sport simulation board game apparatus with pegs and method
Holman Lockdown suggestions for entertainment from medieval Eng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