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894B1 -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894B1
KR101744894B1 KR1020150074907A KR20150074907A KR101744894B1 KR 101744894 B1 KR101744894 B1 KR 101744894B1 KR 1020150074907 A KR1020150074907 A KR 1020150074907A KR 20150074907 A KR20150074907 A KR 20150074907A KR 101744894 B1 KR101744894 B1 KR 10174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odule
user
hous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652A (ko
Inventor
박추자
Original Assignee
박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추자 filed Critical 박추자
Priority to KR102015007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8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흑채가 산포되는 영역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정확하게 흑채를 산포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흑채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흑채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로 배출하며, 상기 흑채가 배출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흑채 산포 장치; 및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흑채 산포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흑채 산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SYSTEM FOR CONFIRMING HAIR SPREADING POWDER DISTRIB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며 흑채를 산포할 수 있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과거에 중년층이나 장년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및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등과 같은 이유로 20~30대와 같은 젊은 층에서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양방과 한방에 근원을 둔 수많은 종류의 탈모방지제나 발모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제시된 제품들은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또는 효과가 있다 하여도 신체적인 부작용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화장과 유사한 기법을 이용해 머리숱이 없거나 숱이 가즐어져서 두피가 드러나 보이는 부분에 검은색의 분말을 뿌려 커버해주는, 소위 흑채라고 불리는 모발도포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흑채는 저장용기에 분말 형태로 저장된 상태에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머리에 도포된다. 즉, 저장용기를 손에 쥐고 머리 위에서 흔들기 때문에 흑채 분말을 머리의 특정 부분에 정확히 뿌리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비산되는 분말 가루가 발생되어 흑채 분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63718호 '흑채 자동분사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9887호 '염색약 도포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흑채가 산포되는 영역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정확하게 흑채를 산포할 수 있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은 흑채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흑채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로 배출하며, 상기 흑채가 배출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흑채 산포 장치; 및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흑채 산포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흑채 산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채 산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상기 흑채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상기 흑채를 배출하기 위한 버튼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흑채를 저장하는 카트리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흑채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에 관한 음성이나 음향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촬영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 설정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메뉴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와, 상기 영상 처리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 시간, 촬영 간격, 촬영 모드, 촬영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은 흑채 산포 장치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고, 카메라 모듈과 사용자 단말을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흑채가 산포되는 영역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정확하게 흑채를 산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흑채 산포 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사용자의 머리 부분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흑채 산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사용자의 머리 부분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흑채가 산포되는 영역을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흑채 산포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다.
상기 흑채 산포 장치(10)는 원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향하여 흑채 분말을 배출하는 장치로서, 흑채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흑채를 사용자의 머리로 배출하며, 흑채가 배출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흑채 산포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카트리지(120), 배출 모듈(130), 카메라 모듈(140) 및 배터리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흑채 산포 장치(1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상부 및 하부 영역에 흑채가 배출되는 배출구(113)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2)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흑채를 배출하기 위한 버튼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3)는 전방을 향하여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고, 공기에 의하여 분무되는 흑채 분말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12)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배출 모듈(130)에 구비되는 팬(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구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카트리지(120), 배출 모듈(130) 및 배터리 모듈(150)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는 내부에 카트리지(120) 및 배출 모듈(130)을 장착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하게 개폐되는 측면 커버(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측면 커버는 카트리지(120) 및 배출 모듈(13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버튼부(111)의 동작만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컴은 카메라 모듈(140)의 제1 통신부(142)를 통하여 제1 제어부(144)와 연결되고, 제1 제어부(144)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40)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내지 5초)동안 버튼부(111)가 동작되지 않도록 버튼부(111)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버튼부(11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버튼부(111)에 인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수단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흑채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상부홀(미도시)과 하부홀(미도시)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때 개방되어, 하부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카트리지(120) 내부에 회전되면서 상부홀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120)의 하부 영역에는 공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모듈(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버튼부(111)의 조작에 의하여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카트리지(120)에 저장된 흑채를 배출구(113)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50)은 배출 모듈(130) 및 카메라 모듈(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110)은 바닥판이 하우징(11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바닥판을 하우징(110)에서 분리한 후 배터리 모듈(150)을 하우징(110) 내부에 끼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을 하우징(110)에 결합시켜 배터리 모듈(150)의 노출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하우징(110)의 외부(즉, 상부 영역)에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20)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1), 제1 통신부(142), 마이크(143) 및 제1 제어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41)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된 동작 제어 명령 신호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제1 통신부(142)는 사용자 단말(20)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위하여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을 이용하거나 적외선 통신이나 무선주파수 통신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통신부(142)로 무선 통신망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어폰 잭을 통해 카메라 모듈(14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20)의 이어폰 포트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43)는 사용자로부터 카메라(141)의 촬영 모드에 관한 음성이나 음향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전기 신호에 의하여 카메라(141)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제어부(144)는 촬영 시간, 촬영 간격, 촬영 모드, 촬영 메뉴 등의 촬영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하여 카메라(14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흑채 산포 장치(10)를 이용하여 자신의 머리 부분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흑채를 산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서,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흑채 산포 장치(1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흑채 산포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카메라 모듈(14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용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구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I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 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의 휴대 단말 중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210), 정보 설정부(220), 영상 처리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저장부(250) 및 제2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카메라 모듈(140)의 제1 통신부(142)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위하여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거나 적외선 통신이나 무선주파수 통신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통신부(210)로 무선 통신망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어폰 잭을 통해 카메라 모듈(14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20)의 이어폰 포트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설정부(220)는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촬영 정보를 설정한다. 즉, 상기 정보 설정부(220)는 카메라 모듈(140)을 이용해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이 사진인지 또는 동영상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촬영 시간, 촬영 간격, 촬영 메뉴 등의 촬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 설정부(220)는 스마트폰에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이용해 표시 및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230)는 카메라 모듈(140)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처리부(230)는 카메라 모듈(140)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의 명암, 해상도 등을 자동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을 위한 메뉴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와, 영상 처리부(230)에 의하여 영상 처리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0)는 환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quid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카메라 모듈(140)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50)는 스마트폰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 메모리 또는 스마트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사용자 단말(2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40)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중앙처리유닛이고, 스마트폰 자체에 내장된 내장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이용해서 촬영된 영상을 신호 처리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카메라 모듈(140)에서 촬영되어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제어부(260)는 카메라 모듈(140)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흑채 산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카메라 모듈(140)의 동작 제어 및 영상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의 정보 설정부를 통하여 촬영 시간, 촬영 간격, 촬영 모드, 촬영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정보를 설정한 후, 사용자가 흑채를 머리 부분에 산포하는 동안 설정된 촬영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140)을 동작시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5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은 흑채 산포 장치(10)에 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하고, 카메라 모듈(140)과 사용자 단말(20)을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흑채가 산포되는 영역을 사용자 단말(20)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정확하게 흑채를 산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흑채 산포 장치 20: 사용자 단말
110: 하우징 111: 버튼부
112: 흡입구 113: 배출구
114: 측면 커버 120: 카트리지
130: 배출 모듈 140: 카메라 모듈
141: 카메라 142: 제1 통신부
143: 마이크 144: 제1 제어부
150: 배터리 모듈 210: 제2 통신부
220: 정보 설정부 230: 영상 처리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저장부
260: 제2 제어부

Claims (6)

  1. 흑채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흑채를 상기 사용자의 머리로 배출하며, 상기 흑채가 배출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흑채 산포 장치; 및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흑채 산포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흑채 산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흑채 산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상기 흑채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상기 흑채를 배출하기 위한 버튼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흑채를 저장하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상부홀과 하부홀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때 개방되어, 하부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카트리지 내부에 회전되면서 상부홀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설계되고, 카트리지의 하부 영역에는 공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흑채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머리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모드에 관한 음성이나 음향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변환된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동작만을 제어하는 마이컴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버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이 상기 버튼부에 인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동작되고 있는 경우 소정 시간동안 상기 버튼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상기 버튼부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촬영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 설정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메뉴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와, 상기 영상 처리된 머리 부분에 대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된 머리 부분의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흑채 산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 시간, 촬영 간격, 촬영 모드, 촬영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KR1020150074907A 2015-05-28 2015-05-28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KR10174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07A KR101744894B1 (ko) 2015-05-28 2015-05-28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907A KR101744894B1 (ko) 2015-05-28 2015-05-28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52A KR20160139652A (ko) 2016-12-07
KR101744894B1 true KR101744894B1 (ko) 2017-06-09

Family

ID=5757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907A KR101744894B1 (ko) 2015-05-28 2015-05-28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96B1 (ko) * 2021-11-12 2022-02-09 권기형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염색용 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22B1 (ko) * 2012-02-27 2012-11-21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광원을 이용한 두피 케어 장치
KR101463718B1 (ko) * 2014-09-16 2014-11-26 (주) 송학 흑채 자동분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887A (ko) 2007-02-28 2008-09-02 김현중 염색약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22B1 (ko) * 2012-02-27 2012-11-21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광원을 이용한 두피 케어 장치
KR101463718B1 (ko) * 2014-09-16 2014-11-26 (주) 송학 흑채 자동분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652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692B2 (en) System for applying a design on at least one nail surface
US20190317564A1 (en) Modular tablet case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components
CN108833753A (zh) 一种图像获取及应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DE102014118806A1 (de) Bildmodul, umfassend eine Halterung und einen Decoder für mobile Vorrichtungen
CN110536006A (zh) 一种对象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KR101744894B1 (ko) 흑채 산포 확인 시스템
US10097703B2 (en) Image pr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device
CN109639981A (zh) 一种图像拍摄方法及移动终端
WO2016195348A1 (ko) 색칠놀이를 위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7533519A (zh) 通知控制设备、通知控制方法以及通知控制程序
JP2021019833A (ja) 通信端末装置、美容機器、美容システム
CN109286723A (zh) 一种壁纸的更换方法和终端
CN108153652A (zh) 一种进度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20170134277A (ko) 색칠놀이를 위한 증강현실 서비스 방법
CN204028972U (zh) 一种用于电力系统的便携式点检设备
KR20060105294A (ko) 컴퓨터 기반의 네일 아트 페인팅 시스템
US11691438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print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5912210A (zh) 终端显示屏的显示方法及装置
KR20160080886A (ko) 휴대폰 케이스 즉석 프린트 자판기
JP6464530B2 (ja) 映像通信用装置
CN110859394A (zh) 美甲方法、设备、装置及系统
JP2016076753A (ja) 撮影台装置および帳票撮影システム
CN110109633A (zh) 用于调校打印机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7493410A (zh) 一种指环式无线摄像设备
KR101987033B1 (ko) 다기능 목업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