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37B1 -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37B1
KR101744737B1 KR1020150140552A KR20150140552A KR101744737B1 KR 101744737 B1 KR101744737 B1 KR 101744737B1 KR 1020150140552 A KR1020150140552 A KR 1020150140552A KR 20150140552 A KR20150140552 A KR 20150140552A KR 101744737 B1 KR101744737 B1 KR 10174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l
reinforcing element
base plate
sli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58A (ko
Inventor
유의식
김석주
김찬얼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ublication of KR2017003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84Trial or dummy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kn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상부면 일측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상부면 일측에 제 1 및 제 2 위치결정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Knee Trial System}
본 발명은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상부면 일측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상부면 일측에 제 1 및 제 2 위치결정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슬관절은 무릎관절로 경골과 대퇴골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부위이다. 일반적으로 슬관절은 연골 및 뼈 조직의 노화로 퇴행성 관절염이 가장 많인 발생하는 관절이며 상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관절이다. 그러므로, 슬관절의 기능이 떨어지면 인공 슬관절을 삽입하여 무릎관절을 대체하고 있다.
도 1은 슬관절 치환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보강요소가 결합된 경골 보철물이 경골 시술부에 안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인바,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슬관절 치환술을 시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골(a)과 경골(c)에 시술부(b, d)를 형성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520)와,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520)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510)를 포함하는 경골 보철물(50)을 경골(c)에 이식하여 슬관절 치환술을 하게 된다. 다만, 상기 경골 보철물(50)을 경골(c)의 시술부(d)에 이식하기에 앞서 상기 경골 보철물(50)이 시술부(d)의 정위치에 고정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경골 보철물(50)과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지는 경골 트라이얼(trial)이 상기 시술부(d)에 임시로 고정된다.
등록특허 제10-1184905호는 경골 결합부재에 하프 패드가 설치되어 제 1 하프 패드 내측에 연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프 패드는 홈이 연결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제 2 하프 패드의 내측에도 연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하프 패드는 홈이 연결부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상기 하프 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얼라인먼트를 교정할 수 있고 동시에 신전 간격 및 굴곡 간격을 고정할 수 있는 인공 슬관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인 인공 슬관절은 패드를 기존 오그먼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bone defect의 복원 기능을 향상시키고 시술할 때에 발생하는 골 절제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기존 베이스플레이트와 오그먼트 및 패드의 결합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실제로 경골 시술부에 경골 보철물의 고정시 베이스플레이트와 오그먼트의 결합이 간단하지 않고, 결합 후 시술부에 고정하여도 상기 오그먼트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해제되어 슬관절 치환술에 따른 시술시간이 지연되어 과다출혈 및 그에 따른 후유증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골플레이트 및 오그먼트를 고정하기에 앞서 그와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지는 경골플레이트 트라이얼 및 오그먼트 트라이얼을 경골 시술부에 고정할 때에도 경골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오그먼트 트라이얼 간의 결합과, 결합 후 해제에 따른 시술시간 지연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제 1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슬라이드는 최상부의 단면이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제 1 슬라이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슬라이드는 최상부의 단면이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정 형상을 가지는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결합하는 제 1 슬라이드의 제 1 헤드부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으로, 제 2 슬라이드의 제 2 헤드부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헤드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헤드부가 제 2 헤드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일측에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일측에 제 2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추가적으로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회전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와, 상기 제 1 슬라이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1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2 슬라이드는 비원형 형상으로 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2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는 비원형 형상으로 된 제 2 헤드부와,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1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2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며 상기 제 1 헤드부가 제 2 헤드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는 내부에 하기 제 1 스프링,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의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최상측 수평면에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포함하는 제 1 덮개부와, 하기 제 1 접속지지부와 제 1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덮개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중공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의 최상측 수평면의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1 접속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접속지지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접속지지부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는 내부에 하기 제 1 스프링,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의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최상측 수평면에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포함하는 제 1 덮개부와, 하기 제 1 접속지지부와 제 1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덮개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중공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의 최상측 수평면의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1 접속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접속지지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접속지지부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1 슬라이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1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상기 제 2 슬라이드는 비원형 형상으로 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2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제 1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슬라이드는 최상부의 단면이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제 1 슬라이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측면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슬라이드는 최상부의 단면이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정 형상을 가지는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상부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결합하는 제 1 슬라이드의 제 1 헤드부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으로, 제 2 슬라이드의 제 2 헤드부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헤드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헤드부가 제 2 헤드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일측에 제 1 위치결정부가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일측에 제 2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추가적으로 관통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의 양 측에 형성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슬관절 치환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보강요소가 결합된 경골 보철물이 경골 시술부에 안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보강 요소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드에 대한 참고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보강 요소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부에 대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에 대한 참고도
도 8은 도 6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대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이 경골 시술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보강 요소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드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보강 요소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부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이 경골 시술부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은 경골에 결합되는 임플란트(경골요소)를 이식할 때에 경골 시술부의 절단면 상에 안착하는 경골요소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baseplate trial)(30)과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augmentation element trial)(10)의 상호 결합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은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110), 제 1 슬라이드(120), 제 2 슬라이드(130), 제 1 위치결정부(140)와, 제 2 위치결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110)는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면에 후술할 제 1 슬라이드(120), 제 2 슬라이드(130)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110)를 관통하여 제 1 위치결정부(140)와 제 2 위치결정부(150)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슬라이드(120)는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110)의 상부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와 슬라이드 결합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형상, 바람직하게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드(120)를 통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일측을 통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120)는 제 1 헤드부(120a)와, 제 1 지지부(1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헤드부(120a)는 상기 'T' 단면 형상의 제 1 슬라이드(120)의 최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의 제 1 헤드수용부(320a)에 의해 양 측면 말단이 가이드되고 제 1 헤드안착부(320b) 상에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을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슬라이드 결합 및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헤드부(120a)는 제 1 헤드안착부(320b)를 통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헤드부(120a)는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정 두께를 가진 원형으로 형성되나, 상기 형태에 제한에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지지부(120b)는 제 1 헤드부(120a)를 지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제 1 헤드부(120a)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 1 지지고정부(320c)를 따라 가이드 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드(130)는 제 1 슬라이드(1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110)의 상부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와 결합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형상, 바람직하게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 결합한 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 2 슬라이드(130)를 통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일측을 통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드(130)는 제 2 헤드부(130a)와, 제 2 지지부(13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헤드부(130a)는 상기 'T' 단면 형상의 제 2 슬라이드(130)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의 제 2 헤드수용부(330a)에 의해 양 측면 말단이 고정되고 제 2 헤드안착부(320b) 상에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을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슬라이드 결합 및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헤드부(130a)는 제 2 헤드안착부(330b)를 통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헤드부(130a)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제 1 헤드부(120a)와 달리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두 외주면이 직선으로 평행하고 나머지 두 외주면은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 2 헤드부(130a)의 형상이 제 1 헤드부(120a)의 형상과 같이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헤드부(120a)가 제 2 헤드부(130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 2 헤드부(130a)의 형상을 제 1 헤드부(120a)의 형상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제 1 및 제 2 슬라이드(120, 13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헤드부(120a)가 제 2 헤드부(130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30b)는 제 2 헤드부(130a)를 지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제 2 헤드부(130a)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 2 지지고정부(330c)를 따라 가이드 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위치결정부(140)는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하부면 양측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와 각각 접속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대한 결합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1 덮개부(140a), 제 1 중공부(140b), 제 1 접속부(140c), 제 1 접속지지부(140d)와, 제 1 스프링(140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덮개부(140a)는 내부에 제 1 스프링(140e), 제 1 접속부(140c)와, 제 1 접속지지부(140d)를 수용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단면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거리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최상측 말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최상측 말단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수평한 수평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덮개부(140a)의 최상측 수평면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스프링(140e)의 복원력에 따른 상기 제 1 접속부(140c)의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고 수평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접속부(140c)에 대응하는 형상의 일정 거리 하측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 접속부 관통공(140aa)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중공부(140b)는 상기 제 1 접속지지부(140d)와 제 1 스프링(140e)을 수용하기 위해 제 1 덮개부(140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스프링(140e)에 의한 제 1 접속지지부(140d)의 수직이동을 허용하고 수평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의 원형 형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거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속부(140c)는 상기 제 1 덮개부(140a)의 최상측 수평면의 제 1 접속부 관통공(140aa)을 통해 상기 제 1 스프링(140e)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1 접속지지부(140d)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 하부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에 접속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접속지지부(140d)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 단면은 상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최상측 말단에서 반원형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속지지부(140d)는 제 1 중공부(140b)에 수용되어 제 1 스프링(140e)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접속부(140c)의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부(140c)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중공부(140b)에서 수직이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일정거리 수직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스프링(140e)은 상기 제 1 중공부(140b)에 수용되어 제 1 접속지지부(140d)와 제 1 접속부(140c)에 복원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지지부(140d)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140)가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 1 접속부(140c)를 상측으로 밀어내어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부(140c)를 상기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와 접속하게 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위치결정부(150)는 제 1 위치결정부(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하부면 양측의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에 각각 접속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에 대한 결합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2 덮개부(150a), 제 2 중공부(150b), 제 2 접속부(150c), 제 2 접속지지부(150d)와, 제 2 스프링(150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덮개부(150a)는 내부에 제 2 스프링(150e), 제 2 접속부(150c)와, 제 2 접속지지부(150d)를 수용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덮개부(140a)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거리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최상측 말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최상측 말단부로부터 다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수평한 수평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덮개부(150a)의 최상측 수평면은 상기 제 1 덮개부(140a)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스프링(150e)의 복원력에 따른 상기 제 2 접속부(150c)가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접속부(150c)의 수평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진 원형의 일정 거리 하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접속부관통공(150aa)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중공부(150b)는 상기 제 2 접속지지부(150d)와 제 2 스프링(150e)을 수용하기 위해 제 2 덮개부(150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2 스프링(150e)에 의한 제 2 접속지지부(150d)의 수직이동을 허용하고 수평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의 원형 형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거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속부(150c)는 상기 제 2 덮개부(150a)의 최상측 수평면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2 스프링(150e)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2 접속지지부(150d)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 하부면의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에 접속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접속지지부(150d)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 단면은 상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최상측 말단에서 반원형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속지지부(150d)는 상기 제 1 접속지지부(140d)와 마찬가지로, 제 2 중공부(150b)에 수용되어 제 2 스프링(150e)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2 접속부(150c)의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접속부1h50c)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중공부(150b)에서 수직이동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일정거리 수직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 스프링(150e)은 상기 제 2 중공부(150b)에 수용되어 제 2 접속지지부(150d)와 제 2 접속부(150c)에 복원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2 접속지지부(150d)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 2 위치결정부(150)가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 2 접속부(150c)를 상측으로 밀어내어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접속부(150c)를 상기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와 접속하게 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은 경골요소를 이식할 때에 경골 시술부의 절단면 상에 안착되고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경골 보철물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베이스플레이트 몸체(310),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와,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몸체(310)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양 측면 말단부에 후술할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20, 330)를 포함하고, 하부면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340, 3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슬라이드 수용부(320)는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T' 단면 형상의 제 1 슬라이드(120)가 슬라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 측면 말단부에 상기 제 1 슬라이드(12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1 헤드수용부(320a), 제 1 헤드안착부(320b)와, 제 1 지지고정부(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수용부(320a)는 상기 제 1 헤드부(120a)가 슬라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양 측에 상기 제 1 헤드부(120a)의 양 측면 말단부의 수직면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헤드부(120a)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헤드안착부(320b)는 상기 제 1 헤드부(120a)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헤드부(120a)의 양 측 하부면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드(120)가 슬라이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지지고정부(320c)는 상기 제 1 지지부(120b)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부(120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수직한 관통공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슬라이드 수용부(330)는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T' 단면 형상의 제 2 슬라이드(130)가 슬라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 측면 말단부에 상기 제 2 슬라이드(13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2 헤드수용부(330a), 제 2 헤드안착부(330b)와, 제 2 지지고정부(33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수용부(330a)는 상기 제 2 헤드부(130a)가 슬라이드 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양 측에 상기 제 2 헤드부(130a)의 양 측면 말단부의 수직면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헤드부(130a)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헤드안착부(330b)는 상기 제 2 헤드부(130a)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헤드부(130a)의 양 측 하부면에 대응되는 일정 길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130)가 슬라이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상태에서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지지고정부(330c)는 상기 제 2 지지부(130b)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지지부(130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수직한 관통공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위치결정수용부(340)는 상기 제 1 위치결정부(140)의 제 1 접속부(140c)가 제 1 스프링(140e)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 이동에 따라 접속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하부면에 일정 형상의 접속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접속부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위치결정수용부(350)는 상기 제 1 위치결정수용부(35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제 2 위치결정부(150)의 제 2 접속부(150c)가 제 2 스프링(150e)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 이동에 따라 접속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하부면에 접속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상기 접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제 1 및 제 2 슬라이드(120, 130)가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수용부(220, 330)를 향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결합한 이후,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부(140, 150)의 제 1 및 제 2 접속부(140c, 150c)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위치결정수용부(340, 350)에 접속되어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과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의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한다. 그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요소 트라이얼(10)이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30)이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경골의 시술부 상에 안착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보강요소 트라이얼
110 :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
120 : 제 1 슬라이드
120a : 제 1 헤드부 120b : 제 1 지지부
130 : 제 2 슬라이드
130a : 제 2 헤드부 130b : 제 2 지지부
140 : 제 1 위치결정부
140a : 제 1 덮개부 140b : 제 1 중공부 140c : 제 1 접속부
140d : 제 1 접속지지부 140e : 제 1 스프링
140aa : 제 1 접속부관통공
150 : 제 2 위치결정부
150a : 제 2 덮개부 150b : 제 2 중공부 150c : 제 2 접속부
150d : 제 2 접속지지부 150e : 제 2 스프링
150aa : 제 2 접속부관통공
30 :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310 : 베이스플레이트 몸체
320 : 제 1 슬라이드 수용부
320a : 제 1 헤드수용부 320b : 제 1 헤드안착부 320c : 제 1 지지고정부
330 :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330a : 제 2 헤드수용부 330b : 제 2 헤드안착부 330c : 제 2 지지고정부
340 : 제 1 위치결정수용부
350 : 제 2 위치결정수용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와, 상기 제 1 슬라이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는 비원형 형상으로 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6.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제 1 슬라이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중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8.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양 측면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 중 하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비원형의 제 2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슬관절 치환술 또는 재치환술을 할 때에 골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과 결합하는 보강요소 트라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측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1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는 내부에 하기 제 1 스프링,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의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최상측 수평면에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포함하는 제 1 덮개부와,
    하기 제 1 접속지지부와 제 1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덮개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중공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의 최상측 수평면의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1 접속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접속지지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접속지지부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결정부는 내부에 하기 제 1 스프링,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지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 1 접속부의 상측을 향한 수직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최상측 수평면에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포함하는 제 1 덮개부와,
    하기 제 1 접속지지부와 제 1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덮개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중공부와,
    상기 제 1 덮개부의 최상측 수평면의 제 1 접속부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한 제 1 접속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 하부면의 제 1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접속지지부와,
    상기 제 1 중공부에 수용되어 제 1 접속지지부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은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보강요소 트라이얼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하부면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 중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과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수용부에 접속하여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의 풀림을 방지하고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제 2 위치결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13.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제 1 헤드부와,상기 제 1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1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드는 비원형 형상으로 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헤드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제 2 슬라이드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 슬라이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과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의 처짐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요소 트라이얼이 베이스플레이트 트라이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KR1020150140552A 2015-09-30 2015-10-06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KR101744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8221 2015-09-30
KR1020150138221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58A KR20170039058A (ko) 2017-04-10
KR101744737B1 true KR101744737B1 (ko) 2017-06-12

Family

ID=5858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52A KR101744737B1 (ko) 2015-09-30 2015-10-06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773A (ja) * 2007-03-30 2008-10-23 Depuy Products Inc 複数の関節接合境界面を有する可動支持組立体
JP2010506622A (ja) * 2006-10-13 2010-03-04 デピュイ・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性/固定式プロテーゼ膝関節システム
JP2014176686A (ja) * 2013-03-14 2014-09-25 Depuy (Ireland) 脛骨補強部材を有する整形外科用脛骨プロテー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622A (ja) * 2006-10-13 2010-03-04 デピュイ・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動性/固定式プロテーゼ膝関節システム
JP2008253773A (ja) * 2007-03-30 2008-10-23 Depuy Products Inc 複数の関節接合境界面を有する可動支持組立体
JP2014176686A (ja) * 2013-03-14 2014-09-25 Depuy (Ireland) 脛骨補強部材を有する整形外科用脛骨プロテー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58A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090B2 (en) Joint implant trial components
US20100185295A1 (en) Articulation prosthesis for small bones, in particular for phalangeal, metacarpo-phalangeal or metatarso-phalangeal articulations
JP5448834B2 (ja) プロテーゼホルダおよびその応用例
EP2104474B1 (en)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US8979940B2 (en) Modular attachment mechanism in prosthetic implants
CN1822803B (zh) 由颈部假体和植入器械组成的装置
US9149363B2 (en) Modular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US8721726B2 (en) Glenoid implant
CN103037812A (zh) 植入物部件和方法
JP2021118905A (ja) 人工肩関節のための改良された関節窩アンカー、特に変換可能な人工関節及び関連するパーツキットに関する。
JP2010510846A5 (ko)
EP3137018B1 (en) Convertible pre-partial knee replacement
KR101415241B1 (ko) 경추 고정 장치
CN108135584B (zh) 在植入的髋关节假体中分离股骨杯与髋臼球的工具及方法
KR101954936B1 (ko) 탈부착 가능한 무릎 트라이얼
JP2015096206A (ja) 医療デバイス及び方法
KR101744737B1 (ko)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RU27154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ставки вкладыша в вертлужную чашку
US9744046B2 (en) Locking screw assembly
EP3741329A1 (en) Bearing fixation
KR101744741B1 (ko) 슬관절 결합 시스템
KR101606694B1 (ko) 슬관절 치환술용 경골 보철물 시험기구
KR20110060917A (ko) 관절 임플란트
US20130211412A1 (en) Impactor
US20230363920A1 (en) Universal tibial insert with enhanced medial congru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