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537B1 -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37B1
KR101744537B1 KR1020100052945A KR20100052945A KR101744537B1 KR 101744537 B1 KR101744537 B1 KR 101744537B1 KR 1020100052945 A KR1020100052945 A KR 1020100052945A KR 20100052945 A KR20100052945 A KR 20100052945A KR 101744537 B1 KR101744537 B1 KR 10174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detection signal
motion detection
wireless inpu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297A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5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입력장치는, 모션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부와, 모션센서부에서 감지된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선입력장치 이동시 혹은 불사용시 무선입력장치의 저전력모드를 수행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입력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컴퓨터는 공간 이용도가 극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나 실외 또는 이동중에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마우스 대신에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 등의 포인팅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포인팅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포인팅 장치 대신에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선입력장치의 경우 접속이 불편하고, 공간적인 제약이 있어, 당업계에서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전선을 없애고, 고주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 등 무선 신호로 입력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입력장치를 개발하였다.
유선 입력장치는 본체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만, 무선입력장치는 무선입력수단에 배터리 등과 같은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여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므로, 무선입력장치의 사용 시간이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한정되어 있다.
한편, 무선입력장치의 이동시 혹은 장시간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무선입력장치 하단 혹은 측면등에 전원 on/off스위치로 전원관리를 하고 있어,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off로 바꾸지 않으면, 무선입력장치는 호스트를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최대전력을 소모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입력장치 사용여부에 따라 일일이 on/off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입력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는,
모션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부와, 모션센서부에서 감지된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무선입력장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와,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입력장치 외부로부터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에 따른 각도변화나 무선입력장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에 따라 무선입력장치의 전원 인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각도변화 이상으로 기울여져서 일정시간내에 0°로 회귀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센서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다시 0°로 각도가 변화하고, 무선입력장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소모량을 최소하하면서도 편리하게 무선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으로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무선입력장치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수동으로 on/off시켰기 때문에 발생하는 전력낭비를 막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무선입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무선 마우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각도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우스의 충격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우스의 움직임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기존 무선입력장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전력소비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무선입력장치에는,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 무선 조이스틱, 무선 키패드, 무선 바코드 판독기, 무선 자기잉크문자판독기(MICR :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무선 광학식 마크판독기(OMR : Optical Mark Reader), 무선 광학식 문자판독기(OCR : Optical Character Reader), 무선 라이트펜 등이 포함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무선입력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의 블록 구성도(10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무선입력장치는 제어부(110), 모션센서부(120), 수신부(130), 전원공급부(140), 데이터베이스부(150), 조작부(160), 표시부(170), 시간측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4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모션센서부(120)에서 감지한 모션감지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되는 경우, 수신부(130)의 변환부(132)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로 변환한다. 수신부(130)의 증폭부(134)는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수신부(130)에서 전달된 모션감지신호의 종류가 소정치 이상의 각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일실시예로,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45°이상으로 변화하여, 소정시간내에 다시 0°로 회귀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가, 제어부(110)로 전송되면 제어부(110)에서 이를 비교, 판별하여 그에 해당하는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전력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110)에서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여, 모션센서부(120)에만 전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다른 부분에는 전력공급을 하지 않음으로써, 일정시간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무선입력장치를 소지한 채 이동하는 경우 호스트를 찾기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각도는 θ°이상으로 변화한 경우,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도값에 따른 모드의 수행은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른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무선입력장치의 각도변화, 움직임변화 및 무선입력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변화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수행 모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10)는 이를 기초로,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각종 모션감지신호와 이를 비교, 판별하여, 그에 해당하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현재 수행되는 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부(170)로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각종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등을 포함한다. 현재 무선입력장치의 동작을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현재 무선입력장치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이후, 무선입력장치의 동작의도에 따라 바로 무선입력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0°로의 각도변화에 추가로 움직임변화 또는 충격변화등을 주어,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시간측정부(180)에서 측정한 시간에 따라, 일정 시간이상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정도가 0°로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 혹은 충격변화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50)가 제공하는 데이터와 비교, 판별하여,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일정 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움직임변화 혹은 충격변화는 충격변화나 움직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부(120)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움직임변화는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를 좌우, 혹은 상하로 흔드는 등의 변화일 수 있다. 충격변화는,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의 외부를 두드리는 등의 변화일 수 있다. 즉, 무선입력장치를 0°로 일정시간 유지하며, 추가로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를 사용하고자 하여 흔들거나, 외부를 두드리게 되는 등의 변화를 가할 경우, 실행모드(Active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정도가 0°로 일정시간내에 회귀하는 경우, 이동중이 아니고,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일시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아, 저전력모드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수행하고자 하는 모드가 결정되면, 전원공급부(140)로 신호를 보내어, 해당 모드에 따른 전원제어를 할 수 있다.
모션센서부(120)는, 무선 입력장치의 각도변화, 움직임 변화 또는 무선입력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된다. 일예로, 모션센서는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PLD는 제조 후 사용자가 내부 논리 회로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이다. 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무선입력장치의 각도변화에 따라,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모드를 조정할 것인지를 정하여 내부 논리회로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모션센서부(120)는 두드림 등의 충격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Tap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변환부(132), 증폭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32)는, 모션감지신호가 아날로그신호로 되어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곳으로, A/D 컨버터등을 포함한다. A/D 컨버터는 간단하게 ADC라고 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에 따라 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이후 아날로그 신호를 가지고, 처리하는 것보다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증폭부(134)는, 변환부(132)에서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134)는, 디지털 신호의 입력을 받는 디지털 앰프로 구성될 수 있다. Full Digital Amplifier라고 하여, 디지털 신호를 재생할 때,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을 이용해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킨 다음에 아날로그 앰프로 증폭을 한 후, 다시 ADC를 이용해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mpl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앰프는 전자의 열 운동에 의한 잡음과 증폭소자의 불완전한 직선성 때문에 신호의 왜곡을 피할 수 없다. 또 아날로그 앰프는 전원의 이용효율이 높지않다. 디지털 앰프에서 PWM 신호는 1bit의 디지털 신호로서 소리의 크기는 단지 구형파 신호의 폭(Width)으로서만 기록된다.
PWM 신호를 증폭하는 스위칭 출력단은 ON-OFF만 반복하므로 증폭소자의 직선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디지털 앰프의 전원이용률은 90%가 넘는다. D Class 앰프는 아날로그 PWM 회로 때문에 아날로그 앰프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34)를 통과하도록 하여, 증폭률을 높이도록 한다.
증폭된 모션감지신호는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제어부(110)는 전송된 모션감지신호와 데이터베이스부(15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비교하고, 무선입력장치 모드를 결정하여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한다.
전원공급부(140)는, 무선입력장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모션센서부(120), 증폭부(134)와, 제어부(1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저전력모드에서는 전원공급부(140)는 제어부(110)와, 증폭부(134)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다만, 모션센서부(120)로는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전원공급부는 여러가지 배터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로는, Ni-Cd(니켈-카드늄)배터리, Ni-MH(니켈-수소)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충전식이 될 수 있고, 태양광(Solar Energy)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무선 입력장치의 각도변화, 움직임 변화 또는 무선입력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변화의 정도에 따라, 무선입력장치가 어떤 모드를 수행해야 소모되는 전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 데이터에는 구체적으로 변화되는 특정 각도에서의 모드 전환에 관한 것이나, 특정 움직임 감지에 따른 모드 전환에 관한 것, 특정 충격과 충격의 간격에 따른 모드 전환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해당 무선입력장치의 생산자 혹은 생산회사에서 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데이터저장장치이므로, 플래쉬메모리,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을 수 있다. 데이터저장장치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새로운 데이터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업데이트는 펌웨이를 인터넷상에서 다운받는 등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조작부(160)는, 무선입력장치의 on/off스위치(미도시)나 마우스 휠, 조명on/off버튼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통해서 무선입력장치로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무선입력장치의 현재 동작되고 있는 상태나, 현재 시각, 다른 그 외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디스플레이소자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포함한다.
시간측정부(180)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입력장치가 기울어져 일정 시간이상 다시 0°로 회귀하지 않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내에 0°로 회귀하지 않는 경우, 계속하여 저전력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무선입력장치(110)의 기울기가 0°로 일정시간이상 유지되고, 충격변화 혹은 움직임변화가 가해져서, 다시 실행모드(Active Mode)가 수행될 때, 0°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시간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시간은 제어부(110)로 전송되어,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와 비교하여, 실행모드(Active Mode) 또는 저전력모드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모션센서부(120)에서 무선 입력장치의 각도변화, 움직임 변화 또는 무선입력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변화를 감지한다.(S210) 모션센서부(120)는 각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충격변화 혹은 움직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Tab Sens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도변화,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를 감지한 아날로그형태의 모션감지신호는 수신부(130) 내의 변환부(132)로 이동하여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로 변환된다.(S212)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로 변환함에 따라, 제어부(110)에서 복잡한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할 필요없이, 디지털 모션감지신호와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무선입력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변환부(132)에서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는 증폭부(214)에서 증폭된다.(S214)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앰프는 전자의 열 운동에 의한 잡음과 증폭소자의 불완전한 직선성 때문에 신호의 왜곡을 피할 수 없다. 또 아날로그 앰프는 전원의 이용효율이 높지않다. 디지털 앰프에서 PWM 신호는 1bit의 디지털 신호로서 소리의 크기는 단지 구형파 신호의 폭(Width)으로서만 기록된다.
PWM 신호를 증폭하는 스위칭 출력단은 ON/OFF만 반복하므로 증폭소자의 직선성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디지털 앰프의 전원이용률은 90%가 넘는다. D Class 앰프는 아날로그 PWM 회로 때문에 아날로그 앰프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변환부(132)에서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를 증폭한다. 증폭한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수신부(130)에서 제어부(110)로 전송된 모션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0)에서 전송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하는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가 제공하는 데이터에 따라, 소정 각도이상의 각도변화가 있고, 일정 시간내에 0°로 회귀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6)
소정 각도이상의 각도변화가 있고, 일정 시간내에 0°로 회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저전력모드를 수행한다.(S222)
일예로 45°이상 무선입력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로 일정시간내에 0°로 회귀하지 않는 경우, 저전력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222) 저전력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110)에서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여, 모션센서부(120)에만 전력이 전달된다.
무선입력장치의 기울기가 다시 0°로 회귀하여, 일정시간이상 유지되고 있으며, 그 밖의 충격변화 혹은 움직임변화에 대한 제 2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4)
제 2 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된다면, 제어부(110)는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한다. 즉,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 전환한다.(S226)
제어부(110)는 전송된 모션감지신호가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8)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입력장치의 기울기가 일정각도 이상이 아니라면, 각도변화가 아닌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각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를 판단하기 전이라도,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었다면, 해당 충격변화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222)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무선입력장치의 모션센서부(120)에서 움직임변화를 감지하여,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도 있고, 각도변화 혹은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를 판단하기 전이라도,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었다면, 해당 움직임변화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222)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다시 무선입력장치의 각도변화, 움직임 변화 또는 무선입력장치에 가해지는 충격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시작단계가 수행되어, 모션감지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제어부(110)는 각도변화, 충격변화, 움직임변화에 따라 저전력모드를 수행한 후,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회귀하고, 모션센서부(120)에 충격변화 혹은 움직임변화에 따른 제 2모션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저전력모드에서는 전원공급부(140)에서 모션센서부(120)에만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모션센서부(120)는 제 2모션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회귀하고, 저전력모드에서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에 따른 제 2모션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다시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한다.(S226)
도 3(a) 및 도 3(b)는, 무선 마우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a)는 무선 마우스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무선 마우스에 인터페이스 장치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무선입력장치 중 일예로, 무선 마우스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는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310)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데이터 단말 장치(미도시)의 USB 포트(미도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 마련된 삽입부(310)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분리시킨다. 무선 마우스(300)는 상부에 위치한 고정장치(320)의 버튼을 누르면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튀어나오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 마련된 삽입부(310)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삽입한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삽입부(310)에 밀어넣으면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내부에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무선 마우스(3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RF)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각도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a) 및 4(b)는, 무선입력장치 중에서 무선 마우스(300)를 들어, 각도변화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무선 마우스(300)를 들고 이동하게 되면 무선 마우스(300)는 기울어지게 되고, 그 기울어지는 정도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변화되게 되면,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고 판별하여, 그에 따른 모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 무선 마우스(300)가 상하로 혹은 좌우로 45°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모션센서부(120) 중 PLD(Programmable Logic Device)에서 감지한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0)에서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무선 마우스(300)의 기울기가 45°이상이 된 경우, 무선 마우스(300)를 소지하고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이에 따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저전력모드를 수행한다.
무선 마우스(300)는 무선입력장치의 일예이며,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은 상하, 좌우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지면과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제어부(110)로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에 따른 각도변화나 무선입력장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에 따른 전원공급부(140) 제어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선입력장치의 각도변화에 해당하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4(c)는, 본 발명의 일예로, 무선입력장치 중 무선 마우스(300)를 들어, 각도가 다시 0°로 변화된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무선 마우스(300)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도중에 수동으로 전원을 off시키지 않았을때, 전원을 자동 off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이동을 멈추고 무선 마우스(300)의 기울기가 0°로 유지되며, 모션센서부(120)에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격변화 또는 움직임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입력장치의 각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는 모션센서부(120) 중, PLD(Programmable Logic Device)에서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모션감지신호를 수신부(130)의 증폭부(134)에서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지정된 기능에 따라,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무선입력장치의 기울임정도가 0°로 변화하여 일정시간이상 경과하고, 별도의 움직임변화 혹은 충격변화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10)는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의 전환은 무선입력장치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무선입력장치를 좌우로 일정횟수 흔드는 등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우스의 충격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자는 무선입력장치 외부를 일정간격으로 일정횟수 두드리게 되면,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무선입력장치 외부로의 충격의 변화는 모션센서부(120)의 Tab sensor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신호는 변환부(132)에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부(134)에서 이를 증폭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받은 모션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저전력모드 또는 실행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행모드의 수행은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됨을 전제로 한다. 실시예에서도 실행모드로의 전환은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되며, 추가로 충격변화가 있는 경우이다. 도 6은 무선입력장치중 무선 마우스(300)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은 사용자의 두드림이 연속적인 경우, 이를 모션센서부(120)에서 감지하여, 저전력모드와 실행모드(Active Mode)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2는 사용자의 두드림이 일정간격(Ttab)을 가진 경우, 실행모드(Active Mode)와 저전력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3은 무선 마우스(300)의 경우 사용자가 클릭하는 경우,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클릭의 횟수나, 간격에 따라 실행모드(Active Mode)와 저전력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마우스의 움직임변화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자는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를 주어, 제어부(110)로 하여금, 실행모드(Active Mode), 저전력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 변화는 모션센서부(120)에서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는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로 변환부(132)에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부(134)에서 이를 증폭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와 전송받은 모션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저전력모드 혹은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행모드의 수행은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됨을 전제로 한다. 실시예에서도 실행모드로의 전환은 무선입력장치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되며, 추가로 움직임변화가 있는 경우이다. 도 6은 무선입력장치중 무선 마우스(300)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은 무선입력장치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저전력모드에서 실행모드(Active Mode)로 혹은 그 반대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2는 무선입력장치를 사용자가 왼쪽으로 θ°이동시키는 경우, 혹은 오른쪽으로 θ°이동시키는 경우, 이에 대한 제어방법을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하여,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여, 실행모드(Active Mode), 저전력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각도 변화의 정도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 3은 무선입력장치를 한바퀴 돌리게 되는 경우, 이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여, 실행모드(Active Mode), 저전력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소비 비교표를 도시한 도이다.
도 7(a)는 통상의 무선입력장치의 전력소비를 도시한 도이다.
도 7(b)는 모션센서부를 추가시, 무선입력장치의 전력소비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행모드(Active Mode)일때의 전력소비량은 본 발명의 경우와 동일하다. 무선입력장치를 사용자가 들고 이동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on/off스위치를 off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무선입력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로의 접속을 위해 실행모드(Active Mode)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2~3배의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무선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이동중인 경우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자동제어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슬립(Sleep)모드는, 사용자가 잠시동안 무선입력장치의 사용을 멈추는 경우를 뜻하며, 딥슬립(Deep Sleep)모드는, 잠시동안 사용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이상 경과시, 슬립모드보다 소비되는 전력을 더 줄이기 위한 모드이다.
본 발명은 슬립모드와 딥슬립모드의 구분없이, 모션센서부(120)에서 감지하는 모션감지신호에 따라, 저전력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저전력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하여, 모션센서부(120)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수행한 결과, 모션센서부(120)가 없는 무선입력장치에 비해 모션센서부(120)를 갖춘 무선입력장치는 배터리의 수명이 증가하였고, 모션센서부(120)를 포함한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부(110)에서 수행하는 저전력모드의 소모전력이 딥슬립모드(Deep Sleep)에서보다 적어서, 전체 소모전력이 감소하였다.
110: 제어부 120: 모션센서부
130: 수신부 140: 전원공급부
150:데이터베이스부 300: 무선 마우스

Claims (16)

  1. 모션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모션센서부;
    상기 모션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모션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모션감지신호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측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시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무선입력장치의 소정치 이상의 각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치 이상의 각도변화가 일정 시간 내에 회귀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모션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입력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모드를 수행 후,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지면과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모션센서부에 상기 무선입력장치에 대한 제 2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된 경우,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9. 무선입력장치에 대한 모션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모션감지신호의 종류 및 유지 시간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소정치 이상의 각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치 이상의 각도변화가 일정 시간 내에 회귀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모션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경우,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신호가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경우, 상기 모션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한 데이터에 따른 저전력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모드를 수행 후,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지면과의 각도가 0°로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무선입력장치에 대한 제 2모션감지신호가 감지된 경우, 실행모드(Active Mode)를 수행하는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충격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션감지신호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의 움직임변화에 대한 모션감지신호인 무선입력장치 제어방법.
KR1020100052945A 2010-06-04 2010-06-04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4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45A KR101744537B1 (ko) 2010-06-04 2010-06-04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45A KR101744537B1 (ko) 2010-06-04 2010-06-04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97A KR20110133297A (ko) 2011-12-12
KR101744537B1 true KR101744537B1 (ko) 2017-06-08

Family

ID=4550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45A KR101744537B1 (ko) 2010-06-04 2010-06-04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896B1 (ko) * 2018-04-02 2019-04-29 주봉녕 영상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971A (ja) * 2003-02-07 2004-08-26 Agilent Technol Inc ウェイクアップの検出方法及びこれを実施した装置
JP2008242705A (ja) *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マウ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971A (ja) * 2003-02-07 2004-08-26 Agilent Technol Inc ウェイクアップの検出方法及びこれを実施した装置
JP2008242705A (ja) *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マウス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검색, "마우스 뒤집으니 리모콘으로 변신?" http://pws0805.tistory.com/entry/%EB%A7%88%EC%9A%B0%EC%8A%A4-%EB%92%A4%EC%A7%91%EC%9C%BC%EB%8B%88-%EB%A6%AC%EB%AA%A8%EC%BB%A8%EC%9C%BC%EB%A1%9C-%EB%B3%80%EC%8B%A0, 2008.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97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6795B1 (en) Mouse recharging module
US8026898B2 (en) Low power optical mouse including independent movement detection module
JP5619252B2 (ja) コードレス電力供給パネル
US8918665B2 (en) Operating input device in low power mode with auxiliary sensor calibrated to main sensor
US6424335B1 (en) Notebook computer with detachable infrared multi-mode input device
EP1840703B1 (en) Operating body,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050032474A1 (en) Resonant frequency user proximity detection
US20060152491A1 (en) Mouse and remote control integ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5510642A (ja) 位置情報入力が可能なキーボード及びこれを含むキーボードシステム
KR101744537B1 (ko) 무선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78216A1 (en)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20080198134A1 (en) Wireless device and power-saving device thereof
US200700135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 optical navigation mechanism with non-optical sensor-based presence detector
CN102447310A (zh) 具有自动节电功能的无线可携发射装置
US20040166904A1 (en) Power saving method and mechanism for wireless input device
CN214098378U (zh) 双模鼠标及其2.4g接收器
WO2008057227A2 (en) Low power optical mouse
CN105159474A (zh) 一种基于电量检测的无线键盘
TWI630514B (zh) 輸入裝置
CN201438294U (zh) 一种指控鼠标
TW202209058A (zh) 主動式觸控筆及其充電方法與應用其之行動運算裝置
WO2008046077A2 (en) Peripheral devices for portable computer
KR20070109131A (ko)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JP2006018776A (ja) 無線入力設備の省電力方法及びその機構
KR19990024614A (ko) 유무선 키보드를 위한 유무선검출 및 전원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