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30B1 -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30B1
KR101742230B1 KR1020150158169A KR20150158169A KR101742230B1 KR 101742230 B1 KR101742230 B1 KR 101742230B1 KR 1020150158169 A KR1020150158169 A KR 1020150158169A KR 20150158169 A KR20150158169 A KR 20150158169A KR 101742230 B1 KR101742230 B1 KR 10174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images
view
display panel
images
stereoscopic 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240A (ko
Inventor
이병호
김종현
양희경
한상범
홍기훈
황정민
홍종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를 포함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및 그에 따른 입체시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test}
본 개시는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콘텐츠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입체시의 측정, 즉 사람의 눈이 입체 영상을 잘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입체시란 양안을 모두 사용하여 사물의 입체적인 모양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안경 방식의 입체시 검사 방법에서는 랜덤 도트 스테레오그램(random-dot stereogram)이 사용되어 왔다. 이는 단안단서를 제거한 점 무늬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안경을 이용하여 피검자에게 알맞게 투사시켜 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안경 방식의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측면에 따른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는,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면에 따른 입체시 검사 방법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입체시 검사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에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검자는 복수의 시점들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무안경 방식의 입체 시력 검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 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뷰 이미지 획득부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가상화된 모델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뷰 이미지 획득부가 생성한 실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복수의 시점들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럴랙스 베리어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복수의 뷰 이미지 생성 조건에 대한 GUI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GUI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시 검사 장치가 입체시 검사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피검자(140)에 대한 입체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입체 시력이란 피검자가 양안에 의해 보여지는 대상체에 대한 깊이감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 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검자의 좌안(212) 및 우안(214)이, 대상체 A를 바라볼 때의 수렴 각도가 α이고, 대상체 B를 바라볼 때의 수렴 각도가 β인 경우, 피검자가 대상체 A와 대상체 B에 대한 깊이감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피검자의 입체 시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자의 입체 시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입체 시력값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수렴각도 α와 수렴각도 β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시력값은 각초(arc second)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109898263-pat00001
수학식 1에서, D는 피검자의 좌안(212) 및 우안(214)과 대상체 A와의 수직 거리를 나타내며, △D는 대상체 A와 대상체 B 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IPD는 좌안(212)과 우안(214)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1의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랜덤 도트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뷰 이미지 획득부(110)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가상화된 모델(300)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가상화된 모델(300)은 4개의 가상 렌즈들(Lenses)과 4개의 가상 CCD(charge coupled device)들(CCDs), 가상 렌즈들(Lenses)과 거리 D만큼 떨어진 타겟 이미지, 타겟 이미지와 거리 △D만큼 떨어진 배경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는 랜덤 도트로 구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가상 CCD들(CCDs) 각각은 가상 렌즈들(Lenses) 각각을 통해 포착되는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일부를 4개의 뷰 이미지들(View 1 내지 View 4)로써 획득할 수 있다.
즉, 4개의 가상 렌즈들(Lenses) 각각이 도 1의 4개의 시점들(V1 내지 V4) 각각에 대응되는 경우, 4개의 뷰 이미지들(View 1 내지 View 4)은 4개의 시점들(V1 내지 V4) 각각에서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바라본 이미지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가상 렌즈들(Lenses) 중 제 1 렌즈(302)가 피검자의 좌안에 해당하고 제 3 렌즈(304)가 피검자의 우안에 해당하는 경우, View 1은 좌안을 통해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바라본 이미지에 해당하고 View 3은 우안을 통해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바라본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가상화된 모델(300)을 이용하여,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간의 거리 △D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소정의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D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D를 결정하여, 소정의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깊이감을 갖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View 1 내지 View 4)을 생성할 수 있다.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D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9898263-pat00002
수학식 2에서, η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을 나타내고, IPD는 4개의 가상 렌즈들(Lenses)간의 거리, D는 4개의 가상 렌즈들(Lenses)과 타겟 이미지간의 수직 거리를 나타낸다. 다른 말로, IPD는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거리 또는 좌안과 우안 사이의 거리의 반을 나타낼 수 있고, D는 피검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결정된 △D를 이용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View 1 내지 4)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 또는 복수의 시점들이 4개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임의의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배경 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픽셀 단위로 도트들이 임의적으로 표시된 배경 이미지(4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타겟 이미지(412)를 배경 이미지(410) 내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410)의 중심에 위치한 별 모양의 타겟 이미지(412)를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410)를 기준으로, 측면(lateral)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배경 이미지들(422,424,426)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410)를 소정의 거리(△)만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경 이미지(410)에 대응되는 영역(422)을 배경 이미지(422)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경 이미지(422) 내의 영역(423)은 비어있는 영역일 수 있으므로, 영역(423) 내에는 임의 패턴의 랜덤 도트 또는 기 설정된 도트들이 채워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410)를 소정의 거리(△)만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경 이미지(410)에 대응되는 영역(424)을 배경 이미지(424)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이미지(424) 내의 영역(425)은 비어있는 영역일 수 있으므로, 영역(425) 내에는 임의 패턴의 랜덤 도트 또는 기 설정된 도트들이 채워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410)를 소정의 거리(2△)만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배경 이미지(410)에 대응되는 영역(426)을 배경 이미지(426)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이미지(426) 내의 영역(427)은 비어있는 영역일 수 있으므로, 영역(427) 내에는 임의 패턴의 랜덤 도트 또는 기 설정된 도트들이 채워질 수 있다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결정된 △D를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하기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소정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109898263-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D 는 도 3의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D는 피검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VI는 피검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거리 또는 좌안과 우안 사이의 거리의 반을 나타내고, PB는 패럴랙스 베리어의 피치값(예를 들어, 도 6에서의 PB를 의미할 수 있다.)을 나타낸다.
이어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들(422,410,424,426) 각각에 타겟 이미지(412)를 설정하여, 뷰 이미지들(432,434,436,438)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배경 이미지들(422,410,424,426) 각각의 중심에 타겟 이미지(412)를 설정하여, 뷰 이미지들(432,434,436,438)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공통되는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타겟 이미지(412)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배경 이미지들(422,410,424,426)을 포함하는 뷰 이미지들(432,434,436,438)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수학식 2 및 3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을 통해 배경 이미지를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소정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입체 시력값 3000 각초에 대응되는 4개의 뷰 이미지들, 입체 시력값 2000 각초에 대응되는 4개의 뷰 이미지들, 입체 시력값 1000 각초에 대응되는 4개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뷰 이미지 획득부(110)가 생성한 실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소정의 입체 시력값인 2000 각초(arc second)에 대응되는 뷰 이미지 1 내지 4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뷰 이미지 1 내지 4에서는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가 구분되지 않는다. 다만, 뷰 이미지 1 내지 4는 공통되는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타겟 이미지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배경 이미지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뷰 이미지 1 내지 4가 중첩된 이미지에서는 별 모양의 타겟 이미지가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뷰 이미지 획득부(11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뷰 이미지들을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130)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이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140)는 복수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2시점에서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1 뷰 이미지 및 제 2 뷰 이미지를 볼 수 있으므로, 입체감 있는 타겟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복수의 시점들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패럴랙스 베리어(130)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뷰 이미지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4개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서브 픽셀들(122) 각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Red, Green, Blue를 표시하는 3개의 서브 픽셀들로 구성된 경우, 4개의 뷰 이미지들 각각은 4개의 서브 픽셀들 마다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패럴랙스 베리어(130)는 4개의 뷰 이미지들이 4개의 시점들(V1 내지 V4) 각각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서브 픽셀들(122) 각각에서 표시되는 4개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패럴랙스 베리어(130)는 R,G,B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표시되는 제 1 뷰 이미지들이 패럴랙스 베리어(130)와 거리 D만큼 떨어진 제 1 시점(V1)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럴랙스 베리어(130)는 R,G,B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표시되는 제 2 내지 4 뷰 이미지들이 제 2 내지 4 시점(V2 내지 V4)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는 제 1 시점(V1) 및 제 3 시점(V3)에 도달한 제 1 뷰 이미지 및 제 3 뷰 이미지를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볼 수 있고, 입체감 있는 타겟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검자는 제 2 시점(V2) 및 제 4 시점(V4)에 도달한 제 2 뷰 이미지 및 제 4 뷰 이미지를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볼 수 있고, 입체감 있는 타겟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검자는 제 1 시점(V1) 및 제 2 시점(V2)에 도달한 제 1 뷰 이미지 및 제 2 뷰 이미지를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볼 수 있고, 입체감 있는 타겟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에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시점들에서 피검자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무안경 방식의 입체 시력 검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2개의 시점뿐만 아니라 4개의 시점들에 대해서도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는 바, 피검자가 움직이더라도 피검자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다. 즉, 피검자는 4개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3 시점에 기초하여 뷰 이미지들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고, 피검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피검자는 4개의 시점들 중 제 2 시점 및 제 4 시점에 기초하여 뷰 이미지들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의하면,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타겟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 간의 거리 △D를 조절하여 타겟 이미지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바, Accommodation-Convergence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즉, 입체시 검사 장치(100)는 타겟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므로, 양안의 초점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맺히면서도 양안의 수렴각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형성되는 바, Accommodation-Convergenc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체시 검사 장치(7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뷰 이미지 획득부(710), 디스플레이 패널(720), 및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730), 사용자 입력부(740), 및 디스플레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입체시 검사 장치(7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뷰 이미지 획득부(710), 디스플레이 패널(720) 및 패럴랙스 베리어(730)는 도 1의 뷰 이미지 획득부(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패럴랙스 베리어(130)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입력부(74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40)는 뷰 이미지를 구성하는 랜덤 도트의 크기, 피검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거리, 및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개수, 입체 시력값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40)는 마이크로폰,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패드, 터치팬, 음성, 제스처 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뷰 이미지 획득부(710)는 사용자 입력부(740)가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뷰 이미지 획득부(710)는 GUI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50)는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GUI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뷰 이미지 생성 조건에 대한 GUI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750)는 GUI(810)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GUI(810)는 피검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812)과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 받는 영역(8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40)는 영역(814) 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구성하는 도트의 크기값(Dot size)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의 크기는 2개의 픽셀들, 4개의 픽셀들 또는 8개의 픽셀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740)는 영역(814) 상에서, 패럴랙스 베리어와 피검자 간의 거리값(Distance)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740)는 영역(814) 상에서, 뷰 이미지의 개수(View number)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뷰 이미지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 중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740)는 영역(814) 상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은,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의도하는 2개의 뷰 이미지들이 보여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720)에서 표시되는 뷰 이미지들을 측면 방향으로 서브 픽셀 단위에 따라 이동 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캘리브레이션은,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이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의도하는 2개의 뷰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2개의 시점들 각각이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에 해당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검자가 의도하는 2개의 뷰 이미지들을 인지하는 지에 대한 반응을 통해, 캘리브레이션 값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GUI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50)는 입체 시력 테스트를 위한 GUI(910)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720)은 복수의 입체 시력값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720)은 입체 시력값 3000 각초에 해당하고 삼각형 모양의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고, 입체 시력값 2000 각초에 해당하고 별 모양의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GUI(910)는 현재 피검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입체 시력값(Current arcsec)을 나타낼 수 있고, 현재 피검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타겟 이미지의 모양(Current object)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가 현재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깊이감을 인지하여 타겟 이미지의 모양을 인식하였다면, 사용자는 Correct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Correct 버튼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720)은 현재 표시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입체 시력값 보다 더 낮은 입체 시력값에 해당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720)이 Current arcsec인 3000 및 Current object인 삼각형에 해당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경우, 피검자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통해 삼각형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는 GUI(910)의 Correct 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720)은 Current arcsec인 2000 및 Current object인 사각형에 해당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Incorrect 버튼을 누르기 직전까지의 Current arcsec 값을 피검자의 입체 시력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체시 검사 장치(100, 700)(이하, 장치(100,700))가 입체시 검사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도 1 및 7의 장치(100,700)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단계 s1010에서, 장치(100,7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장치(100,700)는 피검자에 대한 입체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은, 공통되는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타겟 이미지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들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이미지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의 중심에 위치하고,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1 이미지의 배경 이미지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2 이미지의 배경 영역이 측면(lateral)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거리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70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 랜덤 도트의 크기, 피검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거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0,700)는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700)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GUI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장치(100,700)는 GUI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70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7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700)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뷰 이미지들을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장치(100,7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100,7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서브 픽셀들 각각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복수의 뷰 이미지들이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은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는 복수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2시점에서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1 뷰 이미지 및 제 2 뷰 이미지를 볼 수 있으므로, 입체감 있는 타겟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0,700)는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 하기 위한 GUI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장치(100,700)는, 피검자가 복수의 시점들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에 대한 입체감을 인식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GUI 상에서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예시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8)

  1.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은,
    공통되는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타겟 이미지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들 각각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1 이미지의 배경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2 이미지의 배경 영역이 측면(lateral)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영역을 포함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입체시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뷰 이미지 획득부는,
    제 1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제 1 뷰 이미지들 및 제 2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제 2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6.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 및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 랜덤 도트의 크기, 피검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거리, 및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7.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 및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뷰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8. 입체시 검사(stereotest)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뷰 이미지 획득부;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패럴랙스 베리어;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GUI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에 대한 입체감을 인식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GUI 상에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체시 검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이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응되는, 입체시 검사 장치.
  10. 입체시 검사(stereotest)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은,
    공통되는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타겟 이미지와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로 구성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들 각각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1 이미지의 배경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중 제 2 이미지의 배경 영역이 측면(lateral)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영역을 포함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제 1 뷰 이미지들 및 제 2 입체 시력값에 대응되는 제 2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5. 입체시 검사(stereotest)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입체 시력값, 랜덤 도트의 크기, 피검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거리, 및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6. 입체시 검사(stereotest)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7. 입체시 검사(stereotest)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패턴의 랜덤 도트(random dot)로 구성된 복수의 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시점들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뷰 이미지들 각각을 제공하는 단계;
    피검자의 입체 시력을 테스트 하기 위한 GUI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제공되는 복수의 뷰 이미지들에 대한 입체감을 인식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GUI 상에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시 검사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점들 중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이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응되는, 입체시 검사 방법.
KR1020150158169A 2015-11-11 2015-11-11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4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69A KR101742230B1 (ko) 2015-11-11 2015-11-11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69A KR101742230B1 (ko) 2015-11-11 2015-11-11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240A KR20170055240A (ko) 2017-05-19
KR101742230B1 true KR101742230B1 (ko) 2017-05-31

Family

ID=5904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169A KR101742230B1 (ko) 2015-11-11 2015-11-11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266B2 (ja) * 1995-10-03 2000-05-22 尚 不二門 立体視検査方法および立体視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266B2 (ja) * 1995-10-03 2000-05-22 尚 不二門 立体視検査方法および立体視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240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7251A1 (en) Multifocal plane based method to produce stereoscopic viewpoints in a dibr system (mfp-dibr)
KR10196089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JP2014045473A (ja) 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US976026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140073584A (ko) 화상 처리 장치, 입체 화상 표시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JP5840022B2 (ja) 立体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撮像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
TWI589150B (zh) 3d自動對焦顯示方法及其系統
US9082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image depth
EP2733949A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US20200257360A1 (en) Method for calculating a gaze convergence distance
US2014036219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742230B1 (ko) 입체시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13009864A (ja) 3次元画像処理装置
KR101287251B1 (ko) 능동적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US8928586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2769769B (zh) 医用图像处理装置
CN112532964A (zh) 图像处理方法、设备、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1192121B1 (ko) 양안시차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애너그리프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6054415A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プログラム
CN104717488B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JP2012199759A (ja) 情報処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3618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광학 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80779A (ja) 立体画像データ生成装置、立体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20180016823A (ko)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367315B1 (ko) 입체시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