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90B1 -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90B1
KR101742190B1 KR1020100133189A KR20100133189A KR101742190B1 KR 101742190 B1 KR101742190 B1 KR 101742190B1 KR 1020100133189 A KR1020100133189 A KR 1020100133189A KR 20100133189 A KR20100133189 A KR 20100133189A KR 101742190 B1 KR101742190 B1 KR 10174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identification
service network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588A (ko
Inventor
채병기
김은진
김준희
문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90B1/ko
Priority to EP11003167.1A priority patent/EP2469791B1/en
Priority to US13/097,815 priority patent/US8504003B2/en
Priority to CN201110197186.0A priority patent/CN102571901B/zh
Publication of KR2012007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비활성화 상태인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의 제공을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serve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화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관심 및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탑재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서비스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서, 다른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제공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활성화 상태인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의 제공을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제공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1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요청된 것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및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망을 상기 제1 서비스망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상기 제1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탑재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 중에서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면서도, 상대방 단말기에는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이 이용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상대방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비스망 중 통신 상태가 양호한 서비스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 중에서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면서도, 상대방 단말기에는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이 이용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상대방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콜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도 6은 콜 발신 이동 단말기에서 비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을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로 전환할 것이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을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비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수신된 콜의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 발신이 요청된 경우, 콜 발신 단말기에서 콜 발신이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수행됨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콜 발신이 요청된 경우, 콜 발신 단말기에서 콜 발신 식별 번호를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전환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 수신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콜 발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웹 브라우징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 발신 이동 단말기에서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서비스망을 다른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들(100 및 200) 및 서버들(300 및 4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즉,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시스템에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에 실장되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에 실장되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서는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및 RUIM(Removal User Identity Module) 카드에 실장될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한 사용자의 콜 발신, 메시지 발신, 데이터 송수신 등의 서비스가 요청되었으나, 상기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활성화 상태인 다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상기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활성화 상태인 다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하는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상태라 함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사용 승인을 획득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식별 모듈의 비활성화 상태라 함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장착은 되었으나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접속하여 사용 승인을 획득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도중에, 상기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예컨대, 신호의 수신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서비스 제공 통신망을 통신 상태가 양호한 다른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상태가 양호한 다른 서비스망은 다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라 함은 콜 송수신,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콜이라 함은 음성 콜 및 영상 통화를 위한 콜을 포함하며, 메이지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에는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망 등의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다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특정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활성화 상태인 다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300)는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300)의 사용자 식별 번호를 전환하는 과정은 다른 서버(400)와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의 블락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와 유사하게, 통신부(310), 입력부(320), 출력부(350), 데이터베이스(360), 인터페이스부(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서버(3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0)의 구성 요소들과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서로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는 그 동작 및 그 기능이 유사하며, 데이터베이스(360)의 동작 및 기능은 메모리부(160)의 동작 및 기능과 유하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서버(3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 및 기능은 향후 실시예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서버(300)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탑재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 및/또는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 식별 모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서버(300)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에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상기 요청을 수신한 서버(300)에서의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한 콜 발신, 메시지 발신, 데이터 통신 등의 서비스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서버(300)의 통신부(31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다(S110).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300)의 제어부(380)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기 서버(300)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버이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직접 시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버(300)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버가 아니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예컨대, 서버)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활성화 상태로 판단되면(S130),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식별 번호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며(S140),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1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됨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50).
그러나, 상기 서버(300)가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버가 아니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되면(S130),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한다(S160). 만약, 상기 서버(300)가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버이면, 상기 서버(300)는 다른 서비스망으로의 서비스 수행 요청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런 다음,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으로부터 수락 응답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서비스는 제2 식별 번호로 제공된다(S170).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식별 번호로 제공되면,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상기 제1 식별 번호로 제공되는 것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80).
그러면,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는 실제로 상기 요청된 서비스는 제2 식별 번호로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제1 식별 번호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는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제2 식별 번호에 의한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의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요청한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도 자신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로 콜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5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로 콜을 발신한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된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콜을 수신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과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식별 변호는 "111-1111-11111" 및 "222-2222-2222"라고 가정하며, 콜을 발신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번호는 "333-3333-3333"이라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에는 제1 식별 번호가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의 활성화 여부와 무관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여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로 콜이 발신되더라도,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는 서버(300)에서 전송한 정보에 기초하여 콜이 제1 식별 번호로 발신된 것으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도 6은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에서 비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을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로 전환할 것이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 발신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었으나, 상기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에는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을 현재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 "222-2222-2222"에 대한 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대화창에 표시된 "YES"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을 제2 식별 번호 "222-2222-2222"에 대한 콜로 전환할 수도 있고, "NO" 버튼을 터치하여 콜 발신을 종료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통한 통화 요금이 상기 제1 식별 번호를 이용한 통화 요금보다 비싸다고 판단될 경우 "NO"를 선택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대화창은 서버(300)에서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하여 요청된 콜 발신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에 콜 발신 대상 식별 번호의 전환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2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가 콜 발신자에게 노출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통한 개인 정보 노출 방지의 효과를 누릴 수는 없다. 다만,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콜 발신의 대상이 되는 식별 번호의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을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비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수신된 콜의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먼저, 도 7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제1 및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은 비활성화 상태이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을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낸다. 이는 향후 살펴볼 도 9 내지 도 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콜 수신 이동 단말기(100)에는 콜 발신 이동 단말기의 식별 번호 "333-3333-3333"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 발신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었으나, 상기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콜 수신 이동 단말기(200)에는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의 현재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 "222-2222-2222"에 대한 콜로의 전환을 수락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대화창에 표시된 "YES"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에 대한 콜을 제2 식별 번호 "222-2222-2222"에 대한 콜로 전환하는 것을 수락할 수도 있고, "NO" 버튼을 클릭하여 콜의 전환을 거부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대화창은 서버(300)에서 상기 콜 수신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 상기 제1 식별 번호로 요청된 콜 발신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콜 수신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 중 비활성화 상태인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2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의 제공을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한다(S230).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의 수행을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요청한다.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으로부터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 수행 요청에 대한 수락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청하고(S240),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것으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50).
그러면, 상대방 단말기에는, 실제로 서비스는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요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제1 식별 번호로 요청되어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는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제2 식별 번호에 의한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에 대한 콜 발신이 요청된 경우, 콜 발신 단말기(100)에서 콜 발신이 활성화된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수행됨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비활성화 상태의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및 활성화 상태의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인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1"로 콜 발신을 시도할 경우(도 9의 (a)),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식별 번호 "222-2222-2222"로 콜 발신을 시도함을 알 수 있다(도 9의 (b)).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콜 수신인인 "Lauran"의 전화 번호 "011-2222-3333"에 대한 콜 발신 서비스 요청이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을 통하여 요청되는 것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콜 발신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지는 서비스망이 전환되는 것을 음성 신호,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식별 번호로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식별 번호로 상기 제2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비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콜 발신이 요청된 경우, 콜 발신 단말기(100)에서 콜 발신 식별 번호를 활성화 상태인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로 전환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활성화 상태의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및 활성화 상태의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인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1"로 콜 발신을 시도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SIM1)이 비활성화 상태이며, 콜 발신을 활성화 상태인 제2 사용자 식별 모듈(SIM2)을 이용하여 수행할지 여부를 묻는 대화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콜 발신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대화창에 표시된 "YES"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콜 발신을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콜로 전환할 수 있고, "NO" 버튼을 클릭하여 콜 발신에 이용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의 전환을 거부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 수신 이동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여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로 콜이 발신되더라도, 콜 수신 이동 단말기(200)에는 콜 발신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식별 번호 "111-1111-1111"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콜 수신 이동 단말기(200)는 서버(300)에서 전송한 정보에 기초하여 콜이 제1 식별 번호로 발신된 것으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의한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S310). 여기서, 서비스라 함은 콜 송수신,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송수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며(S320),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330).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S340).
그러나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망을 제1 서비스망에서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한다(S350, S360). 여기서, 상기 제2 서비스망은 그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 이상인 통신망으로, 통신 상태가 상기 제1 서비스망보다 양호한 서비스망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통신 서비스 제공 망을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 서비스망의 전환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살펴 본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현재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는 통신 서비스를 수행해 줄 것을 요청한다(S350).
상기 제2 서비스망에서 상기 통신 서비스의 수행 요청을 수락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신 서비스를 상기 제2 서비스망을 통하여 제공하며(S360), 상기 제2 서비스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가 제공됨에도 상기 통신 서비스가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S370).
그러면 상기 상대방 단말기는 상기 통신 서비스가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음향 신호 또는 영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실제로 통신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는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식별 번호는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제2 식별 번호에 의한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콜 발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3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제1 및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신호의 수신 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살펴볼 도 13 내지 도 15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도 13의 (a)),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통화 서비스 제공 서비스망을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3의 (b)).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진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음, 음성 메시지, 영상 메시지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치 이하인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망이 제1 서비스망에서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대방의 이름, 상대방의 전화 번호, 통화 시간과 함께 현재 통화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에 관한 정보를 통화 시간 좌측에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망이 제1 서비스망에서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화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통화 상대방의 단말기에서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비스망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웹 브라우징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웹 브라우징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도 14의 (a)),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웹 브라우징 서비스 제공 서비스망을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4의 (b)).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웹 브라우징 서비스에 이용되는 서비스망에 관한 정보를 주소창 우측에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콜 발신 이동 단말기(100)에서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서비스망을 다른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묻는 대화창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콜 발신에 이용되는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서비스망을 통신 상태가 더 양호한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 여부를 묻는 대화창을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서비스망의 전환 여부를 묻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상기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를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망(즉, 사용자 식별 모듈)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는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뿐만 아니라, 서비스망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sie Ratio), 서비스망의 신호의 에러율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망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서비스망 신호의 에러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서비스망을 서비스 제공 서비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부
160: 메모리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300: 서버 310: 통신부
320: 입력부 350: 출력부
360: 데이터베이스 370: 인터페이스부
380: 제어부

Claims (18)

  1. 상대방 단말기와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1 식별 번호가 할당된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2 식별 번호가 할당된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이 활성화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비스망과 관련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서비스망에 요청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식별 번호가 할당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사용하는 서비스 요청으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서비스망에 요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해 요청되는 서비스는,
    상기 제1 식별 번호에 대한 콜 발신 서비스, 메시지 발신 서비스 및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상대방 단말기와 제1 서비스망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1 식별 번호가 할당된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고 제2 식별 번호가 할당된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비스망과 관련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망을 상기 제1 서비스망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식별 번호가 할당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서비스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을 사용하여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상기 제2 서비스망을 사용하는 서비스 요청으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수신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에러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행을 상기 제2 서비스망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망이 전환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망에서 상기 제2 서비스망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망 신호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망의 상기 제1 서비스망에서 상기 제2 서비스망으로의 전환 여부를 묻는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콜 송수신 서비스,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및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133189A 2010-12-23 2010-12-23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KR10174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89A KR101742190B1 (ko) 2010-12-23 2010-12-23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EP11003167.1A EP2469791B1 (en) 2010-12-23 2011-04-14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modules and server controlling its operation
US13/097,815 US8504003B2 (en) 2010-12-23 2011-04-29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serve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N201110197186.0A CN102571901B (zh) 2010-12-23 2011-07-14 包括多个用户身份模块的移动终端及控制其操作的服务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89A KR101742190B1 (ko) 2010-12-23 2010-12-23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88A KR20120071588A (ko) 2012-07-03
KR101742190B1 true KR101742190B1 (ko) 2017-05-31

Family

ID=4561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89A KR101742190B1 (ko) 2010-12-23 2010-12-23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4003B2 (ko)
EP (1) EP2469791B1 (ko)
KR (1) KR101742190B1 (ko)
CN (1) CN102571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37B1 (ko) * 2010-02-02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기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9307377B2 (en) * 2012-12-24 2016-04-05 Hytera 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all forwarding
US9014342B2 (en) * 2013-09-09 2015-04-21 Nvid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mproving call setup failure rate and quality for hearing impaired calls
KR102318877B1 (ko) * 2014-10-02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359754B1 (ko) 2015-08-12 2022-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827502B (zh) * 2015-08-28 2019-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融合通信方法和装置
US10261690B1 (en) * 2016-05-03 2019-04-16 Pure Storag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storage system
US11868309B2 (en) 2018-09-06 2024-01-09 Pure Storage, Inc. Queue management for data relocation
CN110933237A (zh) * 2019-10-18 2020-03-2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话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1132377B (zh) * 2019-12-27 2022-03-22 昱兆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终端与耳机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93B1 (ko) * 2006-09-0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심카드가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설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48881B (zh) * 2005-09-02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过程中处理主叫号码显示的实现方法及装置
US8108002B2 (en) * 2008-03-21 2012-01-31 Mediatek Inc. Communication apparatuses equipped with more than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and capable of providing reliable communication quality
US8121584B2 (en) * 2008-05-21 2012-02-21 Mediatek Inc. Methods for handling conferenc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KR101585467B1 (ko) * 2009-06-05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글 베이스 칩셋을 이용한 듀얼 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US8676180B2 (en) * 2009-07-29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SIM monitoring mode for mobile handsets
CN101754220B (zh) * 2009-12-28 2013-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主叫号码认证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93B1 (ko) * 2006-09-0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심카드가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1901A (zh) 2012-07-11
EP2469791B1 (en) 2018-10-10
US8504003B2 (en) 2013-08-06
EP2469791A2 (en) 2012-06-27
CN102571901B (zh) 2015-07-08
KR20120071588A (ko) 2012-07-03
US20120164999A1 (en) 2012-06-28
EP2469791A3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190B1 (ko)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KR1017153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90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콘 관리 방법
KR101760911B1 (ko) 이동 단말기
KR101171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0558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749612B1 (ko) 이동 단말기
KR101881936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동 단말기
EP282757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807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에서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KR1017171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KR10200300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
KR20140100051A (ko) 이동 단말기
KR1015872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wlan 애드혹 연결 방법
KR10164492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관리 방법
KR101735518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1892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스케쥴 알림 정보 제공 방법
KR101643260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28801B1 (ko) 이동 단말기
KR1017819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68034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관리 방법
KR20120100111A (ko)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200451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9841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26480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장치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