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809B1 - Seat Belt Loc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eat Belt Loc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09B1
KR101741809B1 KR1020150167040A KR20150167040A KR101741809B1 KR 101741809 B1 KR101741809 B1 KR 101741809B1 KR 1020150167040 A KR1020150167040 A KR 1020150167040A KR 20150167040 A KR20150167040 A KR 20150167040A KR 101741809 B1 KR101741809 B1 KR 10174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p
seat belt
lock lev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상
신동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16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8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0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eat belt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locking apparatus comprises: a fixed portion fixed to a housing of a retractor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is inclined; a locking lever rotatably hinged to the fixed portion and engaged with a tooth formed on a drum on which the seat belt is wound according to rotation to selectively restrict rotation of the drum; and an actuating weight rotatab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and pushing and rotating the locking lever while rotating relative to the housing.

Description

시트벨트 잠금장치{Seat Belt Locking Apparatus}Seat Belt Lock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울기에 따라 드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selectively restricting rotation of a drum in accordance with a tilt.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벨트는 알려진 것처럼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벨트 웨빙, 상기 벨트 웨빙이 감겨 있는 시트벨트 리트렉터, 벨트 웨빙 끝부분의 벨트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seat belt in a seat for securing the safety of an occupant, such as a driver. The seat belt is composed of a belt-shaped webbing for fixing a passenger, a seat belt retractor for winding the belt webbing, and a buckle for detachably attaching a belt tongue of a belt webbing end portion.

여기에서, 시트벨트 리트렉터는 벨트 착용 시에는 벨트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지만, 차체가 충돌 또는 급회전 등으로 인해 급격한 속도 변화가 있거나, 경사도로 또는 오프로드에서 차체가 상당히 기울거나 로울오버 상태가 될 때는 벨트 웨빙의 인출을 억제함으로써, 탑승자가 벨트를 착용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벨트와 함께 앞 또는 옆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seat belt retractor permits the pulling-out of the belt webbing when the belt is worn, but the belt body webbing can be pulled out when the vehicle body is suddenly changed in speed due to collision or sudden rotation, The belt webbing is restrained from being pulled out so that the occupant can be prevented from leaning forward or sideways together with the belt despite wearing the belt.

특히,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 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 제정한 진보된 차량안전 시스템에 대한 성능과 테스트 절차에 따르면, 차량의 가속도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치를 넘어가게 되면 벨트 웨빙이 인출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d test procedure for the advanced vehicle safety system established by 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 if the acceleration or tilt of the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시트벨트 리트렉터가 차체의 가속도나 기울기를 정확히 측정하는 센싱장치와 측정치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되면 벨트 웨빙의 인출이 방지되는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가져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the seat belt retractor must have a sensing device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acceleration or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seat belt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belt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measured value becom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볼의 무게중심을 이용한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locking device for a seat belt using a commonly used center of gravity of a b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종래의 시트벨트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 belt locking device.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닥이 둥근 V자형 내부를 가진 볼 하우징(12) 안에 센서볼(14)이 넣어진다. 볼 하우징(12)의 상부에는 볼덮개(16)가 볼 하우징(12)의 상부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nsor ball 14 is inserted into a ball housing 12 having a V-shaped inside with a round bottom. A ball cover 16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ll housing 12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ll housing 12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hinge.

차체가 기울어지면 볼 하우징(12) 자체가 기울어지므로, 역시 센서볼(14)은 볼 하우징(12)의 내벽을 타고 흘러 내려가 볼덮개(16)를 열리게 한다. 볼덮개(16)가 열리게 되면, 그 상단에 형성된 잠금레버(18)가 드럼(200)에 형성된 톱니(202)에 걸려, 드럼(200)이 정지됨으로써 웨빙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vehicle body is tilted, the ball housing 12 itself is inclined, so that the sensor ball 14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ball housing 12 to open the ball cover 16. [ When the ball cover 16 is opened, the lock lever 18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s caught by the teeth 202 formed on the drum 200, thereby preventing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by stopping the drum 200.

그러나, 센서볼(14)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센서볼(14)의 움직임에 따라 볼덮개(16)가 회전함으로써 매끄럽지 않은 노면을 주행 시 달그락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or ball 14 is not fixed, and the ball cover 16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ensor ball 14, thereby causing a rattle noise when traveling on a non-smooth road surfa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seat belt lock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둘째, 본 발명은 금형 개발비 및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트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belt loc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mold development cost and component cos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고정장치는 고정부, 잠금레버 및 작동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belt fasten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part, a lock lever, and an operating weight.

상기 고정부는 리트렉터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면 상기 하우징과 함께 기울어진다.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housing of the retractor and is inclined with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is inclined.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시트벨트가 감기는 드럼에 형성된 톱니에 걸려 드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The lock lever is rotatably hinged to the fix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teeth formed on the drum on which the seat belt is wound as the rotation rotates to selectively restrict rotation of the drum.

상기 작동추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회전함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를 밀어 회전시킨다.The operating weigh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pushes the lock lever to rotate as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상기 고정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며, 내면이 구면으로 형성되는 컵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추에는 하부가 구면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컵에 수용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part includes a cup which is open toward the upper part and has an inner surface formed as a spherical surface, and the operation weight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whose lower part is formed as a spherical surface and whose low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cup.

이로써, 상기 고정부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작동추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reby, as the fixing portion is tilted, it can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portion to which the operation is added.

상기 잠금레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추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작동추의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대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lock lev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nd the operating lever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lock lever can rotate together with a relativ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상기 작동추에서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동추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 시 상기 잠금레버가 회전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operating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ck lever can be rotated when the operation weight is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dditional angle.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추에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 또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may be increased toward the bottom, and the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operating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may be increased toward the bottom.

상기 작동추에는 자동차의 주행 방향으로 개구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상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기 컵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컵은 상기 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operation weight may include a hole that is opened in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e, and the cup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l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being received in the cup.

상기 컵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되, 상기 홀의 하면과 이격되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컵과 상기 작동추 사이의 간극을 좁혀 상기 작동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cup is formed with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up and the operating weir, thereby minimiz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의하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된 작동추의 회전에 의해 잠금레버가 작동하며, 유동방지돌기에 의해 작동추와 컵 사이의 유격이 감소하여 작동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작동추가 이동하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seat bel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lever is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weight rotatab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operating weight and the cup And the range of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very small, so that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can be minimized.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리트렉터에서 잠금장치 부분만 교체 적용 가능하여 금형 개발비 및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seat belt fasten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lock portion in the conventional retractor, thereby reducing the mold development cost and the component cos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트렉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가 적용된 리트렉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 중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의 작동추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자동차의 주향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구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shows a conventional retractor;
2 shows a retractor to which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xing portion of a locking device of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provided to the operation additional fixing part;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of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rotation of a drum is restrained by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가 적용된 리트렉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retractor to which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용 리트렉터는 하우징(100), 드럼(200), 시트벨트 잠금장치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includes a housing 100, a drum 200, and a seat belt locking device.

드럼(200)은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와인더이다. 여기서, 웨빙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0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드럼(200)에 감겨있다.The drum 200 is a cylindrical winder in which the webbing is wound. Here, the webbing is wound around the drum 2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is drawn into the housing 100 by a return spring assembly (not shown).

하우징(100)은 내부에 웨빙을 수용하는 것으로, 드럼(200)이 하우징(100)에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럼(2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일측 외부면에는 전술한 리턴 스프링 조립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일측 외부면과 타측 외부면 사이에는 웨빙이 한 방향으로만 나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receives the webbing therein, and the drum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inside. The above-described return spring assembly (not shown) may be coupled to on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which one end of the drum 200 is coupled. Meanwhile, a guide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to guide the webbing in only one direction.

그리고, 드럼(200)의 외주면에는 일방향으로 톱니(202)가 형성될 수 있다.The tooth 202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200 in one direction.

톱니(202)는 웨빙이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잠금레버(320)가 걸리지 않으나,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잠금레버(32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The tooth 202 is formed so that the lock lever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augh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is drawn out, while the lock lever 320 is not engaged in the webbing pull-in direction.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 잠금장치(300)는 후술할 잠금레버(320)를 포함하여 잠금레버(3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3 to 6,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ck lever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operate the lock lever 320. Hereinafter,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 중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의 작동추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자동차의 주향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portion of a locking device of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locking par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device of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300)는 고정부(310), 잠금레버(320) 및 작동추(330)를 포함한다.3 to 6, the seat belt faste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ortion 310, a lock lever 320, and an operating weight 330.

고정부(310)는 리트렉터에 고정되어 리트렉터가 기울어지면 리트렉터와 함께 기울어진다. 고정부(310)에는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며, 내면이 구면으로 형성되는 컵(312)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10 is fixed to the retractor and is inclined with the retractor when the retractor is inclined. The fixing part 310 may be provided with a cup 312 which is open toward the top and whose inner surface is formed as a spherical surface.

잠금레버(320)는 고정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시트벨트가 감기는 드럼(200)에 형성된 톱니(202)에 걸려 드럼(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The lock lever 320 is rotatably hinged to the fixing portion 310 and is hooked to the teeth 202 formed on the drum 200 on which the seat belt is wound as the drum rotates to selectively restrict rotation of the drum 200 .

작동추(330)는 리트렉터에 회전 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리트렉터에 대하여 상대회전함에 따라 잠금레버(320)를 밀어 회전시킨다.The operating weight 330 is rotatab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retractor so as to push and rotate the lock lever 320 as it rotates relative to the retractor.

작동추(330)의 하부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weight 330 may be formed to have a weight in comparison with other portions.

작동추(330)에는 자동차의 주행 방향으로 개구되는 걸림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홀(332)의 상면에는 아래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컵(312)에 수용되는 지지돌기(334)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돌기(334)의 하부가 컵(3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컵(312)은 걸림홀(33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돌기(334)는 컵(312)에 수용되어 작동추(3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operating weight 33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hole 332 which opens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automobile. The support protrusion 334 protruded downward and received in the cup 3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332. The cup 312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engagement hole 332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334 being received in the cup 312. That is, the support protrusion 334 may be received in the cup 312 and support the operation weight 330.

지지돌기(334)의 하부는 구면으로 형성되며, 구면으로 형성된 부분은 컵(312)에 수용되어 컵(312)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310)가 기울어짐에 따라 작동추(330)가 고정부(310)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jection 334 is formed into a spherical surface and the spherical portion is received in the cup 312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312. As a result, the operating weight 330 can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portion 310 as the fixed portion 310 is tilted.

한편, 컵(312)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되, 걸림홀(332)의 하면과 이격되는 유동방지돌기(314)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314)는 컵(312)과 작동추(330) 사이의 간극을 좁혀 작동추(3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작동추(330)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314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up 312 and separat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332 may be formed. The flow preventing protrusion 314 can narrow the gap between the cup 312 and the operating weight 330 and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eight 3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us,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eight 3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be minimized.

여기서, 작동추(330)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동추(330)와 컵(312) 중 적어도 하나는 외면에 소프트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추(330)와 컵(312) 중 적어도 하나는 외면이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전체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soft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weight 330 and the cup 312 to further reduce noise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eight 33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weight 330 and the cup 312 may be coated on its outer surface with rubber, silicon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whole may be formed of silicon.

잠금레버(320)에는 관통홀(322)이 형성되며, 작동추(330)는 관통홀(322)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ock lever 3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2 and the operation weight 330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322.

작동추(330) 및 관통홀(322)의 내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작동추(330)에서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336)은 관통홀(3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operating weight 330 and the through hole 322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ortion 336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n the operation weight 33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22.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322)의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322)의 내면은 경사면(3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추(330)에서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336) 또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322 may be increased toward the bottom.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22 may be formed of the inclined surface 324. The portion 336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n the operation weight 330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lower portion.

이로써, 작동추(330)가 고정부(3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 회전 시, 작동추(330)와 관통홀(322)의 내면이 맞닿아 작동추(330)가 잠금레버(320)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레버(320)가 톱니(202)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ing weight 3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operating weight 330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310 so that the operating weight 330 pushes the lock lever 320 So that the lock lever 320 can be caught by the teeth 202.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추(330)가 고정부(3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시 관통홀(322)의 내벽과 맞닿고, 일정 각도 이상 회전 시 잠금레버(320)를 밀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actuating weight 330 may be designed to abut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322 when the actuating weight 33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310 and push the lock lever 320 when the actuating weight 330 rotates over a certain angle.

즉, 자동차가 일정 각도 이상의 경사를 내려가는 경우 잠금레버(320)가 작동하여 웨빙의 인출을 정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lock lever 320 is operated to stop the pulling-out of the webbing.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잠금장치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구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rotation of a drum is restrained by a seat belt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자동차가 경사면(324)을 내려가는 경우, 리트렉터의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부(310)가 기울어진다.When the automobile descends the inclined plane 324, the fixed portion 310 fixed to the housing 100 of the retractor is inclined.

고정부(310)가 기울어져도 작동추(330)는 자중에 의해 고정부(310)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며 처음 상태를 유지한다. 즉, 고정부(310)가 기울어지면 작동추(330)의 위치는 변화가 없지만 고정부(310)와 작동추(330) 사이의 각도가 커질 수 있다.Even when the fixing portion 310 is inclined, the operating weight 330 rotates relative to the fixing portion 310 due to its own weight and maintains the initial state. That is, when the fixing portion 310 is inclined,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weight 330 does not change, but the angle between the fixing portion 310 and the operating weight 330 can be increased.

고정부(310)가 일정 각도 이하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작동추(330)가 잠금레버(320)의 경사면(324)과 맞닿지 않아 잠금레버(320)가 작동하지 않지만, 고정부(310)가 안전 법규의 규정 각도 이상 기울게 되면 작동추(330)가 잠금레버(320)의 경사면(324)과 맞닿아 잠금레버(32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잠금레버(320)는 드럼(200)의 톱니(202)에 걸려 드럼(2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When the fixed portion 310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or less, the operating weight 33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24 of the lock lever 320 so that the lock lever 320 does not operate, The actuating weight 3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24 of the lock lever 320 to push up the lock lever 320 and the lock lever 320 is pushed up by the teeth of the drum 200 202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um 200 can be restrained.

한편, 센서볼이 내장되는 종래의 잠금장치(10)는 센서볼(14)이 볼하우징(12)과 볼덮개(16)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표면이 고르지 못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센서볼(14)이 이동하면서 볼하우징(12) 및 볼덮개(16) 등에 부딪치는 소음이 발생한다.In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10 in which the sensor ball is incorporated, since the sensor ball 14 freely moves between the ball housing 12 and the ball cover 16, when the automobile travels on an uneven surface The sensor ball 14 moves and generates noise that hits against the ball housing 12 and the ball cover 16.

반면,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 잠금장치(300)에는 센서볼 대신 작동추(330)가 구비되며, 유동방지돌기(314)가 형성된 컵(312)에 작동추(330)에 형성된 지지돌기(334)가 수용됨으로써, 작동추(330)의 상하 방향 유동 가능 간격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표면이 고르지 못한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작동추(330)의 이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at belt lock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weight 330 instead of the sensor ball and a support protrusion 334 formed on the operation weight 330 in the cup 312 in which the flow prevention protrusion 314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eight 330 even when the automobile runs on an uneven surface.

또한, 본 실시예의 시트벨트 잠금장치(300)는 기존의 하우징(100)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금형 개발비 및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t belt fasten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housing 100, it is possible to reduce mold development cost and parts cos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잠금장치 12: 볼하우징
14: 센서볼 16: 볼덮개
18: 래치 100: 하우징
200: 드럼 202: 톱니
300: 잠금장치 310: 고정부
312: 컵 314: 유동방지돌기
320: 잠금레버 322: 관통홀
324: 경사면 330: 작동추
332: 걸림홀 334: 돌기
10: Locking device 12: Ball housing
14: Sensor ball 16: Ball cover
18: latch 100: housing
200: Drum 202: Toothed
300: Locking device 310:
312: cup 314: flow prevention projection
320: Lock lever 322: Through hole
324: slope surface 330: operation weight
332: latching hole 334: projection

Claims (7)

리트렉터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면 상기 하우징과 함께 기울어지며, 내면이 상부를 향하여 개구된 구면으로 형성되는 컵이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시트벨트가 감기는 드럼에 형성된 톱니에 걸려 드럼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잠금레버;
자동차의 주행 방향으로 개구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상면에는 하부가 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에 수용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컵이 상기 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기의 하부가 상기 컵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작동추를 포함하며,
상기 컵과 상기 작동추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되거나 전체가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컵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되, 상기 홀의 하면과 이격되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컵과 상기 작동추 사이의 간극을 좁혀 상기 작동추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며,
상기 잠금레버는 내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직경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추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일정 각도 이하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작동추가 상기 관통홀의 내면이 맞닿지 않아 상기 잠금레버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고정부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게 되면, 상기 작동추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상기 작동추와 상기 관통홀의 내면이 맞닿아 상기 작동추가 상기 잠금레버를 밀어 회전시키는 시트벨트 잠금장치.
A fixing part fixed to the housing of the retractor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is inclined and having a spherical surface whose inner surface opens upward;
A lock lever rotatably hinged to the fixing portion and engaged with a tooth formed on a drum on which the seat belt is wound as the drum rotates to selectively restrict rotation of the drum;
A lower portion of the hole is formed in a spherical surface to form a protrusion to be received in the cup and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received in the cup so that the cup is positioned inside the hole, And an actuating weight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so as to pivot and rotate the lock lever relative to the fixed portion as the fixed portion is inclined,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cup and the operating weight is coated with rubber or silicon or is entirely formed of silicon,
And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e to narrow a gap between the cup and the operating weight to minimize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lock lev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lock lever being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diameter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Wherein when the fixing portion is inclined to a certain angle or les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Wherein when the fixing portion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operation weigh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rotating relative to the fixed portion, thereby pushing and rotating the lock le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67040A 2015-11-27 2015-11-27 Seat Belt Locking Apparatus Active KR101741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40A KR101741809B1 (en) 2015-11-27 2015-11-27 Seat Belt Loc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040A KR101741809B1 (en) 2015-11-27 2015-11-27 Seat Belt Loc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809B1 true KR101741809B1 (en) 2017-05-31

Family

ID=5905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040A Active KR101741809B1 (en) 2015-11-27 2015-11-27 Seat Belt Loc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8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13A (en) * 2008-05-15 2009-11-26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re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4613A (en) * 2008-05-15 2009-11-26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retr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1311A (en) Safety belt emergency fixing device for passengers
CA2361343C (en) Seat belt retractor
US8991735B2 (en) Webbing take-up device
US6871813B2 (en)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ITTO20000085A1 (en) VEHICLE SAFETY BELT RETRACTION DEVICE.
WO2020078171A1 (en) Locking device for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retractor
JP4488598B2 (en) Seat belt guide
JP2010511548A (en) Seat belt retractor provided with blocking means for belt strap sensitive and vehicle sensitive control system
US12139097B2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vehicle sensor
US7455256B2 (en) Seatbelt retractor having a cushioned sensor actuator
US3848888A (en) Seatbelt retractor
US12214745B2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same
US20240278746A1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same
JP2018108820A (en) Locking mechanism for belt retractor
KR101741809B1 (en) Seat Belt Locking Apparatus
US20130327874A1 (en) Hermetically sealed locking retractor
JP2007045317A (en) Retractor for seat belt
KR101752234B1 (en) Webbing take-up device
JP4905886B2 (en) Car armrest device
EP0543520B1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rattle suppression mechanism
US6302489B1 (en) Retractor
US3990651A (en) Safety belt retractor locking device
KR100468924B1 (en) Seat belt retractor for vechicles
KR101741804B1 (en) Seat Belt Locking Apparatus
US5261624A (en) Safety belt system with noise inhib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