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730B1 - Dry film photoresist - Google Patents

Dry film photores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730B1
KR101739730B1 KR1020100060520A KR20100060520A KR101739730B1 KR 101739730 B1 KR101739730 B1 KR 101739730B1 KR 1020100060520 A KR1020100060520 A KR 1020100060520A KR 20100060520 A KR20100060520 A KR 20100060520A KR 101739730 B1 KR101739730 B1 KR 10173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layer
dry film
resin protective
film photoresis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0257A (en
Inventor
한국현
조승제
최종욱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730B1/en
Priority to PCT/KR2010/006592 priority patent/WO2011037438A2/en
Priority to JP2012530787A priority patent/JP5551255B2/en
Priority to CN201080043364.8A priority patent/CN102549500B/en
Publication of KR2012000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2Silicon-containing compounds in non photosensitive layers or as additives, e.g. for dry lithograph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상태로 노광공정이 실시가능하여, 지지체 필름에 의한 노광 효과의 악영향을 방지함으로써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패턴형성에 사용시 노광공정 후 적층 보관하는 경우 적층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하여도 필름간의 점착력으로 인하여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 및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film photoresist. More specifically,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ed to an exposure process in a state in which a support film is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resolution by preventing the exposure effect of the support film from being adversely affected . Particularly,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used for pattern formation, when the laminated dry film photoresist is separated again after the exposure process,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not damaged or transferred due to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s, have.

Description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DRY FILM PHOTORESIST}DRY FILM PHOTORESIST < RTI ID = 0.0 >

본 발명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dry film photoresist)은 1968년경에 미국 듀퐁사에 의해 'RISTON'이라는 상품명으로 개발된 이래 현재의 전기·전자 산업, 특히 인쇄회로기판 등의 가공에 중요한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Dry film photoresist was developed by DuPont of USA in 1968 under the trade name of 'RISTON'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the current electric and electronic industry, especially 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상의 회로형성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재료로는 전체의 약 50% 정도가 감광성 스크린 인쇄잉크가 사용되고 있으나, 고밀도와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양면판 및 다층판의 인쇄회로기판 제작에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As a photoresist material used for forming a circuit on a printed circuit board, about 50% of the total is used for a photosensitive screen printing ink. However, in the produc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of double-sided and multilayer boards requiring high density and high reliability, A resist is inevitably used.

이 같은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지지체 필름(base film) 및 감광성 수지층(photosensitive layer)의 2층의 구조로 주로 적층되고,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사용하기 전까지 감광성 수지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더 포함한다. Such a dry film photoresist is mainly laminated with a two-layer structure of a base film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In order to protect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before the dry film photoresist is used, .

일반적으로 지지체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25㎛ 정도이다. 이러한 지지체 필름은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는 동안 감광성 수지층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점착력을 갖고 있는 감광성 수지층의 노광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general, the support film uses a polyester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has a thickness of about 25 mu m. Such a support film serves as a support for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dry film photoresist, and facilitates handling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having adhesive force during exposure.

감광성 수지는 광에 의한 반응 메커니즘에 의해 네가티브형과 포지티브형으로 나뉘는데,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의 경우는 노광된 부분에서 광가교 반응이 일어나고 미노광 부위는 알칼리에 씻겨 나가 레지스트 패턴이 남게 되며,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의 경우는 노광 부위에서 광분해 반응이 일어나 알칼리에 현상되며 미노광 부위가 남아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The photosensitive resin is divided into a negative type and a positive type by a reaction mechanism by light. In the case of a negative type photosensitive resin, a photocrosslinking reaction occurs in the exposed portion, an unexposed portion is washed away with alkali to leave a resist pattern, In the case of a photosensitive resin, photodegradation reaction occurs at the exposed site and is developed to alkali, and the unexposed area remains to form a resist pattern.

감광성 수지층은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개시제, 바인더 폴리머 등을 포함하여 목적에 맞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층은 지지체 필름 위에 도포되며, 도포된 후 사용 목적에 알맞게 15 내지 100㎛까지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감광성 수지층은 포토레지스트에 요구되는 기계적·화학적 성질과 가공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갖고 있다.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made to meet the purpose including a photopolymerizable monome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binder polymer and the like. Such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applied on a support film, and has a thickness of 15 to 100 mu m, which is suitable for use after being applied. Such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has various compositions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photoresist and processing.

한편 보호필름은 취급시 레지스트의 손상을 방지해 주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감광성 수지층을 보호하는 보호 덮게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감광성 수지층의 지지체 필름이 형성되지 않은 이면에 적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film serves as a protective covering for protecting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resist during handling, and is lamin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on which the support film is not formed.

이와 같은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의 일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상에 적용시 먼저 보호필름을 벗겨내고 동장적층판(copper clad laminate; CCL) 상에 라미네이션(lamination)한 후 원하는 패턴의 마스크를 대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노광(exposing)하고, 적절한 용제를 사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씻어내는 현상(developing)과정을 거친다. As an example of a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such a dry film photoresist, when a protective film is appli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 protective film is first peeled off, laminated on a copper clad laminate (CCL) Exposed to ultraviolet (UV) light, and then developed using a suitable solvent to wash off the unhardened portions.

통상적으로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노광 시에는 감광성 수지층에 지지체 필름이 부착된 채로 진행되므로 감광성 수지층과 마스크가 지지체 필름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결과적으로는 해상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자외선 광을 조사시켜 노광시키는 경우 자외선이 지지체 필름을 투과하게 되어 자외선 투과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지지체 필름 내부의 입자에 의한 자외선 산란 등으로 고해상도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In general, when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such a composition is used, sinc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dheres to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during exposur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mask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film. As a result, have. In addition, when exposure i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ultraviolet ray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film to affect the ultraviolet transmittance, and ultraviolet scattering due to particles inside the support film limits the realization of high resolution.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지체 필름을 벗겨낸 후 노광할 수도 있으나, 감광성 수지층은 점착성을 갖고 있어 지지체 필름을 벗겨내면 마스크가 상기 감광성 수지층과 붙게 되므로 감광성 수지층에 손상이 가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해상도가 저하되고, 마스크가 오염되어 마스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upport film may be peeled off and exposed. However, sinc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has adhesiveness, if the support film is peeled off, the mask adheres to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so that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damag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olution is lowered, the mask is contaminated, and the life of the mask is shortened.

따라서, 현실적으로 지지체 필름을 벗겨낸 후의 노광은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로 인한 해상도 저하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Therefore, in practice, exposure after the support film is peeled off is difficult to achieve, and the problem of resolution deterioration still remains.

더욱이 인쇄회로기판의 고밀도화 및 반도체 패키징 기술의 발전에 따라 회로 선폭의 고밀도화가 진행됨으로써 이러한 미세회로기판에 적용할 수 있는 고해상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Further, as the density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creased and the density of the circuit line is increased as the semiconductor packaging technology is develop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high-resolution dry film photoresist applicable to such a micro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상태에서 노광공정이 실시 가능하고 최적의 현상시간을 가지도록 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고 노광공정 후 적층보관하는 경우 다시 이를 분리하여도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 및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solution by allowing the exposure process to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ilm is removed and having an optimal development time, and wh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stored after being laminated after the exposure process,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not damaged or transferred And to provide a dry film photoresist capable of achieving high resolu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지지체 필름, 수지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포함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을 접하도록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적층(Lamination)한 후,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시킬 때의 상기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수지 보호층의 일면간의 점착력이 0.01 N/㎝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film photoresist comprising a support film, a resin protective layer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support film is formed by laminating one sid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Was laminated at 110 ° C at a speed of 2 m / min and at a pressure of 4 kgf / cm 2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dry film photoresist was removed, The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n adhesive force between one side of the protective layer and one side of the other resin protective layer is 0.01 N / cm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헤이즈가 3.0%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haze of 3.0%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1㎛당 현상시간이 10초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development time per 1 mu m of 10 seconds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0.0005 내지 0.01 N/cm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n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of 0.0005 to 0.01 N / cm.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두께가 10㎛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comprising polyvinyl alcoh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300,000.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검화도가 75 내지 97%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vinyl alcohol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75 to 97%.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폴리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further comprising polysilicon.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수지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실리콘 0.01 내지 3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a dry film photoresist containing 0.01 to 3 parts by weight of polysilico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실리콘은 물, 알코올류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을 0.1g 용해시 입도가 1㎛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silicon is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 탆 or less when 0.1 g of polysilicon is dissolved in 100 g of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water, alcohols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감광성 수지층의 일면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film photoresist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상태로 노광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지체 필름에 의한 노광 효과의 악영향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ed to an exposure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ilm is removed, thereby preventing the exposure effect of the support film from being adversely affected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resolution.

특히,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패턴형성에 사용시 노광공정 후 적층 보관하는 경우 적층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하여도 필름간의 점착력으로 인하여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 및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used for pattern formation, when the laminated dry film photoresist is separated again after the exposure process,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not damaged or transferred due to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ms,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현상 공정 후의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1200배로 확대하여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현상 공정 후의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을 1200배로 확대하여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Fig. 1 is an electron micrograph taken magnified 1200 times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fter the development process produc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btained by enlarging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fter the development process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by 1200 times. Fig.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지지체 필름, 수지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포함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을 접하도록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적층(Lamination)한 후,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시킬 때의 상기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수지 보호층의 일면간의 점착력이 0.01 N/㎝ 이하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y film photoresist comprising a support film, a resin protective layer,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support film, The laminate was laminated at 110 ° C at a speed of 2 m / min and at a pressure of 4 kgf / cm 2 so as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support film had been removed.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n adhesive force of 0.01 N / cm or less between on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resin protective layer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지지체 필름, 수지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dry film photores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film, a resin protective layer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if necessary.

지지체 필름은 수지 보호층과 감광성 수지층의 지지체 역할을 하므로 충분한 기계적 특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및 폴리트리플루오로에틸렌 필름과 같은 폴리비닐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6,6-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계 필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필름, 및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필름과 같은 폴리아세테이트계 필름; 알킬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필름과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필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과 같은 폴리아크릴계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기계적 특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Since the support film serves as a support for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film has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Mor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upport film include a polyester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a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a polyethylene film, and a polypropylene film; A polyvinyl-based film such as a copolymer film of polyvinyl chloride and vinyl acetate, a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and a polytrifluoroethylene film; Polyimide-based films; Polyamide-based films such as 6,6-nylon; A cellulose acetate film, a cellulose triacetate film, and a cellulose diacetate film; Polyacrylate-based films such as alkyl poly (meth) acrylate films; A polyacrylic film such as a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film; Among them,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y used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economical efficiency.

지지체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임의의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film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ny purpose within the range of 10 to 100 占 퐉.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을 접하도록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적층(Lamination)한 후,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시킬 때의 상기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수지 보호층의 일면간의 점착력이 0.01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착력은 낮으면 낮을수록 전사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점에서 상기 점착력의 하한값은 의미없다. Th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support film was remov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support film had been removed were contacted at 110 ° C at a speed of 2 m / min and a pressure of 4 kgf / cm 2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one sid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one side of the other resin protective layer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separated again is 0.01 N / cm or less, and the lower the adhesive strength is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adhesive force is meaningless in that the transfer phenomenon is eliminated.

즉,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수지 보호층 간의 접촉 후 분리 시, 수지 보호층 상호 간에 전사 현상 없이 깨끗하게 분리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0.01N/㎝를 초과하는 경우 상호 간의 전사 현상으로 인하여 감광성 수지 보호층이나,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when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of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in protective layers are clean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transferring at the time of separation after contact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C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otosensitive resin protective layer or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damaged due to the transfer phenomenon between them.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패턴 형성방법에 이용하는 경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원하는 패턴의 마스크를 수지 보호층 상에 대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노광(exposing)을 하게 된다. 이 때 마스크와 수지 보호층간의 점착력이 없어서 쉽게 떨어지며, 상호간의 전사도 없게 된다. 이 후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광후 적층하여 보관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현상공정을 거치기 위하여 다시 분리하게 된다. 이때 분리 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간 점착력이 커서 감광성 수지층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수지 보호층의 일부 전사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현상 시간에 차이를 보이고, 결국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used in the pattern formation method, the support film is removed, and a mask of a desired pattern is exposed 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V). 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adhesion between the mask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ey easily fall off and there is no mutual transfer. After this exposure, the deposited dry film photoresist after lamination is separated again to undergo the developing process.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separated due to the large adhesive force between the dry film photoresist at the time of separation, and a part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may be transferred, which causes a difference in development time, Problems will arise.

본 발명에서는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is within the above range, such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수지 보호층은 지지체 필름이 제거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지지체 필름과 적정 수준으로 점착력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데, 평소에는 적층된 지지체 필름과 안정적으로 붙어있을 수 있어야 하면서 동시에 지지체 필름을 수지 보호층으로부터 떼어낼 때 수지 보호층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은 0.0005 내지 0.01 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점착력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라미네이션을 할 때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경우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이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노광 전 지지체 필름을 제거할 때 수지 보호층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support film is removed,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required to have an adhesion strength with the support film at an appropriate level. Normally, the resin protective layer must be stably stuck to the support film lamin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0.0005 to 0.01 N / cm in that th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should not be damaged when the resin film is removed from the support. Specifically, when the adhesive force is 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are not separated when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when the lamin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film is removed before the exp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removed without giving any influence.

상기 수지 보호층은 헤이즈가 3.0% 이하이고, 1㎛당 현상시간이 10초 이하일 수 있다. The resin protective layer may have a haze of 3.0% or less and a developing time per 1 탆 of 10 seconds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패턴 형성방법에 이용하는 경우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지지체 필름, 수지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 감광성 수지층의 일면에 보호필름이 있는 경우 보호필름을 벗겨내고 감광성 수지층의 일면과 동장적층판(CCL) 상부가 닿도록 라미네이션(lamination)한다. 그 다음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원하는 패턴의 마스크를 수지 보호층 상에 대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노광(exposing)하고, 적절한 현생액을 사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씻어내는 현상(developing)과정을 거친다. In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y film photoresist, in which a support film, a resin protective layer,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and laminated so tha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CL. Then, the support film is removed, a mask of a desired pattern is placed 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exposure i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V), and a developing process of washing the uncured portions using an appropriate current solution is performed It goes through.

현상액은 대부분 수용성 용매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상 후 잔여물이 감광성 수지층에 남아 있지 않도록 수지 보호층이 현상액의 수용성 용매에 잘 녹아 씻겨나가는 것이 중요하고, 이것은 현상성을 높이는 요소중의 하나이다. The developing solution is mostly composed of a water-soluble solvent. It is important that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dissolved in a water-soluble solve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so that the residue does not remain i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fter development, and this is one of the factors improving the developing property.

특히, 수지 보호층에 포함되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용해도가 저하되어 현상액에 씻겨나가는 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Particularly, a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as the water-soluble polymer contained 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creases, the solubility decreas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polyvinyl alcohol is washed away from the developer may be reduced.

이러한 현상성은 또한 현상시간에도 영향을 받는데, 수지 보호층의 현상시간이 빠를수록 좋지만, 수지 보호층의 현상시간이 느리면 수지 보호층의 두께편차에 따른 현상시간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감광성 수지층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씻겨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혹은 덜 씻겨나가 해상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패턴형성을 위하여 수지 보호층의 현상시간은 감광성 수지층의 현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 This development is also affected by the development time. It is better that the development tim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faster. However, if the development tim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slow, a large difference in development time occurs depending on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e adhesion may be deteriorated by washing more than necessary, or since the resolution may be deteriorated due to less washing, the development tim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should be appropriately determin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n order to form a precise pattern.

따라서, 수지 보호층은 현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잔여물이 남지 않고 감광성 수지층의 경화된 부분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적정한 수준의 현상시간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the resin protective layer contains polyvinyl alcohol having an appropriate level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o improve developability, and has an appropriate level of development time so as not to leave any residue and damage to the cured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t is important to have.

한편,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패턴을 보다 세밀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세밀한 패턴형성을 위해서는 노광시 수지 보호층으로의 광산란도가 낮아야 하므로 헤이즈 값이 낮을 것이 요구된다. 이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 감광성 수지층을 노광하는 경우, 광이 수지 보호층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form the pattern more finely as one of the methods for improving the resolution. In order to form fine patterns, it is required that the haze value should be low since the light scattering degree to the resin protective layer during exposure is low. This is because, wh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exposed in the dry film photoresist, light passes through the resin protective layer.

상기 수지 보호층은 헤이즈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헤이즈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노광시 광투과율을 높여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sin protective layer may have a haze value of 3.0% or less, preferably 0.001 to 3.0%. When the haz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light transmittance can be increased during exposure to improve the resolution.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지 보호층의 헤이즈는 광산란도를 낮추기 위하여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므로, 하한값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3%를 초과하는 경우 노광, 현상과정을 거친 감광성 수지층의 형상(side wall)이 매끈하지 못하고 거칠게 되는 문제가 있다. Specifically, the haz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required to have a low value in order to lower the light scattering degree. Therefore,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lower, the haz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as low as possible. When the haze is more than 3%, the shap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side walls are not smooth and rough.

상기 수지 보호층은 1㎛당 현상시간이 1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초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적의 현상시간을 가짐에 따라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sin protective layer may have a development time per 1 μm of 10 seconds or less, preferably 0.1 to 10 seconds, and if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solution can be improved with an optimal development time.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지 보호층의 현상시간은 현상성의 향상을 위하여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므로, 하한값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10초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보호층의 두께편차에 따른 현상시간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감광성 수지층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씻겨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혹은 덜 씻겨나가 해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Specifically, the development tim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required to have a low value in order to improve developabilit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limit value is lower, and when it exceeds 10 seconds, the development time A large amount of difference is generated, and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washed away more than necessary, so that the adhesion may be deteriorated or the resolution may be deteriorated to deteriorate the resolution.

또한,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은 노광공정 전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여 노광공정이 실시가능하기 때문에 지지체 필름 중에 포함된 입자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y film photores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ed to the exposure process by removing the support film before the exposure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adverse effects due to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support film.

상기 수지 보호층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The resin protective layer has a thickness of 10 mu m or less, preferably 0.001 to 10 mu m, more preferably 0.001 to 5 mu m.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패턴 형성방법에 이용하는 경우 노광공정시 마스크를 대고 빛을 조사시키는데, 마스크와 감광성 수지층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광성 수지층의 상부에 마스크를 대고 노광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감광성 수지층의 점착성으로 인해 마스크와 붙게 되므로 감광성 수지층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마스크도 오염되고,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종래에는 해상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used in the pattern forming method, the mask is irradiated with light during the exposure process.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sk and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the higher the resolution can be realized. For this purpose, it is best to expose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with a mask on top, but sinc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dheres to the mask due to stickiness, not only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damaged but also the mask is contaminated. There was a limit.

본 발명은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수지 보호층의 두께가 낮은 값을가지는 것이 요구되므로 하한값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따라서 1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사용함으로써, 마스크와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고,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노광을 실시하여도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 및 마스크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required to have a low thickness in order to realize high resolution, the lower the lower limit value is, the more desirable it is. Therefore, by us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탆 or less, And even when the support film is removed and the exposure is performed, the damag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mask do not occur, there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improving the conventional resolution, and thus realizing a high resolution.

상기 수지 보호층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필름상의 도포가 잘 이루어지고, 감광성 수지층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적정 수준의 현상시간을 가지며, 동장적층판 상에 적층 후 지지체 필름을 박리시킬 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resin protective layer includes polyvinyl alcoh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300000, preferably 5000 to 150000, more preferably 5000 to 100000.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ating on the film is well performed, the strength can be realized at a level that can perform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the developing time is suitably s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upport film is damaged when the support film is peeled after lamination.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알코올은 검화도가 75%내지 9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화도는 현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상기 검화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수지 보호층이 적절한 현상시간을 가져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는데 밀착력의 저하와 해상도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polyvinyl alcoh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75% to 97%.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adhesion and a decrease in resolution in forming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due to a proper development tim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보호층은 폴리실리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in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olysilicon.

상기 폴리실리콘은 수지 보호층에 이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체 필름 및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 및 헤이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polysilicon serves to impart releasability to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may affect the adhesion force and the haz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이러한 폴리실리콘은 물, 알코올류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에 용해성을 가지는 것이다. 폴리실리콘이 유기용매에 녹는 것이라면 물 및 알코올류나 이들을 혼합한 용매에 녹지 않아 입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Such polysilicon is soluble in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water, alcohols and mixtures thereof. If the polysilicon is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it is insoluble in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the particle size is remarkably increased, which is not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폴리실리콘은 용액방식의 입도측정기로 상기 용매 100g에 0.1g 녹였을 때 입도가 1㎛ 이하를 가지는 것이며, 폴리실리콘을 모두 녹이는 것이 바람직한 면에서 입도의 하한값은 낮을수록 좋다. 상기 폴리실리콘의 입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헤이즈의 저하를 방지하고, 감광성 수지층의 회로형성 시 형상(side wall)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lysilicon is a solution type particle size analyzer, and has a particle size of 1 탆 or less when dissolved in 100 g of the solvent. The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particle size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to dissolve all the polysilicon.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polysilic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haze can be prevented from lowering and the shap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during formation of the circu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본 발명의 수지 보호층은 상술한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실리콘 0.01 내지 3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한 폴리실리콘의 함량은 지지체 필름상의 도포의 용이함 및 건조 후 수지 보호층의 헤이즈를 고려한 면에서 상기 범위 내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in protect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1 to 3 parts by weight of polysilico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 The content of polysilico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is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in view of easiness of application on the support film and haz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after drying.

특히, 상기 폴리실리콘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술한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수지 보호층의 일면간의 점착력이 0.01 N/㎝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수지 보호층 간의 접촉 후 분리 시, 수지 보호층 상호 간에 전사 현상 없이 깨끗하게 분리되면서, 감광성 수지층의 손상이나 감광성 수지층으로의 의도하지 않은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content of the polysilicon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for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resin protective layer may be in a range of 0.01 N / cm or less, The resin protective layers are clean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transferring during the separation after the contact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unintentional transfer to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폴리실리콘은 이형제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수지 보호층을 이루는 폴리비닐알코올에 비하여 폴리실리콘의 함량이 미미한 경우, 즉 폴리실리콘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수지 보호층에 포함되는 경우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0.01N/㎝를 초과하게 되어 수지 보호층 간의 접촉 후 분리 시, 수지 보호층과 접촉되어 적층된 감광성 수지층의 표면에 손상이 있을 수 있고, 수지 보호층 상호 간의 전사 현상을 발생시켜 감광성 수지층으로의 의도하지 않은 전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폴리실리콘이 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Haze 증가로 인하여 회로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Specifically, polysilicon generally has a property as a releasing agent. When the content of polysilicon is less than that of polyvinyl alcohol constitut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at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of polysilicon is contained 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e adhesion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exceeds 0.01 N / cm, so that wh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are separated after contact,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come in contact with the resin protective layer, A transfer phenomenon may occur and unintended transfer to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occur. When the amount of the polysilicon exceeds 3 parts by weight, there arises a problem that circuit properties are deteriorated due to an increase in haze.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한 폴리실리콘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하여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0.01N/㎝ 이하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polysilicon with respect to polyvinyl alcohol is includ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so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is kept within a range of 0.01 N / cm or less to prevent such a problem.

한편, 상기 감광성 수지층은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가 네가티브형 또는 포지티브형으로 적용되는 것에 따라 그 조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네가티브형 또는 포지티브형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따른 감광성 수지층의 조성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감광성 수지 조성으로 선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dry film photoresist is applied in a negative type or a positive type. The composition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ccording to such a negative type or positive type dry film photoresist can be generally selected by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widely known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례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가 네거티브형일 경우 상기 감광성 수지층은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로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of the negative typ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include a binder resin,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 as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계 폴리머(acrylic polymer),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릭 폴리머의 일종인 메타크릴릭 코폴리머(methacrylic copolymer)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에틸렌 불포화 카르복실산(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및 기타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릭 코폴리머로는 아세토아세틸(acetoacetyl)기를 포함하는 메타크릴릭 코폴리머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릭 코폴리머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메타크릴릭 모노머(methacrylic monomer)로는 메칠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에칠메타클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propyl methacrylate), 부칠메타클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헥실 메타클릴레이트(hexyl methacrylate),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벤질 메타크릴레이트(benzylmethacrylate), 다이메틸아미노에칠 메타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하드록시에칠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 불포화 카르복실산(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으로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크로토닉산(crotonic acid)와 같은 모노아크릴산(monoacrylic acid)이 많이 쓰인다. 또한, 말레인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과 같은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또는 이들의 무수물, 하프 에스터(half ester)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기타 공중합(copolymerzation) 가능한 모노머로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메타크릴아마이드(methacrylamid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메타크릴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스티렌(styrene), a-메틸스티렌(amethylstyrene),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알킬 비닐 에테르(alkyl vinyl ether) 등을 들 수 있다.As the binder resin, an acrylic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or the like may be used. Of these, methacrylic copolymers, which are a type of acrylic polymer, are preferred. If desired, copolymer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d other monomers may be used. As the methacrylic copolymer, a methacrylic copolymer including an acetoacetyl group may also be used. Examples of the methacrylic monomer usable for synthesizing the methacrylic copolymer include methyl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bu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benzyl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nd the like can be given. have. A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acr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is widely used. In addition,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anhydrides thereof, and half esters thereof may be used. Of these,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re preferred.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acrylamide, methacrylamid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styrene, a-methylstyrene, acrylonitrile, Vinyl acetate, alkyl vinyl ether, and the like.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로서 에틸렌계 불포화화합물로는 단관능 또는 2관능,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칠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1,6-헥산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1,6-hexane glycoldimethacrylate), 트리메칠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olpropane trimethacrylate),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in dimeth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pentamethacrylate), 2,2-비스(4-메타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2,2-bis(4-methacryloxydiethoxyphenyl)propane), 2-하이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3-methacryloyloxypropyl methacrylate),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glycidylether dimethacrylate),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dimethacrylate), 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phthalic acid diglycidyl ester dimethacrylate), 글리세린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메타크릴레이트(glycerin polyglycidyl ether polymethacryl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모노머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acrylate), 2-페녹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2-phen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 2-메타크릴로일옥시-2 하이드록시프로필 프탈레이트(2-methacryloyloxy-2-hydroxypropyl phthalate),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ate), 글리세린 모노메타크릴레이트(glycerin monomethacrylate),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산 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 acid phosphate), 프탈산(phthalic acid) 유도체의 메타크릴레이트, N-메틸올 메타크릴아마이드(N-methylol methacrylam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모노머는 상기 다관능 모노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 as the photopolymerizable monomer, a monofunctional, bifunctional or tr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monomer may be used.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1,6-hexane glycoldimethacrylate, trimethyolpropane trimethacrylate, glycerin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2,2-bis (4-methacryloxydiethoxyphenyl) propane, 2-hydroxy-3-methane 2-hydroxy-3-methacryloyloxyprop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glycidylether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methacrylate (also referred to as " di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methacrylate, phthalic acid diglycidyl ester dimethacrylate, glycerin polyglycidyl ether polymethacryl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methacryloyloxy-2-hydroxypropyl phtha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ate, glycerin monomethacrylate, 2-methacryloyloxyethyl acid phosphate, 2-methacryloyloxypropyl methacrylate, Methacrylates of phthalic acid derivatives, N-methylol methacrylamide,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monofunctional monomer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multifunctional monomer.

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인 메틸에테르(benzoin methyl ether), 벤조인 에틸 에테르(benzoin ethyl ether),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테르(benzoin isopropyl ether), 벤조인 n-부틸에테르(benzoin n-butyl ether), 벤조인 페닐에테르(benzoin phenyl ether), 벤질 디페닐 디설파이드(benzyl diphenyl disulfid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3,3-디메칠-4-메톡시벤조페논(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벤조페논(benzophenone), p,p'-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p,p'-bis(dimethylamino)benzophenone), p,p'-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p,p'-bis(diethylamino)benzophenone), p,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p,p'-diethylaminobenzophenone), 피발론 에틸에테르(pivalone ethyl ether), 1,1-디클로로 아세토페논(1,1-dichloroacetophenone),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p-t-butyldichloroacetophenone), 헥사아릴-이미다졸(hexaaryl- imidazole)의 다이머(dimer),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2,2'-diethoxyacetophenone),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2,2'-dichloro-4-phenoxyacetophenone),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a-하이드록시-이소부틸페논(a-hydroxyisobutylphenone), 디벤조스판(dibenzospan),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온(1-(4-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n-butyl ether, Benzoin phenyl ether, benzyl diphenyl disulfide, benzyl dimethyl ketal, anthraquinone, naphthoquinone, 3,3-dimethy-4 (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benzophenone, p, p'-bis (dimethylamino) benzophenone, p, p, p'-diethylaminobenzophenone, pivalate ethyl (p-diethylamino) benzophenone, p, p'-diethylaminobenzophenone, ether, 1,1-dichloroacetophenone, pt-butyldichloroacetophenone, hexaaryl- Dimer of hexaaryl-imidazole, 2,2'-diethoxyacetophenone, 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phenylacetophenone, 2,2'-dichloro-4-phenoxyacetophenone, phenyl glyoxylate, a-hydroxy-isobutylphenone a-hydroxyisobutylphenone, dibenzospan, 1- (4-isopropylphenyl) -2-hydroxy-2-methyl-

isopropylphenyl)-2-hydroxy-2-methyl-1-propanone),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1-프로판온(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o-1-propanone), 트리-브로모페닐설폰(tri- bromophenylsulfone), 트리브로모메틸페닐설폰(tribromomethylphenylsulf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2-methyl- [4- (methylthio) -2-methyl-1-propanone] ) phenyl] -2-morpholino-1-propanone, tri-bromophenylsulfone, tribromomethylphenylsulfone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첨가제로서 비닐 클로라이드 레진 등의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 프탈릭 에스테르(phthalic ester) 종류에는 디메틸 프탈레이트(dimethyl phthalate), 디에틸 프탈레이트(diethyl phthalate),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디헵틸 프탈레이트(diheptyl phthalate),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isodecyl phthalate), 부틸벤질프탈레이트(butylbenzyl phthalate),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에틸프탈에틸 글리콜레이트(ethylphthalylethyl glycolate),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isophthalate), 디클로로헥실 프탈레이트(dichlorohexyl phthalate) 등이 있고, 지방산이나 아리마틱산(arimatic acid)의 에스테르들, 예를들면 디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diisobutyl adipate), 디부틸 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diisodecyl adipate), 디부틸 디글리콜 아디페이트(dibutyl diglycolAs the additive, a softener such as vinyl chloride resin may be included. Specific examples of the phthalic est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imethyl phthalate, diethyl phthalate, dibutyl phthalate, diheptyl phthalate, dioctyl phthalate, but are not limited to, phthalate, diisodecyl phthalate, butylbenzyl phthalate, diisononyl phthalate, ethylphthalylethyl glycolate, dimethylisophthalate, dichlorohexyl phthalate, dichlorohexyl phthalate, and the like, and esters of fatty acids and arimatic acid such as dioctyl adipate, diisobutyl adipate, dibutyl adipate, Diisodecyl adipate, dibutyl diglyco < RTI ID = 0.0 > l

adipate), 디부틸 세바캐이트(dibutyl sebacate), 디옥틸 세바캐이트(dioctyl sebacat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glycerol triacetate), 트리메틸 포스페이트(trimethyl phosphate),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hate),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트리옥틸 포스페이트(trioctylphosphate), 트리부톡시에틸 포스페이트(tributoxyethyl phosphate), 트리스-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chloroethylphosphate),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tris-dichloropropyl phosphate),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phosphate),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트리크실레닐 포스페이트(trixylenyl phosphate), 크레실 디페닐 포스페이트(cresyl diphenyl phosphate), 옥틸 디페닐 포스페이트(octyl diphenyl phosphate), 크실레닐 디페닐 포스페이트(xylenyl diphenyl phosphate), 트리로릴 포스페이트(trilauryl phosphate), 트리세틸 포스페이트(tricetylphosphate), 트리스테아릴 포스페이트(tristearyl phosphate), 트리올레일 포스페이트(trioleyl phosphate),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트리스 트리데실 포스파이트(tris-tridecyl phosphite), 디부틸 하이드로젠 포스파이트(dibutyl hydrogen phosphite), 디부틸-부틸 포스포네이트(dibutyl-butyl phosphonate), 디(2-에틸헥실) 포스포네이트(di(2-ethylhexyl) 2-ethylhexyl phosphonate), 2-에틸헥실-2-에틸헥실 포스포네이트(2-ethylhexyl-2-ethylhexylphosphonate), 메틸산 포스페이트(methyl acid phosphate), 이소프로필산 포스페이트(isopropyl acid phosphate), 부틸산 포스페이트(butyl acid phosphate), 디부틸산 포스페이트(dibutyl acid phosphate), 모노부틸산 포스페이트(monobutyl acid phosphate), 옥틸산 포스페이트(octyl acid phosphate), 디옥틸 포스페이트(dioctyl phosphate), 이소데실산 포스페이트(isodecyl acid phosphate), 모노이소데실 포스페이트(monoisodecyl phosphate), 데카놀산 포스페이트(decanol acid phosphate) 등의 유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adipate, dibutyl sebacate, dioctyl sebacat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glycerol triacetate, trimethyl phosphate, triethyl phosphate, tributyl phosphate, trioctylphosphate, tributoxyethyl phosphate, phosphate, tris-chloroethylphosphate, tris-dichloropropyl phosphate, triphenylphosphate, tricresyl phosphate, trixylenyl phosphate, ), Cresyl diphenyl phosphate, octyl diphenyl phosphate, xylenyl diphenyl phosphate, trilauryl phosphate, tricetylphosphate, , Tristearyl phosphate phosphate, trioleyl phosphate, triphenyl phosphite, tris-tridecyl phosphite, dibutyl hydrogen phosphite, dibutyl-butylphosphate, Dibutyl-butyl phosphonate, di (2-ethylhexyl) 2-ethylhexyl phosphonate, 2-ethylhexyl-2 methylhexylphosphonate, methyl acid phosphate, isopropyl acid phosphate, butyl acid phosphate, dibutyl acid phosphate, monobutyl acid phosphate ), Octyl acid phosphate, dioctyl phosphate, isodecyl acid phosphate, monoisodecyl phosphate, decanoic acid phosphate, It may also be used, such as softeners (decanol acid phosphate).

기타, 휘발성 유기물인 글리세린(glycerin),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propan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저급 알킬 에테르(alkyl ether),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이나 이들의 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알콜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등도 본 발명의 유연제로 사용 가능하다.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glycerin, trimethylolpropan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or lower alkyl ethers thereof, lower fatty acid esters, higher fatty acids or esters thereof, higher fatty acid alcohols or esters thereof may also be used as the soften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는 임의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binder resin,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negative-working photosensitive resin can be appropriately mixed and used according to any purpose.

한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가 포지티브형일 경우에는 상기 감광성 수지층은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노볼락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좋기로는 크레졸 노볼락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볼락 수지는 페놀 단독 또는 알데히드 및 산성 촉매와의 조합물을 중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of a positive type,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include an alkali-soluble resin and a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Specifically, a novolak resin may be used as the alkali-soluble resin, And may contain a boric resin. The novolak resin can be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pheno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ldehyde and an acidic catalyst.

이때 페놀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페놀,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 2,3-크실레놀, 2,5-크실레놀, 3,4-크실레놀, 3,5-크실레놀, 2,3,5-트리메틸페놀-크실레놀, 4-t-부틸페놀, 2-t-부틸페놀, 3-t-부틸페놀, 4-메틸-2-t-부틸페놀 등 1가 페놀류; 및 2-나프톨, 1,3-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 1,7-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 1,5-디하이드록시 나프탈렌, 레조르시놀, 피로카테콜,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플루오로글루시놀, 피로갈롤 등 다가 페놀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m-크레졸, p-크레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The phen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henol, o-cresol, m-cresol, p-cresol, 2,3-xylenol, 2,5-xylenol, 3,4- 2-t-butylphenol, 3-t-butylphenol, 4-methyl-2-t-butylphenol, A monovalent phenol; Dihydroxynaphthalene, 1, 5-dihydroxynaphthalene, 1,5-dihydroxynaphthalene, resorcinol, pyrocatechol, hydroquinone, bisphenol A, fluoroglucinol, Pyrogallol, and the like, and they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Particularly, a combination of m-cresol and p-cresol is preferable.

상기 알데히드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포름알데히드, 트리옥산, 파라포름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필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알파 또는 베타-페닐 프로필알데히드, o-, m- 또는 p-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aldehyd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ormaldehyde, trioxane, paraformaldehyde, benzaldehyde, acetaldehyde, propylaldehyde, phenylacetaldehyde, alpha or beta-phenylpropylaldehyde, o-, m- or p- Hydroxybenzaldehyde, glutaraldehyde, terephthalaldehyde and the like,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크레졸 노볼락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GPC 측정법에 기준할 때)이 2,000 내지 3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크레졸 노볼락 수지는 메타/파라 크레졸의 함량비에 따라 감광시간과 잔막률 등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메타/파라 크레졸의 함량이 중량기준으로 4:6 내지 6:4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크레졸 노볼락 수지 중의 메타 크레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감광시간이 빨라지면서 잔막율이 급격히 낮아지며, 파라 크레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감광시간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크레졸 노볼락 수지는 메타/파라 크레졸의 함량이 중량 기준으로 4:6 내지 6:4인 크레졸 노볼락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수지를 혼합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레졸 노볼락 수지를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30,000인 크레졸 노볼락 수지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내지 8,000인 노볼락 수지르 7:3 내지 9:1의 비율로 혼합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esol novolak resin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ased on GPC measurement method) of 2,000 to 30,000, and the cresol novolac resin has properties such as a photosensitizing time and a residual film ratio depending on the content ratio of meta / ,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meta / para-cresol content is mixed in a ratio of 4: 6 to 6: 4 on a weight basis. When the content of the methacresol in the cresol novolac resin exceeds the above range, the photosensitive time is accelerated and the residual film rate is drastically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para-cresol exceeds the above range, the photosensitive time is slowed down. The cresol novolak resin may be used singly as a cresol novolak resin having a meta / para-cresol content of 4: 6 to 6: 4 by weight, more preferably, a mixture of different resins may be us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esol novolak resin is mixed and used in a ratio of cresol novolak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8,000 to 30,000 and novolak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 to 8,000 in a ratio of 7: 3 to 9: 1 .

상기 및 이하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특정한 언급이 없는 한 겔투과크로마토크래피(GPC)에 의해 결정되는, 폴리스티렌 당량의 환산치로 정의된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ve and below is defined as a polystyrene equivalent conversion valu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nless otherwise specified.

한편 포토레지스트층 조성 중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은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알칼리에 대한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용해억제제로서 작용하며, 광이 조사되면 알칼리 가용성 물질로 바뀌어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알칼리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조사로 인한 용해도의 변화로 인하여 본 발명의 필름형 광분해성 전사재료는 노광 부위가 현상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resist layer composition, the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functions as a dissolution inhibitor which decreases the solubility of the alkali-soluble resin in alkali, and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it turns into an alkali-soluble substance and increases the alkali solubility of the alkali- do. Due to such a change in solubility due to light irradiation, the exposed region of the film-type photodegradable transf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veloped.

상기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은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퀴논디아지드 술폰산 화합물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을 얻기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은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퀴논디아지드 술폰산 화합물을 디옥산,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에틸케톤, N-메틸피롤리돈, 클로로포름, 트리에틸아민, N-메틸몰포린, N-메틸피페라진 또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염기성 촉매를 적하하여 축합시킨 후, 얻어진 생성물을 세정, 정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The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can be synthesized by an esterification reaction of a polyhydroxy compound with a quinone diazide sulfonic acid compound. The esterification reaction for obtaining a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reacting a polyhydroxy compound and a quinonediazide sulfonic acid compound in a solvent such as dioxane, acetone, tetrahydrofuran, methyl ethyl ketone, N-methylpyrrolidone, chloroform, triethylamine, N -Methylmorpholine, N-methylpiperazine or 4-dimethylaminopyridine, and then the obtained product is washed, purified and dried.

이때 퀴논디아지드 술폰산 화합물로는 일예로 1,2-벤조퀴논 디아지드-4-술폰산, 1,2-나프토퀴논 디아지드-4-술폰산, 1,2-벤조퀴논 디아지드-5-술폰산 및 1,2-나프토퀴논 디아지드-5-술폰상 등의 o-퀴논 디아지드 술폰산화합물 및 그 외의 퀴논 디아지드 술폰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퀴논디아지드 술폰산 화합물은 스스로 알칼리 중에서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용해도를 낮게 하는 용해 저지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노광시 알칼리 가용성이기 위해 분해하고 그로 인해 오히려 알칼리에서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용해를 촉진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Examples of the quinonediazide sulfonic acid compound include 1,2-benzoquinonediazide-4-sulfonic acid, 1,2-naphthoquinonediazide-4-sulfonic acid, 1,2-benzoquinonediazide- O-quinonediazidesulfonic acid compounds such as 1,2-naphthoquinonediazide-5-sulfone and other quinonediazide sulfonic acid derivatives. The quinone diazide sulfonic acid compound itself has a function as a dissolution inhibitor which lowers the solubility of the alkali-soluble resin in alkali. However, it has a property of decomposing for the alkali solubility at the time of exposure, thereby promoting the dissolution of the alkali-soluble resin in the alkali.

상기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는 2,3,4-트리하이드록시 벤조페논, 2,2',3-트리하이드록시 벤조페논, 2,3,4'-트리하이드록시 벤조페논 등의 트리하이드록시 벤조페논류; 2,3,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 벤조페논, 2,3,4,5-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 테트라하이드록시 벤조페논류; 2,2',3,4,4'-펜타하이드록시 벤조페논, 2,2',3,4,5-펜타하이드록시 벤조페논 ed 펜타하이드록시 벤조페논류; 2,3,3',4,4',5'-헥사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3,3',4,5'-헥사하이드록시 벤조페논 등 헥사하이드록시 벤조페논류; 갈산알킬에스테르류; 옥시플라본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hydroxy compound include trihydroxybenzophenone such as 2,3,4-trihydroxybenzophenone, 2,2 ', 3-trihydroxybenzophenone and 2,3,4'-trihydroxybenzophenone. Currents; 2,3,4,4'-tetrahydr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2,3,4,5-tetrahydroxybenzophenone, etc., tetrahydroxybenzophenone Currents; 2,2 ', 3,4,4'-pentahydroxybenzophenone, 2,2', 3,4,5-pentahydroxybenzophenone edpentahydroxybenzophenones; Hexahydroxybenzophenones such as 2,3,3 ', 4,4', 5'-hexahydroxybenzophenone, 2,2 ', 3,3', 4,5'-hexahydroxybenzophenone; Gallic acid alkyl esters; Oxyflavones and the like.

이들로부터 얻어진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일예로는 2,3,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포네이트, 2,3,4-트리하이드록시벤조페논-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포네이트 및 (1-[1-(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4-[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벤젠)-1,2-나프토퀴논디아지드-5-설포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obtained therefrom include 2,3,4,4'-tetrahydroxybenzophenone-1,2-naphthoquinonediazide-5-sulfonate, 2,3,4-tri Hydroxybenzophenone-1,2-naphthoquinonediazide-5-sulfonate and (1- [1- (4-hydroxyphenyl) isopropyl] -4- [ Phenyl) ethyl] benzene) -1,2-naphthoquinonediazide-5-sulfonate.

이러한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은 포토레지스트층 조성 중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현상성이나 용해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Such a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may be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ability and solubility in the range of 3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ali-soluble resin in the photoresist layer composition.

상술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층은 감도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의 일예로는 2,3,4-트리하이드록시벤조페논, 2,3,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및 1-[1-(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4-[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벤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감도증진제를 포함할 때 그 함량은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감광 효과 향상 및 윈도우 공정 마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contain a sensitivity enhancing agent for improving sensitivity. Examples thereof include 2,3,4-trihydroxybenzophenone, 2,3,4,4'-tetrahydroxybenzophenone and 1- [1- (4-hydroxyphenyl) isopropyl] -4- [ 1,1-bis (4-hydroxyphenyl) ethyl] benzene. When the sensitivity enhancer is included, the content of the sensitizer is preferably 3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lkali-soluble resin.

그밖에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층은 레벨링제, 충진제,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성분이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ve-type photosensitive resin layer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such as leveling agents, fillers, antioxidants, and additives.

한편 알칼리 가용성 수지, 디아지드계 감광성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일정량의 용제에 분산시켜 조액한 후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용매의 일예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에틸 알코올, 메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벤젠, 톨루엔,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에틸렌글리콜, 크실렌,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ali-soluble resin, a diazide-based photosensitive compound and the like is dispersed in a certain amount of a solvent and applied to the coating solution.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acetone, methyl ethyl ketone, ethyl alcohol, m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 benzene, tolue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ethylene glycol, Glycol monoeth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는 감광성 수지층의 일면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감광성 수지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후공정에 적용할 때는 용이하게 이탈되면서, 보관 및 유통할 때에는 이형되지 않도록 적당한 이형성과 점착성을 필요로 한다.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The protective film serves to protect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from the outside.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applied to a post-process, it is easily separated, and it is required to have appropriate releasability and tackiness so as not to be released during storage and circul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1 내지 4 및  1 to 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2 1 to 2

<실시예 1>&Lt; Example 1 >

(a)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 검화도가 87%인 폴리비닐알코올(KURARAY사, PVA205) 20g, 및 부톡시에탄올(butoxyethanol)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 0.1g을 녹였을 때 입도가 0㎛인 폴리실리콘(BYK사, BYK-349, 건조후 고형분대비 0.25%) 0.05g을 증류수 100g에 넣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녹여 수지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두께 16㎛인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3.0㎛, 두께편차 0.4㎛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형성하였다(a) 2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PVA205)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2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 and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butoxyethanol solvent, 0.05 g of silicone (BYK, BYK-349, 0.25% of solid content after drying) was added to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at 80 ° C for 6 hours to completely dissolve the resin composition. This was coate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μm (haze of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μm, KOLON) using a coating bar and dried at 80 ° C. for 10 minutes using a hot air oven 3.0 占 퐉, and a thickness deviation of 0.4 占 퐉 was formed

이때, 상기 폴리실리콘을 상기 용매에 녹였을 때 입도가 0㎛라는 의미는 폴리실리콘이 용매에 거의 완전히 용해되어 입자상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입도가 0㎛'는 상기와 같이 동일한 의미를 뜻한다.   In this case, when the polysilicon is dissolved in the solvent, the particle size of 0 占 퐉 means that the polysilicon is almost completely dissolved in the solvent and the particle phase is not fou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particle size is 0 占 퐉 'Means the same meaning as above.

(b) UH-9200 series(Kolon)에 사용된 조성 및 함량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광개시제류를 용매인 메틸에틸케톤과 메틸알코올에 녹인 후, 광중합성 올리고머류와 바인더 폴리머를 첨가하여 교반기계(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혼합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b) UH-9200 series (Kolon). Specifically, the photoinitiator was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alcohol as solvents, and the photopolymerizable oligomers and the binder polymer were added and mixed for 1 hour using a mechanical stirrer to prepare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19㎛ 두께의 보호필름(실리콘이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CY201-19um, KOLON) 상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6분간 건조하여 두께 15㎛의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c)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a protect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9 占 퐉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silicone-modified type, CY201-19um, KOLON) using a coating bar, Minute to form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mu m.

(d) 건조가 완료된 (c) 필름의 감광성 수지층과 상기 (a)의 수지 보호층이 접하도록 50℃에서 압력 4kgf/㎠로 라미네이션하여 두께 53㎛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였다.
(d)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53 탆 was prepared by laminating the dried photosensitive resin layer of the film (c)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of the above (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50 캜 under a pressure of 4 kgf / cm 2.

<실시예 2>&Lt; Example 2 >

아래와 같이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60㎛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였다.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60 占 퐉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llowing procedure was employed.

(a)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 검화도가 87%인 폴리비닐알코올(KURARAY사, PVA205) 20g, 및 부톡시에탄올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 0.1g을 녹였을 때 입도가 0㎛인 폴리실리콘(BYK사, BYK-349, 건조후 고형분대비 0.25%) 0.05g을 증류수 100g에 넣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녹여 수지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두께 16㎛인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두께 10.0㎛, 두께편차 0.8㎛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 2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Co., PVA205)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2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 and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butoxyethanol solvent were mixed to prepare a polysilicon (BYK 0.05 g of BYK-349, 0.25% of the solid content after drying) was added to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at 80 ° C for 6 hours to completely dissolve the resin composition. This was coate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μm (haze of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μm, KOLON) using a coating bar and dried at 80 ° C. for 20 minutes using a hot air oven 10.0 mu m, and a thickness variation of 0.8 mu m was formed

<실시예 3>&Lt; Example 3 >

아래와 같이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53㎛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였다.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53 탆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llowing procedure was employed.

(a)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 검화도가 87%인 폴리비닐알코올(KURARAY사, PVA205) 20g, 및 부톡시에탄올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 0.1g을 녹였을 때 입도가 0㎛인 폴리실리콘(BYK사, BYK-349, 건조후 고형분대비 1.0%) 0.2g을 증류수 100g에 넣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녹여 수지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두께 16㎛인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두께 3.0㎛, 두께편차 0.4㎛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 2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Co., PVA205)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2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 and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butoxyethanol solvent were mixed to prepare a polysilicon (BYK 0.2 g of BYK-349, 1.0% of solid after drying) was added to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at 80 ° C for 6 hours to completely dissolve the resin composition. This was coate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μm (haze of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μm, KOLON) using a coating bar and dried at 80 ° C. for 20 minutes using a hot air oven 3.0 占 퐉, and a thickness deviation of 0.4 占 퐉 was formed

<실시예 4><Example 4>

아래와 같이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53㎛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였다.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53 탆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llowing procedure was employed.

(a) 중량평균분자량이 75000, 검화도가 87%인 폴리비닐알코올(KURARAY사, PVA217) 10g, 및 부톡시에탄올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 0.1g을 녹였을 때 입도가 0㎛인 폴리실리콘(BYK사, BYK-349, 건조후 고형분대비 0.25%) 0.025g을 증류수 100g에 넣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녹여 수지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두께 16㎛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3.0㎛, 두께편차 0.4㎛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 1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PVA217)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5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 and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butoxyethanol solvent were mixed to prepare a polysilicon (BYK 0.025 g of BYK-349, 0.25% of solid after drying) was added to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at 80 ° C for 6 hours to completely dissolve the resin composition. This was coated on a 16 μm thick support film (haze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μm, KOLON) using a coating bar and dried at 80 ° C. for 10 minutes using a hot air oven to obtain a thickness of 3.0 Mu m, and a thickness deviation of 0.4 mu m was formed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a) UH-9200 series(Kolon)에 사용된 조성 및 함량으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광개시제류를 용매인 메틸에틸케톤과 메틸알코올에 녹인 후, 광중합성 올리고머류와 바인더 폴리머를 첨가하여 교반기계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혼합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UH-9200 series (Kolon),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Specifically, the photoinitiator was dissolved in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alcohol as solvents, and the photopolymerizable oligomers and the binder polymer were added and mixed for 1 hour using a stirring machine to prepare a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b)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두께 16㎛인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15㎛의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b) The abo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탆 (haze of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탆, KOLON) using a coating bar, Lt; 0 &gt; C for 10 minutes to form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mu m.

(c) 건조가 완료된 (b) 필름의 감광성 수지층과 두께가 19㎛인 보호필름(실리콘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CY201-19㎛, KOLON)의 이형층이 접하도록 50℃에서 압력 4kgf/㎠로 라미네이션하여 두께 50㎛의 필름형 감광성 전사재료를 제조하였다.
(c)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of the dried (b) film and a release film of a protect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9 μm (silicone-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CY201-19 μm, KOLON) / Cm &lt; 2 &gt; to prepare a film-type photosensitive transfer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비교예 2>&Lt; Comparative Example 2 &

아래와 같이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53㎛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였다. 
A dry film photoresist having a thickness of 53 탆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llowing procedure was employed.

(a)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 검화도가 87%인 폴리비닐알코올(KURARAY사, PVA205)20g, 및 부톡시에탄올(butoxyethanol)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 0.1g을 녹였을 때 입도가 0㎛인 폴리실리콘(BYK사, BYK-349, 건조후 고형분대비 0.008%) 0.0016g을 증류수 100g에 넣고 80℃에서 6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녹여 수지 보호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두께 16㎛인 지지체 필름(헤이즈 2.3%, 표면처리 없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FDFR-16㎛, KOLON) 위에 코팅 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열풍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0.5㎛, 두께편차 0.1㎛를 가지는 수지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 20 g of polyvinyl alcohol (KURARAY, PVA205)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20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87%, and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butoxyethanol solvent, 0.0016 g of silicone (BYK, BYK-349, after drying, 0.008% by weight) was added to 100 g of distilled water and stirred at 80 캜 for 6 hours to completely dissolve the resin composition. This was coate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 μm (haze of 2.3%, no surface treatm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DFR-16 μm, KOLON) using a coating bar and dried at 80 ° C. for 10 minutes using a hot air oven 0.5 占 퐉, and a thickness deviation of 0.1 占 퐉.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검화도는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as the water-soluble polymer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중량평균분자량 측정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폴리비닐알코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GFC(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으로 PEO(Polymer Standards Service사, Mp 25300, 44000, 73500, 176000, 252000, 613000, 1010000)를 기준물질로 측정한 것이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 was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FC) using PEO (Polymer Standards Service, Mp 25300, 44000, 73500, 176000, 252000, 613000, 1010000) as reference materials.

검화도Saponification degree 측정 Measure

폴리비닐알코올의 검화도는 JIS K6726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polyvinyl alcohol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6726 method.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하여 제조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점착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The adhesion of the dry film photoresist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as follows.

점착력 측정Adhesion measurement

<수지 보호층간의 점착력>&Lt; Adhesion between resin protective layers >

폭 3㎝, 길이 20㎝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시편의 보호필름을 제거한 뒤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FCCL에 라미네이션하여 2개의 Sample을 작성하였다. 이후 2개 Sample의 지지체 필름을 이형시키고, 수지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게 하여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라미네이션하였다. 이후 붙어있는 Sample을 이형시키면서 시작점에서 5㎝ 지점부터 8㎝ 지점까지 100mm/min의 시간으로 10N load cell을 사용하여 이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UTM(4303 series, Instron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fte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dry film photoresist sample having a width of 3 cm and a length of 20 cm, two samples were prepared by lamination to FCCL at a rate of 2 m / min and a pressure of 4 kgf / cm 2 at 110 ° C. Thereafter, the support film of two samples was released and laminated at a speed of 2 m / min and a pressure of 4 kgf / cm &lt; 2 &gt; at 110 DEG C with the resin protective layers facing each other. The force required for releasing the sample using a 10N load cell was measured using a UTM (4303 series, Instron) at a time of 100 mm / min from 5 cm to 8 cm from the starting point while releasing the attached sample.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간 점착력>&Lt;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

폭 3㎝, 길이 20㎝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시편의 보호필름을 제거한 뒤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 으로 동장적층판에 라미네이션하였다. 이후 지지체 필름을 이형시키면서 시작점에서 5㎝ 지점부터 8㎝ 지점까지 100mm/min의 시간으로 10N load cell을 사용하여 이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UTM(4303 series, Instron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Afte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dry film photoresist specimen having a width of 3 cm and a length of 20 cm, the laminate was laminated to the copper laminate at 110 ° C at a speed of 2 m / min and a pressure of 4 kgf / cm 2. Then, the force required for releasing the support film using a 10N load cell at a time of 100 mm / min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8 cm point was measured using a UTM (4303 series, Instron) while releasing the supporting film.

<감광성 수지층과 보호필름간의 점착력>&Lt; Adhesion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

폭 3㎝, 길이 20㎝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시편의 보호필름을 이형시키면서 시작점에서 5㎝ 지점부터 8㎝ 지점까지 100mm/min의 시간으로 10N load cell을 사용하여 이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만능시험기(UTM, 4303 series, Instron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he force required to release the protective film of the dry film photoresist sample of 3 cm in width and 20 cm in length using a 10 N load cell from 5 cm to 8 cm from the starting point at a time of 100 mm / , 4303 series, Instron).

<지지체 필름을 벗긴 후 수지 보호층과 PET의 점착력>&Lt; Adhesion of resin protective layer and PET after peeling off the support film >

폭 3㎝, 길이 20㎝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시편의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 동장적층판에 110℃, 4㎏f/㎠ 조건하에서 속도 2m/min으로 라이네이션한 후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폭 4㎝, 길이 25㎝, 두께 19㎛의 PET 필름(FDFR, Kolon사 제조)을 110℃, 4㎏f/㎠ 조건하에서 2m/min 시간으로 라이네이션한 후, 상기 PET 필름을 이형시키기 시작하여 시작점에서 5㎝ 지점부터 8㎝ 지점까지 100mm/min의 시간으로 10N load cell을 사용하여 이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UTM(4303 series, Instron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 protective film of a dry film photoresist sample having a width of 3 cm and a length of 20 cm was removed, and the support film was removed by laminating the copper clad laminate at 110 ° C under a condition of 4 kgf / cm 2 at a speed of 2 m / min. A PET film (FDFR, manufactured by Kolon) having a width of 4 cm, a length of 25 cm and a thickness of 19 μm was lined at 110 ° C under a condition of 4 kgf / cm 2 at a rate of 2 m / min, The force required for releasing a 10 N load cell at a starting point of 5 cm to 8 cm at a time of 100 mm / min was measured using a UTM (4303 series, Instron).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하여 제조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점착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adhesive force of the dry film photoresist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

상기 PET필름의 라미네이션 할 때의 조건은 일반적인 노광 시의 마스크와 접착되는 조건과 동일하며 이때 측정된 지지체 필름의 점착력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경우 수지 보호층과 PET 필름간의 점착력이다.
The conditions for lamination of the PET film are the same as those under which the PET film is adhered to the mask at the time of general exposure,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support film measured at this time is the adhesion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the PET film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2 .

점착력(N/cm)Adhesion (N / cm)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Adhesion between resin protective layers 감광성 수지층과 보호 필름간 점착력Adhesion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간 점착력Adhesion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지지체 필름을 벗긴 후 수지 보호층과 PET의 점착력After removing the support film,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PET 실시예Example 1One 0.00150.0015 0.00170.0017 0.00270.0027 0.00100.0010 22 0.00150.0015 0.00170.0017 0.00270.0027 0.00100.0010 33 0.00120.0012 0.00170.0017 0.00240.0024 0.00100.0010 44 0.00170.0017 0.00170.0017 0.00310.0031 0.00090.0009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측정불가Not measurable 0.00170.0017 0.0047* 0.0047 * 0.0043** 0.0043 ** 22 0.01250.0125 0.00170.0017 0.01300.0130 0.00070.0007

(주) 상기 표 1에서 예외적으로 *은 지지체 필름과 감광성 수지층간의 점착력을 의미하고, **은 지지체 필름을 벗긴 후 감광성 수지층과 PET 필름간의 점착력을 의미한다.
(Note) In Table 1, * denotes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 denotes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PET film after the support film is peeled off.

특성 평가Character rating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한 후,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Then, the dry film photoresist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y film photoresist were evaluated.

(1) 인쇄회로기판 상의 형성(1) Formation on a printed circuit board

동장적층판(CCL)에 브러시 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새로운 동면을 형성하고 적절한 표면조도를 형성한다. 이후 5% 황산용액에서 산처리 후 수세, 건조를 하여 라미네이터에 투입하였다. 라미네이터는 Hakuto Mach 610i를 사용하였으며 110℃에서 압력 4㎏f/㎠, 시간 2m/min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동장적층판에 라미네이션하였으며, 이때 예열은 실시하지 않았다. 이후 UV 노광기(Perkin Elmer OB-7120, 5KW 평행광)로 조사하여 노광을 실시하였다. 노광을 마친 인쇄회로기판을 현상기를 통과시켜 현상하였다. A brush pre-treatment machine is used for the CCL to form a new hibernation and to form an appropriate surface roughness. Then, it was acid-treated with 5% sulfuric acid solution, washed with water, dried, and then put into a laminator. The dry film photoresist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laminated to a copper clad laminate using a Hakuto Mach 610i laminator at a pressure of 4 kgf / cm 2 at a rate of 2 m / min at 110 ° C, . Thereafter, exposure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with a UV exposure apparatus (Perkin Elmer OB-7120, 5 kW parallel light). After the exposure, the printed circuit board was developed by passing through the developing device.

이때 수지 보호층을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2의 경우 노광공정 전에 지지체 필름을 벗겨내었으며 수지 보호층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지지체 필름을 현상 공정 전에 벗겨내었다.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2 includ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e support film was peeled off before the exposure process, an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resin protective layer was not included, the support film was peeled off before the development process.

(a) 헤이즈(a) haze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7cm × 7cm 크기로 자른 후 보호필름을 벗겨내어 10cm × 10cm 크기의 동장적층판에 라미네이션하였다. 그 다음 라미네이션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의 지지체 필름을 벗겨낸 후 수지 보호층을 벗겨내고 Haze Meter(NIPPON DENSHOKU사, NDH-2000)을 이용하여 상기 벗겨낸 수지 보호층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The dry film photoresis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cut into a size of 7 cm x 7 cm and then the protective film was peeled off and laminated on a copper clad laminate having a size of 10 cm x 10 cm. Then, the support film of the laminated dry film photoresist was peeled off, the resin protective layer was peeled off, and the haze of the peeled resin protective layer was measured using Haze Meter (NIPPON DENSHOKU, NDH-2000).

(b) 현상시간 (b) Development time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a)와 같이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동장적층판에 라미네이션을 마친 인쇄회로기판을 온도 30℃인 조건에서 압력 1.5kgf/㎠으로 현상액(1% Na2CO3 수용액)을 분사하는, 팬(fan) 타입의 노즐과 기판의 간격이 15㎝인 현상기에 통과시켜 라미네이션 된 부위가 현상액에 완전히 씻겨서 제거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이하,'Smin'로 로 함)이라 하였다. 또한, 감광성 수지층만의 실제현상시간(이하,'Sdel'로 로 함)은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Smin)의 두배의 시간으로 산정하였다. Whe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not included,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dry film photoresist is laminated to the copper clad laminate as in (a), is exposed to a developing solution (1% Na 2 CO 3 The time taken for the laminated portion to be completely washed and removed by passing through a developing device having a gap of 15 cm between the nozzle of the fan type and the substrate for spraying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 And 'S min '). The actual development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 del ") of only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was calculated to be twice the minimum development time (S min ) of only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한편,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인 경우,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최소현상시간(이하,'Pmin'로 로 함)은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Smin)을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측정하였고,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실제현상시간(이하,'Pdel'로 로 함)은 감광성 수지층만의 실제현상시간(Sdel)에 수지 보호층만의 현상시간(이하,'Ptim'로 로 함)을 추가해 주어야 하며, 이를 나타내면 다음 수식 3과 같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ilm including a resin protective layer, the minimum developing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 min ") of a film includ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inimum developing time (S min )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P del &quot;) of the film includ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the same as the actual development time (S del )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lone, 'P tim '), which is expressed as in Equation 3 below.

<수식 3>&Quot; (3) &quot;

Pdel = Sdel + Ptim P del = S del + P tim

= Smin × 2 + Ptim
= S min x 2 + P tim

상기 수식 3을 달리 표현하면 하기 수식 4로 표현된다.
Expression (3) is expressed differently from Expression (4).

<수식 4>&Lt; Equation 4 &

Pdel = Pmin + Smin
P del = Pmin + Smin

따라서,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최소현상시간과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는 필름의 최소현상시간, 즉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이들 값으로부터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실제현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inimum developing time of the film includ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the minimum developing time of the film not including the resin protective layer, that is, the minimum developing time of only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re respectively measured and from these values, The actual developing time can be calculated.

여기서,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Smin)은 비교예 1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최소현상시간으로 가름한다. Here, the minimum developing time (S min ) of only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is the minimum developing time for the dry film photoresist of Comparative Example 1. [

상기 수식 3 및 수식 4로부터 수지 보호층만의 현상시간(Ptim)을 산출하며, 산출된 현상시간을 수지 보호층의 두께로 나눈 값을 수지 보호층의 1㎛당 현상시간으로 정의한다. The development time (P tim ) of only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calculated from the above equations (3) and (4),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alculated development time by the thickness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defined as the development time per 1 μm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c) 감도와 노광량(c) Sensitivity and exposure

노광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수지 보호층 상에,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지지체 필름상에 감도기(21단 Stouffer Step Tablet)을 위치시킨 후, 감도 5단, 6단, 7단을 얻기 위한 노광량을 광량계(UV-351, ORC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감도는 현상 후 기판에 남아있는 감광성 레지스트의 최대 단위 개수로 평가하였다.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2 at the time of exposure, a sensitizer (21 stage Stouffer Step Tablet) was placed on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on the support film, , And the amount of exposure for obtaining the 7th stage was measured using a light amount meter (UV-351, manufactured by ORC). The valu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he sensitivity was evaluated by the maximum number of the photosensitive resist remaining on the substrate after development.

(2) 회로물성: 해상도, 세션밀착력, 1/1(Line/Space)해상도(2) Circuit properties: resolution, session adhesion, 1/1 (line / space) resolution

Kolon Test Artwork를 이용하여 해상도, 세선밀착력, 1/1(Line/Space)해상도를 측정하여 회로물성을 평가하였다. Using Kolon Test Artwork, the resolution, fine wire adhesion, and 1/1 (line / space) resolu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circuit properties.

본 실험에서 해상도는 미노광부위가 현상될 때 얼마나 작은 선폭까지 현상되었는지 정도를 측정한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해상도가 높으며, 측정된 해상도의 측정에 사용된 마스크는 4 내지 20㎛까지 0.5㎛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값의 해상도에 간격 400㎛로 만들어진 마스크를 사용하였다. 세선밀착력 값은 노광부위가 현상 후 얼마나 작은 선폭까지 침식을 받지 않고 직선의 회로를 형성하는가를 측정한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세선밀착력 값이 좋으며, 측정된 세선밀착력 값의 측정에 사용된 마스크는 4 내지 20㎛까지 0.5㎛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값의 세선밀착력 값에 간격 400㎛로 만들어진 마스크를 사용하였다. 또한 1/1 해상도는 회로라인과 회로라인 사이의 간격을 1:1로 하여 깨끗하게 현상된 최소 선폭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In this experiment, the resolution is a measure of how small the linewidth was developed when the unexposed portion was developed. The smaller the value, the higher the resolution. The mask used for measuring the measured resolution was 0.5 to And a mask having an interval of 400 mu m is used for the resolution of the value to be implemented. The fine line adhesion value is a measure of how much exposure area forms a straight line circuit without being eroded to the small line width after development.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the fine line adhesion value, and the mask used to measure the measured fine line adhesion value Was formed at an interval of 0.5 to 4 mu m to 4 to 20 mu m and a mask made of an interval of 400 mu m was used for the fine line adhesion value of the value to be implemented. Also, 1/1 resolution shows the measured minimum linewidth that was cleanly developed with a 1: 1 gap between the circuit line and the circuit line.

(3) 표면 분석(3) Surface analysis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적용한 인쇄회로기판을 상기와 같이 노광 및 현상공정을 거친 뒤,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A printed circuit board to which the dry film photoresist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as applied was subjected to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surface thereof was photographed by an electron microscope and shown in FIG. 1 and FIG. 2, respectively.

하기 표 2는 헤이즈, 현상시간 및 노광조건에 따른 회로물성의 측정 결과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Table 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circuit properties according to haze, development time and exposure conditions.

헤이즈
(%)
Hayes
(%)
현상시간Development time 노광 조건Exposure conditions 회로 물성Circuit property
최소현상시간(sec)Minimum developing time (sec) 실제현상시간(sec)Actual developing time (sec) 노광
에너지(mJ/㎠)
Exposure
Energy (mJ / cm 2)
감도(sst
/21sst)
Sensitivity (sst
/ 21st)
해상도
(㎛)
resolution
(탆)
세선
밀착력
(㎛)
Fine line
Adhesion
(탆)
1/1
해상도
(㎛)
1/1
resolution
(탆)
실시예 1Example 1 0.800.80 1111 1919 5050 55 7/77/7 13/1413/14 9/99/9 6060 66 9/99/9 11/1111/11 9/89/8 7070 77 9/99/9 8/88/8 9/99/9 실시예 2Example 2 2.62.6 1818 2626 5050 55 8/88/8 13/1313/13 9/99/9 6060 66 10/1010/10 11/1111/11 10/1110/11 7070 77 11/1011/10 8/88/8 11/1111/11 실시예 3Example 3 1.91.9 1111 1919 5050 55 8/88/8 13/1313/13 9/99/9 6060 66 10/1010/10 11/1111/11 10/1110/11 7070 77 10/1010/10 8/88/8 10/1010/10 실시예 4Example 4 0.800.80 1717 2525 5050 55 7/77/7 13/1213/12 9/99/9 6060 66 9/99/9 11/1111/11 9/99/9 7070 77 9/99/9 8/88/8 9/99/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NoneNone 8* 8 * 16** 16 ** 5050 55 8/88/8 13/1313/13 10/1010/10 6060 66 11/1111/11 13/1313/13 11/1111/11 7070 77 13/1313/13 8/98/9 13/1313/1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250.25 88 1616 5050 55 7/77/7 20/2020/20 20/2020/20 6060 66 9/99/9 18/1818/18 18/1818/18 7070 77 9/99/9 16/1616/16 16/1616/16

(주) 상기 표 2에서 최소현상시간(sec)은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최소현상시간(Pmin)을 의미하며, 실제현상시간(sec)은 수지 보호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실제현상시간(Pdel)을 의미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은 감광성 수지층만의 최소현상시간(Smin)을 의미하고, **은 감광성 수지층만의 실제현상시간(Sdel)을 의미한다.
Co. physical phenomenon of the film, including the above Table 2 Minimum developing time (sec) is the resin means that the minimum processing time (P min) of the film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and actual developing time (sec) is a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Means time (P del ). However, exceptionally * denotes the minimum developing time (S min )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lone, and ** denotes the actual developing time (S del ) only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상기 측정 결과, 같은 단수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광량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2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회로물성 측정 결과는 실시예의 경우 해상도 및 세선밀착력 등에서 비교예보다 더욱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amounts of exposure required to realize the same number of step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circuit physical properties showed better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in resolution and fine wire adhesion .

실시예의 경우, 감광성 수지층과 보호필름간의 이형력 및 수지 보호층과 지지체 필름간의 이형력이 작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leasing force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and the releasing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the support film are in a range not hindering the workability.

또한, 지지체 필름을 벗긴 후 수지 보호증과 PET의 점착력이 적정 수준이어서 Mask와의 접촉 후에도 상호간에 전사가 없는 양호한 작업성을 보이고 있다. 가장 중요한,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도 적정 수준이어서 노광 후 적층 시에도 상호간의 전사 없이 깨끗하게 분리되어 회로 물성이 양호하다. 이로부터 실시예에서는 노광 후 기판을 적층하여 놓아도 상호간의 전사가 없어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resin protective film and PET is adequate after peeling off the support film, good workability is exhibited without mutual transfer even after contact with the mask. Most importantly,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is also an appropriate level, even when laminated after exposure, they are cleanly separated without mutual transfer, and the circuit properties are goo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in the embodiment, even after stacking the post-exposure substrates, there is no mutual transfer, and it is possible to work stably.

비교예 1의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은 수지 보호층이 없어서 감광성 수지층간에 직접 Lamination이 되었고 이로 인해 밀착력이 너무 높아져서 측정 불가가 되었다. 비교예 2에서는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0.01 N/㎝를 초과하여 노광 후 적층 시 상호간의 점착력이 높아서 전사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한 세선 밀착력 및 1/1해상도 저하가 일어나고 있다.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directly laminat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s due to the absen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resin protective layers exceeded 0.01 N / cm, so that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layers after the exposure lamination was high, and the transfer phenomenon occurred. As a result, the adhesion of the fine wires and the resolution degraded by 1/1.

이로부터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적용한 경우, 노광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노광 후 적층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dry film photoresist which can be easily handled during exposure and can be stably operated even after lamination after exposure can be produced.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지지체 필름, 수지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포함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에서의 수지 보호층의 일면을 접하도록 110℃에서 속도 2m/min, 압력 4㎏f/㎠으로 적층(Lamination)한 후,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를 다시 분리시킬 때의 상기 수지 보호층의 일면과 다른 수지 보호층의 일면간의 점착력이 0.01 N/㎝ 이하이고,
상기 수지 보호층은 폴리비닐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실리콘 0.01 내지 3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A dry film photoresist comprising a support film, a resin protective layer and a photosensitive resin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Th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support film was remov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in the dry film photoresist from which the support film had been removed were contacted at 110 ° C at a speed of 2 m / min and a pressure of 4 kgf / cm 2 , The adhesive for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resin protective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resin protective layer when the dry film photoresist is separated again is 0.01 N / cm or less,
Where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comprises 0.01 to 3 parts by weight of polysilicon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보호층은 헤이즈가 0.001 내지 3.0%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has a haze of 0.001 to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보호층은 1㎛당 현상시간이 0.1 내지 10초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has a development time per 1 mu m of 0.1 to 10 seco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필름과 수지 보호층 간의 점착력이 0.0005 내지 0.01 N/cm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sin protective layer is 0.0005 to 0.01 N /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보호층은 두께가 0.001 내지 10㎛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has a thickness of 0.001 to 10 탆.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보호층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30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protective layer comprises polyvinyl alcoho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3000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검화도가 75 내지 97%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has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75 to 97%.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은 물, 알코올류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100g에 폴리실리콘을 0.1g 용해시 입도가 0 내지 1㎛인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silicon has a particle size of 0 to 1 탆 when dissolving 0.1 g of polysilicon in 100 g of any one solvent selected from water, alcohols and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층의 일면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 The dry film photoresis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resin layer.
KR1020100060520A 2009-09-28 2010-06-25 Dry film photoresist KR101739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20A KR101739730B1 (en) 2010-06-25 2010-06-25 Dry film photoresist
PCT/KR2010/006592 WO2011037438A2 (en) 2009-09-28 2010-09-28 Dry film photoresist
JP2012530787A JP5551255B2 (en) 2009-09-28 2010-09-28 Dry film photoresist
CN201080043364.8A CN102549500B (en) 2009-09-28 2010-09-28 Dry film photores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20A KR101739730B1 (en) 2010-06-25 2010-06-25 Dry film photores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57A KR20120000257A (en) 2012-01-02
KR101739730B1 true KR101739730B1 (en) 2017-05-26

Family

ID=4560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520A KR101739730B1 (en) 2009-09-28 2010-06-25 Dry film photoresi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73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0953A (en) * 2002-05-27 2003-12-02 Toray Ind Inc Support film for dry film resist and dry film resist using this support film
JP2004106322A (en) 2002-09-18 2004-04-08 Toray Ind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dry-film photoresi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0953A (en) * 2002-05-27 2003-12-02 Toray Ind Inc Support film for dry film resist and dry film resist using this support film
JP2004106322A (en) 2002-09-18 2004-04-08 Toray Ind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dry-film photores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57A (en)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666B2 (en) Photosensitive element
JP6778387B2 (en) Photosensitive element
JP5140189B2 (en) Film-type photodegradable transfer material
KR101335076B1 (en) Dry film photoresist
WO2014200028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element, mask material for sand-blasting,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object to be treated
JP5551255B2 (en) Dry film photoresist
KR2015004399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film photoresist and dry film photoresist manufactured by the same
JP5356603B2 (en) Dry film photoresist
JP2007114731A (en) Photosensitive element
TW202006470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etch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structure
JP2006227206A (en) Photosensitive element, resist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KR101739730B1 (en) Dry film photoresist
KR101262448B1 (en) dry film photoresist
KR101335181B1 (en) Dry film photoresist
KR101801040B1 (en) Multilayer film
KR101362179B1 (en) Method of preparing dry film photoresist
KR101258733B1 (en) Dry film photoresist
KR101309888B1 (en) Method of preparing dry film photoresist
JP2011170098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hotosensitive film and permanent resist using the same
WO2014119562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element, sandblasting mask material, and surface processing method of object to be processed
JP2019194007A (en) Photosensitive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20044836A (en) Multilayer film
KR20110056254A (en) Dry film photoresist
KR101374516B1 (en) Method for Preparing Fine Pitch Circuit Pattern Using Film Type Multi-Layer Photosensitive Materials
KR101324871B1 (en) Film type transfe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